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1238A -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1238A
KR20120051238A KR1020100112577A KR20100112577A KR20120051238A KR 20120051238 A KR20120051238 A KR 20120051238A KR 1020100112577 A KR1020100112577 A KR 1020100112577A KR 20100112577 A KR20100112577 A KR 20100112577A KR 20120051238 A KR20120051238 A KR 20120051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cell system
cooling water
hea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9566B1 (ko
Inventor
김성균
고행진
한수동
남기영
김윤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2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566B1/ko
Priority to US13/170,401 priority patent/US8791397B2/en
Priority to CN201110204678.8A priority patent/CN102468503B/zh
Publication of KR20120051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05B6/108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for heating a fl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37Electrical he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9Voltage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604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611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the individual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01Temperature
    • H01M8/04723Temperature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01Temperature
    • H01M8/04738Temperature of auxiliary devices, e.g. reformer, compressor, bur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949Electric variables other electric variables, e.g. resistance or impedance
    • H01M8/04953Electric variables other electric variables, e.g. resistance or impedance of auxiliary devices, e.g. batteries,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시동시 냉각수를 신속하게 가열하면서도 스택 전압에 따른 소비 출력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수와 접촉하는 발열부를 외부와 분리시켜서 절연 저항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냉각수 순환라인에 절연 가능한 하우징을 설치하고, 이 하우징내에 냉각수 가열을 위한 히터를 설치하는 동시에 하우징의 바깥쪽에는 히터에 대한 소비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고주파 제어기 등을 설치함으로써, 냉시동시 냉각수를 신속하게 가열하면서도 스택 전압에 따른 소비 출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수와 접촉하는 발열부인 히터와 전원부인 고주파 제어기 등을 절연 재질의 하우징을 중심으로 분리시킴에 따라 절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Coolant heating device for fuel cell system}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시동시 냉각수를 신속하게 가열하면서도 스택 전압에 따른 소비 출력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수와 접촉하는 발열부를 외부와 분리시켜서 절연 저항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 시스템은 반응가스(수소 및 공기중 산소)를 공급하는 수소 공급장치 및 공기 공급장치를 비롯하여, 반응가스의 산화 및 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면서 반응 생성물인 열과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연료전지 스택과, 연료전지 스택을 냉각시키기 위한 물 및 열관리 시스템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전기 생성 원리를 간략히 살펴보면, 연료전지 스택의 애노드에서 수소의 산화반응이 진행되어 수소이온(Proton)과 전자(Electron)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생성된 수소이온과 전자는 각각 전해질막과 분리판을 통하여 캐소드로 이동하게 되어, 캐소드에서는 애노드로부터 이동한 수소이온과 전자, 공기중의 산소가 참여하는 전기화학반응을 통하여 물을 생성하며, 이러한 전자의 흐름으로부터 최종 생성된 전기에너지는 엔드플레이트의 집전판을 통하여 전기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부하(예를 들어, 연료전지 차량의 주행을 위한 모터)로 공급된다.
이러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전 중, 스택의 온도가 고온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냉시동성을 용이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열 및 물관리 시스템(TMS)의 역할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겠다.
상기 열 및 물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한 도 4를 참조로 살펴보면, 연료전지 스택(10)의 냉각수 출구 및 라디에이터(12)의 입구 간을 연결하는 냉각수 순환라인(14)에는 물펌프(16)가 장착되고, 라디에이터(12)의 출구 및 스택(10)의 냉각수 입구 간을 연결하는 냉각수 순환라인(14)에는 냉각수 가열장치(20) 및 리저버(18) 등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냉각수 순환라인(14)을 순환하는 냉각수는 스택을 냉각시키는 냉매 역할과 더불어 냉시동시에는 냉각수 가열장치에 의하여 급속 가열되는 동시에 스택에 공급되어 스택을 급속 해빙하는 열매 역할도 한다.
상기 냉각수 가열장치(20)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시동시 스택의 냉각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는 바, 이 히터는 냉각수 온도 상승 및 차량 시동시 빠른 냉각수 온도 안정화를 도모하고, 시동 셧다운시에는 스택의 남은 전압을 하강시키는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첨부한 도 4는 종래의 냉각수 가열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냉각수가 통과하는 하우징(22)내에 전원부가 연결된 카트리지 저항 타입 히터(24)가 설치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바, 고밀도 발열체인 히터(24)간의 일정 거리가 필요하여, 하우징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고, 이렇게 부피가 큰 가열장치를 연료전지 승용차와 같은 컴팩트한 차량내에 탑재시키기 위한 공간 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원가 상승 뿐만 아니라 조립성 및 정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카트리지 저항 타입 히터가 냉각수와 직접적으로 접촉함에 따른 절연성 확보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즉, 카트리지 저항 타입 히터가 오링에 의하여 기밀 유지되면서 하우징을 관통하여 조립됨에 따라, 히터의 온도가 고온으로 상승하게 되면, 오링(o-ring) 등의 변형과 함께 냉각수가 유출되어 절연이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
첨부한 도 5는 종래의 연료전지 냉시동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복수개의 스택 전류 발생용 저항(R1,R2,R3)을 스위치(L1,L2,L3)들과 함께 스택(10)에 회로 연결하여, 복수개의 스택 전류 발생용 저항(R1,R2,R3)을 이용한 저항값을 단계적으로 제어해줌으로써, 스택 전압이 냉시동 가능하도록 하한치 이하로 강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연료전지 스택(10)의 양단에 저항값이 상이한 복수개의 스택 전류 발생용 저항(R1,R2,R3)을 병렬로 연결 설치하고, 각 저항에 대해 회로 개폐를 위한 스위치(L1,L2,L3)를 설치하여, 각 스위치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 스택 양단에 걸리는 저항값을 변경시킴으로써, 냉시동시 스택 전압이 미리 설정된 냉시동 가능 스택 전압 하한치와 냉시동시 스택 전압 거동 상한치 사이에서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영하 이하의 냉 시동시, 스택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서 각 스택 전류 발생용 저항별로 히터를 구성해야 하고, 또한 이를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도 각각 구성해야 하는 등 실제 적용을 위한 여러가지 제약 사항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냉각수 순환라인에 절연 가능한 하우징을 설치하고, 이 하우징내에 냉각수 가열을 위한 히터를 설치하는 동시에 하우징의 바깥쪽에는 히터에 대한 소비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고주파 제어기 등을 설치함으로써, 냉시동시 냉각수를 신속하게 가열하면서도 스택 전압에 따른 소비 출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수와 접촉하는 발열부인 히터와, 전원부인 고주파 제어기 및 코일 등을 절연 재질의 하우징을 중심으로 분리시킴에 따라 절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각수 순환라인에 설치되는 절연 재질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에 장착되어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코일과; 상기 유도코일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스택의 출력전압 크기에 따라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제어기와; 상기 하우징내에 냉각수와 직접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유도전류를 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와; 상기 고주파 제어기에 결합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커넥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유도코일은 전자파 차단용 쉴드체에 의하여 그 외측이 감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수 순환라인의 출구측에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고주파 제어기에 그 신호를 전송하는 온도센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히터는 열전달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서 원통형 구조로 제작되는 동시에 하니컴 단면 구조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이 냉각수 순환라인과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경우, 냉각수 순환라인의 내표면에는 하우징내의 히터내로 삽입되는 격막이 일체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각수 순환라인에 절연 가능한 하우징을 설치하고, 이 하우징내에 히터를 설치하는 동시에 하우징의 바깥쪽에 전원부로서 코일 및 고주파 제어기를 설치함으로써, 고주파 제어기에 의한 주파수 제어에 의해서 히터에 대한 소비출력이 조절되어 결정되기 때문에 소모할 전력에 대한 정밀 제어가 가능하고, 스택 전압에 따라서 전력을 조절할 수 있므로로 스택 역전압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고주파 제어를 통하여 히터에 대한 급속가열 및 고온가열이 가능하여 냉각수를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으므로, 연료전지 냉시동에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발열부분인 히터는 하우징내에서 냉각수와 접촉하고, 히터를 위한 전원부인 고주파 제어기 등은 하우징의 바깥쪽에 분리 설치됨에 따라, 냉각수 유출 가능성이 전혀 없고, 전원부에 대한 전기적 절연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열체인 히터의 구조를 하니컴과 같은 구조로 적용하여, 히터의 발열 표면적 증대와 더불어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열 및 물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열 및 물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종래의 연료전지 시스템용 가열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종래의 연료전지 냉시동을 위한 저항 설치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전지 시스템용 열 및 물관리 시스템의 냉각수 순환라인을 따라 순환하는 냉각수는 스택의 운전시 스택을 냉각시키는 냉매 역할을 하고, 냉시동시에는 냉각수 가열장치에 의하여 급속 가열되어 스택을 급속 해빙하는 열매 역할도 한다.
본 발명은 열 및 물관리 시스템의 냉각수 순환라인에 설치되는 냉각수 가열을 위한 유도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냉각수를 급속 가열하여 냉시동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스택의 전압에 따라 소비전력을 정밀 제어할 수 있고, 전원부 및 발열부간의 절연이 확실하게 이루어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첨부한 도 1 및 도 3에서 보듯이 열 및 물관리 시스템의 냉각수 순환라인에 냉각수 흐름통로를 갖는 절연 재질(플라스틱 등의 재질)의 하우징(31)이 설치되는 바, 이 하우징(31)의 입구는 라디에이터(12)의 출구측과 연결되고, 하우징(31)의 출구는 스택(10)의 냉각수 입구와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31)의 내부 즉, 냉각수 흐름통로내에는 냉각수와 직접 접촉되며 냉각수를 가열하는 히터(34)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히터(34)는 유도전류를 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금속 재질의 발열체로서, 첨부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냉각수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하우징(31)의 냉각수 흐름통로의 내경에 꽉 채워지듯이 위치하게 되며, 이에 히터(34)의 외형은 원통형으로 제작되는 동시에 그 내부는 하니컴 단면 구조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31)의 외표면에는 고주파 전류에 의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코일(32)이 감아지며 설치되고, 이 유도코일(32)의 외측부위는 전자파 차단용 쉴드체(36)에 의하여 감싸여짐에 따라, 유도코일(32)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코일(32)의 바깥쪽 즉, 전자파 차단용 쉴드체(36)의 바깥쪽 위치에는 스택의 출력전압 크기에 따라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제어기(33)가 배열되고, 이 고주파 제어기(33)에는 스택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35)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 순환라인(14)의 출구측에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고주파 제어기(33)에 그 신호를 전송하는 온도센서(37)가 더 장착되며, 이 온도센서(37)에 의해서 측정된 냉각수 온도 또는 히터 온도에 의해서 고주파 제어기(33)가 주파수를 조정하여 냉각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이 냉각수 순환라인(14)과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경우, 냉각수 순환라인(14)의 내표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격막(38)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격막(38)은 하우징(31)내의 히터(34) 중심쪽으로 삽입되어 냉각수 흐름통로를 이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유도 가열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료전지 시스템의 냉시동과 함께, 물펌프(16)가 작동하여 스택(10)으로부터 라디에이터(12)로 냉각수가 순환하는 동시에 라디에이터(12)를 빠져나온 냉각수는 냉각수를 가열하기 위한 유도 가열장치(30)의 하우징(31)내로 유입된다.
이때, 스택 또는 축전지로부터의 전력을 커넥터(35)를 통해 공급받은 고주파 제어기(33)에서 고주파를 생성하는 동시에 유도코일(32)에 고주파 전류를 흐리게 되면, 유도코일(32)에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게 되고, 유도코일(32)로부터 유도전류를 받은 히터(34)가 발열을 하게 된다.
즉, 고주파 전류를 흘린 유도코일(32)은 하우징(31)을 사이에 두고 히터(34)와 근접된 상태이므로, 금속 재질의 히터(34)에 와전류가 발생하고, 와전류 손실이나 히스테리시스 손실이 발생하여 히터(34)의 발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유도코일(32)로부터 유도전류를 받은 히터(34)가 발열을 하면서 하우징(31)으로 유입된 냉각수를 가열시킴으로써, 냉각수의 급속한 승온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히터(34)에 의하여 가열되어 승온된 냉각수가 스택으로 공급되어 스택의 급속 해빙이 이루어짐으로써, 냉시동시에도 연료전지 스택이 빠르게 정상적인 운전 상태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영하 이하 운전 조건에서 연료전지 스택의 최적 운전 조건을 위해서는 스택의 전력을 소비해야 하는데, 냉시동이 가능한 스택 전압 하한치와 냉시동시 스택 전압 거동 상한치 사이의 스택 전력을 고주파제어기를 통해서 조정하게 된다.
즉, 고주파 제어기(33)에 의한 주파수 제어에 의해서 히터에 대한 소비전력이 조절되어 결정되기 때문에, 이때의 소비전력이 냉시동이 가능한 스택 전압 하한치와 냉시동시 스택 전압 거동 상한치 사이의 스택 전력이 되도록 함이 고주파 제어기의 주파수 제어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고, 스택 전압에 따라서 소비전력을 조절할 수 있므로로 스택 역전압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우징(31)이 냉각수 순환라인(14)과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경우, 냉각수 순환라인(14)의 내표면에는 하우징(31)내의 히터(34) 중심쪽으로 삽입되어 냉각수 흐름통로를 이분화시키는 격막(38)이 일체로 형성되는 바, 이 격막(38)에 의하여 하우징(31)내의 냉각수의 흐름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냉각수와 히터간의 접촉 시간이 증대되어, 결국 냉각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다.
10 : 연료전지 스택 12 : 라디에이터
14 : 냉각수 순환라인 16 : 물펌프
18 : 리저버 20 : 냉각수 가열장치
22 : 하우징 24 : 카트리지 저항 타입 히터
30 : 유도 가열장치 31 : 하우징
32 : 유도코일 33 : 고주파 제어기
34 : 히터 35 : 커넥터
36 : 전자파 차단용 쉴드체 37 : 온도센서
38 : 격막

Claims (5)

  1. 연료전지 시스템용 열 및 물관리 시스템의 냉각수 순환라인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순환라인(14)에 설치되는 절연 재질의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의 외표면에 장착되어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코일(32)과;
    상기 유도코일(32)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스택의 출력전압 크기에 따라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제어기(33)와;
    상기 하우징(31)내에 냉각수와 직접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유도전류를 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34)와;
    상기 고주파 제어기(33)에 결합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커넥터(35);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코일(32)은 전자파 차단용 쉴드체(36)에 의하여 그 외측이 감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순환라인(14)의 출구측에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고주파 제어기(33)에 그 신호를 전송하는 온도센서(37)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34)는 열전달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서 원통형 구조로 제작되는 동시에 하니컴 단면 구조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이 냉각수 순환라인(14)과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경우, 냉각수 순환라인(14)의 내표면에는 하우징(31)내의 히터(34) 중심으로 삽입되는 격막(38)이 일체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
KR1020100112577A 2010-11-12 2010-11-12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 KR101189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577A KR101189566B1 (ko) 2010-11-12 2010-11-12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
US13/170,401 US8791397B2 (en) 2010-11-12 2011-06-28 Induction heating device for fuel cell system
CN201110204678.8A CN102468503B (zh) 2010-11-12 2011-07-13 燃料电池系统用的感应加热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577A KR101189566B1 (ko) 2010-11-12 2010-11-12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238A true KR20120051238A (ko) 2012-05-22
KR101189566B1 KR101189566B1 (ko) 2012-10-11

Family

ID=46046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577A KR101189566B1 (ko) 2010-11-12 2010-11-12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91397B2 (ko)
KR (1) KR101189566B1 (ko)
CN (1) CN10246850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4428A (zh) * 2020-03-11 2021-09-14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余热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8131B2 (en) 2008-01-07 2012-11-27 Mcalister Technologies, Llc Chemical processes and reactors for efficiently producing hydrogen fuels and structural material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188086B2 (en) * 2008-01-07 2015-11-17 Mcalister Technologies, Llc Coupled thermochemical reactors and engin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8441361B2 (en) 2010-02-13 2013-05-14 Mcallister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ction of properties of fluid conveyance systems
CA2789689A1 (en) * 2010-02-13 2011-08-18 Mcalister Technologies, Llc Reactor vessels with transmissive surfaces for producing hydrogen-based fuels and structural eleme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EP2533890A2 (en) * 2010-02-13 2012-12-19 McAlister Technologies, LLC Chemical reactors with re-radiating surfa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8888408B2 (en) 2011-08-12 2014-11-18 Mcaliste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permafrost gases, and for cooling permafrost
US8826657B2 (en) 2011-08-12 2014-09-09 Mcalliste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upplemental aqueous thermal energy
US8821602B2 (en) 2011-08-12 2014-09-02 Mcaliste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upplemental aqueous thermal energy
US8911703B2 (en) 2011-08-12 2014-12-16 Mcalister Technologies, Llc Reducing and/or harvesting drag energy from transport vehicles, including for chemical reacto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8669014B2 (en) 2011-08-12 2014-03-11 Mcalister Technologies, Llc Fuel-cell systems operable in multiple modes for variable processing of feedstock materials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9302681B2 (en) 2011-08-12 2016-04-05 Mcalister Technologies, Llc Mobile transport platforms for producing hydrogen and structural material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8734546B2 (en) 2011-08-12 2014-05-27 Mcalister Technologies, Llc Geothermal energization of a non-combustion chemical reactor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13025659A1 (en) 2011-08-12 2013-02-21 Mcalister Technologies, Llc Reducing and/or harvesting drag energy from transport vehicles, includings for chemical reactor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13025647A2 (en) * 2011-08-12 2013-02-21 Mcalister Technologies, Llc Fuel-cell systems operable in multiple modes for variable processing of feedstock materials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03857873A (zh) 2011-08-12 2014-06-11 麦卡利斯特技术有限责任公司 从水下来源除去和处理气体的系统和方法
KR102021150B1 (ko) * 2012-12-26 2019-09-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지셀 모듈 어셈블리
US8926719B2 (en) 2013-03-14 2015-01-06 Mcalister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ydrogen from metal
WO2014145882A1 (en) 2013-03-15 2014-09-18 Mcalister Technologies, Llc Methods of manufacture of engineered materials and devices
WO2014194124A1 (en) 2013-05-29 2014-12-04 Mcalister Technologies, Llc Methods for fuel tank recycling and net hydrogen fuel and carbon goods production along with associated apparatus and systems
FR3008830A1 (fr) 2013-07-16 2015-01-2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ysteme electrochimique comportant un systeme de chauffage a induction
KR101439058B1 (ko) * 2013-10-29 2014-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차량의 냉시동 제어 방법 및 장치
EP3107140A4 (en) * 2014-02-14 2017-03-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power generation system operation method
US10337745B2 (en) 2015-06-08 2019-07-02 Alto-Shaam, Inc. Convection oven
KR101682307B1 (ko) * 2015-07-09 2016-12-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이금속 디칼코제나이드 대면적 성장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장치
DE102015216513A1 (de) * 2015-08-28 2017-03-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ühlsystem für eine Brennstoffzelle und Brennstoffzellensystem
FR3041164B1 (fr) * 2015-09-15 2017-10-06 Snecma Pile a combustible munie d'un systeme de regulation de temperature et procede de regulation thermique de la pile
KR101886494B1 (ko) 2016-05-13 2018-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택 인클로저의 수분 제거 장치
KR102186980B1 (ko) * 2017-03-27 2020-12-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각수 유도가열 히터
DE102018104601A1 (de) * 2018-02-28 2019-08-29 Elringklinger Ag Heizsystem und dessen Verwendung
KR102375442B1 (ko) 2020-06-08 2022-03-17 우진공업주식회사 차량 냉각수 히터
US11936028B1 (en) 2020-07-13 2024-03-19 Ampcer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eating electrochemical systems
CN113258103B (zh) * 2021-06-29 2021-10-15 中南大学 一种燃料电池冷启动系统及其控制方法
CN113793948A (zh) * 2021-09-10 2021-12-14 大连理工大学 一种基于涡流加热的燃料电池汽车冷启动系统
CN114006082A (zh) * 2021-10-29 2022-02-01 西安交通大学 锂电池温度控制装置
CN114744251B (zh) * 2022-04-18 2024-05-24 中汽创智科技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启动系统、控制方法、设备及存储介质
EP4275775A1 (en) * 2022-05-12 2023-11-15 Airbus Operations, S.L.U. System based on induction energy for liquid hydrogen evaporating and heating into gas hydroge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929A (ko) 1997-08-12 1999-03-05 전주범 자동차의 엔진 예열 시스템
DE19921320C2 (de) * 1998-05-12 2002-10-17 Usui Kokusai Sangyo Kk Magnetheizgerät
FR2792259B1 (fr) * 1999-04-15 2001-06-15 Valeo Thermique Moteur Sa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pour vehicule electrique a pile a combustible
JP3317345B2 (ja) 1999-07-23 2002-08-26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06134644A (ja) 2004-11-04 2006-05-25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組み立て方法
JP2006179276A (ja) 2004-12-22 2006-07-06 Nitto Denko Corp 水素ガス発生ユニットの加熱システム及び電磁誘導加熱ユニット及び水素ガス発生システム
US7759010B2 (en) 2006-01-27 2010-07-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Pulsed coolant control for improved stack cold starting
US7749632B2 (en) * 2006-07-27 2010-07-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Flow shifting coolant during freeze start-up to promote stack durability and fast start-up
KR100841930B1 (ko) 2007-01-31 2008-06-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유도 가열 방식 전기로 및 그 제어방법
US8543178B2 (en) * 2007-11-02 2013-09-24 Ajax Tocco Magnethermic Corporation Superconductor induction coil
DE102007054246A1 (de) * 2007-11-14 2009-05-20 Daimler Ag Brennstoffzellenantrieb für ein Kraftfahrzeug
KR100992681B1 (ko) * 2007-12-04 2010-11-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용 냉각수 온도조절장치
JP2009185676A (ja) 2008-02-06 2009-08-20 Nippon Soken Inc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US7971447B2 (en) * 2008-06-27 2011-07-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Control parameters for a high voltage battery cooling strateg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4428A (zh) * 2020-03-11 2021-09-14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余热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CN113394428B (zh) * 2020-03-11 2022-05-10 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余热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68503B (zh) 2016-03-09
US8791397B2 (en) 2014-07-29
KR101189566B1 (ko) 2012-10-11
CN102468503A (zh) 2012-05-23
US20120118878A1 (en)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566B1 (ko) 연료전지 시스템의 유도 가열장치
WO2010120188A1 (en) Fuel cell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ing a fuel cell stack
KR20180045716A (ko) 연료전지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75118A (ko) 차량용 잉여전력 소진장치
JP6649471B2 (ja) 燃料電池のための冷却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US10930943B2 (en) Fuel cell system including inductive heating ele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20062270A (ko) 연료 전지 냉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0729499A (zh) 一种带端板加热的燃料电池电堆
CN108882417B (zh) 电加热器
KR101163464B1 (ko) 전기 전도도 관리 및 난방 성능이 개선된 연료전지 차량용 열 및 물 관리 시스템
KR200404663Y1 (ko) 유도가열장치
JP2009193791A (ja) 燃料電池、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加熱部
KR102142730B1 (ko) Cod 히터
CN114335816A (zh) 自加热电池热管理控制装置、电池总成、电动车辆及方法
KR100794021B1 (ko) 유량 분배 및 냉시동 개선이 가능한 연료전지 차량의 스택
US20150037698A1 (en) Electrochemical system comprising an induction heating system
US7311987B2 (en) Fuel cell and a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the fuel cell
US7716938B2 (en) External control of a vehicle coolant pump with remote heating option
KR20100046730A (ko) 냉각수 히터와 공조 히터의 통합형 히터를 이용한 연료전지차량용 열 및 물 관리 시스템
KR101417115B1 (ko) 연료전지 차량의 열 및 물 관리 시스템
GB2552975A (en) Fuel cell stack
JP2007115463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1394732B1 (ko) 스택 운전온도 조절이 가능한 연료전지용 열 및 물 관리 시스템
JP4670316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CN113206270A (zh) 一种带有预热功能的风冷金属双极板质子交换膜燃料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