KR20120058064A -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183-2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 - Google Patents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183-2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064A
KR20120058064A KR1020100119684A KR20100119684A KR20120058064A KR 20120058064 A KR20120058064 A KR 20120058064A KR 1020100119684 A KR1020100119684 A KR 1020100119684A KR 20100119684 A KR20100119684 A KR 20100119684A KR 20120058064 A KR20120058064 A KR 20120058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present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6489B1 (ko
Inventor
안병학
김재호
김혜련
이애란
이향정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19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48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with flavouring ingredient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Abstract

본 발명은 명품 약주 발효균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183-2 (KCTC11812BP) 및 이러한 균주로 제조된 약주, 탁주 등의 알코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균주인 Y183-2 균주는 전통누룩에서 분리된 야생 양조효모로 발효능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에탄올 내성이 우수하여 고 알코올 함량에서도 생존 가능하며, 단맛이 우수하고, 이러한 효모를 이용한 약주는 호가든 맥주와 같은 부드럽고 상큼한 맛을 낼 뿐만 아니라 매우 향긋해 관능특성이 아주 우수하다.

Description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183-2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Brewing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183-2 and brewed alcohol made therewith}
본 발명은 약주, 탁주 등의 제조에 이용되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균주 및 이러한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약주, 탁주 등의 섭취용 알코올에 관한 것이다.
술은 자연적으로 발생되어 지역, 민족, 기후, 풍토 및 문화적 차이에 따라 여러 형태의 개성 있는 술로 발전되었다. 세균, 효모 등의 존재가 발견되기 이전에는 현대적인 발효 기술이 없었으므로, 누룩 등에 존재하는 자생 효모에 의하여 발효주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자생 효모들을 이용하면 우수하고 일정한 발효능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대에 들어서는 자생 효모들 중에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 효모를 선별, 분리하여 발효를 수행함으로써, 우수하고 일정한 발효능을 유지하여 우수한 발효주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현재 맥주, 청주 또는 포도주 등 흔히 접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발효주들은 모두 엄선된 발효 효모에 의해 발효된 것이며, 계속적으로 새로운 발효 효모를 탐색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탐색을 위해서는 실험실에서 선별된 균주들을 일일이 발효시킨 후 각각의 발효능 등의 특성을 측정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알코올 발효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알코올성이 우수하여 고알코올 함량에서도 발효가 가능하며, 고형분과 환원당 함량이 높아 단맛이 우수하고, 특히 관능특성이 매우 우수한 알코올 발효용 효모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효모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약주, 탁주 등의 섭취용 알코올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새롭게 분리 동정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183-2 (KCTC11812BP)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누룩으로부터 수많은 효모 균주를 분리한 후 발효능, 내알코올성, 내당성, 침강성, 향의 특성, 관능감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최적의 효모를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효모를 동정하여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Y183-2 균주라고 명명하고, 2010년 11월 24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번호 KCTC11812BP로 기탁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발효균주 Y183-2 균주는 전통누룩에서 분리된 야생 양조효모로 발효능이 매우 우수하며, 이화학적, 유전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동정한 결과 포도주 효모, 맥주효모 및 일본의 청주효모와는 다른 신 균주임을 확인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약주를 양조할 경우 에탄올 18%까지 내성이 있어 고 알코올 함량에서도 생존하며, 고형분과 환원당의 함량이 높아 단맛이 우수하며, 특히 관능특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장내 유해세균 발육을 억제하는 젖산 함량이 높아 장기능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판명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효모 균주는 통상적인 사카로마이세스 속 효모의 배양법에 의해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다. 배양배지로는 탄소원, 질소원, 비타민 및 미네랄로 구성된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Yeast Malt Extract Agar (YM agar) 배지, Potato Dextrose Agar (PDA) 배지에서 25-30℃, pH 5.6±0.2, 36-72시간, 호기적인 조건에서 배양하여 4℃에서 보관하면서 계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Y183-2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약주, 탁주, 막걸리, 청주, 포도주, 과실주 등의,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발효주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Y183-2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주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발효주는 (S1) 전분질 원료(예를 들어, 찹쌀), 누룩 및 본 발명 균주에 물을 첨가하여 밑술을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S1)단계에서 수득한 밑술에 증자한 전분질 원료, 누룩 및 물을 추가로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담금단계; (S3) 상기 (S2)단계에서 수득한 발효액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S1) 또는 (S2)단계 이후에 동충하초, 적하수오, 발효홍삼, 대추, 감초 등의 식물 약재, 매실, 포도 등의 과실 등 여러 가지 성분이 첨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밑술을 제조하는 단계는 5-30℃에서 2-20일간 발효시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담금단계는 5-30℃에서 2-30일간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발효주의 제조 방법은 이러한 구체적 방법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유용한 특성을 지닌 새로운 분리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183-2 (KCTC11812BP) 및 이러한 효모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주와 이러한 발효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Y183-2 균주와 동일 종의 공지 균주들 사이의 염기서열을 비교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신규 효모의 선별 및 선별방법>
경상남도 합천 등 다양한 지방에서 입수한 약 300여개의 누룩을 10진 희석법으로 희석하여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를 이용하여 15-30℃에서 24-76시간 동안 집식 배양하였으며, 104-106 플레이트 상에서의 집락이 생성된 모든 효모를 분리하였다. 총 약 1200개의 집락이 분리되었으며, 이중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약주 제조를 위한 최적의 효모를 단계적으로 선별하였고, 후술하는 내알코올성, 내당성, 침강성, 향미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다시 최적의 효모를 선별하였다.
먼저 100 : 300 : 10 비율의 찹쌀: 물: 누룩[개량누룩(SP1800)과 진주곡자(SP300)를 4: 1 비율로 혼합 사용] 혼합물을 55℃에서 4시간 당화시키고(14Brix 당화액), 여기에 상기 분리된 효모를 1.0 X 107 CFU/mL의 비율로 첨가하였다. 약 15℃에서 약 일주일 동안 발효시킨 후 산 생성(indicator BCG(Bromocresol green) 사용), 가스 생성(Gas(CO2) 생성 확인 durham tube 사용) 등을 확인하였으며, 알코올 생성, 생성된 향 등을 비교하여 약 225개의 효모들을 선별하였다.
다음 단계로 300 ml의 약주를 제조하여 효모를 다시 선별하였다. 110 : 180 : 10 비율의 찹쌀: 물: 누룩[개량누룩(SP1800)과 진주곡자(SP300)를 4: 1 비율로 혼합 사용] 혼합물을 55℃에서 4시간 당화시키고, 선별된 각각의 효모를 1.0 X 107 CFU/mL의 비율로 첨가하고, 15℃에서 7-15일 발효시켜 생성된 약주들의 알코올 함량, pH, 산도, 당도, 향 생성 등을 비교하여 약 50개의 효모를 2차 선별하였고, 하기 추가적인 평가실험 등을 통하여 Y183-2 균주를 최종 선별하였다.
<찹쌀 약주의 제조(발효방법)>
전체 술 양의 2%로 주모(효모 0.01%, 찹쌀: 누룩(SP 300): 물 = 1: 0.2: 1.4)를 20℃에서 1일간 배양하고, 그 주모에 찹쌀: 누룩 (첨가량의 5배 물로 1시간 교반 후 착즙, SP 300): 물 = 1: 0.4: 11.27로 전체 술 양의 66%로 밑술을 하여 15℃에서 4일간 발효한 후, 찹쌀: 누룩: 엿기름 = 1: 0.037: 0.029로 전체 술 양의 32%로 덧술을 하여 15℃에서 17일간 발효하여 찹쌀 약주를 제조하였다.
<효모의 알코올 내성 및 내당성>
알코올 내성은 YPD(glucose 2%, yeast extract 0.5%, bactopeptone 1%: Sigma, USA) 액체 배지에 효모 접종 직후 무수에탄올을 16, 18, 20, 22%(v/v)가 되도록 각각 첨가하여 20℃에서 72시간 배양한 후 66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내당성은 20, 25, 30, 35, 40% 글루코스가 함유된 각각의 YPD 액체배지를 이용하여 20℃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66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Yeast No. Ethanol-resistancea(OD660nm) (n=3)
16 18 20 22
Y183-2 1.64±0.10 1.06±0.08 0.03±0.01 0.02±0.01
Yaaa 0.53±0.10c 0.04±0.01 0.02±0.01 0.02±0.01
상기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균주 Y183-2는 16% 에탄올 농도의 배지에서는 생육이 매우 양호하였으며, 18% 에탄올 함유 배지에서도 생육이 어느 정도 양호하였으며, 20% 에탄올 함유 배지부터 생육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일반적으로 일정 알코올 농도에서는 효모의 생육이 저해되어 더 이상 에탄올 발효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농도의 에탄올 생산을 위하여 주조시 이용되는 효모는 에탄올 내성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통상적인 에탄올 내성의 평가시 에탄올 함량을 5%, 10%, 15%로 평가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균주는 16% 및 18% 에탄올 함유 배지에서 생육이 가능하여 약주 등의 생산에 매우 유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자들이 동일한 기원으로부터 분리한 다른 효모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Y183-2 균주에 비해 내알코올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Yeast No. Sugar-resistanceb(OD660nm) (n=3)
20 25 30 35 40
Yaaa 1.66±0.41 0.66±0.08 0.73±0.04 0.83±0.11 0.72±0.27
Y183-2 1.78±0.30 0.69±0.12 0.35±0.09 0.90±0.06 0.75±0.06
주조에 이용되는 효모는 고농도의 당에서 충분히 생육을 하면서 알콜발효를 하여야 한다. 상기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균주 Y183-2는 40% 글루코스 함유 배지에서도 생육이 어느 정도 가능하였다.
<효모의 침강성 평가>
침강성은 PDB(Potato dextrose broth, Difco, Detroit Michigan, USA) 액체배지를 이용하여 25℃에서 48시간 진탕 배양한 후 원심 분리하여 각각을 A와 B로 나누어 처리를 달리하였다. A는 pellet에 증류수와 0.5M EDTA solution을 넣고 현탁하였다. B는 pellet에 CaSO4 solution을 첨가하여 현탁한 후, 다시 원심분리를 하여 pellet에 CaSO4 buffer solution을 첨가하여 현탁하여 6분 동안 정치하였다. 각각을 10배로 희석하여 60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Flocculence, %= (A-B) X 100/A).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침강성이 약 80% 이상일 경우 very flocculent yeast로 분류하며, 약 20-60%일 경우 moderately flocculent yeast로, 20% 미만일 경우 non-flocculent yeast로 분류한다.
Yeast No. Flocculence(%)
Yaaa 23.40
Y183-2 20.14
상기 표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균주 Y183-2는 침강성이 약 20% 정도이었다. 즉, 상기 Y183-2 균주는 침강성이 낮아 nonfluocculent yeast에 속하며 막걸리 타입의 술에 적용하면 현탁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효모 이용 약주의 이화학적 특성>
Y183-2 균주를 이용하여,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한 약주의 이화학적 특성을 아래아 같이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단위 mg/ml, n=3)에 나타내었다.
알코올 함량은 시료를 0.45㎛ 필터로 여과하여 GC로 분석하였다. 칼럼은 DB-ALC2(30mx 0.53 mm I.d x 2 μm film thickness)를 사용하였고 Oven 70℃ isothermal, Inlet 200℃, Detector FID 250℃ 그리고 carrier gas로 helium을 사용하였으며 표준물질 농도와 peak area로부터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각각의 알코올함량을 산출하였다. 고형분 함량은 hand refractometer로 측정하여 °Bx로 표시하였고 pH는 pH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총산은 시료 10 mL에 phenolphthalein 지시약 2-3 방울을 가하여 표준 후탈산수소칼륨으로 표정한 0.1 N NaOH 용액으로 담녹색을 나타낼 때까지의 적정 mL수를 succinic acid로 나타내었고 아미노산은 시료 10 mL을 취해 phenolphthalein 지시약 2-3 방울을 가하여 중화한 후, 중성 formalin 용액 5 mL을 가하여 유리된 아미노산을 표준 후탈산수소칼륨으로 표정한 0.1 N NaOH 용액으로 담홍색을 나타낼 때까지 적정한 mL수를 glycine으로 나타내었다. 착색도는 시료를 4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흡광도/셀의 두께(mm)×10에 의해, 자외부흡수는 시료를 25배 희석하여 28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흡광도/셀의 두께(mm)×10×희석배수에 의해 산출하였으며, 환원당은 Dinitrosalicylic acid Method에 따라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물질 글루코스를 농도별로 제조하여 정량하였다.
유리당은 시료 1 mL을 0.45 ㎛ 필터로 여과하여 Aminex HPX-87C(300 mm×7.8 mm, Bio-rad, CA, USA) 칼럼을 사용하였고 이동상 흐름속도 0.6 mL/min, column oven 온도 60℃, injection volume 10㎕, RI(Refractive Index) 검출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유기산은 시료 1 mL을 0.45 ㎛ 필터로 여과하여 Aminex HPX-87H(300 mm×7.8 mm, Bio-rad, CA, USA) 칼럼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 흐름속도 0.6 mL/min, column oven 온도 35℃ injection volume 10㎕, UV 210㎚에서 분석하였다. 기기는 HPLC를 사용하였다.
Yeast No. Alcohol (%) pH Total acid Amino acid °Bx Coloring degree UV absorbance Red
ucing sugar
Yaaa 17.2
±0.28
3.86
±0.12
0.31
±0.10
0.35
±0.01
11.6
±0.10
0.16
±0.01
2.46
±0.08
15.94
±0.05
Y183-2 13.5
±0.21
3.64
±0.10
0.44
±0.02
0.33
±0.05
13.2
±0.05
0.17
±0.01
2.17
±0.44
26.98
±0.32
상기 표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균주는 고형분과 환원당의 함량이 높아 단맛이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Y183-2 균주를 이용하여,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한 약주의 유기산 및 유리 당(free sugar) 함량을 하기 표 5(단위 mg/ml, n=3)에 나타내었다.
Yeast No. Citric Malic Succinic Lactic Acetic Pyroglutamic Maltose Glucose Fructose
Yaaa 0.02
±0.00
0.06
±0.01
0.74
±0.12
3.89
±0.16
0.14
±0.02
0.01
±0.00
2.14
±0.10
10.11
±0.52
0.48
±0.02
Y183-2 0.03
±0.00
0.23
±0.10
0.62
±0.08
6.55
±0.32
0.40
±0.20
0.02
±0.00
3.29
±0.24
19.71
±1.16
N.D.
(N.D.: No Detection)
상기 표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균주는 젖산(Lactic acid)의 함량이 높아 장내 유해세균 발육을 억제하여 장기능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효모 이용 약주의 휘발성 향기성분 평가>
Y183-2 균주를 이용하여,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한 약주의 휘발성 화합물(향기성분)을 아래와 같이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및 표 7(단위 피크 면적 %; a) Retention indices were determined using C10-C25 as external reference; b) Average of relative percentage of total peak area; N.D. No Detection)에 나타내었다.
발효액 20 mL를 60℃로 20분 동안 평형시킨 후 40분 동안 100 ㎛ polydimethylsiloxane fiber에 포집하여 SPME(Solid Phase Microextraction)를 이용하여 GC에 1분 동안 주입하였다. 휘발성 화합물 분석은 Hewlett Packard 7890A GC/ Hewlett Packard 5975C mass selective detector (MSD)를 사용하였다. 칼럼은 Stabilwax-DA(30 m length x 0.25 mm I.d x 0.25 μm film thickness)를 사용하였고 Oven 온도는 50℃에서 5분간 유지한 후 200℃까지 3℃/분의 속도로 승온시켰으며 Injector 250℃ carrier gas는 helium을 사용하였고 flow rate는 2 mL/min 조건이었다. MSD 조건은 capillary direct interface temperature 250℃, ion source temperature 230℃, EI ionization voltage 70 eV, mass range 45-550 a.m.u, 그리고 scan rate 2.2 scan/sec였고 휘발성 화합물 동정은 retention indices(RI), mass spectra와 aroma properties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표 6 및 7의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균주 Y183-2로 제조된 약주는 휘발성 화합물로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아밀 아세테이트, 에틸 카프로에이트, 페닐에틸 알코올, 에틸 카프릴레이트, 도데카노익 산 에틸 에스터, 테트라데카노익산 에틸 에스터 등이 생성되었으며, 특히 상대적으로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아밀 아세테이트, 에틸 카프로에이트, 페닐에틸 알코올 등이 비교 균주인 Yaaa 대비 상대적으로 다량 생성되었고 benzaldehyde와 같은 두통을 일으키는 알데히드는 검출되지 않았다.
참고로 에틸 카프릴레이트는 살구, 바나나, 파인애플과 같은 과일 향을 내며, 이소아밀 아세테이트는 가벼운 과일 향으로 top note에 성숙감과 둥근 모양을 나타내는 특성이 있으며, 에틸 카프로에이트는 청주의 향기 성분으로 알려진 강하고 보급력이 있는 fruity-winey odor이며, 데카노익 산 에틸 에스터(에틸 카프레이트)는 oily-brandy like odor 특성이 있고, 이소아밀 알코올은 단(sweet) 바나나 향기를 부여하여 향기와 맛에 큰 영향을 미치며, 테트라데카노익 산 에틸 에스터는 부드러운 바디감을 줄뿐만 아니라, Orris 뿌리 또는 제비꽃과 유사한 와인 같은 부드럽고, oily한 맛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능 검사>
야생 효모를 이용한 약주를 시료로 사용하였다. 9점 척도(1점: 대단히 싫다, 5점: 좋지도 싫지도 않다, 9점: 대단히 좋다)에 의해 향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평가하였고 시료는 상온에서 난수표로 표기되어 유리컵에 제시되었으며 무작위로 제시된 시료에 대해 평가하였다. 검사원은 20-40대, 60명(여성40명, 남성20명)으로 구성되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Yakju 향기호도**** 전반적 기호도****
Yaaa 5.22f 4.61hi
Y183-2 5.94abc 6.41a
상기 표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균주로 제조된 약주는 향기호도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183-2 균주로 제조된 약주의 경우 여과공정을 거친 생주를 4℃에서 1개월 숙성 시 부드러운 감촉이 느껴질 뿐만 아니라, 독특하고 향긋한 향과 효모에서 느껴지는 풍부한 바디감(호가든 맥주와 유사한 느낌)을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우수한 향과 맛을 가진 발효주의 제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호가든 맥주의 경우 말린 오렌지껍질, 특정 향신료 등을 첨가하여 독특한 맛을 내는 맥주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효모 균주는 발효와 숙성 과정 자체로 위와 같은 우수한 향과 맛을 낼 수 있어 발효주의 제조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Y183-2 균주의 동정>
미생물 동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DNA 추출(99℃, 10min) 후 ITS1(5'-TCCGTAGGTGAACCTGCGG-3'), ITS4(5'-TCCTCCGCTTATTGATATGC-3')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 하였다. 증폭된 DNA를 정제 후, ABI PRISMBigDyeTM Terminator Cycle Sequencing Kit를 사용하고, PCR과 동일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18S rRNA 염기서열을 시퀀싱(ABI PRISM3730XL DNA Analyzer,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하였다. 분석된 염기서열을 BLAST(http://www.ncbi.nlm.nih.gov)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분석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균주 Y183-2는 Saccharomyces cerevisiae (isolate NN691 18S ribosomal RNA gene, partial sequence)와 18S rRNA 서열이 92%의 상동성을 나타내어, 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또 NCBI 등록된 Saccharomyces cerevisiae들과 균주 Y183-2와 염기서열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균주가 새롭게 동정된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그 염기서열 비교분석 결과를 도 1(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었으며(도 1에서 1은 Saccharomyces cerevisiae partial 18S rRNA gene, ITS1, 5.8S rRNA gene, ITS2 and partial 26S rRNA gene, type strain CBS4054이며, 2는 Saccharomyces cerevisiae isolate NN691 18S ribosomal RNA gene, partial sequenc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1, 5.8S ribosomal RNA gene,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 complete sequence; and 26S ribosomal RNA gene, partial sequence이고, 11은 Saccharomyces cerevisiae partial ITS1, 5.8S rRNA gene and partial ITS2, strain ITEM10466임), Y183-2 균주의 18S rRNA 서열을 서열번호 1에 나타내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1812BP 20101124
<110>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120> Brewing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183-2 and brewed alcohol made therewith <130> P10-292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148 <212> DNA <213> 18S rRNA of Saccharomyces cerevisiae 183-2 (KCTC11812BP) <400> 1 gcgcccnttt ngggcgggcn ncgcgggggg gctctcccct ctnnnngnnn cgtcccnnag 60 aaagagatct cnnnctttnn ncaaaacaaa aaaaaaaacc ctcttcttaa aaaannaaaa 120 aangnnntnn ntttctctct cctccccccc nngnntaagn nntcagcggg actcctacnt 180 gatttgagat caaactttaa gaacattggt cgcctagacg ctctcttctt atcggataac 240 ggttccaata cgctcaggat aaaaaagagt taaccgcagg tgggaaaacc caaaacgagc 300 ctgtacttgc atctataccc caagcacgca aaaaaacctc tctttggaaa aaaaaacatc 360 ccaatgaaaa ggccagcaat ttcaagttaa ctccaaagag tatcacttca ctaccaaaca 420 gaatgtttga aaaggaaaag acgctcaaac aggccatgcc ccccggaata ccaaggggcg 480 ccaaggggcg ttcaaagatt cggaggattc acggaattct cgcaaatcca cataacgtat 540 cgcatttcgc tgcgttcttc atcggaggcg agaaccaaga gatccggtgg tgaaagtttt 600 taatatttta aaatttccag gttacgaaaa ttcttgtttt tgacaaaaat ttaaaggaat 660 aaataaaatt ggttggggtt gttacctctg ggccccgatt gctcggaatg cccaaagaaa 720 aaggtgcaaa gataagaaaa cttccacagg gggtggtatt gaaacggttt taattgtcct 780 ataacaaaag cacagaaatc tctcaccgtt tggaaaagca agaaagaaaa ttacaagcct 840 agcaagaccg cgccacttaa gcgcaggccc ggctggactc tccatctctt gtcttcttgc 900 ccaggaaaag ctctcatgct ctctgccaaa acaaaaaaaa tccatttcca aatactntan 960 ntnnnngccg aaaatttctt tatgatcctc cgcccccccc cccccacgag agagagaaaa 1020 aannnataan gnttttttta aatttttana gaaggggggt tttttgtttt tttnnaaaaa 1080 aaaaaaaact ttttttgggg gggagagacc ccccnagggg gggtgtcccc cggggggcgc 1140 ccacaaaa 1148

Claims (3)

  1.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183-2 (KCTC11812BP).
  2.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183-2 (KCTC11812BP)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주.
  3.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183-2 (KCTC11812BP)를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주의 제조 방법.
KR1020100119684A 2010-11-29 2010-11-29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183-2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 KR101166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684A KR101166489B1 (ko) 2010-11-29 2010-11-29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183-2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684A KR101166489B1 (ko) 2010-11-29 2010-11-29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183-2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064A true KR20120058064A (ko) 2012-06-07
KR101166489B1 KR101166489B1 (ko) 2012-07-19

Family

ID=4660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684A KR101166489B1 (ko) 2010-11-29 2010-11-29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183-2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48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375A1 (ko) * 2015-10-16 2017-04-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애 y204의 고체종균 제조방법
WO2017065376A1 (ko) * 2015-10-16 2017-04-20 대한민국 농촌진흥청장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애 y283의 고체종균 제조방법
KR20190000970A (ko) * 2017-06-23 2019-01-04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향기성분 고생산성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맥주의 제조 방법
KR102529249B1 (ko) * 2022-10-21 2023-05-12 주식회사 바이오크래프트 향미관련 관능성이 우수한 고에스터 함유 수제 맥주 제조에 활용 가능한 신규한 토종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bc-2500
KR102529250B1 (ko) * 2022-10-21 2023-05-12 주식회사 바이오크래프트 향미관련 관능성이 우수한 고에스터 함유 수제 맥주 제조에 활용 가능한 신규한 토종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bc-4500
KR102529251B1 (ko) * 2022-10-21 2023-05-12 주식회사 바이오크래프트 향미관련 관능성이 우수한 고에스터 함유 수제 맥주 제조에 활용 가능한 신규한 토종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bc-4900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434B1 (ko) * 2012-12-18 2015-03-02 하이트진로 주식회사 향기성분 고생산성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jy230 효모 및 이를 이용한 주류의 제조 방법
KR101480308B1 (ko) 2013-04-03 2015-01-08 한국식품연구원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192-4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80772D1 (en) 1982-03-15 1989-11-30 Suntory Ltd Novel killer yeast,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application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375A1 (ko) * 2015-10-16 2017-04-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애 y204의 고체종균 제조방법
WO2017065376A1 (ko) * 2015-10-16 2017-04-20 대한민국 농촌진흥청장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애 y283의 고체종균 제조방법
KR20190000970A (ko) * 2017-06-23 2019-01-04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향기성분 고생산성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맥주의 제조 방법
KR102529249B1 (ko) * 2022-10-21 2023-05-12 주식회사 바이오크래프트 향미관련 관능성이 우수한 고에스터 함유 수제 맥주 제조에 활용 가능한 신규한 토종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bc-2500
KR102529250B1 (ko) * 2022-10-21 2023-05-12 주식회사 바이오크래프트 향미관련 관능성이 우수한 고에스터 함유 수제 맥주 제조에 활용 가능한 신규한 토종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bc-4500
KR102529251B1 (ko) * 2022-10-21 2023-05-12 주식회사 바이오크래프트 향미관련 관능성이 우수한 고에스터 함유 수제 맥주 제조에 활용 가능한 신규한 토종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bc-49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489B1 (ko)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489B1 (ko)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183-2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
CN109097291B (zh) 一种复合发酵组剂及其在酿制赤霞珠干化酒中的应用
KR101959128B1 (ko) 향기성분 고생산성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맥주의 제조 방법
KR101788295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jh287과 사카로마이시스 세레비시아의 순차적 접종에 따른 와인의 제조방법
CN101889073A (zh) 蒸馏酒的制造方法
KR20150052555A (ko)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88-4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미 우수 증류주
KR102267347B1 (ko) 아세토박터 파스테우리아누스 b7 초산균 및 상기 초산균을 이용한 꾸지뽕 발효식초 제조방법
Nova et al. Yeast species involved in artisanal cachaça fermentation in three stills with different technological levels in Pernambuco, Brazil
KR101199544B1 (ko)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89-5-3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
KR20170142648A (ko) 저온 적응성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y297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주
KR101199545B1 (ko)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90-1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
KR101421528B1 (ko) 피치아 아노말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
KR101137833B1 (ko) 초미세 사과를 이용한 고품질 사과식초 및 그 제조방법
Alfonzo et al. Diversity of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s associated to racemes of Grillo grape variety
KR101480308B1 (ko)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192-4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
KR20160060434A (ko) 향미증진 양조용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
KR20230017994A (ko)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m-1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
US20230212488A1 (en) Saccharomyces Uvarum Strain Conductive To Low Production Of Higher Alcohols And Strong Degradation Of Malic Acid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480305B1 (ko) 발효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98-5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
KR20220076925A (ko) 신규한 피키아 쿠드리아브제비 n373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20076923A (ko) 신규한 한세니아스포라 비니애 g818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350796B1 (ko) 생균제제 특성을 갖는 카자크스타니아 엑시구아 ccsy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막걸리 제조
KR20220076924A (ko) 신규한 위커하모마이세스 아노말루스 a159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251303B1 (ko) 오디 발효물 내 루틴 함량을 증가시키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rcm10175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73599B1 (ko) 신규한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 s6-1 및 그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