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557A -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557A
KR20120049557A KR1020100110871A KR20100110871A KR20120049557A KR 20120049557 A KR20120049557 A KR 20120049557A KR 1020100110871 A KR1020100110871 A KR 1020100110871A KR 20100110871 A KR20100110871 A KR 20100110871A KR 20120049557 A KR20120049557 A KR 20120049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glasses
groove
rotating member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4979B1 (ko
Inventor
우선구
Original Assignee
우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선구 filed Critical 우선구
Priority to KR1020100110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9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4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36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sliding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 G02C5/2245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sliding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comprising a sliding box containing a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테에 연결되는 안경다리가 스프링의 양단에 의해 연결되어 착용자의 얼굴 형태에 맞게 스프링 중간 연결부위가 부드럽게 벌어지는 구조로, 탄성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제조가 용이하도록 한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스프링의 양단부에 의해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도록 하여, 안경다리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스프링이 탄력적으로 부드럽게 벌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화되고 안경다리와의 조립이 용이한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부재(12)와 회전부재(13)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경첩이 구비되는 안경에 있어서, 안경테(10)에 경첩의 고정부재(12)가 결합되고, 상기 경첩의 회전부재(13)와 안경다리(20)의 선단이 소정 간격을 두고 스프링(30)의 양단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LINKING STRUCTURE OF TEMPLE FOR SPECTACLE FRAME}
본 발명은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테에 연결되는 안경다리가 스프링의 양단에 의해 연결되어 착용자의 얼굴 형태에 맞게 스프링 중간 연결부위가 부드럽게 벌어지는 구조로, 탄성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제조가 용이하도록 한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렌즈가 결합되는 부분인 안경테와, 안경테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안경다리(템플)로 구성되는바, 상기한 안경테 및 안경다리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상기한 안경다리는 안경테의 상단부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안경다리를 접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안경의 힌지는 안경테 쪽에 결합되는 부품과 안경다리에 결합되는 부품이 서로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용접된 상태에서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힌지 핀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된다.
상기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안경다리는 안경 착용자의 얼굴 형태에 맞게 안경다리가 벌어지게 된다.
즉, 상기한 안경다리가 안경착용자의 얼굴 형태에 맞게 일정 폭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의 탄성 변형에 의해 안경 착용자가 보다 편하게 안경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안경다리가 자체 탄성 변형에 의해 착용자의 얼굴 크기에 따라 안경다리가 벌어지도록 되어, 안경을 오래 착용할 경우 얼굴에 밀착되는 안경다리의 접촉감이 딱딱하여 착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스프링의 양단부에 의해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도록 하여, 안경다리에 외력을 가하면 상기 스프링이 탄력적으로 부드럽게 벌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화되고 안경다리와의 조립이 용이한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부재와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경첩이 구비되는 안경에 있어서, 안경테에 경첩의 고정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경첩의 회전부재와 안경다리의 선단이 소정 간격을 두고 스프링의 양단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변형이 용이한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안경다리가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고, 안경다리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안경다리의 촉감이 부드럽도록 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조립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횡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조립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단면도.
도 1과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와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제조되는 안경테(10)의 상단이 후방으로 약간 돌출되어 다리연결부(11)가 형성되어, 다리연결부(11) 끝에 경첩의 고정부재(12)가 결합되도록 되고, 고정부재(12)에 경첩의 회전부재(13)가 관통볼트(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부재(13)의 후면과 안경다리(20)의 선단이 스프링(30)에 의해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경첩은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제조하거나 금속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먼저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는, 경첩의 회전부재(13)와 안경다리(20)의 사출시 사출물이 아직 유동성이 있을 때 스프링(30)의 양단이 경첩 회전부재(13)와 안경다리(20)에 각기 일부가 삽입되어 사출물의 냉각과 함께 고정되도록 되며, 금속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는, 회전부재(13)에 전후 축 방향으로 스프링(30)의 선단이 삽입되는 스프링 홈(a)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홈(a)을 횡으로 관통하는 핀 구멍(b)이 형성되어, 스프링(30)의 선단이 스프링 홈(a)에 끼워지고, 핀 구멍(b)을 통해 고정수단(32)이 끼워져 스프링(30)을 고정하도록 된다.
한편, 스프링(30)은 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경첩의 회전부재(13)와 안경다리(20) 선단 사이에 노출되는 스프링(30)의 외주면에 고무재질의 외피(31)가 씌워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경첩의 회전부재(13)와 안경다리(20)의 선단 사이에서 스프링(30)이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게 되어, 안경 착용자가 안경다리(20)를 벌리면 스프링(30)이 변형되면서 벌어지고 안경을 얼굴에 착용하면 스프링(30)의 복원되려는 탄력에 의해 안경다리(20)가 착용자의 얼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게 되며, 외피(31)는 스프링(30)과 함께 변형되어 스프링(30)을 은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회전부재(13)와 안경다리(20)의 끝에 전후 축 방향으로 스프링(30)의 전후 양단이 삽입되는 스프링 홈(a)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홈(a)을 횡으로 관통하는 핀 구멍(b)이 회전부재(13)와 안경다리(20)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외피(31)가 씌워지는 스프링(30)의 양단이 회전부재(13)와 안경다리(20)의 스프링 홈(a)에 끼워지고, 핀 구멍(b)을 통해 고정핀 또는 고정나사와 같은 고정수단(32)이 끼워져 스프링(30)을 고정하도록 된다.
이러한 본 발명 제2실시 예는 회전부재(13)와 안경다리(20) 제조시 스프링 홈(a)과 핀 구멍(b)을 형성하고, 별도 조립공정에서 스프링(30)과 외피(31)를 조립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안경다리(20)의 선단부에 단면형상이 사각형태인 삽입홈(c)이 형성되어 스프링(30)을 고정하는 스프링고정구(33)의 일단부가 삽입되고, 삽입홈(c)을 관통하는 구멍(d)이 안경다리(20) 선단부의 내측 면에 형성되어, 상기 구멍(d)으로 삽입되는 고정볼트(34)에 의해 스프링고정구(33)가 고정되도록 된다.
한편, 스프링고정구(33)는 안경다리(20) 선단과 같은 폭과 두께가 형성되는 선단부에 고정핀 또는 고정나사가 관통되는 핀 구멍(b)이 형성되고, 삽입홈(c)에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폭과 두께가 좁아지는 말단부에 고정볼트(34)가 체결되는 구멍(d)이 형성되며, 스프링(30)의 끝단이 삽입되는 스프링 홈(a)이 전후 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 제3실시 예는 외피(31)가 끼워지는 스프링(30)이 회전부재(13)와 스프링고정구(33)의 스프링 홈(a)에 끼워져 핀 구멍(b)으로 삽입되는 고정핀 또는 고정나사와 같은 고정수단(32)에 의해 고정되며, 스프링고정구(33)의 말단부가 안경다리(20)의 삽입홈(c)에 끼워지고 고정볼트(34)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는 것은 제3실시 예에서 스프링고정구 결합구조를 달리한 본 발명의 제4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안경다리(20)의 선단 측면에 외측이 개방되는 삽입홈(e)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e) 중간 부위에 결합홈(f)들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f)에 고정볼트(34)가 관통되는 볼트구멍(g)들이 형성된다.
한편, 안경다리(20)의 삽입홈(e)에 결합되는 스프링고정구(33')는 삽입홈(e)에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폭과 두께가 좁아지는 말단부 내측 면에 결합홈(f)에 삽입되는 결합돌기(h)가 형성되며, 결합돌기(h)에 고정볼트(34)가 체결되는 나사홈(i)이 형성되며, 안경다리(20)의 선단과 같은 폭과 두께로 형성되는 선단부에 외피(31)가 끼워지는 스프링(30)이 고정핀 또는 고정나사와 같은 고정수단(32)에 의해 고정되도록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4실시 예는 스프링고정구(33')의 말단부를 안경다리(20)의 삽입홈(e)에 끼우면 결합돌기(h)가 결합홈(f)에 끼워지게 되고, 이때 고정볼트(34)가 나사홈(i)에 나사체결되어 스프링고정구(33')가 고정되게 된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스프링(30) 외주면을 감싸는 고무재질의 외피(31')가 안경다리(20)와 회전부재(13)의 두께 및 폭과 동일한 두께 및 폭으로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제5실시 예는 외피를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30) 외주면에 끼워지는 고무재질의 제1외피(31)와, 제1외피(31) 외주면을 감싸는 제2외피(31')로 구성할 수도 있다.
10 : 안경테 11 : 다리연결부
12 : 고정부재 13 : 회전부재
14 : 관통볼트 20 : 안경다리
30 : 스프링 31, 31' : 외피
32 : 고정수단 33, 33' : 스프링고정구
34 : 고정볼트 a : 스프링 홈
b : 핀 구멍 c, e : 삽입홈
d : 구멍 f : 결합홈
g : 볼트구멍 h : 결합돌기
i : 나사홈

Claims (9)

  1. 고정부재와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경첩이 구비되는 안경에 있어서, 안경테에 경첩의 고정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경첩의 회전부재와 안경다리의 선단이 소정 간격을 두고 스프링의 양단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부재에 스프링의 끝부분이 삽입되는 스프링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홈을 횡으로 관통하는 핀 구멍이 형성되어, 스프링의 끝이 스프링 홈에 끼워져 상기 핀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안경다리의 선단에 스프링의 끝부분이 삽입되는 스프링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홈을 횡으로 관통하는 핀 구멍이 형성되어, 스프링의 끝이 스프링 홈에 끼워져 상기 핀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안경다리의 선단부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스프링을 고정하는 스프링고정구의 끝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의 외주면에 외피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고정구는 스프링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스프링 홈이 형성되는 선단부와 삽입홈에 기밀하게 삽입되도록 폭과 두께가 좁아지는 말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안경다리의 선단부에 외측이 개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외피는 스프링 외주면에 끼워지는 제1외피와, 제1외피 외주면을 다시 감싸는 제2외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9. 제5항에 잇어서,
    상기한 외피가 안경다리와 회전부재의 두께 및 폭과 같은 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1020100110871A 2010-11-09 2010-11-09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101194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871A KR101194979B1 (ko) 2010-11-09 2010-11-09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871A KR101194979B1 (ko) 2010-11-09 2010-11-09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557A true KR20120049557A (ko) 2012-05-17
KR101194979B1 KR101194979B1 (ko) 2012-10-26

Family

ID=4626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871A KR101194979B1 (ko) 2010-11-09 2010-11-09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9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126B1 (ko) * 2020-01-17 2021-06-02 이성균 다리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안경
CN114902119A (zh) * 2019-12-23 2022-08-12 陆逊梯卡有限公司 用于眼镜的柔性类型的铰链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528U (ko) 1998-04-10 1999-11-15 조자선 안경다리의 탄성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2119A (zh) * 2019-12-23 2022-08-12 陆逊梯卡有限公司 用于眼镜的柔性类型的铰链
CN114902119B (zh) * 2019-12-23 2024-03-08 陆逊梯卡有限公司 用于眼镜的柔性类型的铰链
KR102260126B1 (ko) * 2020-01-17 2021-06-02 이성균 다리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979B1 (ko) 201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2323B2 (en) Hinge system for eyewear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US20070008482A1 (en) Eyeglasses
US7575318B2 (en) Eyeglass assembly
KR10119497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101194956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101059852B1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탄성 구조
KR101511063B1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KR20180119814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KR10147704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101232804B1 (ko) 착탈식 안경다리 구조
JP2012141359A (ja) 眼鏡フレーム
KR20170130916A (ko) 안경의 결합구조
KR20170069504A (ko) 안경다리 연결구조체
KR10260454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체
JP2017211439A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
JP2010060624A (ja) 長さ調整可能なテンプル及び当該テンプルを備える眼鏡
KR101914059B1 (ko) 안경테와 힌지의 결합구조
JP2010085590A (ja) 眼鏡のテンプル連結構造及び眼鏡フレーム
KR10141757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90030330A (ko) 블록결합식 안경
KR101422994B1 (ko) 안경테
KR20180020913A (ko) 옆머리 누름 부재
JP3168367U (ja) 超弾性材料を用いたメガネフレーム
KR101307637B1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