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040A - 조립식 양액베드 - Google Patents

조립식 양액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040A
KR20120056040A KR1020100117547A KR20100117547A KR20120056040A KR 20120056040 A KR20120056040 A KR 20120056040A KR 1020100117547 A KR1020100117547 A KR 1020100117547A KR 20100117547 A KR20100117547 A KR 20100117547A KR 20120056040 A KR20120056040 A KR 20120056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solution bed
groove
bed body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8356B1 (ko
Inventor
박태근
Original Assignee
박태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근 filed Critical 박태근
Priority to KR1020100117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35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60Apparatus for preparing growth substrates or culture med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양액재배용 베드에 관한 것으로, 상부, 전면부 및 후면부가 개구되어 양 측벽과 저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부의 중심부에 상면에서 하향으로 절곡된 배수판안치부(110)가 일정 너비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측벽 양단의 내면에 세로 방향으로 차단벽삽입홈(130)이 형성되어 있는 양액베드본체(100)와; 상기 배수판안치부(110)에 삽입되며, 상면에는 배수홈(2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는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수판안치부(110)의 저면을 지지하는 배수판다리(220)가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배수판(200); 및 상기 차단벽삽입홈(130)에 삽입되어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폐쇄하는 판 형상의 본체차단벽(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액배드본체(100)의 측벽에 구비되는 투수지완용홈(120)과 상기 양액배드본체(100)의 배수판안치부(110)에 안치되는 제1 및 제2 배수홈이 형성된 배수판(200)을 구비하여 원활한 급배수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재배 식물의 생육환경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립식 양액베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양액베드{Assembly Bed for solution culture}
본 발명은 조립식 양액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작물이 생장하는 데 필요한 양분을 양액을 통하여 공급하는 양액재배에 사용되는 양액베드에 있어서, 양액베드본체와 배수판, 본체차단벽 등으로 나누어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상기 양액베드본체와 배수판 등에 각종 홈을 형성하여 양액이 원활하게 급배수될 수 있도록 하며, 각종 작물이 용이하게 생장할 수 있도록 줄기나 잎 등을 지지해주는 줄기지지구가 구비되어 있는 조립식 양액베드에 관한 것이다.
양액재배란 용액재배(solution culture)라고도 하며,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는 것과 별개로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암면, 경석, 훈탄(燻炭), 톱밥, 자갈, 모래 등으로 만든 고형배지(固形培地)를 이용하여 작물이 생육하는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하여 작물을 생육하는 재배법을 말한다. 이는 무토양재배를 원칙으로 하며, NFT(nutrient film technique)나 담액수경(湛液水耕), 분무경(噴霧耕), 모관수경(毛管水耕) 등과 같은 수경재배가 여기에 포함된다. 또는 탱크농법(tank farming), 베드농법(bed farming)이라고도 한다.
양액재배는 단기간에 많은 양의 작물을 수확할 수 있고 토양재배와 비교하여 자연환경의 지배를 훨씬 덜 받기 때문에 농경이 불가능한 곳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다. 그러나 많은 자본이 필요하고, 일단 병원균이 침투하면 단기간에 전염되며 작물에 대한 세심한 영양관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경부터 양액재배가 시작되어 1985년에는 재배면적이 4ha에 이르렀으며 1994년에는 59.5ha에 달하였다. 그 가운데 70% 정도는 고형배지를 이용하는 것이며, 30% 정도는 담액수경재배 방식을 취한 것이다. 해당 작물은 오이토마토방울토마토고추 등의 과채류, 상추미나리앤다이브잎파들깨 등의 엽채류, 장미거베라국화카네이션 등의 화훼류이다. 재배방식은 1990년을 전후하여 이전에는 NFT, 역경재배(礫耕栽培), 훈탄재배 등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그 후부터는 NFT를 제외하고는 암면재배, 펄라이트재배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이러한 양액재배를 구현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기술은 각종 작물의 생육에 유효한 양액 성분의 조성, 병원균의 감염 관리, 그리고 양액의 공급과 작물의 생육을 원활이 할 수 있는 양액베드 등이다.
종래의 양액베드는 일반적으로 판상의 육묘상자에 양액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관배수 라인을 도입한 것이 대부분인데, 이러한 종래의 양액베드는 대부분 스티로폼 등의 재질로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파손의 위험이 높았고, 일부분에 파손이 있는 경우에도 양액베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며, 세척 등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도 양액베드 전체를 유지 및 보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양액베드는 급배수 시스템이 원활하지 않아 영양분이 용이하게 작물에 공급되지 못하여 작물의 생육이 위축되거나, 양액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오염 등으로 병원균에 쉽게 노출되어 감염 등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양액베드는 각종 작물이 생장함에 따라 그 크기가 커지더라도 올바른 방향으로 생장하도록 유도할 수가 없어, 줄기나 잎이 중구난방으로 비효율적으로 뻗어 나가게 되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액베드를 세척하는 등의 관리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파손이나 고장 등이 발생함에 있어서 대응이 용이하도록 각종 구성품이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양액베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배 작물에 양액이 충분히 공급되고 원활히 순환되어 작물에 유용한 생육환경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급배수용 홈 등과 같은 효율적인 급배수 구조가 구현되어 있는 조립식 양액베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배 작물이 생장하여 줄기가 뻗어나가고 잎이 무성해짐에 따라 골고루 올바르게 생장할 수 있도록, 줄기나 잎을 지지하여 주고 생장 방향을 유도하여 주는 지지줄과 지지구 등이 구비된 조립식 양액베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액베드 내에 위치하는 고형배지의 상태나 양액의 순환이나 급배수 상태 등을 관찰하여 재배 작물의 생육환경이 최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에서 양액베드본체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관찰용 창문이 구비된 조립식 양액베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립식 양액베드는, 상부, 전면부 및 후면부가 개구되어 양 측벽과 저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부의 중심부에 상면에서 하향으로 절곡된 배수판안치부(110)가 일정 너비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측벽 양단의 내면에 세로 방향으로 차단벽삽입홈(130)이 형성되어 있는 양액베드본체(100)와; 상기 배수판안치부(110)에 삽입되며, 상면에는 배수홈(2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는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수판안치부(110)의 저면을 지지하는 배수판다리(220)가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배수판(200); 및 상기 차단벽삽입홈(130)에 삽입되어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폐쇄하는 판 형상의 본체차단벽(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양 측벽 내면에 상단에서 하단까지 만곡을 이루며 연통되는 투수지완용홈(12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양 측벽 내면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통되는 만곡 상에 변곡점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양 측벽 각각의 상면에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일정 깊이의 줄기지지구 삽입홈(16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줄기지지구 삽입홈(160)의 단면에 대응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줄기지지구 삽입홈(160)에 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삽입부(420)와, 상기 삽입부(420)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에 수평으로 좌우로 관통되어 있는 걸이용홈(43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410)로 이루어지는 줄기지지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줄기지지구(400)의 지지부(410)는 상기 걸이용홈(430)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면을 상면으로 하여 만곡을 이루도록 구성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수판(200)의 배수홈(210)은 상기 배수판(2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측과 타측을 연통하는 제1 배수홈(211)과, 상기 배수판(200)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측과 하측을 연통하는 제2 배수홈(212)으로 구성되어 양액의 급배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양 측벽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되, 하면에는 상기 각 측벽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오목 홈이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는 본체날개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파이프 등과 같은 외부 지지체에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저부 하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통되어 있는 하단거치용홈(15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여 파이프 등과 같은 외부 지지체 위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측벽에는 외측과 내측을 관통하여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의 폭보다 넓으며 일정 두께를 가지는 윈도우삽입홈(170)이 측벽의 상면에서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윈도우삽입홈(170)에 삽입되어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측벽에 형성된 통공을 폐쇄하는 투명한 재질의 원형 또는 다각형의 박판 형상을 이루는 투시용 윈도우(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외부에서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측벽에 형성된 통공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측벽의 외측에서 통공에 삽입되어 완전히 폐쇄하는 불투명 재질의 윈도우덮개(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평상시에는 통공을 막아두어 상기 양액베드본체(100) 내부가 햇빛 등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양액베드의 구성품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형성하여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양액베드를 세척하는 등의 관리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파손이나 고장 등이 발생함에 있어서 대응이 용이하여 유지와 보수가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액베드본체와 배수판 등에 다양한 급배수용 홈을 형성하여 효율적인 급배수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재배 작물에 양액이 충분히 공급되고 원활히 순환되어 오염과 감염 등을 방지하여 작물에 유용한 생육환경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액베드본체에 줄기지지구와 지지줄 등을 조립하여 형성함으로써 재배 작물이 생장하여 줄기가 뻗어나가고 잎이 무성해짐에 따라 줄기나 잎을 지지하여 주고 생장 방향을 유도하여 주어 재배 작물이 골고루 올바르게 생장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액베드 외부에서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시용 윈도우를 형성함으로써 양액베드 내에 위치하는 고형배지의 상태나 양액의 순환이나 급배수 상태 등을 용이하게 관찰하여 재배 작물의 생육환경이 최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치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양액베드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양액베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양액베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양액베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줄기지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양액베드에 작물을 재배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양액베드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양액베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액베드는 상부, 전면부, 및 후면부가 개구된 구조의 양액베드본체(100),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에 삽입되어 안치되는 배수판(200), 그리고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전면과 후면에 삽입되어 배양토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차단벽(300),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측벽 상면에 결합되는 줄기지지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양액베드본체(100)는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배지가 되는 토양 또는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암면, 경석, 훈탄(燻炭), 톱밥, 자갈, 모래 등으로 만든 고형배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구조로, 상부와 전면, 후면이 개구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좌우 측벽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본체날개부(140)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본체날개부(140)의 하면에는 오목한 형상의 홈이 측벽과 나란하게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홈을 이용하여 상기 양액베드본체(100)를 엑셀파이프 등의 외부 지지체에 걸어서 상기 양액베드 본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날개부(140)가 오목한 홈의 형상을 따라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고 있지만,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저부 하면에는 하단거치용홈(150)을 구비하여 상기 양액베드본체(100)를 다수개 설비하는 경우, 파이프 등의 지지수단 위에 걸쳐 일렬로 정렬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에 있어서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전, 후면에는 상술한 고형배지를 수용할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체차단벽(300)을 이용하여 전면과 후면을 폐쇄할 수 있는데, 상기 본체차단벽(300)은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좌우 측벽의 내면 양단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차단벽삽입홈(130)에 슬라이드 형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고형배지의 형태가 흐트러지거나 양액의 흐름에 의하여 유실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 양액베드마다 개별적으로 교환 작업을 할 수 있어 효율성을 도모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배수판(200)을 안치할 수 있는 배수판안치부(11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배수판안치부(110)는 상기 배수판(200)이 완전히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저부의 중심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하향으로 절곡되어 오목한 홈 구조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수판안치부(110)의 폭은 상기 배수판(200)의 폭에 대응되며, 깊이 또한 상기 배수판(20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좌우 측벽의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수지완용홈(120)이 상기 좌우 측벽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높이 방향으로 만곡을 이루며 형성되어 양액베드에 공급되는 수분이 양액베드본체(100)의 상부에서 하부로 투수되는 속도를 지연시켜, 재배식물에 수분 및 양액공급을 원할하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투수지완용홈(120)은 오목한 홈구조의 배수라인이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측벽 내면 상단에서 하단까지 하나의 변곡점을 가지고 있는 만곡을 이루어 "S"자형 굴곡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와 같은 "S" 자형 굴곡은 하나의 예시이며, 직선 라인 형태의 배수라인이 아니라 일정한 굴곡을 가진 구조이면 본 발명의 요지에 포함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양액베드본체(100)의 좌우 측벽의 상면에는 일정 깊이의 홈 구조의 줄기지지구 삽입홈(16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줄기지지구 삽입홈(160)에는 후술할 줄기지지구(400)의 삽입부(420)가 삽입되게 된다. 상기 줄기 지지구에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생육 식물의 줄기 또는 잎의 지지를 위한 지지줄(500)이 걸쳐져 고정되는 걸이용홈(430)이 수평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지지부(410)가 형성되어 있다.(도 5참조)
또한,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좌우 측벽의 상면에는 투시용 윈도우(180)가 슬라이딩 삽입탈착이 가능하도록 윈도우삽입홈(17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이 부분의 측벽의 일부분은 외측과 내측이 관통되어 일정 형상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윈도우삽입홈(170)을 통해 투시용 윈도우(180)가 슬라이딩 삽입, 탈착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투시용 윈도우(180)는 유리, 플라스틱 소재의 투명한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양액의 상태나 고형배지에 뿌리 내린 식물의 근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외부 빛이나 온도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도록 상기 투시용 윈도우(180)의 외측 통공 부분에 삽입되는 완전 불투명 재질의 윈도우덮개(190)를 더 구비하여, 상기 투시용 윈도우(180)를 통해 식물의 뿌리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식물이 빛이나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투시용 윈도우(18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양약베드를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양액베드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수판(200)은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저부 상면에 형성된 배수판안치부(110)에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되며, 배수판(200)의 상부와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고형배지가 충진되어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배수판(200)의 상면에는 다수의 배수홈(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는 상기 배수판안치부(110)의 저면을 지지하여 이격시켜 주는 배수판다리(220)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판다리(220)는 상기 배수판안치부(110)에 삽입되는 배수판(200)이 일정 부분 저면에서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하나 이상의 배수판다리(220)가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 개 정도가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배수판(200)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수홈(210)은 상기 배수판(200)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오목한 배수라인을 형성하는 제1 배수홈(211)과, 상기 배수판(200)의 상면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배수홈(211)과 교차하는 오목한 배수라인을 형성하는 제2 배수홈(212)의 구조로 구현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배수판(200)을 따라 직선 형태로 배치된 제1 배수홈(211)을 통해 1차적으로 배수가 이루어진 후, 제1 배수홈(211)과 교차하는 배열로 형성된 제2 배수홈(212)을 통해서 2차적으로 배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해 배수의 효율성을 증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2 배수홈(212)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액베드를 다수개를 겹쳐놓을 때, 더욱 효율적인 배수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줄기지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줄기지지구(400)는 양액베드에서 생육하는 식물이 점차 자라면서, 줄기나 잎이 생장하는 경우, 무성해진 줄기나 잎이 하부에서 상부로 고르게 생육되도록 하기 위해서 줄기나 잎을 좌우 측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줄(50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줄기지지구(400)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좌우 측벽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줄기지지구 삽입홈(160)에 결합하는 삽입부(420)와 상기 걸이용홈(430)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41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이용홈(430)은 상기 삽입부(420)의 일측면 상에 수평으로 좌우가 관통되어 다수개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홈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각 걸이홈마다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용홈에는 상술한 지지줄(50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지지줄(500)에 작물의 가지나 열매가 걸쳐질 수 있도록 하여 생육에 도움을 줄수 있도록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줄기지지구(400)의 상기 지지부(410)는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외측으로 휘어져 만곡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이용홈(430)을 상기 지지부(410)의 만곡의 전면 형성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양액베드에 작물을 재배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양액베드는 상기 양액베드본체(100) 저면의 배수판안치부(110)에 상기 배수판(200)을 결합하고, 상기 본체차단벽(300) 한 쌍을 각각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차단벽삽입홈(130)에 삽입하여 구성되며, 이로 인해 생기는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고형배지를 설치하고 작물을 재배하게 된다.
또한, 작물이 생장함에 따라 상기 줄기지지구(400)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걸이용홈(430)에 지지줄(500)을 높이에 알맞게 설치하여 작물이 골고루 올바르게 생장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양액베드본체 110 - 배수판안치부
120 - 투수지완용홈 130 - 차단벽삽입홈
140 - 본체날개부 150 - 하단거치용홈
160 - 줄기지지구 삽입홈 170 - 윈도우삽입홈
180 - 투시용 윈도우 190 - 윈도우덮개
200 - 배수판 210 - 배수홈
211 - 제1 배수홈 212 - 제2 배수홈
220 - 배수판다리 300 - 본체차단벽
400 - 줄기지지구 410 - 지지부
420 - 삽입부 430 - 걸이용홈
500 - 지지줄

Claims (10)

  1. 상부, 전면부 및 후면부가 개구되어 양 측벽과 저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부의 중심부에 상면에서 하향으로 절곡된 배수판안치부(110)가 일정 너비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측벽 양단의 내면에 세로 방향으로 차단벽삽입홈(130)이 형성되어 있는 양액베드본체(100)와;
    상기 배수판안치부(110)에 삽입되며, 상면에는 배수홈(2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는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수판안치부(110)의 저면을 지지하는 배수판다리(220)가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배수판(200); 및
    상기 차단벽삽입홈(130)에 삽입되어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폐쇄하는 판 형상의 본체차단벽(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양액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양 측벽 내면에 상단에서 하단까지 만곡을 이루며 연통되는 투수지완용홈(12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양액베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지완용홈(120)은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양 측벽 내면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통되는 만곡 상에 변곡점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양액베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양 측벽 각각의 상면에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일정 깊이의 줄기지지구 삽입홈(160)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줄기지지구 삽입홈(160)의 단면에 대응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줄기지지구 삽입홈(160)에 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삽입부(420)와, 상기 삽입부(420)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일측면 상에 수평으로 좌우로 관통되어 있는 걸이용홈(43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410)로 이루어지는 줄기지지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양액베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지지구(400)의 지지부(410)는 상기 걸이용홈(430)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면을 상면으로 하여 만곡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양액베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판(200)의 배수홈(210)은 상기 배수판(2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일측과 타측을 연통하는 제1 배수홈(211)과, 상기 배수판(200)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측과 하측을 연통하는 제2 배수홈(2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양액베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양 측벽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되, 하면에는 상기 각 측벽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오목 홈이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는 본체날개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양액베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저부 하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통되어 있는 하단거치용홈(15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양액베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측벽에는 외측과 내측을 관통하여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의 폭보다 넓으며 일정 두께를 가지는 윈도우삽입홈(170)이 측벽의 상면에서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윈도우삽입홈(170)에 삽입되어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측벽에 형성된 통공을 폐쇄하는 투명한 재질의 원형 또는 다각형의 박판 형상을 이루는 투시용 윈도우(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양액베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액베드본체(100)의 측벽에 형성된 통공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측벽의 외측에서 통공에 삽입되어 완전히 폐쇄하는 불투명 재질의 윈도우덮개(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양액베드.
KR1020100117547A 2010-11-24 2010-11-24 조립식 양액베드 KR101248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547A KR101248356B1 (ko) 2010-11-24 2010-11-24 조립식 양액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547A KR101248356B1 (ko) 2010-11-24 2010-11-24 조립식 양액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040A true KR20120056040A (ko) 2012-06-01
KR101248356B1 KR101248356B1 (ko) 2013-04-01

Family

ID=4660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547A KR101248356B1 (ko) 2010-11-24 2010-11-24 조립식 양액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3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762A1 (ko) 2018-12-28 2020-07-02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수소화 촉매의 재생 방법
KR20200140131A (ko)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포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다단식 재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793Y1 (ko) * 2016-08-17 2018-06-29 정상원 농작물 재배용 베드
KR101915125B1 (ko) * 2018-01-11 2018-11-05 공원경 수경재배용 베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0576B1 (ko) * 1997-06-02 1999-11-15 정순주 공기유동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양액재배 베드
KR200324537Y1 (ko) * 2003-05-03 2003-08-25 주식회사 무진산업 양액재배용 육모상자
KR100570834B1 (ko) * 2005-12-28 2006-04-13 괴산군 씨감자묘 재배베드
KR100869124B1 (ko) * 2008-06-20 2008-11-17 권태용 딸기용 수경 재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762A1 (ko) 2018-12-28 2020-07-02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수소화 촉매의 재생 방법
KR20200082438A (ko) 2018-12-28 2020-07-08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수소화 촉매의 재생 방법
KR20200140131A (ko)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포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다단식 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356B1 (ko) 201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657B1 (ko) 양액 재배용 베드
RU18286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KR20120094769A (ko) 식물재배시스템
JP6566501B2 (ja) 養液栽培システム
KR101248356B1 (ko) 조립식 양액베드
KR100832105B1 (ko) 조립식 미니텃밭
CN103875386A (zh) 一种栀子花稻田穴盘无土扦插育苗方法
CN207284396U (zh) 草莓育苗穴盘
JP2002125495A (ja) 溶液栽培装置
KR20170050148A (ko) 농작물재배용 베드
KR20160136016A (ko) 식물 재배용 하이베드
KR102205570B1 (ko) 뿌리식물 수경재배용 시트
KR101659908B1 (ko) 수경식물 재배용 화분 키트를 사용한 식물 재배 장치
KR102420182B1 (ko) 수경방식 실내 이끼 재배장치
CN215736054U (zh) 一种具有苗茎支撑功能的园艺种植用育苗箱
KR101314769B1 (ko) 양액 재배용 베드
KR101247468B1 (ko) 수경재배 베드
KR20210157755A (ko)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
KR20110003843U (ko) 조립식 화분
KR101260155B1 (ko) 건축물 외벽용 식물 재배장치
JP5981494B2 (ja) 植物栽培万能ポットと収納トレー
KR102249046B1 (ko) 작물 재배용 베드 어셈블리
JP7154520B2 (ja) 植物栽培装置
JP2019024440A (ja) 壁面緑化用プランター
US20220071111A1 (en) Vertical Farm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Vertical Far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