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586A -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합성방법 - Google Patents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합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586A
KR20120056586A KR1020100118199A KR20100118199A KR20120056586A KR 20120056586 A KR20120056586 A KR 20120056586A KR 1020100118199 A KR1020100118199 A KR 1020100118199A KR 20100118199 A KR20100118199 A KR 20100118199A KR 20120056586 A KR20120056586 A KR 20120056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dimethoxymethoxy
methylbut
enyl
stilb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6123B1 (ko
Inventor
이용록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00118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1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7/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7/1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actions increasing the number of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7/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7/68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9/00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9/205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polycyclic,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with unsaturation outside the rings
    • C07C39/21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polycyclic, containing only six-membered aromatic rings as cyclic parts with unsaturation outside the rings with at least one hydroxy group on a non-condens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76Benzo[c]pyr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효율좋고 간편한 합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적으로 발생하며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키리카닌A, 아라히핀-1, 트랜스-아라키딘-2, 트랜스-아라키딘-3 및 아라히핀-5와 같은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보다 뛰어난 효율로 간편하게 합성할 수 있는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합성방법{Synthesis method of compound having stilbene skeleton}
본 발명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효율좋고 간편한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땅콩은 전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고 경제적으로 영양적으로 중요한 농작물로 알려져 있다. 대략 50 종의 곰팡이속이 땅콩에 기생하며, 그 중 아스퍼질러스 플라버스(Aspergillus flavus) 및 아스퍼질러스 파라사이티커스(Aspergillus parasiticus)는 발암성 아플라톡신을 생산하므로 유해하면서도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땅콩 식물은 스틸벤-유도성 파이토알렉신류를 즉각적으로 생성하므로 이러한 곰팡이의 공격에 저항할 수 있다.
이러한 곰팡이에 대한 땅콩의 저항성 기전은 신규 곰팡이-저항성 땅콩 재배를 위해 중요하므로, 천연 파이토알렌신에 기초한 땅콩 저항성에 대한 연구는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곰팡이-저항성 물질로서 몇가지 유형의 스틸벤 유도체가 땅콩으로부터 분리되었다. 그 중, 레스베라트롤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므로 인간 건강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린코카퍼스 키리카무스(Lonchocarpus chiricanus)로부터 분리된 키리카닌A도 또한 클라도스포리움 쿠쿠머리뭄(Cladosporium cucumerinum)에 대한 항균활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스틸벤 골격을 지닌 폴리페놀류는 천연에서 폭넓게 발견되며 항미생물, 항말라리아, 항산화, 항백혈병, 항혈소판응집, 항암, 항-HIV, 단백질 티로신 카이나제 억제, 항염증, 항돌연변이, 항진균 및 간보호 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키리카닌A와 같은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효율 좋으면서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합성방법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키리카닌A, 아라히핀-1, 트랜스-아라키딘-2, 트랜스-아라키딘-3 및 아라히핀-5와 같은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효율좋게 합성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피노실빈 또는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을 출발물질로 이용하여 효율좋고 간편하게 상기와 같은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키리카닌A, 아라히핀-1, 트랜스-아라키딘-2, 트랜스-아라키딘-3 및 아라히핀-5와 같은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효율좋고 간편하게 합성할 수 있는 합성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피노실빈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3-메틸부트-2-에닐 또는 (E)-3-메틸부트-1-에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로는 키리카닌A 또는 아라히핀-1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출발물질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피노실빈은 하기 반응식 1-1과 같이, 3,5-디메톡시벤즈알데히드 (7)와 벤질 포스포네이트 (8) 간의 호너-워드워스-에몬스 반응(Horner-Wadsworth-Emmons Reaction) 후, 탈메틸화 반응을 통해 스틸벤 골격을 지닌 피노실빈을 합성할 수 있다:
[반응식 1-1]
Figure pat00003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키리카닌A는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NaH 존재 하에서 피노실빈(10)과 메톡시메틸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E)-3,5-디메톡시메톡시스틸벤(11)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E)-3,5-디메톡시메톡시스틸벤(11)과 n-부틸리튬 및 프레닐 브로마이드를 반응시켜 (E)-3,5-디메톡시메톡시-2-(3-메틸부트-2-에닐)스틸벤(12)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E)-3,5-디메톡시메톡시-2-(3-메틸부트-2-에닐)스틸벤(12)을 메탄올 존재 하에서 염산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4
또한, 상기 아라히핀-1은 하기 반응식 2-1과 같이, NaH 존재 하에서 피노실빈(10)과 메톡시메틸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E)-3,5-디메톡시메톡시스틸벤(11)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E)-3,5-디메톡시메톡시스틸벤(11)과 n-부틸리튬 및 이소발레알데히드를 반응시켜 (E)-3,5-디메톡시메톡시-2-(1-하이드록시-3-메틸부틸)스틸벤(13)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E)-3,5-디메톡시메톡시-2-(1-하이드록시-3-메틸부틸)스틸벤(13)을 POCl3와 반응시켜 (E)-3,5-디메톡시메톡시-2-{(E)-3-메틸부트-1-에닐)}스틸벤(14)을 합성하는 단계; 및 (E)-3,5-디메톡시메톡시-2-{(E)-3-메틸부트-1-에닐)}스틸벤(14)을 메탄올 존재 하에서 염산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1]
Figure pat00005
또한, 상기 아라히핀-1은 하기 반응식 2-2와 같이, NaH 존재 하에서 피노실빈(10)과 이소발레알데히드를 에틸렌디아민 디아세테이트 존재 하에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2]
Figure pat00006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7
[화학식 4]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4에서, R1은 3-메틸부트-2-에닐 또는 (E)-3-메틸부트-1-에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로는 트랜스-아라키딘-2 또는 트랜스-아라키딘-3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은 메톡시메틸에테르기를 갖는 벤즈알데히드(15)와 TIPS기를 갖는 벤질 포스포네이트(16) 간의 호너-워드워스-에몬스 반응(Horner-Wadsworth-Emmons Reaction)을 통해 합성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pat00009
또한, 상기 트랜스-아라키딘-2는 하기 반응식 4-1과 같이, 메톡시메틸에테르기를 갖는 벤즈알데히드(15)와 TIPS기를 갖는 벤질 포스포네이트(16) 간의 호너-워드워스-에몬스 반응(Horner-Wadsworth-Emmons Reaction)을 통해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7)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7)과 n-부틸리튬 및 프레닐 브로마이드를 반응시켜 (E)-3,5-디메톡시메톡시-2-(3-메틸부트-2-에닐)-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8)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E)-3,5-디메톡시메톡시-2-(3-메틸부트-2-에닐)-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8)을 메탄올 존재 하에서 염산으로 처리하여 (E)-3,5-디하이드록시-2-(3-메틸부트-2-에닐)-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9)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E)-3,5-디하이드록시-2-(3-메틸부트-2-에닐)-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9)을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BAF)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합성될 수 있다:
[반응식 4-1]
Figure pat00010
또한, 상기 트랜스-아라키딘-3은 하기 반응식 5와 같이 메톡시메틸에테르기를 갖는 벤즈알데히드(15)와 TIPS기를 갖는 벤질 포스포네이트(16) 간의 호너-워드워스-에몬스 반응(Horner-Wadsworth-Emmons Reaction)을 통해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7)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7)을 메탄올 존재 하에서 염산으로 처리하여 (E)-3,5-디하이드록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20)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E)-3,5-디하이드록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20)을 에틸렌디아민 디아세테이트(EDDA) 존재 하에서 이소발레알데히드와 반응시켜 (E)-3,5-디하이드록시-2-{(E)-3-메틸부트-1-에닐}-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21)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E)-3,5-디하이드록시-2-{(E)-3-메틸부트-1-에닐}-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21)을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BAF)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합성될 수 있다:
[반응식 5]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 5의 아라히핀-5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3]
Figure pat00012
[화학식 5]
Figure pat00013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라히핀-5는 하기 반응식 6과 같이, 메톡시메틸에테르기를 갖는 벤즈알데히드(15)와 TIPS기를 갖는 벤질 포스포네이트(16) 간의 호너-워드워스-에몬스 반응(Horner-Wadsworth-Emmons Reaction)을 통해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7)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7)을 메탄올 존재 하에서 염산으로 처리하여 (E)-3,5-디하이드록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20)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E)-3,5-디하이드록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20)을 에틸렌디아민 디아세테이트(EDDA) 존재 하에서 3-메틸-2-부테날과 반응시켜 (E)-2,2-디메틸-7[2-(4-트리이소프로필실라닐옥시페닐)비닐]-2H-크로멘-5-올(22)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E)-2,2-디메틸-7[2-(4-트리이소프로필실라닐옥시페닐)비닐]-2H-크로멘-5-올(22)을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BAF)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합성될 수 있다:
[반응식 6]
Figure pat00014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적으로 발생하며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키리카닌A, 아라히핀-1, 트랜스-아라키딘-2, 트랜스-아라키딘-3 및 아라히핀-5와 같은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보다 뛰어난 효율로 간편하게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적으로 발생하며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키리카닌A, 아라히핀-1, 트랜스-아라키딘-2, 트랜스-아라키딘-3 및 아라히핀-5와 같은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보다 뛰어난 효율로 간편하게 합성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모든 실험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수행되었다. 분석용 TLC를 측정하기 위하여 머크사의 형광지시약을 지닌 pre-coated silica gel plates (Art. 5554)를 사용하였다. 실리카겔 9385 (Merck)를 이용하여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1H NMR 및 13C NMR 분석은 용매 화학적 시프트로서 CDCl3, CD3OD 또는 아세톤-d6에서 Bruker Model ARX (300 및 75 MHz) 분광분석기를 통해 기록하였다. IR 분석은 Jasco FTIR 5300 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RMS 분석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을 통해 수행하였다.
<실시예 1> 키리카닌A 합성
1. ( E )-3,5-디메톡시메톡시스틸벤 (11) 합성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용해된 피노실빈 (10; 0.509g, 2.4mmol) 및 NaH (0.288 g, 12.0 mmol)을 포함한 용액에 메톡시메틸 클로라이드 (0.51 g, 6.3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물 (40mL)을 0℃에서 첨가하였다. 이러한 반응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 (3 x 30mL)로 추출하여 얻어진 유기 추출물을 포화 NH4Cl 용액 (30 mL), 물 (30 mL)로 세정하고, MgSO4로 건조시키며,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켰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20:1)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에서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오일상의 화합물 11 (0.591g, 82%)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7.41 (2H,d,J=7.2Hz), 7.26 (2H,dd,J=7.5,7.2Hz), 7.17 (1H,t,J=7.5Hz), 7.01 (1H,d,J=16.0Hz), 6.93 (1H,d,J=16.0Hz), 6.79 (2H,s), 6.57 (1H,s), 5.01 (4H,s), 3.41 (6H,s);
13C NMR (75MHz, CDCl3) δ 158.5, 139.5, 137.0, 129.3, 128.6, 128.3, 127.7, 126.5, 107.8, 104.2, 94.4, 56.0;
IR (neat) 2953, 2825, 1591, 1454, 1400, 1282, 1213, 1147, 1084, 1035, 962, 923, 841, 752 cm-1;
HRMS m/z(M+) calcd for C18H20O4: 300.1362. Found: 300.1364.
2. ( E )-3,5-디메틸메톡시메톡시-2-(3-메틸부트-2-에닐)스틸벤 (12) 합성
앞서 준비된 화합물 11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20mL)에 용해시킨 용액 (0.451g, 1.5mmol)에 n-BuLi (0.72 mL, 2.5 M in 헥산, 1.8 mmol)을 0℃에서 첨가하여 얻어진 용액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프레닐 브로마이드 (0.238g, 1.6mmol)를 0℃에서 몇방울 첨가한 후 실온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포화 NH4Cl 용액 (20mL)으로 퀀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 (3 x 30mL)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을 물 (30mL)로 세정하고 MgSO4으로 건조시키며,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켰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20:1)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에서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오일상의 화합물 12 (0.337g, 61%)를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7.49 (2H,d,J=7.2Hz), 7.34 (2H,dd,J=7.5,7.2Hz), 7.23 (1H,t,J=7.5Hz), 7.03 (2H,s), 6.94 (2H,s), 5.24 (4H,s), 5.21 (1H,t, J=7.2Hz), 3.50 (6H,s), 3.39 (2H,d,J=7.2Hz), 1.79(3H,s), 1.67(3H,s);
13C NMR (75MHz, CDCl3) δ 155.8, 137.3, 136.3, 131.1, 128.8, 128.6, 128.3, 127.5, 126.5, 122.7, 119.9, 106.2, 94.5, 56.0, 25.8, 22.8, 17.5;
IR (neat) 2912, 1600, 1576, 1438, 1394, 1316, 1211, 1153, 1102, 1048, 944, 750 cm-1;
HRMS m/z(M+) calcd for C23H28O4: 368.1988. Found:368.1990.
3. 키리카닌A (2) 합성
앞서 합성된 화합물 12를 메탄올 (5mL)에 용해시킨 용액 (0.184g, 0.5mmol)에 c-염산 (0.2mL)을 첨가하여 얻어진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포화 NaHCO3 용액 (30mL)으로 희석하고 EtOAc (3×30 mL)로 추출하였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오일 잔기를 남긴 후, 헥산/에틸아세테이트 (4:1)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에서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오일상의 화합물 2 (0.094g, 67%)를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7.46 (2H,d,J=7.2Hz), 7.34 (2H,t,J=7.2Hz), 7.24 (1H,t,J=7.2Hz), 6.99 (1H,d,J=16.5Hz), 6.91 (1H,d,J=16.5Hz), 6.57 (2H,s), 5.27 (1H,t,J=6.9Hz), 3.42 (2H,d,J=6.9Hz), 1.82 (3H,s), 1.76 (3H,s);
13C NMR (75MHz, CDCl3) δ 155.0, 137.2, 136.8, 135.6, 128.7, 128.6, 128.0, 127.6, 126.5, 121.3, 113,2, 106.5, 25.8, 22.5, 17.9;
IR (neat) 3412, 2973, 2925, 1611, 1584, 1445, 1352, 1264, 1158, 1051, 963, 826, 743 cm-1;
HRMS m/z(M+) calcd for C19H20O2: 280.1463. Found:280.1466.
[반응식 1]
Figure pat00015
<실시예 2> 아라히핀-1 합성
1. ( E )-3,5-디메톡시메톡시-2-(1-하이드록시-3-메틸부틸)스틸벤 (13) 합성
앞서 준비된 화합물 11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20mL)에 용해시킨 용액 (0.541g, 1.8mmol)에 n-BuLi (0.8 mL, 2.5 M in 헥산, 2.0 mmol)을 0℃에서 첨가하여 얻어진 용액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이소발레알데히드 (0.164g, 1.9mmol)를 0℃에서 몇방울 첨가한 후 실온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포화 NH4Cl 용액 (20mL)으로 퀀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 (3 x 30mL)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을 물 (30mL)로 세정하고 MgSO4으로 건조시키며,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4:1)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에서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오일상의 화합물 13 (0.494g, 71%)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7.49 (2H,d,J=7.2Hz), 7.34 (2H,t,J=7.2Hz), 7.24 (1H,t,J=7.2Hz), 7.01 (1H,d,J=16.2Hz), 7.07 (1H,d,J=16.2Hz), 6.97 (2H,s), 5.28-5.25 (1H,m), 5.26(3H,s), 3.50(6H,s), 1.93-1.84 (1H,m), 1.80-1.71 (1H,m), 1.67-1.58 (1H,m), 0.99 (3H,d,J=6.6Hz), 0.95 (3H,d,J=6.6Hz);
13C NMR (75MHz, CDCl3) δ 155.5, 137.5, 137.0, 129.0, 128.6, 128.2, 127.6, 126.5, 121.3, 106.3, 94.5, 66.3, 56.2, 47.0, 25.0, 23.2, 22.4;
IR (neat) 2953, 1603, 1576, 1448, 1215, 1152, 1100, 1042, 921, 751 cm-1;
HRMS m/z(M+) calcd for C23H30O5: 386.2093. Found: 386.2097.
2. ( E )-3,5-디메톡시메톡시-2-{( E )-3-메틸부트-1-에닐)}스틸벤 (14) 합성
앞서 합성된 화합물 13 (0.425 g, 1.1 mmol)을 피리딘 (10 mL)에 용해시킨 반응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POCl3 (0.506g, 3.3mmol)을 몇방울 적가하였다. 얻어진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실온까지 냉각 후, 반응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 (50mL)로 희석하고, 2N HCl (50mL)에 넣어 상을 분리하였다. 수상을 에틸아세테이트 (3 x 30mL)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을 2N HCl (50mL), 브라인 (50mL)으로 세정하고, MgSO4로 건조하며,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4:1)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에서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오일상의 14 (0.259g, 64%)를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7.50 (2H,d,J=7.2Hz), 7.34 (2H,t,J=7.2Hz), 7.25 (1H,t,J=7.2Hz), 7.01 (1H,d,J=16.2Hz), 7.07 (1H,d,J=16.0Hz), 6.95 (2H,s), 6.60-6.58 (2H,m), 5.24 (3H,s), 3.52 (6H,s), 2.53-2.43 (1H,m), 1.10 (6H,d,J=6.6Hz);
13C NMR (75MHz, CDCl3) δ 155.9, 143.1, 137.2, 136.5, 128.6, 128.5, 127.6, 126.5, 117.2, 107.2, 94.9, 56.2, 33.1, 22.7;
IR (neat) 2955, 1600, 1447, 1393, 1152, 1044, 965, 824, 739 cm-1;
HRMS m/z(M+) calcd for C23H28O4: 368.1988. Found: 368.1985.
3. 화합물 14로부터 아라히핀-1 (3) 합성
앞서 합성된 화합물 14를 메탄올 (5mL)에 용해시킨 용액 (0.184g, 0.5mmol)에 c-염산 (0.5mL)을 첨가하여 얻어진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포화 NaHCO3 용액 (30mL)으로 희석하고 EtOAc(3×30 mL)로 추출하였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오일 잔기를 남긴 후, 헥산/에틸아세테이트 (4:1)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에서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오일상의 3 (0.035g, 25%)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7.46 (2H,d,J=7.6Hz), 7.33 (2H,t,J=7.6Hz), 7.24 (1H,t,J=7.6Hz), 7.03 (1H,d,J=16.2Hz), 6.93 (1H,d,J=16.2Hz), 6.63 (2H,s), 6.31 (1H,d,J=16.5Hz), 6.15 (1H,dd,J=16.5,6.6Hz), 5.34 (1H,brs), 2.60-2.49 (1H,m), 1.13 (6H,d,J=7.2Hz);
13C NMR (75MHz, CDCl3) δ 153.8, 145.6, 137.6, 137.0, 129.1, 128.6, 127.9, 127.6, 126.5, 117.2, 111.8, 105.8, 32.2, 22.3;
IR (neat) 3409, 2949, 1624, 1574, 1433, 1360, 1301, 1028, 975, 828 cm-1;
HRMS m/z(M+) calcd for C19H20O2: 280.1463. Found: 280.1466.
4. 화합물 10으로부터 아라히핀-1 (3) 합성
앞서 합성된 화합물 10 (0.212 g, 1.0 mmol)과 이소발레알데히드 (0.129 g, 1.5 mmol)를 벤젠 (20 mL)에 용해시킨 용액에 에틸렌디아민 디아세테이트 (36 mg, 0.2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0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 (4:1)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에서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오일상의 3 (0.151 g, 54%)을 얻었다. 이때, 얻어진 화합물 3의 분석 데이터는 앞서와 동일하다.
[반응식 2]
Figure pat00016
<실시예 3> 트랜스-아라키딘-2 합성
1. ( E )-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 (17) 합성
알데히드 (15; 0.679g, 3.0mmol)와 벤질 포스포네이트 (16; 1.202g, 3.0mmol)를 THF (30mL)에서 용해시킨 용액에 t-BuOK (0.717g, 6.4 mmol)을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30mL)을 첨가하여 상기 반응혼합물을 퀀칭시키고 EtOAc (3 x 30 mL)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NH4Cl 용액 (30mL), 물 (30mL), 브라인 (30mL)으로 세정하고, MgSO4으로 건조하며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오일 잔기를 남긴 후, 헥산/에틸아세테이트 (4:1)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에서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오일상의 화합물 17 (1.163g, 82%)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DCl3) δ 7.35 (2H,d,J=9.0Hz), 7.01 (1H,d,J=16.2Hz), 6.88-6.81 (5H,m), 6.60 (1H,t,J=2.0Hz), 5.17 (4H,s), 3.48 (6H,s), 1.41-1.20 (3H,m), 1.09 (18H,d, J=7.2Hz);
13C NMR (75MHz, CDCl3) δ 158.2, 155.7, 139.7, 129.8, 128.8, 127.5, 126.0, 119.8, 107.4, 94.2, 55.7, 17.6, 12.4;
IR (neat) 2952, 2868, 1597, 1509, 1463, 1396, 1275, 1151, 1037, 918, 841 cm-1;
HRMS m/z(M+) calcd for C27H40O5Si: 472.2645. Found: 472.2646.
2. ( E )-3,5-디메톡시메톡시-2-(3-메틸부트-2-에닐)-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 (18) 합성
앞서 준비된 화합물 17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20mL)에 용해시킨 용액 (0.473g, 1.0mmol)에 n-BuLi (0.44 mL, 2.5 M in 헥산, 1.1 mmol)을 0℃에서 첨가하여 얻어진 용액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프레닐 브로마이드 (0.164 g, 1.1 mmol)를 0℃에서 몇방울 첨가한 후 실온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포화 NH4Cl 용액 (20mL)으로 퀀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 (3 x 30mL)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을 물 (30mL)로 세정하고 MgSO4으로 건조시키며,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헥산/에틸아세테이트 (5:1)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에서의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오일상의 18 (0.433g, 80%)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7.36 (2H,d,J=7.8Hz), 7.01-6.84 (6H,m), 5.23 (4H,s), 5.22 (1H,t,J=6.5Hz), 3.50 (6H,s), 3.39 (2H,d,J=6.5Hz), 1.78 (3H,s), 1.67 (3H,s), 1.38-1.19 (3H,m), 1.11 (18H,d,J=6.6Hz);
13C NMR (75MHz, CDCl3) δ 155.8, 155.7, 136.8, 131.0, 130.4, 128.0, 127.6, 126.7, 122.8, 120.1, 119.5, 106.0, 94.5, 56.0, 25.8, 22.8, 17.9, 12.7;
IR (neat) 2947, 1599, 1511, 1452, 1271, 1156, 1053, 916 cm-1;
HRMS m/z(M+) calcd for C32H48O5Si: 540.3271. Found:540.3268.
3. ( E )-3,5-디하이드록시-2-(3-메틸부트-2-에닐)-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 (19) 합성
앞서 합성된 화합물 18을 메탄올 (5mL)에 용해시킨 용액 (0.27g, 0.5mmol)에 c-염산 (0.5mL)을 첨가하여 얻어진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포화 NaHCO3 용액 (30mL)으로 희석하고 EtOAc (3×30 mL)로 추출하였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오일 잔기를 남긴 후, 헥산/에틸아세테이트 (4:1)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에서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오일상의 19 (0.181g, 80%)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7.33 (2H,d,J=8.7Hz), 7.01 (1H,d,J=16.2Hz), 6.85 (2H,d,J=8.7Hz), 6.76 (1H,d,J=16.8Hz), 6.53 (2H,s), 5.40 (1H,brs), 5.27 (1H,t,J=6.6Hz), 3.41 (2H,d,J=6.6Hz), 1.82 (3H,s), 1.75 (3H,s), 1.34-1.20 (3H,m), 1.11 (18H,d,J=6.9Hz);
13C NMR (75MHz, CDCl3) δ 155.8, 155.0, 137.2, 135.3, 130.2, 128.3, 127.6, 125.9, 121.5, 120.1, 112.8, 106.2, 25.7, 22.5, 17.8, 12.6;
IR (neat) 2946, 2865, 1598, 1509, 1456, 1391, 1269, 1155, 1103, 1051, 916, 838 cm-1;
HRMS m/z(M+) calcd for C28H40O3Si: 452.2747. Found: 452.2745.
4. 트랜스-아라키딘-2 (4) 합성
앞서 합성된 화합물 19를 THF (10mL)에 용해시킨 용액 (0.136g, 0.3mmol)에 TBAF (0.6mL, 0.6mmol, 1.0M in THF)를 0℃에서 첨가하였다. 포화 NH4Cl 용액 (30mL)을 첨가하여 반응혼합물을 퀀칭시키고 EtOAc (3×30 mL)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물 (30mL)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으로 건조시키며,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얻어진 물질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 (4:1)를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오일상의 4 (0.067g, 75%)를 얻었다.
1H NMR (300MHz, acetone-d 6) δ 8.41 (1H,s), 8.07 (1H,s), 7.38 (2H,d,J=8.7Hz), 6.93 (1H,d,J=16.2Hz), 6.84-6.79 (3H, m), 6.59 (2H, s), 5.30 (1H, t, J=7.2Hz), 3.35 (2H,d,J=7.2Hz), 1.76 (3H,s), 1.64 (3H,s);
13C NMR (75 MHz, acetone-d 6) δ 158.0, 157.0, 137.3, 130.8, 130.1, 128.6, 128.2, 127.0, 124.4, 116.5, 115.3, 105.8, 26.0, 23.2, 18.0;
IR (neat) 3389, 2926, 1599, 1513, 1437, 1358, 1250, 1166, 1047, 819 cm-1;
HRMS m/z(M+) calcd for C19H20O3: 296.1412. Found:296.1414.
[반응식 4]
Figure pat00017
<실시예 4> 트랜스-아라키딘-3 합성
1. ( E )-3,5-디하이드록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 (20) 합성
앞서 합성된 화합물 17을 메탄올 (5mL)에 용해시킨 용액 (0.473g, 1.0mmol)에 c-염산 (1.0mL)을 첨가하여 얻어진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포화 NaHCO3 용액 (30mL)으로 희석하고 EtOAc (3×30 mL)로 추출하였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오일 잔기를 남긴 후, 헥산/에틸아세테이트 (4:1)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에서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오일상의 20 (0.308g, 80%)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7.33 (2H,d,J=8.7Hz), 6.97 (1H,d,J=16.2Hz), 6.84 (2H,d,J=8.7Hz), 6.79 (1H,d,J=16.2Hz), 6.52 (2H,d,J=2.1Hz), 6.23 (1H,t,J=2.1Hz), 1.30-1.22 (3H,m), 1.09 (18H,d,J=7.2Hz);
13C NMR (75MHz, CDCl3) δ 156.7, 156.0, 140.4, 130.0, 129.2, 127.8, 125.8, 120.1, 106.0, 101.9, 17.9, 12.6;
IR (neat) 3389, 2946, 1602, 1510, 1270, 1156, 1007, 911 cm-1;
HRMS m/z(M+) calcd for C23H32O3Si: 384.2121. Found:384.2118.
2. ( E )-3,5-디하이드록시-2-{( E )-3-메틸부트-1-에닐)}-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 (21) 합성
앞서 준비된 화합물 20 (0.154 g, 0.4 mmol)과 이소발레알데히드 (0.043 g, 0.5 mmol)를 벤젠 (20mL)에 용해시킨 용액에 에틸렌디아민 디아세테이트 (14 mg, 0.08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0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용매를 제거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 (5:1)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에서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오일상의 21 (0.094 g, 52%)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7.34 (2H,d,J=8.7Hz), 7.32 (1H,brs), 6.97 (1H,d,J=16.2Hz), 6.86 (2H,d,J=8.7Hz), 6.78 (1H,d,J=16.2Hz), 6.60 (2H,s), 6.31 (1H,d,J=16.5Hz), 6.13 (1H,dd,J=16.5,6.6Hz), 5.30 (1H,brs), 2.60-2.48 (1H,m), 1.30-1.22 (3H,m), 1.10 (18H,d,J=7.2Hz);
13C NMR (75MHz, CDCl3) δ 156.0, 153.8, 145,5, 130.1, 128.8, 128.3, 127.7, 125.8, 120.1, 117.4, 111.3, 105.5, 32.3, 22.4, 17.9, 12.6;
IR (neat) 3422, 2945, 2871, 1601, 1510, 1447, 1268, 1168, 1036, 909 cm-1;
HRMS m/z(M+) calcd for C28H40O3Si: 452.2747. Found:452.2743.
3. 트랜스-아라키딘-3 (5) 합성
앞서 합성된 화합물 21을 THF (10mL)에 용해시킨 용액 (0.045g, 0.1mmol)에 TBAF (0.2mL, 0.2mmol, 1.0M in THF)를 0℃에서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NH4Cl 용액 (30mL)을 첨가하여 반응혼합물을 퀀칭시키고 EtOAc (3×30 mL)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물 (30mL)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으로 건조시키며,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얻어진 물질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 (4:1)를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오일상의 5 (0.022g, 74%)를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7.36 (2H,d,J=8.7Hz), 6.97 (1H,d,J=16.2Hz), 6.80 (2H,d,J=8.7Hz), 6.77 (1H,d,J=16.2Hz), 6.60 (2H,s), 6.29 (1H,d,J=16.5Hz), 6.12 (1H,dd,J=16.5,6.6Hz), 5.09 (1H,s), 2.60-2.49 (1H,m), 1.13 (6H,d,J=6.6Hz);
13C NMR (75 MHz, acetone-d 6) δ 158.2, 157.1, 141.3, 137.7, 130.0, 128.7, 128.6, 126.6, 119.3, 116.5, 112.7, 106.1, 34.0, 23.3;
IR (neat) 3393, 2931, 1598, 1512, 1435, 1246, 1034, 821 cm-1;
HRMS m/z(M+) calcd for C19H20O3: 296.1412. Found:296.1409.
[반응식 5]
Figure pat00018
<실시예 5> 아라히핀-5 합성
1. ( E )-2,2-디메틸-7[2-(4-트리이소프로필실라닐옥시페닐)비닐]-2H-크로멘-5-올 (22) 합성
앞서 준비된 화합물 20 (0.115 g, 0.3 mmol)과 3-메틸-2-부테날 (0.034 g, 0.4 mmol)을 벤젠 (20mL)에 용해시킨 용액에 에틸렌디아민 디아세테이트 (11 mg, 0.06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10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용매를 제거하고, 헥산/에틸아세테이트 (5:1)를 사용한 실리카겔 상에서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오일상의 22 (0.074 g, 55%)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Cl3) δ 7.32 (2H,d,J=8.4Hz), 6.95 (1H,d,J=16.2Hz), 6.83 (2H,d,J=8.4Hz), 6.74 (1H,d,J=16.2Hz), 6.63 (1H,d,J=9.9Hz), 6.57 (1H,s), 6.46 (1H,s), 5.56 (1H,d,J=9.9Hz), 1.34 (6H,s), 1.26-1.11 (3H,m), 1.01 (18H,d,J=6.9Hz);
13C NMR (75MHz, CDCl3) δ 155.9, 154.0, 151.6, 138.8, 130.2, 128.9, 128.6, 127.7, 126.1, 120.1, 116.6, 109.0, 106.9, 106.1, 76.0, 29.7, 27.8, 17.9, 12.7;
IR (neat) 3396, 3028, 2943, 2865, 1600, 1565, 1509, 1462, 1271, 1168, 1139, 1115, 1060, 912, 884 cm-1;
HRMS m/z(M+) calcd for C28H38O3Si: 450.2590. Found: 450.2593.
2. 아라히핀-5 (6) 합성
앞서 합성된 화합물 22를 THF (10mL)에 용해시킨 용액 (0.045g, 0.1mmol)에 TBAF (0.2mL, 0.2mmol, 1.0M in THF)를 0℃에서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NH4Cl 용액 (30mL)을 첨가하여 반응혼합물을 퀀칭시키고 EtOAc (3×30 mL)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을 물 (30mL)로 세정하고 무수 Na2SO4으로 건조시키며,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얻어진 물질을 헥산/에틸아세테이트 (5:1)를 사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오일상의 6 (0.028g, 95%)을 얻었다.
1H NMR (300MHz, CD3OD) δ 7.35 (2H,d,J=8.7Hz), 6.96 (1H,d,J=16.2Hz), 6.80-6.76 (3H,m), 6.64 (1H,d,J=9,9Hz), 6.51 (1H,s), 6.46 (1H,s), 5.57 (1H,d,J=9.9Hz), 4.87 (1H,s), 1.40 (6H,s);
13C NMR (75 MHz, CD3OD) δ 158.4, 155.3, 154.4, 140.3, 130.5, 129.5, 129.2, 128.9, 126.9, 118.3, 116.6, 110.3, 106.9, 106.7, 76.8, 28.1;
IR (neat) 3412, 1655, 1512, 1441, 1252, 1010, 819, 761 cm-1;
HRMS m/z(M+) calcd for C19H18O3: 294.1256. Found: 294.1256.
[반응식 6]
Figure pat00019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피노실빈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20

    [화학식 2]
    Figure pat00021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3-메틸부트-2-에닐 또는 (E)-3-메틸부트-1-에닐 중 어느 하나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은 키리카닌A 또는 아라히핀-1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키리카닌A는,
    NaH 존재 하에서 피노실빈(10)과 메톡시메틸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E)-3,5-디메톡시메톡시스틸벤(11)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E)-3,5-디메톡시메톡시스틸벤(11)과 n-부틸리튬 및 프레닐 브로마이드를 반응시켜 (E)-3,5-디메톡시메톡시-2-(3-메틸부트-2-에닐)스틸벤(12)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E)-3,5-디메톡시메톡시-2-(3-메틸부트-2-에닐)스틸벤(12)을 메탄올 존재 하에서 염산으로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
    [반응식 1]
    Figure pat00022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라히핀-1은,
    NaH 존재 하에서 피노실빈(10)과 메톡시메틸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E)-3,5-디메톡시메톡시스틸벤(11)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E)-3,5-디메톡시메톡시스틸벤(11)과 n-부틸리튬 및 이소발레알데히드를 반응시켜 (E)-3,5-디메톡시메톡시-2-(1-하이드록시-3-메틸부틸)스틸벤(13)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E)-3,5-디메톡시메톡시-2-(1-하이드록시-3-메틸부틸)스틸벤(13)을 POCl3와 반응시켜 (E)-3,5-디메톡시메톡시-2-{(E)-3-메틸부트-1-에닐)}스틸벤(14)을 합성하는 단계; 및
    (E)-3,5-디메톡시메톡시-2-{(E)-3-메틸부트-1-에닐)}스틸벤(14)을 메탄올 존재 하에서 염산으로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
    [반응식 2-1]
    Figure pat00023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라히핀-1은,
    NaH 존재 하에서 피노실빈(10)과 이소발레알데히드를 에틸렌디아민 디아세테이트 존재 하에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
    [반응식 2-2]
    Figure pat00024
  6.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3]
    Figure pat00025

    [화학식 4]
    Figure pat00026

    상기 화학식 4에서, R1은 3-메틸부트-2-에닐 또는 (E)-3-메틸부트-1-에닐 중 어느 하나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은 트랜스-아라키딘-2 또는 트랜스-아라키딘-3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은 메톡시메틸에테르기를 갖는 벤즈알데히드(15)와 TIPS기를 갖는 벤질 포스포네이트(16) 간의 호너-워드워스-에몬스 반응(Horner-Wadsworth-Emmons Reaction)을 통해 합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
    [반응식 3]
    Figure pat00027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아라키딘-2는,
    메톡시메틸에테르기를 갖는 벤즈알데히드(15)와 TIPS기를 갖는 벤질 포스포네이트(16) 간의 호너-워드워스-에몬스 반응(Horner-Wadsworth-Emmons Reaction)을 통해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7)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7)과 n-부틸리튬 및 프레닐 브로마이드를 반응시켜 (E)-3,5-디메톡시메톡시-2-(3-메틸부트-2-에닐)-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8)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E)-3,5-디메톡시메톡시-2-(3-메틸부트-2-에닐)-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8)을 메탄올 존재 하에서 염산으로 처리하여 (E)-3,5-디하이드록시-2-(3-메틸부트-2-에닐)-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9)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E)-3,5-디하이드록시-2-(3-메틸부트-2-에닐)-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9)을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BAF)와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
    [반응식 4-1]
    Figure pat00028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아라키딘-3은,
    메톡시메틸에테르기를 갖는 벤즈알데히드(15)와 TIPS기를 갖는 벤질 포스포네이트(16) 간의 호너-워드워스-에몬스 반응(Horner-Wadsworth-Emmons Reaction)을 통해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7)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7)을 메탄올 존재 하에서 염산으로 처리하여 (E)-3,5-디하이드록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20)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E)-3,5-디하이드록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20)을 에틸렌디아민 디아세테이트(EDDA) 존재 하에서 이소발레알데히드와 반응시켜 (E)-3,5-디하이드록시-2-{(E)-3-메틸부트-1-에닐}-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21)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E)-3,5-디하이드록시-2-{(E)-3-메틸부트-1-에닐}-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21)을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BAF)과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
    [반응식 5]
    Figure pat00029
  11.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을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 5의 아라히핀-5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3]
    Figure pat00030

    [화학식 5]
    Figure pat00031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아라히핀-5는,
    메톡시메틸에테르기를 갖는 벤즈알데히드(15)와 TIPS기를 갖는 벤질 포스포네이트(16) 간의 호너-워드워스-에몬스 반응(Horner-Wadsworth-Emmons Reaction)을 통해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7)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E)-3,5-디메톡시메톡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17)을 메탄올 존재 하에서 염산으로 처리하여 (E)-3,5-디하이드록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20)을 합성하는 단계;
    상기 (E)-3,5-디하이드록시-4'-트리이소프로필실릴옥시스틸벤(20)을 에틸렌디아민 디아세테이트(EDDA) 존재 하에서 3-메틸-2-부테날과 반응시켜 (E)-2,2-디메틸-7[2-(4-트리이소프로필실라닐옥시페닐)비닐]-2H-크로멘-5-올(22)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E)-2,2-디메틸-7[2-(4-트리이소프로필실라닐옥시페닐)비닐]-2H-크로멘-5-올(22)을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BAF)과 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
    [반응식 6]
    Figure pat00032
KR20100118199A 2010-11-25 2010-11-25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합성방법 KR101206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8199A KR101206123B1 (ko) 2010-11-25 2010-11-25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합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8199A KR101206123B1 (ko) 2010-11-25 2010-11-25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합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586A true KR20120056586A (ko) 2012-06-04
KR101206123B1 KR101206123B1 (ko) 2012-11-28

Family

ID=4660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18199A KR101206123B1 (ko) 2010-11-25 2010-11-25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합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1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1895B1 (en) 2015-03-30 2018-05-29 Parnativ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synthesizing arachidin-3 from resveratrol
CN109996777A (zh) * 2016-11-30 2019-07-09 Csic科学研究高级委员会 白藜芦醇的硅烷基化衍生物,和其用于神经变性、神经或发炎疾病的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103B1 (ko) 2009-07-29 2011-06-1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미노 알돌형 반응 및 6π―전자고리화 반응을 이용한 피라노스틸벤 화합물의 합성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1895B1 (en) 2015-03-30 2018-05-29 Parnativ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synthesizing arachidin-3 from resveratrol
CN109996777A (zh) * 2016-11-30 2019-07-09 Csic科学研究高级委员会 白藜芦醇的硅烷基化衍生物,和其用于神经变性、神经或发炎疾病的用途
JP2020514249A (ja) * 2016-11-30 2020-05-21 コンセホ・スペリオール・デ・インベスティガシオネス・シエンティフィカス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レスベラトロールのシリル化誘導体および神経変性疾患、神経疾患、または炎症性疾患におけるその使用
US11365208B2 (en) 2016-11-30 2022-06-21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Silylated derivatives of resveratrol and the use thereof in neurodegenerative, neurological or inflammatory disea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123B1 (ko)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446196A (zh) 酰基乙腈化合物,其制备方法及包含该化合物的杀螨剂
Lawrence et al. The synthesis of indanones related to combretastatin A-4 via microwave-assisted Nazarov cyclization of chalcones
KR101206123B1 (ko) 스틸벤 골격을 갖는 화합물의 합성방법
Arslan Synthesis and characterisation of new sulfonamide chalcones containing an azo group
JP3280373B2 (ja) フルオロビニルオキシフェニル残基を有する殺菌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721956B (zh) 苯并丁内酯类衍生物、合成方法及其制备杀菌剂的应用
DE60023909T2 (de) Fungizide mit einer fluorovinyl-oder fluoropropenyloxyphenyloxim-einheit und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Lin et al. Synthesis of esters from aldehydes or carboxylic acids with dichloromethane, dichloroethane or dichloropropane under mild conditions
KR100229440B1 (ko) 플루오르비닐기를 갖는 신규의 프로페노익 에스테르 및 아미드 유도체
CN105254530A (zh) 一种含有莰烯基Schiff碱类化合物的合成方法
Ghatole et al. Antimicrobial activities; ionic liquid and microwave assisted synthesis of ring-substituted 3-(3-bromo-4-oxo-4h-chromen-2-yl)-4h-chromen-4-one
JP5604698B2 (ja) アシルベンゼンの調製方法
KR20030017473A (ko) 항균 퀴놀론 약제용 중간물질로서의 알킬3-시클로프로필아미노-2-[2,4-디브로모-3-(디플루오로메톡시)벤조일]-2-프로페노에이트의 원-폿 합성방법
Huang et al. Novel convenient synthesis of (Z/E)-8-dodecenyl acetates, components of the Grapholitha molesta sex pheromone
JPS6032631B2 (ja) r−ピリドン系化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の化合物からなる農業用薬剤
JP4004555B2 (ja) 殺虫化合物
Li et al. A facile synthesis of the sex pheromone of Grapholitha molesta
JP4000379B2 (ja) 有機発光材料
CN1067397C (zh) 一种茼蒿素类化合物,制备方法及其用途
Hartzfeld et al. Derivatives of o-Phenylene-dioxyacetic Acid as Plant Growth-Regulators
DE60127979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3,5-bisalkylphenolen
JP5143854B2 (ja) 植物生長調節作用を示す新規化合物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117843550A (zh) 一种10-全氟烷基-5,10-二氢茚并[1,2-b]吲哚化合物及其合成方法
CN115724729A (zh) 一类1-芳基-α,β-不饱和酮类化合物及其合成方法和在制备杀根结线虫药物中的应用
CN115433156A (zh) 一种胡椒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