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330A - 블록결합식 안경 - Google Patents

블록결합식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330A
KR20190030330A KR1020170117625A KR20170117625A KR20190030330A KR 20190030330 A KR20190030330 A KR 20190030330A KR 1020170117625 A KR1020170117625 A KR 1020170117625A KR 20170117625 A KR20170117625 A KR 20170117625A KR 20190030330 A KR20190030330 A KR 20190030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ing
coupling
blo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우
Original Assignee
강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우 filed Critical 강동우
Priority to KR1020170117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0330A/ko
Publication of KR20190030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블록결합식 안경은, 안구에 대응되는 렌즈장착부 및 별도의 대응 구조와 결합/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안면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에 함몰된 함몰홈 및 상기 함몰홈 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결합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결합식 안경{Brick-Combination Type Eyeglasses}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하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프레임과 블록 방식으로 결합/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블록결합식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을 교정하기 위해 착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더 나아가 심미적인 효과 또는 다양한 기능성 효과를 얻기 위한 목적도 겸비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시력 교정을 위해 투명한 렌즈가 장착된 안경은 물론 태양광 등으로부터 눈부심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코팅 처리가 되어 있는 선글라스 등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일반적 안경과 선글라스를 모두 휴대하고 다니는 것은 불편함이 따르기 때문에, 종래에는 선글라스의 렌즈를 시력교정용 안경의 렌즈 상에 장착하여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안경과 선글라스의 기능을 전환시키는 제품이 유통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제품은 미관 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선글라스의 렌즈가 필요 없는 상황에서도 이를 제거할 수가 없어 불필요하게 부피 및 무게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436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시력교정용 렌즈가 구비된 안경으로부터 다른 기능성을 가지는 렌즈형 제품을 용이하게 결합/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 및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블록결합식 안경은, 안구에 대응되는 렌즈장착부 및 별도의 대응 구조와 결합/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안면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에 함몰된 함몰홈 및 상기 함몰홈 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결합돌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대응 구조를 가지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힌지, 상기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함몰홈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삽입블록 및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블록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홈의 양측벽에는 제1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블록의 양측부에는 상기 제1고정부에 대응되어 상기 삽입블록을 상기 함몰홈 내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함몰홈의 양측벽에 형성된 한 쌍의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삽입블록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삽입홈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돌출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블록결합식 안경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황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다른 렌즈형 제품을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일반적인 사용 상태에서는 다른 렌즈형 제품을 분리시킨 상태로 사용하게 되므로, 안경의 부피 및 무게가 불필요하게 증가되지 않으며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렌즈형 제품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구조체를 결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결합식 안경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결합식 안경에 있어서, 제1결합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결합식 안경에 있어서,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록결합식 안경에 있어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블록결합식 안경에 있어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블록결합식 안경에 있어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블록결합식 안경에 있어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블록결합식 안경에 있어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결합식 안경(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결합식 안경(100)은 안구에 대응되는 렌즈장착부(120)와, 제1결합부(130)를 포함하는 제1프레임(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110)은 종래 안경 프레임과 같이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재질 역시 다양한 재질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장착부(120)는 사용자가 상기 제1프레임(110)을 안면에 장착한 상태에서 안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다양한 렌즈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렌즈장착부(120)에 일반 시력교정용 렌즈가 장착되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제1결합부(130)는 상기 제1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되며, 별도로 구비되는 대응 구조와 결합/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결합부(130)는 블록식으로 다른 대응 구조와 결합/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110)의 상부에 함몰된 형태로 구비되는 함몰홈(131)과, 상기 함몰홈(131) 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결합돌기(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130)는 별도의 대응 구조와 용이하게 결합/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록결합식 안경(100)에 있어서,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210)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블록결합식 안경(100)의 제1프레임(110)과 결합/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대응 구조를 가지며, 렌즈장착부(220)를 가지는 제2프레임(210)이 구비된 블록결합식 선글라스(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프레임(210) 역시 제1프레임(110)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재질 역시 다양한 재질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프레임(210)은 전술한 제1결합부(130)와 결합/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결합부(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결합부(230)는, 상기 제2프레임(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힌지(240)와, 상기 힌지(2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함몰홈(131)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삽입블록(231)과, 상기 결합돌기(132)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블록(231)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232)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블록(231)을 상기 함몰홈(131)에 삽입하여 상기 결합돌기(132)를 상기 결합홈(232)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210)을 서로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210)은 상기 힌지(240)를 통해 상기 제1프레임(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제1프레임(110)의 전면에 제2프레임(210)이 위치되도록 하여 시력교정의 효과 및 선글라스의 효과를 동시에 얻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결합 방식을 가지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블록결합식 선글라스(200)를 블록결합식 안경(100)으로부터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프레임(110)의 제1결합부(130)에 블록결합식 선글라스(200)가 결합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외의 다양한 기능성 제품이 제2결합부(230)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결합부(130)와 결합/분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록결합식 안경에 있어서, 제1결합부(130) 및 제2결합부(230)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결합부(230)에 힌지(240, 도 3 참조)가 구비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상기 함몰홈(131)의 양측벽에 제1고정부(134, 135 포함)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블록(231)의 양측부에는 상기 제1고정부(134, 135)에 대응되어 상기 삽입블록(231)을 상기 함몰홈(131) 내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234a, 235 포함)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고정부(134, 135)는 상기 함몰홈(131)의 양측벽에 형성된 제1삽입홈(134)과, 제2삽입홈(135)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삽입홈(134)은 상기 제2삽입홈(135)보다 다소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234a, 235 포함)는 상기 삽입블록(131)의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삽입홈(134) 및 제2삽입홈(135) 중 대응되는 삽입홈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고정돌기(234a) 및 제2고정돌기(235)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고정돌기(234a)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블록(231) 내에는 상기 제1고정돌기(234a)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2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돌기(234a)는 상기 제1수용홈(233)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탄성부재(234b)에 의해 상기 제1수용홈(233)에서의 삽입 깊이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130)에 상기 제2결합부(230)를 결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와 같이 상기 제1고정돌기(234a)를 측부에서 눌러 상기 제1탄성부재(234b)를 압축시킴에 따라 상기 제1고정돌기(234a)가 상기 제1수용홈(233) 내에 깊게 수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돌기(234a)의 돌출 영역을 상기 제1삽입홈(134)에 삽입시키고, 탄성부재(234b)를 복원시켜 상기 제2고정돌기(235)가 상기 제2삽입홈(135)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 7과 같이, 상기 탄성부재(234b)가 일정 이상의 길이로 복원될 경우, 상기 제2고정돌기(235)가 상기 제2삽입홈(135)에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제1결합부(130)와 상기 제2결합부(230)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탄성부재(234b)의 탄성에 의해 안정적인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고정돌기(234a) 및 제2고정돌기(235)를 회전축으로 하여 선글라스(200)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블록결합식 안경에 있어서, 제1결합부(130) 및 제2결합부(230)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결합부(130) 및 상기 제2결합부(230)가 전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나, 이에 힌지(240)가 더 구비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돌기(234a) 및 제2고정돌기(235), 그리고 힌지(24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블록결합식 안경에 있어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 역시 전술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함몰홈(131)의 양측벽에 제1고정부(136 포함)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블록(231)의 양측부에는 상기 제1고정부(136 포함)에 대응되어 상기 삽입블록(231)을 상기 함몰홈(131) 내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237 포함)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고정부(237 포함)는 볼부재(237)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볼부재(237)는 상기 삽입블록(231)의 제2수용홈(236)에 삽입된 상태를 가진다. 이때 상기 제2수용홈(236) 내에는 제2탄성부재(238)가 구비되어, 상기 볼부재(237)는 상기 제2수용홈(236)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탄성부재(238)의 복원력에 의한 저항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130) 및 제2결합부(230)를 결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삽입블록(231)을 상기 함몰홈(131)에 밀어 넣게 될 경우 상기 볼부재(237)가 상기 함몰홈(131) 둘레의 단차에 걸려 상기 제2수용홈(236)의 내측으로 밀려 삽입된다. 이때 상기 볼부재(137)는 상기 제2탄성부재(238)에 의해 제3삽입홈(136)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탄성부재(238)의 탄성에 의해 안정적인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볼부재(237)를 회전축으로 하여 선글라스(200)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블록결합식 안경에 있어서,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 역시 전술한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고정부(237 포함)가 볼부재(237)의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결합부(230)가 상기 결합돌기(132)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블록(231)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232)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결합홈(232)은 상기 결합돌기(13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볼부재(237)를 회전축으로 하여 선글라스(200)가 회전되지 않기 ?문에, 힌지(2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블록결합식 안경에 있어서, 제1결합부(130) 및 제2결합부(230)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제6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결합부(130) 및 상기 제2결합부(230)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결합 구조를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결합부(130)의 결합돌기(132) 내에 마그네틱(140)이 구비된다는 점과, 블록결합식 선글라스(200) 측의 힌지(240) 내에 구비된 회전축(241)이 상기 마그네틱(140)에 의해 인력을 발생시키는 자성체로 형성된다는 점이 다르다.
이때 상기 힌지(240)는 상기 회전축(241)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힌지커버(242)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커버(242)는 비자성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커버(242)의 둘레에는 복수 개의 통과홀(243)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회전축(241)과 상기 마그네틱(140) 간의 자성이 최대가 되는 경로를 서로 직선 상으로 연장한 연장선 상에 상기 통과홀(243)이 위치될 경우에는, 상기 힌지커버(242)의 영역이 위치되는 경우에 비해 보다 강한 인력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은 인력 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제2프레임(200)을 상기 제1프레임(110)에 대해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소정 각도마다 걸리는 느낌을 부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2프레임(200)의 회전 각도를 복수 구간으로 나누게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블록결합식 안경
110: 제1프레임
130: 제1결합부
131: 함몰홈
132: 결합돌기
200: 블록결합식 선글라스
210: 제2프레임
230: 제2결합부
231: 삽입블록
232: 결합홈

Claims (4)

  1. 안구에 대응되는 렌즈장착부 및 별도의 대응 구조와 결합/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안면에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에 함몰된 함몰홈; 및
    상기 함몰홈 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결합돌기;
    를 포함하는 블록결합식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대응 구조를 가지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힌지;
    상기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함몰홈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삽입블록; 및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블록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
    을 포함하는 블록결합식 안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홈의 양측벽에는 제1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블록의 양측부에는 상기 제1고정부에 대응되어 상기 삽입블록을 상기 함몰홈 내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가 형성된 블록결합식 안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함몰홈의 양측벽에 형성된 한 쌍의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삽입블록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삽입홈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돌출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블록결합식 안경.
KR1020170117625A 2017-09-14 2017-09-14 블록결합식 안경 KR201900303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625A KR20190030330A (ko) 2017-09-14 2017-09-14 블록결합식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625A KR20190030330A (ko) 2017-09-14 2017-09-14 블록결합식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330A true KR20190030330A (ko) 2019-03-22

Family

ID=6594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625A KR20190030330A (ko) 2017-09-14 2017-09-14 블록결합식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03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369Y1 (ko) 2008-07-01 2009-05-08 이상탁 안경의 안경다리 경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369Y1 (ko) 2008-07-01 2009-05-08 이상탁 안경의 안경다리 경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8301B2 (en) Assembly structure for subsidiary frame of eyeglasses
EP1865363B1 (en) Hinge system for eyewear
KR10123783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101100586B1 (ko) 머리띠형 안경
JP3202202U (ja) ゴグルレンズを用いたクリップオン眼鏡
KR20160108990A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20120001964U (ko) 렌즈 교환이 편리한 안경
KR101180990B1 (ko) 부착형 입체 영상용 안경
KR20150017133A (ko) 선택적으로 보조안경테를 탈, 부착 할 수 있는 안경
KR10136931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20190030330A (ko) 블록결합식 안경
KR20170074330A (ko) 조립식 안경
KR200473157Y1 (ko) 안경 세트
KR20120000956U (ko) 선글라스 내측에 보조안경이 결합되도록 한 이중안경
KR10119497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20140146799A (ko) 안경테와 다리의 연결구
KR200385176Y1 (ko) 무테안경
KR101326550B1 (ko) 입체영상 관람용 안경
KR200415602Y1 (ko) 원상 복귀용 접철수단이 구비된 안경
JP3189038U (ja) 老眼用レンズつきサングラス
KR101374129B1 (ko) 안경용 렌즈 프레임 탈착구조
CN217639815U (zh) 一种大角度镜脚组装结构及眼镜
KR20190025220A (ko) 안경테 조립구조
KR101530988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블럭 안경
JP3244909U (ja) 複数の効果を有する改良型ダブルリム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