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138A - 석재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석재패널을 이용한 내장재 및 가구 - Google Patents

석재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석재패널을 이용한 내장재 및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138A
KR20120057138A KR1020100118741A KR20100118741A KR20120057138A KR 20120057138 A KR20120057138 A KR 20120057138A KR 1020100118741 A KR1020100118741 A KR 1020100118741A KR 20100118741 A KR20100118741 A KR 20100118741A KR 20120057138 A KR20120057138 A KR 20120057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late
heating element
planar heating
reinforc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호
한승훈
Original Assignee
한성호
한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호, 한승훈 filed Critical 한성호
Priority to KR1020100118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7138A/ko
Publication of KR20120057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1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47B96/206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with laminates comprising planar, continuous or separate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oor Finish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상 발열체에 의한 발열이 가능하여 벽체, 칸막이, 바닥재, 이미지패널 등의 각종 내장재는 물론 발판, 싱크대, 세면대, 의자, 책상, 테이블, 방문, 병풍 등의 각종 가구에 적용 가능한 석재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석재패널을 이용한 내장재 및 가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 1 석재판; 상기 제 1 석재판의 일면에 부착된 제 1 보강재; 상기 제 1 보강재의 외면에 부착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열을 발하는 면상 발열체를 포함하는 석재패널을 제공하고, (a) 제 1 두께(A, 단 0<A)의 제 1 석재모판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석재모판의 적어도 일면에 제 1 보강재를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제 1 석재모판을 두께방향에 수직으로 수평절단하여 제 2 두께(B, 단 0<B<A)의 제 1 석재판 및 상기 제 1 석재판의 일면에 부착된 상기 제 1 보강재를 얻는 단계; (d) 상기 제 1 보강층의 외면에 면상 발열체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석재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석재패널을 이용한 벽체, 칸막이, 바닥재, 이미지패널 중 하나의 내장재와 발판, 싱크대, 세면대, 의자, 책상, 테이블, 방문, 병풍 중 하나의 가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석재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석재패널을 이용한 내장재 및 가구{stone pannel and fabricating method the same, interior materials and funi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석재패널(stone pannel)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면상 발열체에 의한 발열이 가능하여 벽체, 칸막이, 바닥재, 이미지패널 등의 각종 내장재(interior materials)는 물론 발판, 싱크대, 세면대, 의자, 책상, 테이블, 방문, 병풍 등의 각종 가구(funiture)에 적용 가능한 석재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석재패널을 이용한 내장재 및 가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국민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축용 자재로서 친환경의 석재(石材, building stone)가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석재란 암석의 원재(原材) 또는 이의 가공으로 얻어진 재료를 총칭하는데,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재료이지만 자연스럽고 깊은 아름다움을 주고 어느 장소에나 잘 어울리면서도 오랜 시간이 싫증나지 않으며 그 종류가 다양한 동시에 각각으로부터 느껴지는 질감이 달라 선택의 폭이 넓은 장점을 지닌다.
일례로 전통의 내외장재인 대리석은 물론 요사이 들어서는 화강암류, 사문암류, 안산암류, 응회암류와 더불어 섬록암, 반려암, 점판암 등 이미 많은 종류의 석재가 건축용 내외장재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벽면이나 바닥 등의 평면을 석재로 치장하던 기존의 활용방법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목재, 금속, 도기, 합성수지 등이 주로 사용되어 오던 각종 내장재나 가구 등에 석재를 접목시키려는 시도가 뒤따르고 있다.
하지만 석재는 무게가 무겁고 잘 부서지는 등 가공 상의 난제로 인해 대량생산이 어렵고, 특히 일정두께 이하의 얇은 판 형태를 얻기가 어려워서 장재(長材) 내지는 광폭재(廣幅材)로 활용이 어려우며, 비록 해당 형태를 구현하더라도 충격에 의해 쉽게 부러지는 등 파손 가능성이 큰 문제점을 안고 있다.
더욱이 석재는 특유의 차가운 질감으로 인해 그 활용범위가 제한되고 있는 실정인바, 진일보한 석재 가공기술을 토대로 차가운 질감이라는 석재 고유의 단점을 극복하여 각종 내장재나 가구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일정두께의 얇은 판 형태를 나타내어 장재 내지는 광폭재로 활용 가능한 동시에 고유의 발열 기능을 통해 벽체, 칸막이, 바닥재, 이미지패널 등의 각종 내장재는 물론 발판, 싱크대, 세면대, 의자, 책상, 테이블, 방문, 병풍 등의 각종 가구에 적용 가능한 석재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석재패널을 이용한 각종 내장재 및 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석재판; 상기 제 1 석재판의 일면에 부착된 제 1 보강재; 상기 제 1 보강재의 외면에 부착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열을 발하는 면상 발열체를 포함하는 석재패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면상 발열체의 외면에 부착된 제 2 보강재; 상기 제 2 보강층의 외면에 부착된 제 2 석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면상 발열체와 상기 제 2 보강재 사이로 개재된 고 반사율의 반사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면상 발열체의 외면에 부착된 목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면상 발열체와 상기 목재판 사이로 개재된 고 반사율의 반사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a) 제 1 두께(A, 단 0<A)의 제 1 석재모판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석재모판의 적어도 일면에 제 1 보강재를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제 1 석재모판을 두께방향에 수직으로 수평절단하여 제 2 두께(B, 단 0<B<A)의 제 1 석재판 및 상기 제 1 석재판의 일면에 부착된 상기 제 1 보강재를 얻는 단계; (d) 상기 제 1 보강층의 외면에 면상 발열체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석재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a') 제 3 두께(C, 단 0<C))의 제 2 석재모판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 2 석재모판의 적어도 일면에 제 2 보강재를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제 2 석재모판을 두께방향에 수직으로 수평절단하여 제 4 두께(D, 단 0<D<C)의 제 2 석재판 및 상기 제 2 석재판 일면에 부착된 제 2 보강재를 얻는 단계; 상기 (d) 단계 후 (d') 상기 제 2 보강재가 상기 면상 발열체를 향하도록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c') 단계 후 상기 (d') 단계 전, (c'-1) 상기 면상 발열체의 외면에 고 반사율의 반사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2 보강재는 상기 반사시트의 외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d) 단계 후, (e) 목재판을 준비해서 상기 면상 발열체를 향하도록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d) 단계 후 상기 (e) 단계 전, (d-1) 상기 면상 발열체의 외면에 고 반사율의 반사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목재판은 상기 반사시트의 외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석재패널을 이용한 가구로서, 상기 석재패널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제 1 베이스틀; 상기 제 1 베이스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제 1 석재판의 외면이 상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발판 또는 의자 중 하나의 가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석재패널을 이용한 가구로서, 상기 석재패널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제 2 베이스틀; 상기 석재패널의 가장자리를 둘러 수직으로 지지하는 제 2 베이스틀을 포함하는 칸막이 또는 병풍 중 하나의 가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석재패널을 이용한 내장재로서, 상기 제 1 석재판이 외부로 노출되는 벽체, 칸막이, 바닥재, 이미지패널 중 하나의 내장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석재패널을 이용한 가구로서, 상기 제 1 석재판이 외부로 노출되는 싱크대, 세면대, 책상, 테이블, 방문 중 하나의 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재패널은 고유의 발열기능을 통해 차가운 질감이라는 석재 고유의 단점을 극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석재패널의 제조방법은 석재판의 파손 없이 일정두께의 얇은 판 형태를 구현할 수 있어 장재 내지는 광폭재로 활용될 수 있다.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석재패널은 벽체, 칸막이, 바닥재, 이미지패널 등의 각종 내장재는 물론 발판, 싱크대, 세면대, 의자, 책상, 테이블, 방문, 병풍 등의 각종 가구에 적용 가능하여 보온, 건조, 살균, 원적외선 방출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 선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IV-IV 선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VI-VI 선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VIII-VIII 선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X-X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패널의 제조공정에 대한 순서도.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패널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활용예에 따른 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활용예에 따른 가구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석재패널은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몇 가지 실시예로 구분 가능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각각을 구분해서 살펴보며, 편의상 공통된 내용은 제 1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는 대신 그 밖의 실시예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은 일정두께의 제 1 석재판(10), 제 1 석재판(10)의 일면에 부착된 일정두께의 제 1 보강재(20), 제 1 보강재(20)의 일면에 부착된 면상 발열체(30)를 포함한다.
각각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석재판(10)은 화강암류, 사문암류, 안상암류, 응회암류를 비롯한 대리석, 섬록암, 반려암, 점판암 등 사실상 모든 종류의 천연석재 또는 인공석재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는 2~40mm를 나타낸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제 1 보강재(20)가 부착되는 제 1 석재판(10)의 일면은 해당재질 고유의 질감을 나타내거나 다소 거칠게 연마되어 접착제 등을 매개로 제 1 보강재(20)와 한층 더 긴밀한 접착을 도모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반대편의 타면은 목적에 따라 해당재질 고유의 질감을 나타내거나 거칠게 또는 매끄럽게 연마되거나 인위적 또는 자연적인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보강재(20)는 석고보드, 마그네슘 보드, 하니컴 보드 등 기성의 단열재 또는 내장재나 강화스티로폼, 폴리우레탄 등 발포합성수지나 목재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그 두께는 2~100mm를 나타낸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1 보강재(20)는 습기에 변형이 적은 난연성 재질이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제 1 석재판(10)을 해당 두께로 가공할 때 모재(母材)인 석재모판에 선(先) 접착되어 가공 중에 부러지지 않도록 강도를 발휘하는 한편 후술하는 면상 발열체(30)의 발열에 대해 난연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면상 발열체(30)는 외부의 전력으로 열을 발하는 시트류로서 금속박판, 금속산화물, 세라믹스, 카본블랙, 탄소섬유 중 적어도 하나의 발열체가 합성수지 필름에 라미네이팅 된 형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면상 발열체(30)의 일측으로부터는 전선(32)이 연장되어 그 말단에 전력공급을 위한 플러그(34)가 존재하고, 전선(32)의 적절한 위치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력공급량을 조절하여 면상 발열체(30)의 발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러(36)가 구비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면상 발열체(30)는 카본블랙을 발열체로 하는 이른바 '필름히터' 내지는 탄소섬유를 발열체로 하는 이른바 '카본면상발열체'가 사용된다. 참고로 필름히터는 합성수지의 베이스필름에 탄소분말을 라인 형태로 도포한 후 금속전극을 병렬 연결하여 합성수지의 커버필름으로 라미네이팅 한 형태를 나타내고, 카본면상발열체는 카본분말이 함유된 실을 망사형태로 직조해서 합성수지의 베이스필름 위에 놓고 금속전극을 연결한 후 합성수지의 커버필름으로 라미네이팅 한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면상 발열체(30)의 금속전극에 전력을 인가하면 각각 고온을 발한다. 한편, 필름히터나 카본면상발열체 등은 해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통상의 기술명칭이므로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은 장재 또는 광폭재로 활용 가능한 대면적의 판 형상을 나타내는 동시에 외부의 전력을 이용하여 발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IV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은 일정두께의 제 1 석재판(10), 제 1 석재판(10)의 일면에 부착된 일정두께의 제 1 보강재(20), 제 1 보강재(20)의 일면에 부착된 면상 발열체(30), 면상 발열체(30)의 일면에 부착된 제 2 보강재(40), 제 2 보강재(40)의 일면에 부착된 제 2 석재판(50)을 포함한다.
이때, 제 2 석재판(50)은 제 1 석재판(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 2 보강재(40)는 제 1 보강재(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은 제 1 석재판(10) 및 이의 일면에 부착된 제 1 보강재(20)로 이루어진 제 1 패널과 제 2 석재판(50) 및 이의 일면에 부착된 제 2 보강재(40)로 이루어진 제 2 패널의 사이에 면상 발열체(30)를 개재해서 제 1 및 제 2 보강재(20,40)가 서로 마주보도록 부착한 형태를 나타낸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은 장재 또는 광폭재로 활용 가능한 대면적의 판 형상을 나타내는 동시에 외부의 전력을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석재판(10,50)의 외면, 다시 말해 양면으로 발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VI-VI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변형예에 따른 석재패널은 일정두께의 제 1 석재판(10), 제 1 석재판(10)의 일면에 부착된 일정두께의 제 1 보강재(20), 제 1 보강재(20)의 일면에 부착된 면상 발열체(30), 면상 발열체(30)의 일면에 부착된 고 반사율의 반사시트(35), 반사시트(35)의 일면에 부착된 제 2 보강재(40), 제 2 보강재(40)의 일면에 부착된 제 2 석재판(50)을 포함한다.
이때, 반사시트(35)는 백색 또는 은색의 고 반사율 절연시트로서 바람직하게는 2mm 이하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이 사용되고, 면상 발열체(30)에서 발생된 열을 제 1 석재판(10) 방향으로 반사 및 집열하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본 변형예에 따른 석재패널은 장재 또는 광폭재로 활용 가능한 대면적의 판 형상을 나타내는 동시에 외부의 전력을 이용하여 제 1 석재판(10) 방향, 다시 말해 한면으로 집중적인 발열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VIII-VIII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은 일정두께의 제 1 석재판(10), 제 1 석재판(10)의 일면에 부착된 일정두께의 제 1 보강재(20), 제 1 보강재(20)의 일면에 부착된 면상 발열체(30), 면상 발열체(30)의 일면에 부착된 목재판(60)을 포함한다.
이때, 목재판(60)은 단일재질의 목재패널, 이종(異種) 또는 동종(同種) 목재의 합판,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또는 중밀도섬유판), PB(Particle Board) 등 사실상 모든 종류가 사용 가능하고, 그 두께는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은 장재 또는 광폭재로 활용 가능한 대면적의 판 형상을 나타내는 동시에 외부의 전력을 이용하여 발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X-X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변형예에 따른 석재패널은 일정두께의 제 1 석재판(10), 제 1 석재판(10)의 일면에 부착된 일정두께의 제 1 보강재(20), 제 1 보강재(20)의 일면에 부착된 면상 발열체(30), 면상 발열체(30)의 일면에 부착된 고 반사율의 반사시트(35), 반사시트(35)의 일면에 부착된 목재판(60)을 포함한다.
이때, 반사시트(35)는 앞서 살펴본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그 결과 본 변형예에 따른 석재패널은 외부의 전력을 이용하여 제 1 석재판(10) 방향, 다시 말해 한면으로 집중적인 발열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석재패널의 제조방법을 살펴본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의 제조방법을 살펴보지만, 해당 내용을 토대로 그 밖의 실시예와 변형예는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7는 공정 모식도이다.
먼저, 도 12와 같이 석재모판(12)을 준비한다.(st1) 여기서, 석재모판(12)은 제 1 석재판(도 1 내지 도 10의 10참조, 이하 동일하다)의 모재(母材)로서 운반 등의 과정 중에 파손되지 않도록 그 두께는 제 1 석재판(10) 보다 큰 40mm 초과이다.
다음으로, 도 13과 같이 석재모판(12)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제 1 보강재(20)를 부착한다.(st2)
다음으로, 도 14와 같이 석재모판(12)을 두께방향에 수직으로 수평절단하여 둘 이상의 슬라이스로 분리시킨다.(st3) 이때, 분리된 슬라이스는 제 1 석재판(10)이 되는데, 흔히 석재의 절단에는 그라인더와 같이 진동을 수반하는 전용의 커터가 사용되므로 제 1 석재판(10)이 자칫 부러질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석재모판(12)의 적어도 일면에 이미 제 1 보강재(20)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해당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흔히 석재의 절단은 분진억제와 마찰열 감소 등을 위해 물을 뿌리며 진행되는데, 본 발명에서 제 1 보강재(20)는 습기에 변형이 적은 난연성을 나타내므로 별다른 변형이 없거나 건조 후 원 상태로 복구된다.
이로써 도 15와 같이 제 1 석재판(10) 및 이의 일면에 부착된 제 1 보강재(20)가 얻어진다. 이때, 앞서 도 13에서 석재모판(12)의 일면에 제 1 보강재(20)를 부착한 경우에는 수평절단 후 제 1 석재판(10) 및 이의 일면에 부착된 제 1 보강재(20)가 1 세트가 얻어지고, 석재모판(12)의 양면에 제 1 보강재(20)를 부착한 경우에는 수평절단 후 제 1 석재판(10) 및 이의 일면에 부착된 제 1 보강재(20)가 2 세트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도 16과 같이 제 1 보강재(20)의 외면에 면상 발열체(30)를 부착한다.(st4) 이를 위해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이 완성된다.
마지막으로, 도 17과 같이 제 2 석재판(50) 및 이의 일면에 부착된 제 2 보강재(40)를 별도로 준비한 후 제 2 보강재(40)가 면상 발열체(30)를 향하도록 부착한다.(st5,st6) 이를 위해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제 2 석재판(50) 및 이의 일면에 부착된 제 2 보강재(40)는 앞서 살펴본 st1 내지 st3의 과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제 2 실시예에 따른 석재패널이 완성된다.
참고로, st4 단계 후 st5 단계 전 필요하다면 면상 발열체(30)와 제 2 보강재(40) 사이로 고 반사율의 반사시트(도 5의 35 참조, 이하 동일하다.)를 개재할 수 있고, 이는 결국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해당된다. 또한, 제 2 석재판(50) 및 이의 일면에 부착된 제 2 보강재(40)를 대신해서 면상 발열체(30)의 외면에 목재판(도 7 내지 도 10의 60 참조, 이하 동일하다.)을 부착할 수 있고, 이는 결국 제 3 실시예에 해당된다. 아울러, 목재판(60)을 부착하기 전 면상 발열체(30)와 목재판(60) 사이로 고 반사율의 반사시트(도 9의 35 참조, 이하 동일하다.)를 개재할 수 있고, 이는 결국 제 3 실시예의 변형예에 해당된다.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석재패널은 벽체, 칸막이, 바닥재, 이미지패널 등의 각종 내장재는 물론 발판, 싱크대, 세면대, 의자, 책상, 테이블, 방문, 병풍 등의 각종 가구에 적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그 몇 가지 예를 살펴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활용예에 따른 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활용예에 따른 가구는 의자 내지는 발판으로 활용 가능한 형태로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 제 2 실시예의 변형예, 제 3 실시예의 변형예 중 하나의 제 1 석재판(10)이 상향하도록 그 가장자리를 두르는 제 1 베이스틀(102), 제 1 베이스틀(102)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복수의 다리(104)를 포함하고, 제 1 베이스틀(102)의 일측으로부터는 전선(32)을 비롯한 플러그(34)와 컨트롤러(36) 등이 연장된다. 그리고 제 1 베이스틀(102)은 목재, 금속, 합성수지 등 목적에 따라 다양한 재질이 사용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1 석재판(10)은 제 1, 3 실시예 중 하나 또는 제 3 실시예의 변형예의 그것일 수 있고, 제 3 실시예 또는 제 3 실시예의 변형예인 경우에 목재판(60)은 실질적으로 제 1 베이스틀(102)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활용예에 따른 가구는 의자로 활용될 수 있고, 복수의 다리(104)의 길이를 조절해서 제 1 석재판(10)을 비스듬하게 상향시킬 경우 앉은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는 발판 등으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플러그(34)를 연결한 후 컨트롤러(36)로 발열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면 의자 또는 발판의 기능은 물론 보온, 건조와 더불어 제 1 석재판(10)에 의한 원적외선 방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 활용예에 따른 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활용예에 따른 가구는 병풍 내지는 칸막이로 활용 가능한 형태로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 제 2 실시예의 변형예, 제 3 실시예의 변형예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석재판(10) 및/또는 제 2 석재판(5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그 가장자리를 둘러 수직으로 지지하는 제 2 베이스틀(202)을 포함하며, 제 2 베이스틀(202)의 일측으로부터는 전선(32)을 비롯한 플러그(34)와 컨트롤러(36) 등이 연장된다. 그리고 제 2 베이스틀(202)은 목재, 금속, 합성수지 등 목적에 따라 다양한 재질이 사용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 2 베이스틀(200)은 경첩(204) 등으로 둘 이상이 연결되어 서로 포개어지거나 펼쳐질 수 있고, 제 1 석재판(10) 및/또는 제 2 석재판(50) 중 적어도 하나에 옷 등을 걸 수 있는 걸쇠가 구비되면 젖은 옷을 말리기 위한 건조기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몇 가지 활용예는 본 발명에 따른 석재패널이 적용 가능한 일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석재패널은 각종 내장재를 비롯한 가구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별도의 도면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석재패널은 방, 거실, 샤워실 등의 내벽, 소위 파티션 또는 경량 칸막이라 불리는 칸막이, 바닥재의 일부 또는 전부, 이미지패널과 같은 내장재에 적용하면 보온, 건조, 원적외선 방출의 효과를 누릴 수 있고, 사용자를 향하는 싱크대의 도어를 비롯하여 세면대, 책상, 테이블의 상판이나 방문과 같은 가구에 적용하면 마찬가지로 보온, 건조, 원적외선 방출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석재패널의 활용 내지는 변형범위는 실로 무궁무진하다 할 수 있지만, 이들 활용 및 변형범위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주 내에 있다면 본 발명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인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다.
10 : 제 1 석재판 20 : 제 1 보강재
30 : 면상 발열체 32 : 전선
34 : 플러그 35 : 반사시트
36 : 컨트롤러 40 : 제 2 보강재
50 : 제 2 석재판

Claims (14)

  1. 제 1 석재판;
    상기 제 1 석재판의 일면에 부착된 제 1 보강재; 및
    상기 제 1 보강재의 외면에 부착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열을 발하는 면상 발열체를 포함하는 석재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의 외면에 부착된 제 2 보강재; 및
    상기 제 2 보강층의 외면에 부착된 제 2 석재판을 더 포함하는 석재패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와 상기 제 2 보강재 사이로 개재된 고 반사율의 반사시트를 더 포함하는 석재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의 외면에 부착된 목재판을 더 포함하는 석재패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와 상기 목재판 사이로 개재된 고 반사율의 반사시트를 더 포함하는 석재패널.
  6. (a) 제 1 두께(A, 단 0<A)의 제 1 석재모판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석재모판의 적어도 일면에 제 1 보강재를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제 1 석재모판을 두께방향에 수직으로 수평절단하여 제 2 두께(B, 단 0<B<A)의 제 1 석재판 및 상기 제 1 석재판의 일면에 부착된 상기 제 1 보강재를 얻는 단계; 및
    (d) 상기 제 1 보강층의 외면에 면상 발열체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석재패널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a') 제 3 두께(C, 단 0<C))의 제 2 석재모판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 2 석재모판의 적어도 일면에 제 2 보강재를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제 2 석재모판을 두께방향에 수직으로 수평절단하여 제 4 두께(D, 단 0<D<C)의 제 2 석재판 및 상기 제 2 석재판 일면에 부착된 제 2 보강재를 얻는 단계; 및
    상기 (d) 단계 후 (d') 상기 제 2 보강재가 상기 면상 발열체를 향하도록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석재패널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 상기 (d') 단계 전, (c'-1) 상기 면상 발열체의 외면에 고 반사율의 반사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 2 보강재는 상기 반사시트의 외면에 부착되는 석재패널 제조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후, (e) 목재판을 준비해서 상기 면상 발열체를 향하도록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석재패널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후 상기 (e) 단계 전, (d-1) 상기 면상 발열체의 외면에 고 반사율의 반사시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목재판은 상기 반사시트의 외면에 부착되는 석재패널 제조방법.
  11.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항에 기재된 석재패널을 이용한 가구로서,
    상기 석재패널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제 1 베이스틀; 및
    상기 제 1 베이스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제 1 석재판의 외면이 상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발판 또는 의자 중 하나의 가구.
  12.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항에 기재된 석재패널을 이용한 가구로서,
    상기 석재패널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제 2 베이스틀;
    상기 석재패널의 가장자리를 둘러 수직으로 지지하는 제 2 베이스틀을 포함하는 칸막이 또는 병풍 중 하나의 가구.
  13. 청구항 1항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항에 기재된 석재패널을 이용한 내장재로서,
    상기 제 1 석재판이 외부로 노출되는 벽체, 칸막이, 바닥재, 이미지패널 중 하나의 내장재.
  14.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항에 기재된 석재패널을 이용한 가구로서,
    상기 제 1 석재판이 외부로 노출되는 싱크대, 세면대, 책상, 테이블, 방문 중 하나의 가구.
KR1020100118741A 2010-11-26 2010-11-26 석재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석재패널을 이용한 내장재 및 가구 KR20120057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741A KR20120057138A (ko) 2010-11-26 2010-11-26 석재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석재패널을 이용한 내장재 및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741A KR20120057138A (ko) 2010-11-26 2010-11-26 석재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석재패널을 이용한 내장재 및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138A true KR20120057138A (ko) 2012-06-05

Family

ID=4660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741A KR20120057138A (ko) 2010-11-26 2010-11-26 석재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석재패널을 이용한 내장재 및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71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900Y1 (ko) * 2016-11-10 2017-07-07 한윤식 자연대류와 난방이 되는 조립식 돔 하우스
KR200493160Y1 (ko) * 2019-07-31 2021-02-05 임종섭 발열도금강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900Y1 (ko) * 2016-11-10 2017-07-07 한윤식 자연대류와 난방이 되는 조립식 돔 하우스
KR200493160Y1 (ko) * 2019-07-31 2021-02-05 임종섭 발열도금강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0389A1 (en) Laminate panels for flooring, wall and ceiling systems
CN102561654A (zh) 一种实木型地板
KR20120057138A (ko) 석재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석재패널을 이용한 내장재 및 가구
RU91727U1 (ru) Фасадная декоративна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ая панель
JP4176082B2 (ja) 電波吸収性能を有する木質系内装仕上げ材
KR101062634B1 (ko) 조립식 마루패널과 그 제조방법
CN207892162U (zh) 一种具有保温隔热性能的装饰板
JP2021059852A (ja) 建築用プラスチック板材の構造
CN206233508U (zh) 一种保温木地板
KR101168237B1 (ko) 싱크대용 상판 결합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CN207419907U (zh) 一种仿石纹的树脂装饰板
CN101509308A (zh) 建筑墙面地面电取暖和商用电加热器具通用电热线槽板
KR20070025922A (ko) 마그네슘 보드와 콜크를 이용한 바닥재
KR20090000380U (ko) 건축 내장재용 발열 보드
KR20100033844A (ko) 조립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6014129B (zh) 一种瓷质门扇
CN107938977A (zh) 一种具有保温隔热性能的装饰板
CN107795096A (zh) 一种实木型地板
KR100919374B1 (ko) 방음용 흡음패널의 제조방법
CN107175730A (zh) 一种原木实木拼板结构及其电发热原木实木拼板体
CN210459838U (zh) 一种新型建筑装饰墙板
JP2010265661A (ja)
KR100402533B1 (ko) 천공 pvc 시트를 이용한 바닥재
JP2008087451A (ja) 難燃性構造材
JPH02252855A (ja) クッション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