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528U - 안경다리의 탄성구조 - Google Patents

안경다리의 탄성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528U
KR19990039528U KR2019980005809U KR19980005809U KR19990039528U KR 19990039528 U KR19990039528 U KR 19990039528U KR 2019980005809 U KR2019980005809 U KR 2019980005809U KR 19980005809 U KR19980005809 U KR 19980005809U KR 19990039528 U KR19990039528 U KR 199900395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legs
coil
spring
tension sp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자선
Original Assignee
조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자선 filed Critical 조자선
Priority to KR2019980005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9528U/ko
Publication of KR199900395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528U/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안경다리(8)(10)를 각기 전후 분리 구성하여 그 사이에 2중 또는 3중으로 구성된 코일인장 스프링(28)(30)을 연결 형성하여 줌으로써 전경사각 유지 및 측두부의 압박 최소화로 착용감이 우수하고 특히 안경다리(8)(10)가 전면부(2)로부터 약180°이상 휨이 가능하게 되므로 자칫 실수로 안경(38)을 깔고 앉거나 밟더라도 파손의 우려가 적어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안경다리의 탄성구조.
본 고안은 안경다리의 탄성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안경의 전면부로부터 안경다리가 자유자제로 휨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안경은 디자인과 함께 착용감이 선택의 기준이 되며 그 착용감은 전경각의 유지 및 안경다리에 의한 눈과 귀 사이의 양측두부 압박유무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종래에도 안경의 전경사각이 약15°로 유지되게 하고 또 전면부와 다리를 연결하는 경첩핀에 압축 스프링이 탄력 설치된 안내봉을 연결 형성하여 안경다리를 편 상태에서도 각기 외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착용시 안경다리가 양측 두부와 닿는 만큼 벌어지도록 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안경다리의 탄성구조는 벌림각이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그 방향 또한 외측수평방향으로 국한되므로 평균체형에 따라 일괄 적용되는 약15° 의 전경각으로 인하여 각기 저마다 얼굴형태가 다른점을 고려해볼 때 전경각이 맞지않아 콧등을 압박하게되며 또한 벌림각이 크면 클수록 압축 스프링의 복원력은 크게 작용할 수밖에 없어 복잡한 구성으로 인한 제조단가만 상승할 뿐 이 역시 측두부를 압박하게 되므로 착용감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신체의 압박시에는 실제 안경무게에 비해 더욱 큰 무게감을 느끼게되므로 안경을 오래 착용할 수가 없게되고 또 안경이 얼굴형태에 따른 제자리 찾기가 어려워 광학적 위치 즉 렌즈촛점과 눈의 촛점이 일치하지 않아 오히려 시력을 감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됨은 물론 사이즈별 선택의 폭도 그 만큼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안경은 그 구조상 전경각을 갖는 전면부에 안경다리가 수평으로 연결되므로 자칫 실수로 안경을 깔고 앉거나 발로 밟게 되면 그 힘이 안경전면부와 안경다리에 곧바로 전달되므로 전면부와 다리가 뒤틀리거나 휘어져 파손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에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경다리에 방향에 관계없이 자유자재로의 휨이 가능토록하여 얼굴형태에 따라 전경각과 다리사이의 간격이 얼굴형태에 따라 조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경착용시 느낌상의 무게감을 없애주도록 하고 또 제자리를 쉽게 찾을 수 있어 광학적 위치를 맞춰줄 수 있게 하며 사이즈별 선택의 폭도 그 만큼 넓혀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안경다리의 휨이 약180°이상 큰 폭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 중 자칫 안경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뒤틀림이나 휨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게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안경다리의 일부구간을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함으로써 적정 벌림각까지는 일정한 힘의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하고 특히 사방 큰 폭으로의 휨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이용되는 코일 스프링은 안경다리로서 요구되는 지지력을 갖춰야 하므로 코일인장 스프링으로 제한되며 코일인장 스프링을 이용함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안경다리의 직경을 감안할 때 그 직경 또한 클 경우에는 외관상 보기흉해 이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직경이 작은 인장스프링으로 제한할 경우에는 그 직경이 작을 수록 지지력이 약해 안경다리로서 요구되는 지지력을 얻을 수 없게되므로 코일인장 스프링을 2중 또는 3중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인장스프링을 2중 또는 3중으로 연결하여 사용함에 있어서도 내측 스프링을 외측 스프링에 강제로 삽입할 경우 이 과정에서의 변형은 물론 안경의 전면부로부터 안경다리를 큰 폭으로 벌리게되면 서로 간의 간섭으로 코일과 코일사이의 간격이 벌어져 복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잃게 된다.
또한 내측 스프링을 외측 스프링 내에 헐겁게 삽입할 경우에는 다리와의 연결작업시 내측 스프링의 삽입여부를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고 또 연결작업시에도 내측 스프링이 일측으로 치우쳐 제대로 연결되지 않게 되므로 불량 발생률이 높게 됨은 물론 이 역시 안경다리를 큰 폭으로 벌려주게 되면 코일의 약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더욱 많이 벌어져 복원력에 중대한 결함이 생기에 되므로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잃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코일인장 스프링을 2중 또는 3중으로 구성함에 있어서도 내측 스프링을 외측 스프링의 감김 방향을 따라 나사식으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벌림시 내.외측 인장스프링 중 비록 어느한 부분의 코일이 약하더라도 내.외측 인장스프링의 코일이 지그재그로 위치하여 서로간에 지지력을 발휘하게되므로 그 전체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휘어지도록 함으로써 복원력이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인장스프링을 안경다리 사이에 연결함에 있어서도 고주파 용접하거나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가열용융 접착하는 등 다양한 연결수단을 예로 들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인장스프링을 안경다리에 견고히 연결 고정해줄 수 있으면 만족한다.
이때 인장스프링은 가급적 안경 전면부 가까이에 연결 형성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장스프링을 안경다리에 연결형성함에 있어서도 안경다리가 금속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고주파 용접하여 연결되며 재질에 관계없이 수지를 가열 경화시켜 연결해줄 수도 있다.
수지를 이용한 연결시에는 도2에서와 같이 안경다리의 연결부위에 각각 삽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에 인장스프링의 단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연결부위에 수지를 도포하여 가열 경화시켜 주게되면 보다 견고히 연결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안경다리의 재질에 관계없이 외측 인장스프링 내에 적어도1개이상의 인장스프링을 삽입하여 이를 가급적 경첩 인근부분에 연결 형성되는 구조이면 만족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일부를 분해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전면부 (4)(6)--경첩
(8)(10)--안경다리 (12)(14)--전단부
(16)(18)--후단부 (20)(22)(24)(26)--연결부
(28)(30)--코일인장 스프링 (32)--내측인장 스프링
(34)--외측인장 스프링 (36)--삽입공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안경 전면부(2)와 경첩(4)(6)으로 연결되는 좌우 안경다리(8)(10)를 각각 전단부(12)(14)와 후단부(16)(18)로 분리 구성한 뒤 그 대향면에 연결부(20)(22)(24) (26)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 사이에 각가 일정길이의 코일인장 스프링(28)(30)을 연결 형성한다.
이때 안경다리(8)(10)의 전단부(12)(14)는 가급적 짧게 형성하여 연결부(20) (22)(24)(26)사이에 연결되는 코일인장 스프링(28)(30)이 안경전면부(2)쪽에 치우쳐 형성되게 하고 상기 코일인장 스프링(28)(30)은 2중 또는 3중으로 구성한다.
상기에 있어 코일인장 스프링(28)(30)을 2중 또는 3중으로 구성함에 있어서는 도2에서와 같이 내측인장 스프링(32)을 외측인장 스프링(34)내에 끼워 코일의 감김 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에 따라 나사식으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내.외측인장 스프링(32)(34)의 각 코일이 서로 약간의 유격을 두고 지그재그 엇갈리게 위치토록 한다.
한편 코일인장 스프링(28)(30)을 안경다리(8)(10)의 연결부(20)(22)(24)(26)사이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안경다리(8)(10)의 재질에 따라 고주파 용접하거나 또는 수지를 이용한 가열 경화시켜 연결되게 한다.
또한 수지를 이용한 연결시에는 도2에서와 같이 안경다리(8)(10)의 연결부 (20)(22)(24)(26)에 삽입공(36)을 형성하여 코일인장 스프링(28)(30)의 단부를 삽입공(36)에 삽입한 뒤 수지를 가열 경화시켜서 연결해 주게되면 보다 견고히 연결된다.
미설명부호 (38)은 안경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안경다리(8)(10)가 가는 만큼 직경이 작고 지지력이 약한 인장스프링(28)(30)이 사용되기는 하나 인장스프링(28)(30)의 특성 및 이를 2중 또는 3중으로 구성함에 따라 안경다리(8)(10)로서 요구되는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게되므로 안경다리에 인위적인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시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인장스프링(28)(30)을 2중 또는 3중으로 구성함에 있어 내측 스프링(32)이 외측 스프링(34)내에 코일의 감김 방향을 따라 나사식으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안경다리(8)(10)와의 연결작업시 내측 스프링(32)이 외측 스프링(34)으로부터 이탈할 우려가 없어 코일인장 스프링(28)(30)의 연결작업시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안경다리(8)(10)를 편 상태에서 안경(38)을 쓰게되면 약15°를 이루고 있던 전경각과 안경다리(8)(10)사이의 간격이 인장스프링(28)(30)에 의해 얼굴형태에 따라 조정된다.
이때 코일인장 스프링(28)(30)을 통한 조정폭은 소폭에 지나지 않고 이러한 소폭의 조정시에는 그 복원력 즉 탄성이 거의 동일한 힘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안경착용시 안경다리(8)(10)로 인한 콧등 및 측두부의 압박을 최소화시켜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안경다리(8)(10)는 방향에 관계없이 최대 약180°이상으로 벌어질 수 있게 되므로 자칫 실수로 안경(38)을 깔고 앉거나 또는 밟게 되더라도 그 힘이 작용하는 만큼 코일인장 스프링(28)(30)의 휨으로 안경의 전면부(2)와 안경다리(8) (10)의 비틀림이나 휨을 방지해 주게된다.
코일인장 스프링(28)(30)을 통한 안경다리(8)(10)의 휨시에도 2중 또는 3중의 스프링의 각기 코일과 코일사이에 지그재그로 위치함에 따라 각 코일이 서로간에 지지력을 발휘하여 어느한 부분이라도 불필요하게 많이 휘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되므로 상시 일정한 복원력이 유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안경다리(8)(10)로서 요구되는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으면서도 코일인장 스프링(28)(30)으로부터 약하고 일정한 탄성의 작용으로 안경착용시 전경각과 안경다리(8)(10)사이의 간격이 얼굴형태에 따라 조정되므로 압박으로 인한 무게감을 없애주고 제자리를 쉽게 찾을 수 있어 적절한 광학적 위치로 시력이 보호되며 사이즈별 선택의 폭도 그 만큼 넓어지게 되고 방향에 관계없이 약180°이상 큰 폭의 휨이 가능하므로 자칫 실수로 안경을 깔고 앉거나 밟더라도 파손의 우려가 전혀 없어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안경다리(8)(10)를 각기 전후 분리 구성하여 그 사이에 2중 또는 3중으로 구성된 코일인장 스프링(28)(30)을 연결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의 탄성구조.
KR2019980005809U 1998-04-10 1998-04-10 안경다리의 탄성구조 KR199900395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809U KR19990039528U (ko) 1998-04-10 1998-04-10 안경다리의 탄성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809U KR19990039528U (ko) 1998-04-10 1998-04-10 안경다리의 탄성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528U true KR19990039528U (ko) 1999-11-15

Family

ID=6951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809U KR19990039528U (ko) 1998-04-10 1998-04-10 안경다리의 탄성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952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956B1 (ko) 2010-11-09 2012-10-25 우선구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101194979B1 (ko) 2010-11-09 2012-10-26 우선구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956B1 (ko) 2010-11-09 2012-10-25 우선구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KR101194979B1 (ko) 2010-11-09 2012-10-26 우선구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371B1 (ko) 개선된 착용감을 갖는 안경류
US6113235A (en) Eyeglasses frame having elastically deformable rim-to-temple joints
MY122432A (en) Rimless eyeglass frame and rimless eyeglasses employing such frame
KR101100586B1 (ko) 머리띠형 안경
KR19990039528U (ko) 안경다리의 탄성구조
CN210323622U (zh) 一种防脱落预防近视眼镜
KR200423015Y1 (ko) 안경
CN215416148U (zh) 眼镜
US10962799B2 (en) Eyeglass frame supported by cheek bones
KR200215644Y1 (ko) 무테 안경렌즈에 안경다리와 코다리의 결합구조
KR200289986Y1 (ko) 안경의 코받침부재 높이조절 구조
CN210954504U (zh) 一种可换脚结构眼镜
KR20200100456A (ko) 플립형 노안 교정안경테
US3285688A (en) Eyeglass frame with bimetallic strip means to automatically adjust fit on wearer
CN210199429U (zh) 一种眼镜
KR200348930Y1 (ko) 코받침과 귀걸이가 없는 패션안경
KR102050903B1 (ko)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KR200310430Y1 (ko) 높이 조절 안경
CN216351597U (zh) 一种带有防护结构的眼镜
CN219475932U (zh) 一种眼镜的连接结构
CN214669893U (zh) 一种眼部创伤治疗敷药用眼镜连接装置
CN220872796U (zh) 眼镜镜脚的长度可调节结构及其应用的眼镜
KR102197987B1 (ko) 안경테의 코받침 구조
CN214201956U (zh) 一种便于更换镜片的太阳眼镜
CN111522148B (zh) 一种具有调节左右两边镜腿松弛度的眼镜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