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4918A -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판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판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4918A
KR20120054918A KR20100116307A KR20100116307A KR20120054918A KR 20120054918 A KR20120054918 A KR 20120054918A KR 20100116307 A KR20100116307 A KR 20100116307A KR 20100116307 A KR20100116307 A KR 20100116307A KR 20120054918 A KR20120054918 A KR 20120054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elletizer
manufacturing
material composition
sl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16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611B1 (ko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리산업
Priority to KR1020100116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6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54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2Glass ; Devitrified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16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20/0044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obtained from irregularly shaped p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2Flooring consisting of parquetry tiles on a non-rollable sub-layer of other material, e.g. board, concrete, c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판의 표면 부위에 투입되는 재료 조성물을 환형으로 손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슬래그 칩, 유리 분말이 포함된 재료들을 펠레타이저 내부에 각각 투입하고, 펠레타이저를 회전 동작시키면서 펠레타이저 내에 접착제를 투입한 후에, 펠레타이저의 동작으로 접착제와 재료들을 혼합시켜 환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환경 저해 요소인 혼화제 등의 화학 첨가물을 투입하지 않으므로, 간편하고 환경 친화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 외관에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판{MANUFACTURING METHOD OF CONCRETE MATERIALS COMPOSITION AND CONCRETE PLA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판의 표면 부위에 투입되는 재료 조성물을 환형으로 손쉽게 환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표면 부위에 외관상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된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바닥 시공시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바닥 마감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바닥 마감 공법은 거푸집 공사 등을 통해 1차로 바닥부 시공을 완료한 후에, 바닥부의 상면에 백시멘트와 종석으로 이루어진 몰타르를 시공하고, 양생과정을 통해 시공된 표면에 물갈기 작업을 수행하여 테라죠 바닥면을 얻는 시공방법이 있다.
그런데, 기존 방식은 시공상 양생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종래에는 백시멘트와 종석 및 석분 등으로 이루어진 테라죠 타일을 시공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한 테라죠 타일 등과 같은 콘크리트 판은 표면을 매끄러운 형태로 폴리싱 가공으로 표면 처리하거나, 표면에 거친 이미지를 부여하도록 일부가 돌출되게 가공 처리하는 방식이 있다.
표면을 거친 이미지로 가공하는 방식들 중 일 예로는 쇼트 볼을 이용한 쇼트 블러스트 가공 방식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가공 공정이 복잡하고 표면 백화 현상이 유발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쇼트 볼이 표면과 부딪히는 과정에서 먼지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 판의 표면 부위에 투입되는 재료 조성물을 환형으로 손쉽게 환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표면 부위에 외관상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 부위에 투입되는 재료 조성물로 인해 인체에 유용한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으며, 혼화제 없이 재료들의 혼합이 가능한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래그 칩, 유리분말이 포함된 재료들을 펠레타이저 내부에 각각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펠레타이저를 동작시키면서 상기 펠레타이저 내에 접착제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펠레타이저의 동작으로 상기 접착제와 재료들을 혼합시켜 환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료들과 접착제를 혼합시켜 환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슬래그 칩의 표면에 유리분말이 접착되도록 조립하는 것이다.
상기 슬래그 칩과 유리 분말의 재료들에 황토를 더 첨가시켜 조립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로는 슬래그 칩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매개로 유리 분말이 접착되어 환 형태로 조립된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이 표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래그 칩과 유리 분말 사이에 황토가 더 배치된 것이다.
본 발명은 펠레타이징 방식으로 환 형태의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콘크리트 판의 표면 부위에 환형의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이 배치되어 외관상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혼화제 등의 화학 첨가제 없이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을 혼합할 수 있으므로, 폐기물로 인한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콘크리트 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콘크리트 판의 제조공정시 각각의 재료들이 잘 섞이도록 화학 첨가물인 혼화제를 투입하고 있으나, 이는 환경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판의 표면 가공 작업이 별도로 요구되며, 표면 가공 작업시 먼지 비산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표면 처리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친환경적으로 표면 처리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콘크리트 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슬래그 칩(110), 유리 분말(130)이 포함된 재료들을 펠레타이저 내부에 각각 투입하고, 펠레타이저를 회전 동작시키면서 펠레타이저 내에 접착제(150)를 투입한 후에, 펠레타이저의 동작으로 접착제(150)와 재료들을 혼합시켜 환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펠레타이저(Pelletizer)는 경사진 접시형 용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접시형 펠레타이저와, 수평 또는 약간 경사진 원통을 회전시키는 회전원통형 펠레타이저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슬래그 칩(110)은 제강 공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의 일종으로서, 방부 처리된 슬래그를 채용한다.
유리 분말(130)은 슬래그 칩(110)의 외주면에 부착되도록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유리 분말(130)이 표면에 배치될 경우 빛을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접착제(150)를 투입하는 과정은 펠레타이저의 동작 전에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슬래그 칩(110)의 외주면에 유리 분말(130)이 접착제(150)를 매개로 접착되어 환 형태로 조립(造粒:granulation)된다.
또한, 펠레타이저 내에 투입되는 재료들에는 원적외선 방출물질인 황토(120)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때 황토(120)는 슬래그 칩(110)과 유리 분말(130) 사이에 배치되도록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100)은 환 형태로 조립되어 콘크리트 판(10)의 표면 부위에 배치된다.
이는, 외관상 콘크리트 판(10)의 표면에 별도의 무늬를 갖지 않더라도, 둥근 무늬 형태를 갖는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100)이 표면에 배치됨에 따라, 외관상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콘크리트 판(10)의 제조방법은 몰드 프레임의 하부 바닥면에 슬래그 칩(110)과 황토(120) 및 유리 분말(130)이 조립된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100)을 배치하고 다른 콘크리트 재료들인 종석(300), 시멘트(200), 물 등을 투입한 후에, 프레스 몰드의 가압판으로 압축하여 콘크리트 판(10)으로 성형한다.
이후에, 압축 성형된 콘크리트 판(10)을 프레스 몰드로부터 이탈시키는 탈형 작업을 수행하고, 양생공정을 거쳐 콘크리트 판(10)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조된 콘크리트 판(10)의 표면에 상기한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100)이 배치되어 엠보싱 형태의 볼록한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별도의 표면 가공 처리를 하지 않고도 외관상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 분말(130)의 재료 특성상 빛을 반사시키는 빛 반사기능을 가질 수 있고, 황토(120) 소재의 재료 특성상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외에도 상기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와는 달리 콘크리트 판(10)을 구성하는 조성물이 표층과 베이스층으로 구분되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콘크리트 판 100 :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
110 : 슬래그 칩 120 : 황토
130 : 유리 분말 150 : 접착제

Claims (5)

  1. 슬래그 칩, 유리 분말이 포함된 재료들을 펠레타이저 내부에 각각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펠레타이저를 동작시키면서 상기 펠레타이저 내에 접착제를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펠레타이저의 동작으로 상기 접착제와 재료들을 혼합시켜 환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료들과 접착제를 혼합시켜 환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슬래그 칩의 표면에 유리분말이 접착되도록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칩과 유리 분말의 재료들에 황토를 더 첨가시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슬래그 칩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매개로 유리 분말이 접착되어 환 형태로 조립된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이 표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칩과 유리 분말 사이에 황토가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판.
KR1020100116307A 2010-11-22 2010-11-22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판 KR101218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307A KR101218611B1 (ko) 2010-11-22 2010-11-22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307A KR101218611B1 (ko) 2010-11-22 2010-11-22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918A true KR20120054918A (ko) 2012-05-31
KR101218611B1 KR101218611B1 (ko) 2013-01-04

Family

ID=46270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307A KR101218611B1 (ko) 2010-11-22 2010-11-22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61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943B1 (ko) * 2002-04-19 2002-09-13 박승범 용융슬래그와 폐유리 혼합물을 이용한 투수성 블록의제조방법
JP2004035351A (ja) * 2002-07-05 2004-02-05 Nippon Steel Corp 廃ガラスのリサイクル方法
KR20020086327A (ko) * 2002-08-09 2002-11-18 계형산 폐플라스틱 및 산업 폐기물을 이용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과 이를 제조하는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25443B1 (ko) * 2009-01-28 2011-03-3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폐기물 용융슬래그를 이용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조대리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611B1 (ko)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546C (zh) 人造石
CN1097572C (zh) 人造石材
EP2789765B1 (en) Stone panel formed unitary with insulation material for covering a wa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KR101040496B1 (ko) 모자이크형 복합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64935A (ko) 야광성 또는 형광성 인조석
KR101218611B1 (ko) 콘크리트 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판
KR101398816B1 (ko) 현무암 부산물 또는 현무암 경량골재를 이용한 인조석 및 그 제조방법
KR100954140B1 (ko) 성형블록 제조방법
KR20180020371A (ko) 벽체와 마감재 겸용 콘크리트 치장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8219A (ko) 벽체와 마감재 겸용 콘크리트 치장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KR19980025216A (ko) 자연석을 이용한 건축재 및 그 제조방법
CN1094480C (zh) 人造石组合物和人造石的制造方法
KR102220461B1 (ko) 폐유리를 이용한 건축물 내,외벽 타일의 제조방법
KR100791526B1 (ko) 장석을 주원료로 이용한 건축용 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과그 판재
KR100785830B1 (ko) 황토 보도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KR19980066399A (ko) 테라죠 제품용 부정형 인조 칼라종석 및 그 제조방법
CN1872515B (zh) 小石子预制装饰板工艺
JPH03232783A (ja) 透水性舗装ブロックの製造方法と透水性舗装ブロック
KR200207482Y1 (ko) 블록과 양생접합된 콘크리트 마블성 장식석재
KR102351558B1 (ko) 고강도 광택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KR20000016222A (ko) 인조석재
KR970001037B1 (ko) 합성수지 조각을 이용한 실내바닥용 인조석
KR200207481Y1 (ko) 벽돌과 양생접합된 콘크리트 마블성 장식석재
KR970002027B1 (ko) 건축용 벽재 제조용 우레탄 형틀의 제조방법
KR20020003452A (ko) 건축용 마블성 인조석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