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903B1 -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 Google Patents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903B1
KR102050903B1 KR1020180064387A KR20180064387A KR102050903B1 KR 102050903 B1 KR102050903 B1 KR 102050903B1 KR 1020180064387 A KR1020180064387 A KR 1020180064387A KR 20180064387 A KR20180064387 A KR 20180064387A KR 102050903 B1 KR102050903 B1 KR 102050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lasses
length
hat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조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선 filed Critical 조용선
Priority to KR1020180064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7Means for attaching eyewea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62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03Fasten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는 안경이 모자에 부착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에 가해지는 안경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는 사용자의 얼굴에 가해지는 안경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코나 얼굴형 등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는 부착부, 가이드부, 길이조절부 및 안경거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A GLASSES HANGER FOR ATTACHING HATS}
본 발명은 안경을 모자에 부착하여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는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안경테와 렌즈가 결합된 형태로써, 시력을 교정하거나 눈을 보호하기 위해 눈 앞에 장비하는 광학기구의 일종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널리 이용됨에 따라 그 사용자들의 저하된 시력을 보호할 목적으로 안경을 찾는 수요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더욱이, 급속한 오존층의 파괴에 따른 자외선 지수의 증가로 인해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목적으로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선글라스를 찾는 수요 또한 함께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안경은 크게 전면부에 위치한 프레임과 그 프레임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결되는 템플로 구성된다. 먼저 프레임은 림과 브릿지 및 코받침(코패드)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특히 코받침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첫 번째 구성요소로, 사용자의 콧등에 얹혀진다. 한편 템플은 프레임이 코받침에 의해 사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면, 그 사용자의 광대뼈 윗 부근에 위치한다. 이때, 템플의 단부에 휘어지게 형성된 팁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두 번째 구성요소로, 사용자의 양쪽 귀에 걸쳐진다. 즉, 종래의 안경은 프레임의 중간에 형성된 코받침과 프레임에서부터 템플로 연장되어 그 템플의 단부에 형성된 팁을 고정수단으로 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고정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안경은 사용자들의 일상생활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중요한 시력 보호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안경의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무게를 단 2 개의 고정수단만을 이용해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고정되었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한 압박 통증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안경은 그 무게에 따른 압력으로 인해 사용자의 코나 얼굴형에 변형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KR 등록특허공보 제10-1562750호(2015.10.2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안경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안경이 모자에 부착되는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는 부착부, 가이드부, 길이조절부 및 안경거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는 모자챙의 하부에 부착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부착부의 전방에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안내공간을 따라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안경거치부는 상기 길이조절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안경을 거치한다.
상기 부착부는, 내부공간에 자성체가 위치하거나 상부면이 자성을 띄고, 상기 모자챙의 하부는, 상기 부착부에 대응되도록 자성을 띈다.
상기 부착부는, 상부면에 제 1 벨크로면이 형성되고, 상기 모자챙의 하부는, 상기 부착부에 대응되도록 제 2 벨크로면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는 한 쌍의 가이드벽을 포함한다. 한 쌍의 상기 가이드벽은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에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바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가이드벽 하부를 연결하고, 상기 길이조절부의 상부가 안내공간에 연결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가이드바는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가이드바의 상부에서 상기 안내공간으로 돌출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의 상부가 단계별로 길이 조절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길이조절부는 길이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길이몸체는 상기 길이조절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안내공간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길이몸체는 복수의 다단조절홈 및 멈춤돌기를 포함한다. 복수의 상기 다단조절홈은 상기 길이몸체의 전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길이몸체가 상기 안내공간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되면, 그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걸림돌기에 단계별로 맞물린다. 상기 멈춤돌기는 상기 길이몸체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복수의 상기 다단조절홈 중 최상단의 상기 다단조절홈이 상기 걸림돌기에 맞물리면, 상기 걸림돌기의 상부면에 지지되어 상기 길이조절부가 상기 안내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상기 길이조절부는 결속고리를 포함한다. 상기 결속고리는 상기 길이조절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경거치부를 상기 길이조절부와 연결한다.
상기 안경거치부는 제 1 고정다리, 한 쌍의 연결다리 및 제 2 고정다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고정다리는 상기 안경거치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부가 상기 결속고리에 결합되며, 하부가 안경의 제 1 접촉면에 밀착된다. 한 쌍의 상기 연결다리는 상기 제 1 고정다리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제 2 고정다리는 상부가 한 쌍의 상기 연결다리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안경의 제 2 접촉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 1 고정다리와 함께 상기 안경을 고정한다. 상기 제 2 고정다리는, 한 쌍의 상기 연결다리의 회전력에 의해 하부가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제 1 고정다리는 돌출바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바는 상기 제 1 고정다리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결속고리에 압입된다.
한 쌍의 상기 연결다리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한다. 토션스프링은 한 쌍의 상기 연결다리 내측에 위치하고, 제 2 고정다리의 상부가 축 결합되어 동반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는 안경이 모자에 부착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에 가해지는 안경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는 사용자의 얼굴에 가해지는 안경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코나 얼굴형 등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 의 측면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구성요소들이 순차적으로 나열된 모습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가 사용되는 상태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게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벽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 상에 있어서 층과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 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 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미리 배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 의 측면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구성요소들이 순차적으로 나열된 모습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10)는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안경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부착부(100), 가이드부(200), 길이조절부(300) 및 안경거치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부착부(100)는 모자의 앞에 붙은 모자챙의 하부에 부착된다. 부착부(100)는 제 1 및 제 2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모자챙에 부착될 수 있다. 제 1 구성요소는 예컨대 부착부(100)의 내부공간에 자성체(미도시)가 위치하거나 그 부착부(100)의 상부면에 자성을 띄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구성요소는 부착부(100)의 상부면에 제 1 벨크로면 형태로 형성된다. 제 1 벨크로면(미도시)은 예를 들어, 후크 벨크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모자챙의 하부에는 제 1 및 제 2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기 위해 하부가 자성을 띄거나 그 하부에 제 2 벨크로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벨크로면은 후크 벨크로에 대응되는 루프 벨크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부착부(100)는 자성의 성질을 이용하여 모자챙에 부착되거나 벨크로 등의 부착 수단을 이용하여 모자챙에 부착될 수 있다.
가이드부(200)는 부착부(100)의 전방에 형성되어 길이조절부(300)가 상하방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가이드부(200)는 한 쌍의 가이드벽(210)과 가이드바(220)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벽(210)은 가이드부(200)의 양측에 나란히 형성되어 안내공간(도면부호 생략)을 형성한다. 특히 안내공간은, 길이조절부(300)의 상부가 위치하여 그 길이조절부(300)가 상하방으로 이동되는 통로로써 이용된다.
가이드바(220)는 가이드부(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한 쌍의 가이드벽(210) 하부가 서로 이어지게끔 연결한다. 또한 가이드바(220)는 길이조절부(300)의 상부가 한 쌍의 가이드벽(210) 안내공간에 연결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가이드바(220)는 걸림돌기(221)를 포함한다. 걸림돌기(221)는 가이드바(220)의 상부에서 안내공간이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길이조절부(300)의 상부가 단계별로 길이 조절되도록 지지한다. 즉, 가이드바(220)는 걸림돌기(221)를 이용함으로써, 길이조절부(300)의 상부가 한 쌍의 가이드벽(210) 안내공간에 위치하되, 길이조절부(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300)는 상부가 가이드부(200)에 삽입되고, 한 쌍의 가이드벽(210) 안내공간을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된다. 이러한 길이조절부(300)는 길이몸체(310)와 결속고리(320)를 포함한다.
길이몸체(310)는 길이조절부(300)의 상부에 형성되어 한 쌍의 가이드벽(210) 안내공간으로 삽입된다. 또한 길이몸체(310)는 그 안내공간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길이몸체(310)는 복수의 다단조절홈(311)과 멈춤돌기(312)가 전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부(200)에 이동 및 지지 가능하게끔 결합된다. 복수의 다단조절홈(311)은 길이몸체(310)의 전면에 일정 간격 이격된 홈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다단조절홈(311)은 길이몸체(310)가 한 쌍의 가이드벽(210) 안내공간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되면, 그 이동에 대응하여 걸림돌기(221)에 단계별로 맞물린다.
멈춤돌기(312)는 길이몸체(310)의 전면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멈춤돌기(312)는 복수의 다단조절홈(311) 중 최상단에 위치한 다단조절홈(311)이 걸림돌기(221)에 맞물리면, 그 걸림돌기(221)의 상부면에 지지됨으로써, 길이조절부(300)가 안내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결속고리(320)는 길이조절부(3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안경거치부(400)를 길이조절부(300)와 연결한다. 이때 결속고리(320)는, 길이조절부(30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멈춤돌기(312)와 더불어 길이조절부(300)가 가이드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결속고리는 결속홈(321)을 포함한다.
결속홈(321)은 결속고리(320)의 일측에 홈 형태로 형성되어 안경거치부(400)의 구성요소가 압입된다.
안경거치부(400)는 길이조절부(3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안경을 거치한다. 이러한 안경거치부(400)는 제 1 고정다리(410), 한 쌍의 연결다리 및 제 2 고정다리(430)를 포함한다.
제 1 고정다리(410)는 안경거치부(400)의 후방에 위치하여 그 상부가 결속고리에 결합된다. 또한 제 1 고정다리(410)는 그 하부가 안경의 제 1 접촉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제 1 접촉면이란, 예컨대 안경의 전면부에 위치한 프레임 뒷면 혹은 그 프레임에 결합된 렌즈 뒷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 1 고정다리(410)는 돌출바(411)와 제 1 밀착단부(412)를 포함한다.
돌출바(411)는 제 1 고정다리(410)의 상부로 돌출되어 결속고리(320)의 결속홈(321)에 압입된다. 즉, 돌출바(411)는 제 1 고정다리(410)가 포함된 안경거치부(400)를 길이조절부(300)에 연결할 수 있다.
제 1 밀착단부(412)는 제 1 고정다리(410)의 양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고, 그 둘레가 높은 마찰력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제 1 밀착단부(412)는 제 1 고정다리(410)의 양측에 위치하여 프레임 뒷면 혹은 그 프레임에 결합된 렌즈 뒷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다리(420)는 제 1 고정다리(41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나란히 연장되어 제 1 고정다리(410)와 제 2 고정다리(430)를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다리(420)는 토션스프링(421)을 포함한다.
토션스프링(421)은 한 쌍의 연결다리(420) 내측에 위치하고, 제 2 고정다리(430)의 상부가 축 결합되어 토션스프링(421)과 함께 동반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전달한다. 토션스프링(421)은 2개로 마련되어 제 2 고정다리(430)의 상부 양측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고정다리(430)는 상부가 한 쌍의 연결다리(420)에 결합되고, 하부가 안경의 제 2 접촉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 1 고정다리와 함께 상기 안경을 고정한다. 여기서 제 2 접촉면이란, 예컨대 안경의 전면부에 위치한 프레임 앞면 혹은 그 프레임에 결합된 렌즈 앞면을 의미한다. 또한 제 2 고정다리(430)는 한 쌍의 연결다리(420)의 회전력에 의해 하부가 전후방으로 회전됨으로써, 안경의 프레임 혹은 렌즈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고정다리(430)는 회전제한돌기(431)와 제 2 밀착단부(432)를 포함한다.
회전제한돌기(431)는 제 2 고정다리(430)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회전제한돌기(431)는 제 2 고정다리(430)가 토션스프링(421)과 더불어 회전되되, 제한된 회전범위에 도달되면, 길이조절부(300)의 하부에 접촉됨으로써, 제 2 고정다리(430)의 제한된 회전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회전제한돌기(431)는 제 2 고정다리(430)가 안경의 두께에 대응하여 회전하되, 큰 범위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밀착단부(432)는 제 2 고정다리(430)의 양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고, 그 둘레가 높은 마찰력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제 2 밀착단부(432)는 제 2 고정다리(430)의 양측에 위치하여 프레임 앞면 혹은 그 프레임에 결합된 렌즈 앞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가 사용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가 사용되는 상태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10)는 부착부(100)가 모자(500)의 모자챙 하부에 부착되어 그 부착부(100)에 연결된 길이조절부(300) 및 안경거치부(400)를 모자(5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부(100)에 의해 모자(500)에 고정된 안경거치부(400)는 제 1 고정다리(410) 및 제 2 고정다리(430)를 이용해 안경(600)의 프레임 혹은 그 프레임에 결합된 렌즈를 양쪽에서 밀착·고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10)는 길이조절부(300)가 가이드부(200)의 안내공간을 따라 단계별로 상하 이동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안경(600)이 위치하게끔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경(600)의 프레임 중간에 형성된 코받침과 프레임에서부터 템플로 연장되어 그 템플의 단부에 형성된 팁을 고정수단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모자에 그 안경(600)의 무게를 분산함으로써, 안경(600)으로 인한 압박감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 된다.
10 :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100 : 부착부
200 : 가이드부
210 : 가이드벽
220 : 가이드바
221 : 걸림돌기
300 : 길이조절부
310 : 길이몸체
311 : 다단조절홈
312 : 멈춤돌기
320 :결속고리
321 : 결속홈
400 : 안경거치부
410 : 제 1 고정다리
411 : 돌출바
412 : 제 1 밀착단부
420 : 연결다리
421 : 토션스프링
430 : 제 2 고정다리
431 : 회전제한돌기
432 : 제 2 밀착단부
500 : 모자
600 : 안경

Claims (10)

  1. 모자챙의 하부에 부착되는 부착부;
    상기 부착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안내공간을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길이조절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안경을 거치하는 안경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길이조절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경거치부를 상기 길이조절부와 연결하는 결속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안경거치부는,
    상기 안경거치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부가 상기 결속고리에 결합되며, 하부가 안경의 제 1 접촉면에 밀착되는 제 1 고정다리;
    상기 제 1 고정다리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나란히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다리; 및
    상부가 한 쌍의 상기 연결다리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안경의 제 2 접촉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 1 고정다리와 함께 상기 안경을 고정하는 제 2 고정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고정다리는, 한 쌍의 상기 연결다리의 회전력에 의해 하부가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내부공간에 자성체가 위치하거나 상부면이 자성을 띄고,
    상기 모자챙의 하부는, 상기 부착부에 대응되도록 자성을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부면에 제 1 벨크로면이 형성되고,
    상기 모자챙의 하부는, 상기 부착부에 대응되도록 제 2 벨크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에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가이드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가이드벽 하부를 연결하고, 상기 길이조절부의 상부가 안내공간에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가이드바의 상부에서 상기 안내공간으로 돌출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의 상부가 단계별로 길이 조절되도록 지지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길이조절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안내공간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되는 길이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몸체는,
    상기 길이몸체의 전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길이몸체가 상기 안내공간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되면, 그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걸림돌기에 단계별로 맞물리는 복수의 다단조절홈; 및
    상기 길이몸체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복수의 상기 다단조절홈 중 최상단의 상기 다단조절홈이 상기 걸림돌기에 맞물리면, 상기 걸림돌기의 상부면에 지지되어 상기 길이조절부가 상기 안내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멈춤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다리는,
    상기 제 1 고정다리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결속고리에 압입되는 돌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연결다리는,
    한 쌍의 상기 연결다리 내측에 위치하고, 제 2 고정다리의 상부가 축 결합되어 동반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KR1020180064387A 2018-06-04 2018-06-04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KR102050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387A KR102050903B1 (ko) 2018-06-04 2018-06-04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387A KR102050903B1 (ko) 2018-06-04 2018-06-04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903B1 true KR102050903B1 (ko) 2019-12-02

Family

ID=6884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387A KR102050903B1 (ko) 2018-06-04 2018-06-04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9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194B1 (ko) * 2001-02-09 2003-07-04 고명근 안경 착탈용 모자
KR20120048784A (ko) * 2010-11-08 2012-05-16 기 연 김 모자부착 겸용 선글라스
KR101562750B1 (ko) 2014-12-12 2015-10-22 양재복 머리고정형 안경
KR20160037281A (ko) * 2014-09-26 2016-04-06 김두태 선글라스가 구비된 차양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194B1 (ko) * 2001-02-09 2003-07-04 고명근 안경 착탈용 모자
KR20120048784A (ko) * 2010-11-08 2012-05-16 기 연 김 모자부착 겸용 선글라스
KR20160037281A (ko) * 2014-09-26 2016-04-06 김두태 선글라스가 구비된 차양모자
KR101562750B1 (ko) 2014-12-12 2015-10-22 양재복 머리고정형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1070B2 (en) Translating multifocal eyeglass lenses
WO2006096197A3 (en) Cap attachable, adjustable sunglasses
US9588355B2 (en) Pair of glasses with secondary lenses
US20120147316A1 (en) Adjustable eyewear, lenses and frames
KR101100586B1 (ko) 머리띠형 안경
US20210137202A1 (en) A Spectacle Mounting for a Visor on a Helmet
JP5876531B2 (ja) 眼鏡曇り防止器具
US5229796A (en) Attachable eyeglasses
KR102469152B1 (ko) 안경형의 프레임
KR102050903B1 (ko)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JPH07209616A (ja) 眼鏡におけるテンプルのクッション・モダン調節機構、およびそれに用いるアジャスト式クッション・モダン
JP6829515B2 (ja) 眼鏡フレーム
US10962799B2 (en) Eyeglass frame supported by cheek bones
US7407282B1 (en) Eyeglass temple assembly
KR102357980B1 (ko) 안경다리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패션 안경
KR101602051B1 (ko) 안경용 받침수단
KR20160003557U (ko) 안경테
KR20120004268A (ko) 코받침 없는 안경
EP3479165B1 (en) Eyeglasses with easy snap-on lenses
KR200310430Y1 (ko) 높이 조절 안경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CN212160251U (zh) 调节眼镜
CN216646985U (zh) 方便调节式鼻垫结构及眼镜
CN212160257U (zh) 减振眼镜
KR200487261Y1 (ko) 안경 보조 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