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608B1 - 3차원 영상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영상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608B1
KR101753608B1 KR1020100122841A KR20100122841A KR101753608B1 KR 101753608 B1 KR101753608 B1 KR 101753608B1 KR 1020100122841 A KR1020100122841 A KR 1020100122841A KR 20100122841 A KR20100122841 A KR 20100122841A KR 101753608 B1 KR101753608 B1 KR 101753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eye lens
dimensional imaging
right eye
ima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1506A (ko
Inventor
타카시마 마시히로
김봉기
김태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2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608B1/ko
Priority to US13/309,189 priority patent/US10162256B2/en
Publication of KR20120061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 G03B35/10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having single camera with stereoscopic-base-defining syste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2Stereoscopic photography by sequential recording
    • G03B35/04Stereoscopic photography by sequential recording with movement of beam-selecting members in a system defining two or more view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3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hree or more 2D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1Constructional or 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영상이 통과되는 개구와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복수 개의 렌즈부를 포함한 3차원 촬상 장치에서 가림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개구를 통하여 보여지는 3차원 촬상 장치의 내부가 은폐되는 장치가 제공 된다.

Description

3차원 영상 촬상 장치{Apparatus of Imaging 3 Dimensional Image}
아래의 실시예들은 3차원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림부재를 이용하여 3차원 촬상 장치의 개구를 통하여 보여지는 내부가 은폐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영상 기술은 정보통신, 방송, 의료, 교육 훈련, 군사, 게임,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CAD, 산업 기술 등과 같이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지각하는 입체감은 관찰하고자 하는 물체의 위치에 따른 수정체의 두께 변화 정도, 양쪽 눈과 대상물과의 각도 차이, 그리고 좌우 눈에 보이는 대상물의 위치 및 형태의 차이, 대상물의 운동에 따라 생기는 시차, 그 밖에 각종 심리 및 기억에 의한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긴다.
사람의 두 눈이 가로 방향으로 약 6~7㎝가량 떨어져 위치함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는 입체감의 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양안 시차에 의해 대상물에 대한 각도 차이를 가지고 바라보게 되고, 이 차이로 인해 각각의 눈에 들어오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상을 갖게 되며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 두 개의 정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의 3차원 영상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3차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두 개의 광학 렌즈 시스템을 이용하여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3차원 촬상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촬상 장치는 좌안 렌즈부와 우안 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3차원 촬상 장치로 획득된 3차원 영상의 시차를 보정하기 위해서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상기 우안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되는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상기 우안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되는 상기 3차원 촬상 장치는 상기 영상이 투과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는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상기 우안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되는 거리에 대응하여 오픈되어 있다.
상기 오픈된 개구를 통하여 3차원 촬상 장치의 내부가 보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은 3차원 촬상 장치의 개구를 통하여 보여지는 내부를 은폐하는 가림부재를 구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촬상 장치는 전면에 개구가 구비된 본체; 상기 개구를 통과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는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렌즈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와 연동하여 상기 개구를 통하여 보여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은폐하는 가림부재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렌즈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는 좌안 렌즈부 및 우안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상기 우안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상기 우안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영상의 시차 정보가 제어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보여지는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렌즈부가 차지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은폐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의 옆, 상기 개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 사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의 뒤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가림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구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와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의 이동시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의 이동에 대응하여 복수의 판재들이 서로 겹쳐진 배리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배리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와 연결되어, 상기 렌즈부의 이동시 상기 렌즈부의 이동방향 측에 있는 복수의 판재들은 서로 겹쳐지고, 상기 렌즈부의 이동방향과 반대 측에 있는 복수의 판재들은 펼쳐질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렌즈부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한 주름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주름부재는 상기 렌즈부와 연결되어, 상기 렌즈부의 이동시 상기 렌즈부의 이동방향 측에 있는 주름부재는 겹쳐지고, 상기 렌즈부의 이동방향 반대 측에 있는 주름부재가 펴질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가림부재는 일측이 상기 렌즈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말려지는 롤링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롤링부재는 상기 렌즈부가 일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렌즈부의 이동방향 측이 말려지고, 상기 렌즈부의 이동방향 반대 측이 풀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촬상 장치는 전면에 개구가 구비된 본체; 상기 개구를 통과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는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렌즈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개구를 통하여 보여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은폐하는 가림부재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렌즈부의 뒤에 위치하고,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된 가림막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가림막은 상기 렌즈부와 연결되는 기구가 통과하도록 상기 가림부재에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가림부재를 이용하여 3차원 촬상 장치의 개구를 통하여 보여지는 내부가 은폐되는 기술이 제공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촬상 장치의 사시도 및 구성도이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개구를 구비한 3차원 촬상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재가 좌안 렌즈부 및 우안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과 연동하여 본체의 내부를 은폐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재가 좌안 렌즈부 및 우안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과 연동하여 본체의 내부를 은폐하는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촬상 장치의 사시도 및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차원 촬상 장치(100)는 렌즈부(110), 렌즈 구동부(120), 가림부재(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렌즈부(110)는 빛을 검출하는 광센서, 또는 광센서에서 생긴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10)는 여러 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렌즈부(110)는 줌렌즈 역할도 병행할 수 있다.
렌즈부(110)로 입사된 빛은 센서(미도시)에서 수집되고, 상기 수집된 빛은 제어부(140)의 조정에 의해 표시부(미표시)에 3차원 영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렌즈부(110)는 여러 개의 렌즈로 형성된 렌즈셋(Lens-set)을 포함하는 싱글 렌즈이거나,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를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이거나, 또는 여러 개의 렌즈셋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싱글 렌즈인 경우는 상기 싱글 렌즈의 내부에 영상을 나누는 빔스플리터(beam-splitter)와 상기 영상을 수집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스플리터와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렌즈부(110)가 상기 좌안 렌즈부와 상기 우안 렌즈부로 형성된 경우는, 상기 좌안 렌즈부는 좌안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우안 렌즈부는 우안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수집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3차원 영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렌즈 구동부(120)는 액츄에이터(actuator), 샤프트(shaft), 및 위치센서(position-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부(120)는 3차원 영상의 시차를 조정하기 위한 렌즈부(110)의 이동을 조정할 수 있고, 렌즈부(110)가 허용범위 내에 있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렌즈 구동부(120)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샤프트에 지지된 렌즈(110)가 상기 샤프트가 나열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렌즈 구동부(120)는 상기 위치센서를 이용하여 렌즈부(110)의 이동량, 또는 렌즈부(11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가림부재(130)는 3차원 촬상 장치(100)에 있을 수 있으며, 렌즈부(110)의 이동과 연동될 수 있다.
가림부재(130)는 3차원 촬상 장치(100)에 있을 수 있으며, 렌즈부(110)의 이동과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가림부재(130)는 3차원 촬상 장치(100)의 개구(미도시)을 통하여 보여지는 내부를 은폐할 수 있다.
상기 개구는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면에 위치하며, 렌즈부(110)는 상기 개구의 뒤에 위치하여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렌즈 구동부(120)에서 얻은 3차원 영상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최상의 3차원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렌즈 구동부(120)에 신호를 보내어 렌즈부(1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동작, 제스처, 또는 입력 신호에 따라서 가림부재(1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서 3차원 촬상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고, 렌즈부(110)을 통해 획득된 3차원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획득된 3차원 영상을 나타낼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 또는 항목을 선택하는 문구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표시부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의 신호, 또는 선택 항목의 신호가 제어부(140)로 보내지고, 제어부(140)는 상기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3차원 촬상 장치(10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개구(240)를 구비한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단면을 나타낸 구조이다.
도 2 (a)는 영상이 3차원 촬상 장치(100)으로 입사되는 광축 방향에서 바라본, 즉 앞에서 바라본,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단면을 나타낸 전면 구조이다.
도 2 (b)는 상기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본, 즉 위에서 바라본,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단면을 나타낸 평면 구조이다.
3차원 촬상 장치(100)는 본체(200), 좌안 렌즈부(210), 우안 렌즈부(220), 좌측 개구(230) 및 우측 개구(2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점선(250)에는 상기 가림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좌안 렌즈부(210)는 좌안 영상을 수집하고, 우안 렌즈부(220)는 우안 영상을 수집하여, 상기 수집된 좌안 영상과 상기 수집된 우안 영상이 서로 겹쳐진 3차원 영상은 3차원 촬상 장치(100)을 통하여 나타날 수 있다.
액츄에이터(미도시)는 좌안 렌즈부(210) 및 우안 렌즈부(220)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체(200)는 상기 액츄에이터 및 샤프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좌안 렌즈부(210) 및 우안 렌즈부(22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샤프트에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운동을 좌안 렌즈부(210) 및 우안 렌즈부(22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샤프트에 지지되어 직선운동하기 위해서 본체(200)에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중 하나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좌안 렌즈부(210) 및 우안 렌즈부(22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액츄에이터을 통하여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 사이의 시차를 조정할 수 있다.
좌안 렌즈부(210)와 우안 렌즈부(220) 사이의 거리 조정이 가능하여 좌안 렌즈부(210)와 우안 렌즈부(220)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의 시차가 조정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좌안 렌즈부(210)와 우안 렌즈부(22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림부재는 우측 개구(240)의 상, 우안 렌즈(220)의 옆, 우측 개구(240)과 우안렌즈(220) 사이, 또는 우안 렌즈(220)의 뒤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림부재는 신축성 및 탄력성이 있는 재질이나, 빛을 흡수하는 검은 계열의 재질일 수 있다.
상기 가림부재는 광축으로 본체(200)을 바라볼 때 우안 렌즈부(220)을 제외한 우측 개구(240)을 통하여 본체(200)의 내부가 보여지는 부분을 가릴 수 있다.
상기 가림부재는 우안 렌즈(220)의 이동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고, 상기 가림부재는 우안 렌즈(220)의 이동과 별개로 동작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가림부재는 우안 렌즈(220)과 연결되어 우안 렌즈(220)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되거나, 늘어나거나, 또는 줄어들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가림부재는 우안 렌즈(220)과 독립적으로 본체(200)에 설치되어, 우안 렌즈(220)의 이동과 무관하게 우측 개구(240)의 일부분을 은폐할 수 있다.
좌측 개구(230) 및 우측 개구(240) 중 적어도 하나는 투과창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과창은 유리, 투명 플라스틱, 아크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빛의 편광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투과창은 자체적으로 빛을 차단하여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외부에서 내부는 보이지 않으나,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내부에서 외부는 보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우측 개구(240)을 통하여 본체(200)의 내부는 보여지지 않으나, 좌안 렌즈부(210)과 우안 렌즈부(220)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도 2는 우안 렌즈부(220)의 이동에 대응하여 우측 개구(240)이 길어진 형성이나, 본체(200)의 구조에 따라서 좌안 렌즈부(210)의 이동에 대응하여 좌측 개구(230)이 길어질 수 있다.
또한, 좌안 렌즈부(210)과 우안 렌즈부(220)가 이동되는 경우, 좌측 개구(230)은 좌안 렌즈부(210)의 이동에 대응하여 길어지고 우측 개구(240)은 우안 렌즈부(220)의 이동에 대응하여 길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봐와 같이, 좌안 렌즈(미도시)와 좌안 센서(미도시)로 구성된 좌안 렌즈부(210)와 우안 렌즈(미도시)와 우안 센서(미도시)로 구성된 우안 렌즈부(220)는 서로 일정한 거리로 떨어져 있다.
좌안 렌즈부(210)과 우안 렌즈부(220) 사이의 거리는 카메라 간격(inter camera distance; ICD)이라 한다.
상기 좌안 센서는 상기 좌안 렌즈을 통하여 입사되는 좌안 영상을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안 센서에서 수집된 상기 좌안 영상은 제어부(140)에서 제어된다.
상기 우안 센서는 상기 우안 렌즈을 통하여 입사되는 우안 영상을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우안 센서에서 수집된 상기 우안 영상은 제어부(140)에서 제어된다.
실시간으로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이 획득되고, 제어부(140)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은 실시간으로 상기 표시부에 나타난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좌안 렌즈부(2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우안 렌즈부(22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좌안 렌즈부(210), 또는 우안 렌즈부(220)의 이동 중 또는 이동 이후 정지 후 3차원 촬상 장치(100)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카메라 간격을 통하여 피로감이 적고 입체감이 좋은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정지 영상의 경우에는 조정된 상기 카메라 간격에서 촬영되고, 동영상의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 간격이 고정될 수도 있고, 장면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액츄에이터가 조정되어 상기 카메라 간격이 변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 간격의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3차원 촬상 장치(100)에서 상기 카메라 간격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의 색깔, 자동노출(auto exposure, AE), 자동화이트발랜스(auto white balance, AWB), 또는 기하학적인 차이를 최소화하여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으로 3차원 영상을 구현시 자연스러운 상기 3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에서 최대시차, 최소시차, 특정 오브젝트의 시차, 또는 특징점을 계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피로감이 적으면서도 입체감이 좋게 상기 3차원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좌안 렌즈부(210)과 우안 렌즈부(220)를 갖는 3차원 촬상 장치(100)에서 렌즈의 차이, 센서의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영상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한쪽의 영상을 기준으로 다른 쪽 영상을 신호 처리를 이용하여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좌안 렌즈부(210)과 우안 렌즈부(220) 각각에 포함된 렌즈의 차이, 또는 센서의 차이와 같은 기하학적 차이로 인해,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 사이에서 특징점의 어긋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좌안 렌즈부(210)과 우안 렌즈부(220)의 줌 차이에 따라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의 크기 차이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기하학적인 차이는 2차원 촬상 장치에서는 발생하기 어렵고 3차원 촬상 장치에서 많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기하학적인 차이가 작을 수록 영상의 피로감이 적고 입체감이 늘어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 사이의 시프트, 크롭(crop), 크기변환(resize), 또는 회전변환 (affine transformation) 등을 이용하여 상기 기하학적인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좌안 렌즈부(210)와 우안 렌즈부(220)는 사람의 눈의 역할과 비슷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사람의 좌안, 또는 우안에 각각 맺히는 상은 뇌에서 합성되어 3차 효과를 상기 사람은 인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3차원 촬상 장치(100)는 상기 사람의 좌안, 또는 상기 사람의 우안에 해당하는 좌안 렌즈부(210)와 우안 렌즈부(2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좌안 렌즈부(210)를 통하여 좌안 영상을 수집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우안 렌즈부(220)를 통하여 우안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수집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상기 표시부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원리는 상기 사람의 좌안에 해당하는 영상은 좌안에만 상기 사람의 우안에 해당하는 영상은 우안에만 보이게 하는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은 사람의 뇌에서 합성되며, 상기 사람은 상기 합성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마치 실제의 3차원 영상을 보는 것과 유사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으로부터 입체감을 느끼게 되는 원인 중의 하나는 시차(disparity, parallax) 때문이다.
시차란 좌안 렌즈부(210)와 우안 렌즈부(220)의 위치가 동일하지 않고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시점(view-point)의 차이가 생기기 때문이다.
즉, 동일한 오브젝트가 상기 좌안 센서와 상기 우안 센서에 맺히는 상(image)들의 위치가 서로 차이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먼 오브젝트는 시차가 작게, 가까운 오브젝트는 시차가 크게 발생한다.
제어부(140)는 이러한 시차 정보를 계산하여 피로감이 적으면서도 입체감이 좋은 3차원 영상을 처리 할 수 있다.
3차원 촬상 장치(100)는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좌안 센서, 또는 상기 우안 렌즈와 상기 우안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3차원 촬상 장치(100)는 상기 좌안 렌즈, 또는 상기 우안 렌즈 중 하나의 렌즈와 두 개의 상기 좌안 센서와 상기 우안 센서로 공용될 수 있다.
3차원 촬상 장치(100)는 상기 좌안 렌즈, 또는 상기 우안 렌즈 중 하나의 렌즈와 상기 좌안 센서, 또는 상기 우안 센서 중 하나의 센서를 공용으로 구성될 수 도 있다.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가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여 3차원 영상의 시차를 최소화하여 입체감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시차와 함께 입체감에 중요한 요소의 다른 하나는 폭주(convergence) 이다.
상기 폭주는 3차원 영상 내에 있는 오브젝트에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가 포커싱되는 것이다.
상기 오브젝트에 폭주가 맞춰지면 상기 오브젝트의 포인트가 폭주점이 되고,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 사이의 이루는 각이 폭주각이 된다.
상기 폭주점(convergence point)은 상기 시차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말하는 것으로, 3차원 촬상 장치(100)로 3차원 영상을 볼 때에 상기 좌안 렌즈과 상기 우안 렌즈가 포커싱되는 오브젝트의 위치가 상기 폭주점이 된다.
상기 폭주각(convergence angle)은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사이가 이루고 있는 각도이다. 일반적으로 먼 오브젝트에서 상기 각도는 작고, 가까운 오브젝트에서 상기 각도는 크다.
제어부(140)는 상기 각도 정보를 계산하여 오브젝트의 거리를 처리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입체감을 계산할 수 있다.
오브젝트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시차값이 최소가 될수록 상기 오브젝트의 3차원 영상은 피로감이 줄고 입체감이 좋아질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가 폭주점이 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의 시차값이 0이 되고, 상기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는 상기 표시부 상에 온다.
상기 가림부재를 갖는 3차원 촬상 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3차원 촬상 장치(100)의 전원이 켜지고, 좌안 렌즈부(210)와 우안 렌즈부(220)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의 시차를 검색한다.
상기 시차에 따라서 우안 렌즈부(220)가 이동될 거리를 계산한다.
우안 렌즈부(220)가 상기 계산된 이동 거리만큼 이동되고, 우안 렌즈부(220)와 연결된 상기 가림부재는 우안 렌즈부(22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우측 개구(240)를 통하여 보여지는 본체(200)의 내부를 가린다.
우안 렌즈부(220)의 이동 후 3차원 촬상 장치(100)로 최종 영상을 찍는다.
상기 최종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나타낸다.
우안 렌즈부(220)과 상기 가림부재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우안 렌즈부(220)과 상기 가림부재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림부재(300)는 적어도 일부분이 우측 개구(24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플레이트(Plate)일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의 일부분은 우측 개구(240)의 형상과 동일하면, 상기 플레이트의 일부분으로 우측 개구(240)을 가릴 수 있다.
가림부재(300)는 우안 렌즈부(310)의 양 옆에 위치하거나, 영상을 수집하는 방향의 반대편인 우안 렌즈부(310)의 뒤에 위치할 수 있다.
가림부재(300)가 우안 렌즈부(310)의 양 옆에 연결되어 우안 렌즈부(310)의 양 옆에 위치하는 경우, 우안 렌즈부(310)의 이동에 따라서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가림부재(300)는 우안 렌즈부(310)의 이동량만큼 우측 또는 좌측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영상의 시차를 기초로 우안 렌즈부(310)가 이동될 경우, 가림부재(300)도 같이 이동될 수 있다.
가림부재(300)의 이동으로 우측 개구(240)를 통하여 보여지는 본체(200)의 내부를 가릴 수 있다.
가림부재(300)가 우안 렌즈부(310)의 뒤에 위치하고 본체(200)와 연결된 경우, 우안 렌즈부(310)의 이동과 별개로 작동할 수 있다.
가림부재(300)는 우측 렌즈부(310)과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우안 렌즈부(310)의 이동과 별개로 가림부재(300)는 이동될 수 있다.
우측 렌즈부(310)에 이용되는 모터와 가림부재(300)에 이용되는 모터를 서로 달리하여 상기 별개로 가림부재(3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가림부재(300)가 우안 렌즈부(310)의 뒤에 연결되어 우안 렌즈부(310)의 뒤에 위치하는 경우, 우안 렌즈부(310)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우안 렌즈부(310)의 이동, 또는 우안 렌즈부(310)의 이동과 연동하는 가림부재(3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림부재(400)는 복수의 판재들이 서로 겹쳐져서 형성된 배리어(barrier)일 수 있다.
상기 배리어는 좌측 배리어(420)과 우측 배리어(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는 우안 렌즈부(410)과 연결되어, 우안 렌즈부(410)가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 우안 렌즈부(410)가 이동하는 방향에 있는 복수의 판재들은 서로 겹치지고, 우안 렌즈부(410)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있는 복수의 판재들은 서로 이동하여 서로 펼쳐질 수 있다.
즉, 우안 렌즈부(410)이 좌측으로 이동시 우안 렌즈부(410)의 이동과 연동하여 좌측 배리어(420)는 복수의 판재들이 서로 겹쳐져서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우안 렌즈부(410)이 우측으로 이동시 우안 렌즈부(410)의 이동과 연동하여 우측 배리어(430)는 겹쳐진 복수의 판재들이 서로 이동하여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좌측 배리어(420)의 한쪽 끝부분은 우안 렌즈부(410)와 연결되고, 다른 끝부분은 본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우측 배리어(430)의 한쪽 끝부분은 우안 렌즈부(410)와 연결되고, 다른 끝부분은 본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우안 렌즈부(410)의 이동과 연동하여 좌측 배리어(420)과 우측 배리어(430)가 서로 이동되어 우측 개구(240)을 통하여 보여지는 본체(200)의 내부가 은폐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우안 렌즈부(410)의 이동, 또는 우안 렌즈부(410)의 이동과 연동하는 좌측 배리어(420) 및 우측 배리어(4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림부재(500)는 신축 가능한 주름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신축 가능한 주름 부재는 천, 고무 등 부드러운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주름부재는 좌측 주름부재(520) 및 우측 주름부재(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름부재는 우안 렌즈부(510)와 연결되어, 우안 렌즈부(510)가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 우안 렌즈부(510)가 이동하는 방향에 있는 주름부재는 겹치지고, 우안 렌즈부(510)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있는 주름부재가 펴질 수 있다.
즉, 우안 렌즈부(51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 좌측 주름부재(520)의 주름은 겹치질 수 있고, 우안 렌즈부(51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 우측 주름부재(530)의 주름은 펴질 수 있다.
상기 주름부재는 우안 렌즈부(510)의 이동과 연동하여 좌측 주름부재(520)와 우측 주름부재(530)의 작동하여 우측 개구(240)을 통하여 보여지는 본체(200)의 내부가 은폐될 수 있다.
좌측 주름부재(520)의 한쪽 끝부분은 우안 렌즈부(510)와 연결되고, 다른 끝부분은 본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우측 주름부재(530)의 한쪽 끝부분은 우안 렌즈부(510)와 연결되고, 다른 끝부분은 본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우안 렌즈부(510)의 이동, 또는 우안 렌즈부(510)의 이동과 연동하는 좌측 주름부재(520) 및 우측 주름부재(5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림부재(600)는 휘어지는 재질이 원형으로 말려있는 롤링부재(rolling)일 수 있다.
상기 롤링부재는 좌측 롤링부재(620)과 우측 롤링부재(6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롤링부재(620) 및 우측 롤링부재(630)는 각각 말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링부재는 우측 렌즈부(610)와 연결되어, 우측 렌즈부(610)가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 우측 렌즈부(610)가 이동하는 방향에 있는 롤링부재는 원형으로 말려지고, 우측 렌즈부(610)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있는 원형으로 말려있는 롤링 부재는 풀려질 수 있다.
즉, 우측 렌즈부(61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 좌측 롤링부재(620)의 휘어지는 재질은 원형으로 말려질 수 있고, 우측 렌즈부(61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 우측 롤링부재(630)의 휘어지는 재질은 풀려질 수 있다.
상기 롤링부재는 우안 렌즈부(610)의 이동과 연동하여 좌측 롤링부재(620)와 우측 롤링부재(630)의 작동으로 우측 개구(240)을 통하여 보여지는 본체(200)의 내부가 은폐될 수 있다.
좌측 롤링부재(620)의 한쪽 끝부분은 우안 렌즈부(510)와 연결되고, 다른 끝부분은 본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우측 롤링부재(630)의 한쪽 끝부분은 우안 렌즈부(510)와 연결되고, 다른 끝부분은 본체(2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우안 렌즈부(610)의 이동, 또는 우안 렌즈부(610)의 이동과 연동하는 좌측 롤링부재(620) 및 우측 롤링부재(6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림부재(70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된 가림막일 수 있다.
상기 가림막은 우안 렌즈부(710)의 뒤에 위치하고 본체(200)에 연결될 경우, 상기 가림막은 우안 렌즈부(710)와 독립적으로 본체(200)의 내부를 은폐할 수 있다.
즉, 상기 가림막은 우안 렌즈부(710)와 연결되지 않고 우안 렌즈부(710)으로 영상을 회득하는 방향과 반대편인 우안 렌즈부(710)의 뒤에 위치하여, 본체(200)의 내부를 은폐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가림막은 우안 렌즈부(710)의 뒤와 연결되어 우안 렌즈부(710)의 이동과 연계하여 본체(200)의 내부를 은폐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가림막의 한쪽 끝부분은 우안 렌즈부(410)와 연결되고, 다른 끝부분은 본체(200)에 연결되어 상기 가림막은 우안 렌즈부(710)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우안 렌즈부(710)의 이동, 또는 우안 렌즈부(710)의 이동과 연동하는 상기 가림막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가림부재(700)과 마찬가지로, 가림부재(80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된 가림막일 수 있다.
상기 가림막은 우안 렌즈부(810)의 뒤에 위치하여 우안 렌즈부(810)와 독립적으로 본체(200)의 내부를 은폐할 수 있다.
즉, 상기 가림막은 우안 렌즈부(810)와 연결되지 않고 우안 렌즈부(810)으로 영상을 회득하는 방향과 반대편인 우안 렌즈부(810)의 뒤에 위치하여, 본체(200)의 내부를 은폐할 수 있다.
상기 가림막은 우안 렌즈부(810)와 연결되는 기구가 통과하도록 슬릿(820)이 형성될 수 있다.
우안 렌즈부(810)과 우안 렌즈부(810)을 지지하는 기구는 슬릿(820)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가림막은 본체(2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막은 우안 렌즈부(810)의 뒤에 고정되어 우측 개구(240)을 통하여 보여지는 본체(200)의 내부를 은폐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우안 렌즈부(8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재(940)가 좌안 렌즈부(910) 및 우안 렌즈부(92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과 연동하여 본체(900)의 내부를 은폐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체(900)는 좌안 렌즈부(910), 우안 렌즈부(920), 개구(930) 및 가림부재(9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림부재(940)는 상기 신축 가능한 주름 부재일 수 있다.
도 9 (a)는 좌안 렌즈부(910)는 고정되고, 우안 렌즈부(920)는 좌안 렌즈부(9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림부재(940)는 우안 렌즈부(920)와 연결되어 우안 렌즈부(92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b)는 좌안 렌즈부(910)는 고정되고, 우안 렌즈부(920)는 좌안 렌즈부(910)와 멀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림부재(940)는 우안 렌즈부(920)와 연결되어 우안 렌즈부(92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a)와 (b)를 참조하면, 우안 렌즈부(920)과 연결된 가림부재(940)은 우안 렌즈부(920)의 이동 방향으로 가림부재(940)가 늘어날 수 있고, 우안 렌즈부(92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림부재(940)가 줄어들 수 있다.
가림부재(940)는 신축성이 존재하여, 우안 렌즈부(920)의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고 쉽게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개구(930)을 통하여 보여지는 본체(900)의 내부를 가릴 수 있다.
도 9 (a)와 (b)는 우안 렌즈부(920)의 이동과 우안 렌즈부(920)과 연동하는 가림부재(940)의 일례를 나타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체(900)의 구조에 따라서 좌안 렌즈부(910)가 이동할 경우, 좌안 렌즈부(910)과 연동하는 가림부재(940)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본체(900)의 구조에 따라서 좌안 렌즈부(910)의 이동과 좌안 렌즈부(910)과 연동하는 가림부재(940) 및 우안 렌즈부(920)의 이동과 우안 렌즈부(920)과 연동하는 가림부재(9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가림부재(1040)가 좌안 렌즈부(1010) 및 우안 렌즈부(1020)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과 연동하여 본체(1000)의 내부를 은폐하는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체(1000)는 좌안 렌즈부(1010), 우안 렌즈부(1020), 개구(1030) 및 가림부재(10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림부재(1040)는 복수의 플레이트들이 서로 겹쳐져서 형성된 배리어(barrier)일 수 있다.
도 10 (a)는 좌안 렌즈부(1010)는 고정되고, 우안 렌즈부(1020)는 좌안 렌즈부(10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림부재(1040)는 우안 렌즈부(1020)와 연결되어 우안 렌즈부(102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b)는 좌안 렌즈부(1010)는 고정되고, 우안 렌즈부(1020)는 좌안 렌즈부(1010)와 멀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가림부재(1040)는 우안 렌즈부(1020)와 연결되어 우안 렌즈부(102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a)와 (b)를 참조하면, 우안 렌즈부(1020)가 좌안 렌즈부(10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 가림부재(1040)은 좌안 렌즈부(10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우안 렌즈부(1020)가 좌안 렌즈부(10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 가림부재(1040)은 좌안 렌즈부(10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즉, 가림부재(1040)는 우안 렌즈부(1020)의 일부분에 연결되어 우안 렌즈부(1020)의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우안 렌즈부(1020)의 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펼쳐지는 가림부재(1040)를 이용하여 개구(1030)을 통하여 보여지는 본체(1000)의 내부를 가릴 수 있다.
본체(1000)의 구조에 따라서 좌안 렌즈부(1010)의 이동과 좌안 렌즈부(1010)과 연동하는 가림부재(1040)의 다른 일례도 나타낼 수 있다.
본체(1000)의 구조에 따라서 좌안 렌즈부(1010)의 이동과 좌안 렌즈부(1010)와 연동하는 가림부재(1040) 및 우안 렌즈부(1020)의 이동과 우안 렌즈부(1020)와 연동하는 가림부재(1040)의 다른 일례도 나타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3차원 촬상 장치 110 : 렌즈부
120 : 렌즈 구동부 130 : 가림부재
140 : 제어부

Claims (19)

  1. 3차원 촬상 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개구가 구비된 본체;
    상기 개구를 통과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는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렌즈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와 연동하여 상기 개구를 통하여 보여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은폐하는 가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보여지는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렌즈부가 차지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은폐하는 3차원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이동되는,
    3차원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는 좌안 렌즈부 및 우안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상기 우안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는,
    3차원 촬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렌즈부 및 상기 우안 렌즈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영상의 시차 정보가 제어되는,
    3차원 촬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3차원 촬상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의 옆, 상기 개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 사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의 뒤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3차원 촬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구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3차원 촬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와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의 이동시 함께 움직이는,
    3차원 촬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의 이동에 대응하여 복수의 판재들이 서로 겹쳐진 배리어로 형성되는,
    3차원 촬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와 연결되어, 상기 렌즈부의 이동시 상기 렌즈부의 이동방향 측에 있는 복수의 판재들은 서로 겹쳐지고, 상기 렌즈부의 이동방향과 반대 측에 있는 복수의 판재들은 펼쳐지는,
    3차원 촬상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렌즈부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한 주름 부재로 형성되는,
    3차원 촬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재는 상기 렌즈부와 연결되어, 상기 렌즈부의 이동시 상기 렌즈부의 이동방향 측에 있는 주름부재는 겹쳐지고, 상기 렌즈부의 이동방향 반대 측에 있는 주름부재가 펴지는,
    3차원 촬상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재는 일측이 상기 렌즈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말려지는 롤링부재로 형성되는,
    3차원 촬상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재는 상기 렌즈부가 일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렌즈부의 이동방향 측이 말려지고, 상기 렌즈부의 이동방향 반대 측이 풀려지는,
    3차원 촬상 장치.
  16. 3차원 촬상 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개구가 구비된 본체;
    상기 개구를 통과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는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렌즈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개구를 통하여 보여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은폐하는 가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보여지는 상기 본체의 내부 중 상기 렌즈부가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은폐하는 3차원 촬상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렌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부를 이동시키는
    3차원 촬상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렌즈부의 뒤에 위치하고,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된 가림막인,
    3차원 촬상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렌즈부와 연결되는 기구가 통과하도록 상기 가림부재에 슬릿이 형성되는
    3차원 촬상 장치.
KR1020100122841A 2010-12-03 2010-12-03 3차원 영상 촬상 장치 KR101753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841A KR101753608B1 (ko) 2010-12-03 2010-12-03 3차원 영상 촬상 장치
US13/309,189 US10162256B2 (en) 2010-12-03 2011-12-01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three dimensional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841A KR101753608B1 (ko) 2010-12-03 2010-12-03 3차원 영상 촬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506A KR20120061506A (ko) 2012-06-13
KR101753608B1 true KR101753608B1 (ko) 2017-07-05

Family

ID=4616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841A KR101753608B1 (ko) 2010-12-03 2010-12-03 3차원 영상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62256B2 (ko)
KR (1) KR1017536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6434A (ko) * 2010-11-25 2012-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영상 촬상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932A (ja) * 1999-08-23 2001-03-06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のピント調整装置
US20100188516A1 (en) * 2009-01-28 2010-07-29 Olympus Imaging Corp. Image pickup apparatus and camera shake correcting apparatus applied to image pickup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1808B2 (ja) 1994-10-18 1998-03-04 稔 稲葉 ステレオカメラ
FI115947B (fi) * 2004-02-25 2005-08-15 Nokia Corp Elektroninen laite ja menetelmä elektronisessa laitteessa kuvainformaation muodostamiseksi sekä ohjelmatuote menetelmän toteuttamiseksi
JP4931668B2 (ja) * 2007-03-29 2012-05-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複眼撮像装置
CN101290465B (zh) * 2007-04-20 2010-06-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指纹辨识功能的镜头模组及相应的便携式电子装置
KR20090130719A (ko) 2008-06-16 2009-12-24 주식회사바텍 토모그래피 영상획득방법
JP4763827B2 (ja) * 2009-11-26 2011-08-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複眼撮像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932A (ja) * 1999-08-23 2001-03-06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のピント調整装置
US20100188516A1 (en) * 2009-01-28 2010-07-29 Olympus Imaging Corp. Image pickup apparatus and camera shake correcting apparatus applied to image pickup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62256B2 (en) 2018-12-25
US20120140045A1 (en) 2012-06-07
KR20120061506A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9255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275778B1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US9106906B2 (en) Image generation system, image generation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6122549B2 (ja) 三次元画像表示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JP5834177B2 (ja) 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立体視メガネ
CN205195880U (zh) 观看设备及观看系统
JP201124869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ならびに撮像装置
JP4819114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
TWI520574B (zh) 三維影像裝置和用於顯示影像的方法
KR102082781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7589845B (zh) 一种显示系统
JPH03292093A (ja) 3次元表示装置
CN102903090A (zh) 全景立体图像合成方法、装置、系统和浏览装置
JP5530322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H09238369A (ja) 3次元像表示装置
KR101670328B1 (ko) 다중 실시간 영상 획득 카메라를 통한 실감영상표출장치 및 이를 통한 영상 제어 인식방법
KR101753608B1 (ko) 3차원 영상 촬상 장치
KR20200043483A (ko) 컴퓨터 장치에서 이미지를 수정하는 방법
JP2003107392A (ja) 頭部位置追従型立体映像表示装置
JPH06235885A (ja) 立体映像表示装置
WO2011086890A1 (ja) 鏡筒アダプタ、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H11155154A (ja) 立体映像処理装置
KR101085586B1 (ko) 가변형 배리어패널을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6295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컨텍스트 디스플레이와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WO2013046833A1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視差調整表示方法並びに画像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