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434A - 3차원 영상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영상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434A
KR20120056434A KR1020100117963A KR20100117963A KR20120056434A KR 20120056434 A KR20120056434 A KR 20120056434A KR 1020100117963 A KR1020100117963 A KR 1020100117963A KR 20100117963 A KR20100117963 A KR 20100117963A KR 20120056434 A KR20120056434 A KR 20120056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lens
lens unit
right eye
moved
left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마 마시히로
김태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7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6434A/ko
Priority to US13/302,595 priority patent/US8503874B2/en
Publication of KR20120056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 G03B35/10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having single camera with stereoscopic-base-defining syste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내부에 형성된 제1 부재,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렌즈부 및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재를 포함하여, 제2 부재를 이용하여 렌즈의 이동 공간이 확보되는 3차원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3차원 촬상 장치는 획득된 3차원 영상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3차원 영상의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촬상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3차원 영상 촬상 장치{Apparatus of Imaging 3 Dimensional Image}
아래의 실시예들은 3차원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의 이동 공간이 확보되는 3차원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영상 기술은 정보통신, 방송, 의료, 교육 훈련, 군사, 게임,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CAD, 산업 기술 등과 같이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지각하는 입체감은 관찰하고자 하는 물체의 위치에 따른 수정체의 두께 변화 정도, 양쪽 눈과 대상물과의 각도 차이, 그리고 좌우 눈에 보이는 대상물의 위치 및 형태의 차이, 대상물의 운동에 따라 생기는 시차, 그 밖에 각종 심리 및 기억에 의한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긴다.
사람의 두 눈이 가로 방향으로 약 6~7㎝가량 떨어져 위치함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는 입체감의 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양안 시차에 의해 대상물에 대한 각도 차이를 가지고 바라보게 되고, 이 차이로 인해 각각의 눈에 들어오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상을 갖게 되며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 두 개의 정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의 3차원 영상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3차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두 개의 광학 렌즈 시스템을 이용하여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3차원 촬상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촬상 장치는 좌안 렌즈부와 우안 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3차원 촬상 장치로 획득된 3차원 영상의 시차를 보정하기 위해서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상기 우안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되는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상기 우안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되는 상기 3차원 촬상 장치는 부피가 커질 수 있어, 소형화가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3차원 촬상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가 이동되는 공간이 확보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촬상 장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내부에 형성된 제1 부재;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렌즈부; 및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부재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가 이동되어 이탈한 상기 제2 영역으로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부재가 이동되어 이탈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선정된 구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초기 위치는 상기 복수의 렌즈부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위치, 상기 거리가 최대가 되는 위치, 또는 상기 거리가 최소가 되는 위치 및 최대가 되는 위치의 중간 중 하나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부재가 이동되어 상기 제2 영역으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선정된 초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초기 위치는 상기 복수의 렌즈부의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위치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부재의 내부에는 격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격납 공간에는 전원부, 콘덴서, 회로장치, 및 메모리 카드 슬롯부 중 어느 하나가 위치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경로에 수평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경로에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렌즈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는 좌안 렌즈부 및 우안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상기 우안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상기 우안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영상의 시차 정보가 제어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부재는 액츄에이터(actuator) 및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2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부재는, 수동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영역에서 이탈한 경우 상기 3차원 촬상 장치의 전원이 온(ON) 될 수 있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영역으로 복귀된 경우 상기 3차원 촬상 장치의 전원이 오프(OFF) 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3차원 촬상 장치의 전원 온(ON) 또는 오프(OFF)에 대응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구동 버튼의 온/오프에 대응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일부분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부재가 이동되어 이탈한 상기 제2 영역으로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제2 부재를 이용한 3차원 촬상 장치에서 좌안 렌즈부 및 우안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되는 공간이 확보되어, 상기 3차원 촬상 장치로 획득된 3차원 영상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3차원 영상의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재를 이용한 상기 3차원 촬상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촬상 장치의 사시도 및 구성도이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2 부재(214)가 제1 부재(210)로부터 이탈되어 이동하는 3차원 촬상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2 부재(314)가 제1 부재(310)로부터 이탈되어 이동하는 3차원 촬상 장치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2 부재(414)가 제1 부재(410)로부터 이탈되어 이동하는 3차원 촬상 장치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2 부재(520, 521)가 제1 부재의 중심선(500)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이탈되는 3차원 촬상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제2 부재(620)가 제1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3차원 촬상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버튼에 대응하여 제2 부재(720)가 제1 부재(710)로부터 이탈되는 3차원 촬상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전원 온/오프에 대응하여 제2 부재(820)가 제1 부재(810)로부터 이탈되는 3차원 촬상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1 부재(910)의 일부분을 기준으로 제2 부재(920)가 회전하여 이동되는 3차원 촬상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촬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이의 구성도이다.
도 1(a), (b)를 참조하면, 3차원 촬상 장치(100)는 렌즈부(110), 렌즈 구동부(120), 슬라이딩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렌즈부(110)는 빛을 검출하는 광센서, 또는 광센서에서 생긴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10)는 여러 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렌즈부(110)는 줌렌즈 역할도 병행할 수 있다.
렌즈부(110)로 입사된 빛은 센서(미도시)에서 수집되고, 상기 수집된 빛은 제어부(140)의 조정에 의해 표시부(미표시)에 3차원 영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렌즈부(110)는 여러 개의 렌즈로 형성된 렌즈셋(Lens-set)을 포함하는 싱글 렌즈이거나,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를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이거나, 또는 여러 개의 렌즈셋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싱글 렌즈인 경우는 상기 싱글 렌즈의 내부에 영상을 나누는 빔스플리터(beam-splitter)와 상기 영상을 수집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스플리터와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렌즈부(110)가 상기 좌안 렌즈부와 상기 우안 렌즈부로 형성된 경우는, 상기 좌안 렌즈부는 좌안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우안 렌즈부는 우안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수집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3차원 영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렌즈 구동부(120)는 액츄에이터(actuator), 샤프트(shaft), 및 위치센서(position-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부(120)는 3차원 영상의 시차를 조정하기 위한 렌즈부(110)의 이동을 조정할 수 있고, 렌즈부(110)가 허용범위 내에 있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렌즈 구동부(120)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샤프트에 지지된 렌즈(110)가 상기 샤프트가 나열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렌즈 구동부(120)는 상기 위치센서를 이용하여 렌즈부(110)의 이동량, 또는 렌즈부(11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130)는 3차원 촬상 장치(100) 내에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서 3차원 촬상 장치(100)에서 이탈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30)가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탈되면, 3차원 영상의 시차를 조정하기 위한 렌즈부(110)의 이동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렌즈 구동부(120)에서 얻은 3차원 영상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최상의 3차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렌즈 구동부(120)에 신호를 보내어 렌즈부(1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동작, 제스처, 또는 입력 신호에 따라서 슬라이딩부(1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서 3차원 촬상 장치(100)을 제어할 수 있고, 렌즈부(110)을 통해 획득된 3차원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획득된 3차원 영상을 나타낼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 또는 항목을 선택하는 문구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표시부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의 신호, 또는 선택 항목의 신호가 제어부(140)로 보내지고, 제어부(140)는 상기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3차원 촬상 장치(10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2 부재(214)가 제1 부재(210)로부터 이탈되어 이동하는 3차원 촬상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a)는 제2 부재(214)가 이동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2(b)는 제2 부재(214)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며, 도 2(c)는 우안 렌즈부(212)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a)는 제2 부재(214)가 제1 부재(210)로부터 이탈되기 전의 단면을 나타낸 구조이다.
도 2(a)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촬상 장치(100)는 제1 부재(210)와 제2 부재(214)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 제1 부재(210)는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케이스(case)일 수 있다.
제1 부재(210)는 좌안 렌즈부(211), 우안 렌즈부(212), 액츄에이터(213) 및 전원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좌안 렌즈부(211)는 좌안 영상을 수집하고, 우안 렌즈부(212)는 우안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좌안 영상과 상기 수집된 우안 영상이 서로 겹쳐진 3차원 영상은 3차원 촬상 장치(100)을 통하여 나타날 수 있다.
액츄에이터(213)는 좌안 렌즈부(211) 및 우안 렌즈부(212)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부재(210)는 액츄에이터(213) 및 샤프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좌안 렌즈부(211) 및 우안 렌즈부(21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샤프트에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213)의 회전운동을 좌안 렌즈부(211) 및 우안 렌즈부(212)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샤프트에 지지되어 직선운동하기 위해서 제1 부재(210)에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중 하나는 액츄에이터(213)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좌안 렌즈부(211) 또는 우안 렌즈부(21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140)는 액츄에이터(213)을 통하여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 사이의 시차를 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2 부재(214)는 슬라이딩부(130)일 수 있다.
제2 부재(214)는 내부에 격납 공간(2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격납 공간(215)에는 전원부, 콘덴서, 회로장치, 및 메모리 카드 슬롯부 등 중 어느 하나가 위치할 수 있다.
격납 공간(215)은 3차원 촬상 장치(100) 내부의 부품 중 부피가 큰 부품을 위치시켜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즉, 제2 부재(214)가 제1 부재(210)의 내에 위치하고 이동하게 되면, 좌안 렌즈부(211) 및 우안 렌즈부(212) 중 적어도 하나가 움직이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어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제2 부재(214)가 제1 부재(210)으로부터 이탈되면, 격납 공간(215)에 위치한 부품도 같이 이탈되어 제2영역(217)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공간이 확보되면, 좌안 렌즈부(211)와 우안 렌즈부(212) 사이의 거리 조정이 가능하여 좌안 렌즈부(211)와 우안 렌즈부(212)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의 시차가 조정될 수 있다.
즉, 3차원 촬상 장치(100)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2 부재(214) 내에 마련된 격납 공간(215)의 형성으로 3차원 촬상 장치(100)가 소형화가 가능하고, 3차원 촬상 장치(100)가 사용될 경우에는 제2 부재(214)가 이탈되어 좌안 렌즈부(211)와 우안 렌즈부(212)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제2 부재(214)에는 사용자의 그립(grip)감을 좋게 하지 위해서 홈, 또는 고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부재(214)는 사용자가 3차원 촬상 장치(100)를 파지할 수 있는 구성이 더 포함 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좌안 렌즈부(211)와 우안 렌즈부(212)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2 부재(214)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부재(210)는 제1영역(216)과 제2영역(2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216)에는 좌안 렌즈부(211), 우안 렌즈부(212) 및 액츄에이터(213)가 수용될 수 있다.
제2영역(217)에는 3차원 촬상 장치(100)가 미사용시, 제2 부재(214)가 수용될 수 있다.
제2영역(217)에는 상기 좌안 렌즈부(211) 및 우안 렌즈부(212)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좌안 렌즈부(211) 및 우안 렌즈부(212) 중 적어도 하나가 제1영역(216)에서 제2영역(217)으로 이동되므로 제1 영역(216)으로부터 제2 영역(217)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3차원 촬상 장치(100)가 설계되는 구조에 따라서 제1영역(216)과 제2영역(217)에 포함되는 구성품은 변경될 수 있다.
제2 부재(214)가 제1 부재(210)로부터 이탈되기 전에는 상기 샤프트 위에 격납 공간(215)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부재(214)가 제1 부재(210)로부터 이탈되면, 격납 공간(215)이 이동되어 격납 공간(215)에 의해 가려졌던 상기 샤프트가 나타나고, 상기 샤프트를 따라 좌안 렌즈부(211) 및 우안 렌즈부(212)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될 수 있다.
제2 부재(214)가 이탈되면, 좌안 렌즈부(211)과 우안 렌즈부(212) 사이의 거리가 최소에서 최대로 늘어날 수 있는 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좌안 렌즈부와 우안 렌즈부는 제1 영역에 위치하고, 제2 부재는 제2 영역에 위치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2 부재(214)가 제1 부재(210)으로부터 이탈하며, 이 때, 제1 부재에는 제2 부재가 이탈한 부분만큼의 여유 공간이 마련된다.
제2 부재의 이탈로 인해 3차원 촬상 장치(1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적합한 크기로 커질 수 있다. 반대로, 제2 부재(214)가 제1 부재(210)로 복귀된 경우, 사용자가 3차원 촬상 장치(100)을 휴대할 수 있는 적합한 크기로 작아질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여, 우안 렌즈부는 제2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제2 부재와 우안 렌즈부의 순차적인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이들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부재와 우안 렌즈부는 동일 선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2의 일실시예는 우안 렌즈부(212)의 이동을 나타내나, 다른 일실시예로 좌안 렌즈부(211)가 이동될 수 있고, 또는 좌안 렌즈부(211) 및 우안 렌즈부(212)가 이동될 수 있다.
제2 부재(214)가 이동되어 제1 부재(210)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좌안 렌즈부(211) 및 우안 렌즈부(212) 중 적어도 하나가 선정된 구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위치는 좌안 렌즈부(211) 및 우안 렌즈부(212)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위치, 상기 거리가 최대가 되는 위치, 또는 상기 거리가 최소가 되는 위치 및 최대가 되는 위치의 중간 중 하나일 수 있다.
제2 부재(214)가 이동되어 제2영역(217)으로 복귀하는 경우, 좌안 렌즈부(211) 및 우안 렌즈부(212) 중 적어도 하나가 선정된 초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초기 위치는 상기 복수의 렌즈부의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위치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좌안 렌즈부(211) 및 우안 렌즈부(212)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 위치, 또는 상기 초기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2를 도시된 봐와 같이, 좌안 렌즈(미도시)와 좌안 센서(미도시)로 구성된 좌안 렌즈부(211)와 우안 렌즈(미도시)와 우안 센서(미도시)로 구성된 우안 렌즈부(212)는 서로 일정한 거리로 떨어져 있다.
좌안 렌즈부(211)과 우안 렌즈부(212) 사이의 거리는 카메라 간격(inter camera distance; ICD)이라 한다.
상기 좌안 센서는 상기 좌안 렌즈을 통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을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안 센서에서 수집된 상기 좌안 영상은 제어부(140)에서 제어된다.
상기 우안 센서는 상기 우안 렌즈을 통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을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우안 센서에서 수집된 상기 우안 영상은 제어부(140)에서 제어된다.
실시간으로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이 획득되고, 제어부(140)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은 실시간으로 상기 표시부에 나타난다
액츄에이터(213)는 좌안 렌즈부(211)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우안 렌즈부(212)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좌안 렌즈부(211), 또는 우안 렌즈부(212)의 이동 중 또는 이동 이후 정지 후 3차원 촬상 장치(100)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액츄에이터(213)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카메라 간격을 통하여 피로감이 적고 입체감이 좋은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정지 영상의 경우에는 조정된 상기 카메라 간격에서 촬영되고, 동영상의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 간격이 고정될 수도 있고, 장면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액츄에이터가 조정되어 상기 카메라 간격이 변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 간격의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3차원 촬상 장치(100)에서 상기 카메라 간격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의 색깔, 자동노출(auto exposure, AE), 자동화이트발랜스(auto white balance, AWB), 또는 기하학적인 차이를 최소화하여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으로 3차원 영상을 구현시 자연스러운 상기 3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에서 최대시차, 최소시차, 특정 오브젝트의 시차, 또는 특징점을 계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피로감이 적으면서도 입체감이 좋게 상기 3차원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좌안 렌즈부(211)과 우안 렌즈부(212)를 갖는 3차원 촬상 장치(100)에서 렌즈의 차이, 센서의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영상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한쪽의 영상을 기준으로 다른 쪽 영상을 신호 처리를 이용하여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좌안 렌즈부(211)과 우안 렌즈부(212) 각각에 포함된 렌즈의 차이, 또는 센서의 차이와 같은 기하학적 차이로 인해,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 사이에서 특징점의 어긋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좌안 렌즈부(211)과 우안 렌즈부(212)의 줌 차이에 따라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의 크기 차이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기하학적인 차이는 2차원 촬상 장치에서는 발생하기 어렵고 3차원 촬상 장치에서 많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기하학적인 차이가 작을 수록 영상의 피로감이 적고 입체감이 늘어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 사이의 시프트, 크롭(crop), 크기변환(resize), 또는 회전변환 (affine transformation) 등을 이용하여 상기 기하학적인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좌안 렌즈부(211)와 우안 렌즈부(212)는 사람의 눈의 역할과 비슷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사람의 좌안, 또는 우안에 각각 맺히는 상은 뇌에서 합성되어 3차 효과를 상기 사람은 인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3차원 촬상 장치(100)는 상기 사람의 좌안, 또는 상기 사람의 우안에 해당하는 좌안 렌즈부(211)와 우안 렌즈부(2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좌안 렌즈부(211)를 통하여 좌안 영상을 수집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우안 렌즈부(212)를 통하여 우안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수집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상기 표시부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원리는 상기 사람의 좌안에 해당하는 영상은 좌안에만 상기 사람의 우안에 해당하는 영상은 우안에만 보이게 하는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은 사람의 뇌에서 합성되며, 상기 사람은 상기 합성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마치 실제의 3차원 영상을 보는 것과 유사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으로부터 입체감을 느끼게 되는 원인 중의 하나는 시차(disparity, parallax) 때문이다.
시차란 좌안 렌즈부(211)와 우안 렌즈부(212)의 위치가 동일하지 않고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시점(view-point)의 차이가 생기기 때문이다.
즉, 동일한 오브젝트가 상기 좌안 센서와 상기 우안 센서에 맺히는 상(image)들의 위치가 서로 차이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먼 오브젝트는 시차가 작게, 가까운 오브젝트는 시차가 크게 발생한다. 제어부(140)는 이러한 시차 정보를 계산하여 피로감이 적으면서도 입체감이 좋은 3차원 영상을 처리 할 수 있다.
3차원 촬상 장치(100)는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좌안 센서, 또는 상기 우안 렌즈와 상기 우안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3차원 촬상 장치(100)는 상기 좌안 렌즈, 또는 상기 우안 렌즈 중 하나의 렌즈와 두개의 상기 좌안 센서와 상기 우안 센서로 공용될 수 있다.
3차원 촬상 장치(100)는 상기 좌안 렌즈, 또는 상기 우안 렌즈 중 하나의 렌즈와 상기 좌안 센서, 또는 상기 우안 센서 중 하나의 센서를 공용으로 구성될 수 도 있다.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가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여 3차원 영상의 시차를 최소화하여 입체감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시차와 함께 입체감에 중요한 요소의 다른 하나는 폭주(convergence) 이다.
상기 폭주는 3차원 영상 내에 있는 오브젝트에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가 포커싱되는 것이다.
상기 오브젝트에 폭주가 맞춰지면 상기 오브젝트의 포인트가 폭주점이 되고,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 사이의 이루는 각이 폭주각이 된다.
상기 폭주점(convergence point)은 상기 시차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말하는 것으로, 3차원 촬상 장치(100)로 3차원 영상을 볼 때에 상기 좌안 렌즈과 상기 우안 렌즈가 포커싱되는 오브젝트의 위치가 상기 폭주점이 된다.
상기 폭주각(convergence angle)은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사이가 이루고 있는 각도이다. 일반적으로 먼 오브젝트에서 상기 각도는 작고, 가까운 오브젝트에서 상기 각도는 크다.
제어부(140)는 상기 각도 정보를 계산하여 오브젝트의 거리를 처리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입체감을 계산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시차값이 최소가 될수록 상기 오브젝트의 3차원 영상은 피로감이 줄고 입체감이 좋아질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가 폭주점이 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의 시차값이 0이 되고, 상기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는 상기 표시부 상에 온다.
제2 부재(214)를 갖는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을 켜고, 제2 부재(214)를 제1부재(210)로부터 이탈시켜 우안 렌즈부(212)가 이동할 공간을 확보한다.
좌안 렌즈부(211)와 우안 렌즈부(212)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의 시차를 검색한다.
상기 시차에 따라서 우안 렌즈부(212)가 이동될 거리를 계산한다.
우안 렌즈부(212)를 상기 확보된 공간으로 상기 계산된 이동 거리만큼 이동시킨 후 3차원 촬상 장치(100)로 최종 영상을 찍는다.
상기 최종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나타낸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2 부재(314)가 제1 부재(310)로부터 이탈되어 이동하는 3차원 촬상 장치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제2 부재(314)의 위치가 서로 다른 일례를 나타낸다.
도 2(a)의 도면과 마찬가지로, 도 3의 (a)는 제2 부재(314)가 제1 부재(310)로부터 이탈되기 전의 단면을 나타낸 구조이다.
일실시예로, 제1 부재(310)는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케이스(case)일 수 있다.
제1 부재(310)는 좌안 렌즈부(311), 우안 렌즈부(312), 액츄에이터(313) 및 전원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좌안 렌즈부(311)는 좌안 영상을 수집하고, 우안 렌즈부(312)는 우안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좌안 영상과 상기 수집된 우안 영상을 서로 겹쳐서 3차원 영상을 3차원 촬상 장치(100)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313)는 좌안 렌즈부(311) 및 우안 렌즈부(312)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2 부재(314)는 슬라이딩부(130)일 수 있다.
제2 부재(314)는 내부에 격납 공간(3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격납 공간(315)에는 전원부, 콘덴서, 회로장치, 및 메모리 카드 슬롯부 등 중 어느 하나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부재(310)는 제1영역(316)과 제2영역(3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316)은 좌안 렌즈부(311), 우안 렌즈부(312) 및 액츄에이터(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317)은 제2 부재(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317)에는 상기 좌안 렌즈부(311) 및 우안 렌즈부(312)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뒷면을 기준으로 제2 부재(214)가 제1 부재(210)로부터 오른쪽으로 이탈되어, 우안 렌즈부(212)가 이동되는 일실시예이고, 도 3은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뒷면을 기준으로 제2 부재(314)가 제1 부재(310)로부터 왼쪽으로 이탈되어, 좌안 렌즈부(311)가 이동되는 다른 일실시예이다.
상기 오른쪽으로 이탈 및 상기 왼쪽으로 이탈은 3차 촬상 장치(100)를 보는 각도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도 3의 (b)는 제2 부재(314)가 제1 부재(310)로부터 이탈 후의 단면을 나타낸 구조이다.
도 3의 (c)는 제2 부재(314)가 이탈된 후 우안 렌즈부(312)가 이동되는 단면을 나타낸 구조이다.
제2 부재(314)가 제1부재(310)로부터 이탈되어 공간이 확보되면, 상기 확보된 공간으로 좌안 렌즈부(311)가 이동하여 좌안 렌즈부(311)과 우안 렌즈부(312)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정된 거리를 통하여 좌안 렌즈부(311)과 우안 렌즈부(312)로 획득되는 영상의 시차가 조절될 수 있다.
좌안 렌즈부(311)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3차원 촬상 장치(100)로 획득된 3차원 영상은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3차원 영상의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시만 제2 부재(314)를 제1부재(310)로부터 이탈시켜 3차원 촬상 장치(100)는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2 부재(414)가 제1 부재(410)로부터 이탈되어 이동하는 3차원 촬상 장치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2와는 달리 격납공간(415)이 3차원 촬상 장치(100)의 가운데 위치한다.
제1 부재(410)은 좌안 렌즈부(411), 우안 렌즈부(412), 좌안 액츄에이터(413) 및 우안 액츄에이터(418)를 포함할 수 있다.
좌안 액츄에이터(413)은 좌안 렌즈부(411)의 이동을 조정할 수 있고, 우안 액츄에이터(418)은 우안 렌즈부(412)의 이동을 조정할 수 있다.
제1 부재(410)은 제1영역(416) 및 제2영역(4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416)에는 좌안 렌즈부(411) 및 우안 렌즈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417)에는 격납공간(4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는 제2 부재(414)가 제1 부재(310)로부터 이탈되기 전의 단면을 나타낸 구조이다.
도 4의 (b)는 제2 부재(414)가 제1 부재(410)로부터 이탈 후의 단면을 나타낸 구조이다.
제2 부재(414)가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뒷면을 기준으로 앞으로 제1 부재(4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2 부재(414)가 이탈되면, 제2영역(417)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좌안 렌즈부(411) 및 우안 렌즈부(412) 중 적어도 하나는 확보된 제2영역(417)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재(414)는 좌안 렌즈부(411)과 우안 렌즈부(412)를 연결하는 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재(414)는 좌안 렌즈부(411)과 우안 렌즈부(412)를 연결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수직 방향은 좌안 렌즈부(411), 또는 우안 렌즈부(412)의 광축 방향, 또는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뒷면을 기준으로 앞, 뒤, 아래, 또는 위쪽일 수 있다.
수평 방향은 좌안 렌즈부(411), 또는 우안 렌즈부(412)의 광축과 수직한 방향, 또는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뒷면을 기준으로 옆일 수 있다.
상기 수평방향은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뒷면을 기준으로 제2 부재(414)가 제1 부재(410)로부터 옆, 또는 양옆으로 이탈되는 경우이고, 상기 수직방향은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뒷면을 기준으로 제2 부재(414)가 제1 부재(410)로부터 앞, 뒤, 아래, 또는 위쪽으로 이탈되는 경우이다.
일실시예로, 제2 부재(414)가 앞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제1 부재(410)의 가운데 부분은 제2영역(417)이고 제1 부재(410)의 양옆 부분은 제1영역(416)이 될 수 있다.
제2 부재(414)가 제1부재(410)로부터 이탈되어 공간이 확보되면, 상기 확보된 공간으로 좌안 렌즈부(411)과 우안 렌즈부(412)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여 좌안 렌즈부(411)과 우안 렌즈부(412)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정된 거리를 통하여 좌안 렌즈부(411)과 우안 렌즈부(412)로 획득되는 영상의 시차가 조절될 수 있다.
좌안 렌즈부(411)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3차원 촬상 장치(100)로 획득된 3차원 영상은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3차원 영상의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시만 제2 부재(414)를 제1부재(410)로부터 이탈시켜 3차원 촬상 장치(100)는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5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2 부재(520, 521)가 제1 부재의 중심선(500)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이탈되는 3차원 촬상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제2 부재(520, 521)가 제1 부재(510)로부터 이탈되기 전의 단면을 나타낸 구조이다.
일실시예로, 제1 부재(510)는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케이스(case)일 수 있다.
제1 부재(510)는 좌안 렌즈부(530), 우안 렌즈부(531), 좌안 액츄에이터(532) 및 우안 액츄에이터(5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재(520, 521)는 좌안 제2 부재(520) 및 우안 제2 부재(521)를 포함할 수 있다.
좌안 액츄에이터(532)는 좌안 렌즈부(530)의 이동을 조정할 수 있고, 우안 액츄에이터(533)는 우안 렌즈부(531)의 이동을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좌안 액츄에이터(532) 및 우안 액츄에이터(533)를 이용하여 좌안 렌즈부(530) 및 우안 렌즈부(531)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부재(510)는 제1영역(516)과 제2영역(517, 5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516)은 좌안 렌즈부(530), 우안 렌즈부(531), 좌안 액츄에이터(532) 및 우안 액츄에이터(5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517, 518)은 좌안 제2영역(517)과 우안 제2영역(518)을 포함할 수 있다.
좌안 제2영역(517)은 좌안 제2 부재(520)을 포함할 수 있고, 우안 제2영역(518)은 우안 제2 부재(5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217)에는 상기 좌안 렌즈부(211) 및 우안 렌즈부(212)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미도시)는 좌안 렌즈부(530) 및 우안 렌즈부(531) 중 적어도 하나가 제1영역(516)에서 제2영역(517, 518)으로 이동되므로 제1영역(516)의 일부분과 제2영역(517, 518)의 일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부재(520, 521)가 제1 부재의 중심선(500)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좌안 제2 부재(520)는 제1부재의 중심선(500)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우안 제2 부재(521)는 제1부재의 중심선(500)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좌안 렌즈부(530) 및 우안 렌즈부(531)는 제1 부재의 중심선(500)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하고, 좌안 렌즈부(530) 및 우안 렌즈부(531)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부재의 중심선(5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좌안 제2 부재(520)는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내부에 포함되는 구성품을 탑재할 수 있는 격납 공간(55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안 제2 부재(521)는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내부에 포함되는 구성품을 탑재할 수 있는 격납 공간(551)을 포함할 수 있다.
좌안 제2 부재(520) 및 우안 제2 부재(521)는 각각 격납 공간(550, 551)을 포함할 수도 있고, 좌안 제2 부재(520) 및 우안 제2 부재(521) 중 하나만 격납 공간(550, 55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좌안 제2 부재(520), 또는 우안 제2 부재(521)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고, 좌안 렌즈부(530) 및 우안 렌즈부(531)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부재의 중심선(500)을 기준으로 멀어지고/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5의 (b)는 제2 부재(520, 521)가 제1 부재(510)로부터 이탈 후의 단면을 나타낸 구조이다.
도 5의 (c)는 제2 부재(520, 521)가 이탈된 후 좌안 렌즈부(530) 및 우안 렌즈부(531)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되는 단면을 나타낸 구조이다.
제2 부재(520, 521)가 제1부재(510)로부터 이탈되어 공간이 확보되면, 상기 확보된 공간으로 좌안 렌즈부(530) 및 우안 렌즈부(531)가 이동하여 좌안 렌즈부(530)과 우안 렌즈부(531)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조정된 거리를 통하여 좌안 렌즈부(530)과 우안 렌즈부(531)로 획득되는 영상의 시차가 조절될 수 있다.
좌안 렌즈부(530) 및 우안 렌즈부(531)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3차원 촬상 장치(100)로 획득된 3차원 영상은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3차원 영상의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시만 제2 부재(520, 521)를 제1부재(510)로부터 이탈시켜 3차원 촬상 장치(100)는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6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제2 부재(620)가 제1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3차원 촬상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부재(610)는 좌안 렌즈부(630), 우안 렌즈부(631) 및 액츄에이터(6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610)는 제1영역(640)과 제2영역(64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a)는 제2 부재(620)가 제1 부재(610)로부터 이탈되기 전의 단면을 나타낸 구조이다.
도 6의 (b)는 제2 부재(620)가 제1 부재(610)로부터 이탈 후의 단면을 나타낸 구조이다.
사용자가 제2 부재(620)을 홀딩하여 제1 부재로(610)부터 이탈시키면,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이 켜질 수 있고, 사용자가 제2 부재(620)을 홀딩하여 제1 부재로 복귀시키면,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이 커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이 켜지고, 우안 렌즈(631)은 선정된 구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선정된 구동 위치는 또는 좌안 렌즈부(630)과 우안 렌즈부(631)의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위치, 상기 거리가 최대가 되는 위치, 또는 상기 거리가 최소가 되는 위치 및 최대가 되는 위치의 중간 중 하나일 수 있다.
제2부재(620)가 이동되어 제2영역(641)으로 복귀하는 경우, 좌안 렌즈부(630)과 우안 렌즈부(631) 중 적어도 하나가 선정된 초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초기 위치는 좌안 렌즈부(630)과 우안 렌즈부(631)의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위치일 수 있다.
제2 부재(620)를 갖는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제2 부재(214)를 붙잡아서 제1부재(210)로부터 빼내면,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을 켜지고 우안 렌즈부(631)가 이동할 공간을 확보한다.
좌안 렌즈부(630)와 우안 렌즈부(631)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의 시차를 검색한다.
상기 시차에 따라서 우안 렌즈부(631)가 이동될 거리를 계산한다.
우안 렌즈부(631)를 상기 확보된 공간으로 상기 계산된 이동 거리만큼 이동시킨 후 3차원 촬상 장치(100)로 최종 영상을 찍는다.
상기 최종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나타낸다.
사용자가 제2 부재(620)을 붙잡아서 제1 부재(610)로 집어 넣으면,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이 커진다.
제어부(140)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대응하여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고, 좌안 렌즈부(630) 및 우안 렌즈부(631)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 위치 및 상기 초기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7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버튼에 대응하여 제2 부재(720)가 제1 부재(710)으로부터 이탈되는 3차원 촬상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부재(710)는 좌안 렌즈부(730), 우안 렌즈부(731), 액츄에이터(732) 및 구동버튼(7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a)는 제2 부재(720)가 제1 부재(710)로부터 이탈되기 전의 단면을 나타낸 구조이다.
도 7의 (b)는 제2 부재(720)가 제1 부재(710)로부터 이탈 후의 단면을 나타낸 구조이다.
구동버튼(740)이 터치된 경우, 제2 부재(720)는 제1 부재(710)로부터 이탈되어 우안 렌즈부(731)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될 수 있다.
구동버튼(740)이 재터치된 경우, 제2 부재(720)는 제1 부재(710)로 복귀되고 우안 렌즈부(731)는 초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초기 위치는 제2 부재(720)이 이동되기 전 좌안 렌즈부(730)과 우안 렌즈부(731)의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위치일 수 있다.
구동버튼(740)의 터치에 대응하여 제2 부재(720)가 제1 부재(710)으로부터 이탈되고,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이 켜질 수 있다.
구동버튼(740)의 터치에 대응하여 제2 부재(720)가 제1 부재(710)로 복귀되고,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이 커질 수 있다.
제어부(140)는 구동버튼(740)의 터치에 대응하여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고, 제2 부재(720)의 이동과 좌안 렌즈부(630) 및 우안 렌즈부(631)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부재(720)를 갖는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을 켜고 구동버튼(740)이 터치된 경우, 제2 부재(720)는 제1 부재(710)로부터 이탈되어 우안 렌즈부(731)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된다.
좌안 렌즈부(730)와 우안 렌즈부(731)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의 시차를 검색한다.
상기 시차에 따라서 우안 렌즈부(731)가 이동될 거리를 계산한다.
우안 렌즈부(731)를 상기 확보된 공간으로 상기 계산된 이동 거리만큼 이동시킨 후 3차원 촬상 장치(100)로 최종 영상을 찍는다.
상기 최종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나타낸다.
구동버튼(740)이 터치된 경우, 우안 렌즈부(731)는 상기 초기의 위치로 복귀하고 제2 부재(720)는 제1 부재(710)로 복귀한다.
도 8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전원 온/오프에 대응하여 제2 부재(820)가 제1 부재(810)으로부터 이탈되는 3차원 촬상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부재(810)는 좌안 렌즈부(830), 우안 렌즈부(831), 액츄에이터(832) 및 전원 스위치(8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a)는 제2 부재(820)가 제1 부재(810)로부터 이탈되기 전의 단면을 나타낸 구조이다.
도 8의 (b)는 제2 부재(820)가 제1 부재(810)로부터 이탈 후의 단면을 나타낸 구조이다.
전원 스위치(840)가 터치된 경우, 제2 부재(820)는 제1 부재(810)로부터 이탈되어 우안 렌즈부(831)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840)이 재터치된 경우, 제2 부재(820)는 제1 부재(810)로 복귀되고 우안 렌즈부(831)는 초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초기 위치는 제2 부재(820)이 이동되기 전 좌안 렌즈부(830)과 우안 렌즈부(831)의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위치일 수 있다.
전원 스위치(840)의 터치에 대응하여 제2 부재(820)가 제1 부재(810)으로부터 이탈되고,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이 켜질 수 있다.
구동버튼(840)의 터치에 대응하여 제2 부재(820)가 제1 부재(810)로 복귀되고,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이 커질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원 스위치(840)의 터치에 대응하여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고, 제2 부재(820)의 이동과 좌안 렌즈부(830) 및 우안 렌즈부(831)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부재(820)를 갖는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 스위치(840)가 터치되면,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이 켜지면서 제2 부재(820)는 제1 부재(810)로부터 이탈되어 우안 렌즈부(831)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된다.
좌안 렌즈부(830)와 우안 렌즈부(831)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의 시차를 검색한다.
상기 시차에 따라서 우안 렌즈부(831)가 이동될 거리를 계산한다.
우안 렌즈부(831)를 상기 확보된 공간으로 상기 계산된 이동 거리만큼 이동시킨 후 3차원 촬상 장치(100)로 최종 영상을 찍는다.
상기 최종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나타낸다.
전원 스위치(840)가 터치된 경우, 우안 렌즈부(831)는 상기 초기의 위치로 복귀하고 제2 부재(820)는 제1 부재(810)로 복귀한다.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이 커진다.
도 9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제1 부재(910)의 일부분을 기준으로 제2 부재(920)가 회전하여 이동되는 3차원 촬상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제1 부재(910)는 좌안 렌즈부(930), 우안 렌즈부(931) 및 액츄에이터(9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a)는 제2 부재(920)가 제1 부재(910)로부터 이탈되기 전의 단면을 나타낸 구조이다.
도 9의 (b)는 제2 부재(920)가 제1 부재(910)로부터 이탈 후의 단면을 나타낸 구조이다.
제2 부재(920)는 제1 부재(910)의 일부분, 또는 제2영역(941)의 일부분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제1 부재(910)로부터 이탈되어 우안 렌즈부(931)가 이동할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2 부재(920)가 제1 부재(910)의 일부분, 또는 제2영역(941)의 일부분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부재(920)를 갖는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2 부재(920)는 제1 부재(910)로부터 회전하여 이탈될 경우,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이 켜지면서 제2 부재(920)는 제1 부재(910)로부터 이탈되어 우안 렌즈부(931)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된다.
좌안 렌즈부(930)와 우안 렌즈부(931)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의 시차를 검색한다.
상기 시차에 따라서 우안 렌즈부(931)가 이동될 거리를 계산한다.
우안 렌즈부(931)를 상기 확보된 공간으로 상기 계산된 이동 거리만큼 이동시킨 후 3차원 촬상 장치(100)로 최종 영상을 찍는다.
상기 최종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나타낸다.
제2 부재(920)는 제1 부재(910)로부터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경우, 우안 렌즈부(931)는 초기의 위치로 복귀하고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이 커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3차원 촬상 장치 110 : 렌즈부
120 : 렌즈 구동부 130 : 슬라이딩부
140 : 제어부

Claims (21)

  1. 3차원 촬상 장치에 있어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내부에 형성된 제1 부재;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렌즈부; 및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부재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가 이동되어 이탈한 상기 제2 영역으로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는 3차원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가 이동되어 이탈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선정된 구동 위치로 이동되는 3차원 촬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위치는 상기 복수의 렌즈부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위치, 상기 거리가 최대가 되는 위치, 또는 상기 거리가 최소가 되는 위치 및 최대가 되는 위치의 중간 중 하나인,
    3차원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가 이동되어 상기 제2 영역으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가 선정된 초기 위치로 이동되는 3차원 촬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위치는 상기 복수의 렌즈부의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위치인,
    3차원 촬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동되는,
    3차원 촬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내부에는 격납 공간이 형성된 3차원 촬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 공간에는 전원부, 콘덴서, 회로장치, 및 메모리 카드 슬롯부 중 어느 하나가 위치하는 3차원 촬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경로에 수평하게 이동하는,
    3차원 촬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경로에 수직하게 이동하는,
    3차원 촬상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렌즈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3차원 촬상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는 좌안 렌즈부 및 우안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상기 우안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되는 3차원 촬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상기 우안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영상의 시차 정보가 제어되는,
    3차원 촬상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액츄에이터(actuator) 및 샤프트를 포함하는 3차원 촬상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2영역까지 연장되는 3차원 촬상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수동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영역에서 이탈한 경우 상기 3차원 촬상 장치의 전원이 온(ON) 되고,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2 영역으로 복귀된 경우 상기 3차원 촬상 장치의 전원이 오프(OFF) 되는
    3차원 촬상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3차원 촬상 장치의 전원 온(ON) 또는 오프(OFF)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3차원 촬상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를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구동 버튼의 온/오프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3차원 촬상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일부분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3차원 촬상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촬상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부재가 이동되어 이탈한 상기 제2 영역으로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3차원 촬상 장치.
KR1020100117963A 2010-11-25 2010-11-25 3차원 영상 촬상 장치 KR20120056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963A KR20120056434A (ko) 2010-11-25 2010-11-25 3차원 영상 촬상 장치
US13/302,595 US8503874B2 (en) 2010-11-25 2011-11-22 Apparatus for imaging three-dimensional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963A KR20120056434A (ko) 2010-11-25 2010-11-25 3차원 영상 촬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434A true KR20120056434A (ko) 2012-06-04

Family

ID=4612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963A KR20120056434A (ko) 2010-11-25 2010-11-25 3차원 영상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03874B2 (ko)
KR (1) KR201200564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6434A (ko) * 2010-11-25 2012-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 촬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1808B2 (ja) * 1994-10-18 1998-03-04 稔 稲葉 ステレオカメラ
JP2880131B2 (ja) * 1996-07-12 1999-04-05 稔 稲葉 ステレオカメラ
US6278480B1 (en) * 1997-02-07 2001-08-21 Canon Kabushiki Kaisha Compound eye camera system
US5940641A (en) * 1997-07-10 1999-08-17 Eastman Kodak Company Extending panoramic images
JP3674275B2 (ja) 1997-11-28 2005-07-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メラ装置
EP1085769B1 (en) 1999-09-15 2012-02-01 Sharp Kabushiki Kaisha Stereoscopic image pickup apparatus
JP2001242525A (ja) * 2000-02-29 2001-09-07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
US6864911B1 (en) * 2000-10-26 2005-03-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nkable digital cameras for an image capture system
KR100421170B1 (ko) 2001-02-24 2004-03-03 주식회사 후후 초점과 주시각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수평이동축입체영상 카메라
KR20120051308A (ko) * 2010-11-12 2012-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입체감을 개선하고 시청 피로를 저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56434A (ko) * 2010-11-25 2012-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 촬상 장치
KR101753608B1 (ko) * 2010-12-03 2017-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 촬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34658A1 (en) 2012-05-31
US8503874B2 (en) 201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9239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3802630B2 (ja) 立体画像生成装置および立体画像生成方法
KR19980071007A (ko) 화상 정보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JP6378781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8227865A (ja) 頭部装着型撮像表示装置及び画像生成装置
JP5450330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立体画像表示装置
CN103069821A (zh) 图像显示装置、图像显示方法及图像修正方法
US9933626B2 (en) Stereoscopic image
EP3590098A1 (en) Display system with video see-through
US20130093855A1 (en) Parallel axis stereoscopic camera
JP4270347B2 (ja) 距離演算装置
KR101046259B1 (ko) 응시위치를 추적하여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821141B1 (ko) 3차원 영상 시스템 및 그 영상 재생 방법
JP2010124191A (ja) 映像表示装置
TWI505708B (zh) 多鏡頭影像擷取裝置及其立體影像顯示方法
JP3425402B2 (ja) 立体画像を表示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120056434A (ko) 3차원 영상 촬상 장치
WO2012147482A1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画像表示方法
CN108632600B (zh) 反映用户交互信息来播放立体图像的方法及装置
KR101026686B1 (ko) 인터랙티브 입체 영상처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인터랙티브 입체 영상처리장치
KR100893381B1 (ko) 실시간 입체영상 생성방법
CN113382225B (zh) 一种基于全息沙盘的双目全息展示方法及装置
JP2012199759A (ja) 情報処理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20106587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表示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JP2014112887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仮想画像生成装置およびそれらを有するシステム、並びに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