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784A - 모자부착 겸용 선글라스 - Google Patents

모자부착 겸용 선글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784A
KR20120048784A KR1020100110143A KR20100110143A KR20120048784A KR 20120048784 A KR20120048784 A KR 20120048784A KR 1020100110143 A KR1020100110143 A KR 1020100110143A KR 20100110143 A KR20100110143 A KR 20100110143A KR 20120048784 A KR20120048784 A KR 20120048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glasses
frame
hat
cap
gla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 연 김
Original Assignee
기 연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 연 김 filed Critical 기 연 김
Priority to KR1020100110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8784A/ko
Priority to PCT/KR2011/008180 priority patent/WO2012064041A2/ko
Publication of KR20120048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7Means for attaching eyewear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by headge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글라스를 일반 선글라스 및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안경다리가 있는 일반 선글라스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안경다리가 없이 모자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겸용 선글라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자부착 겸용 선글라스 {A combined normal and attachable sunglasses to a cap}
본 발명은 안경다리가 있는 일반 선글라스를 안경다리 없이 모자 부착형으로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필요시에는 안경다리를 부착하여 일반 선글라스로 사용하고, 필요시에는 안경 다리를 분리하고 선글라스 프레임에 모자 부착 장치를 연결함으로써 모자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에는 지구 환경 변화에 따른 자외선의 증가로 선글라스가 필수품이 되었으며, 소득 수준 증가에 따른 야외 활동이 증가하면서 모자를 착용하는 인구가 늘고 있다.
안경다리가 있는 일반 선글라스는 땀에 의해 흘러 내리거나, 콧등에 자국이 나고, 안경다리에 의해 머리 눌림으로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야외에서는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는 안경다리가 없고 모자 챙에 부착 하기 때문에 땀이 나도 흘러 내리지 않고 콧등에 자국이 없으며 머리 통증도 없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는 매우 유용한 기술이기는 하나 모자에 부착 해야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모자를 착용하지 않을 때에는 별도의 일반 선글라스를 휴대 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서 산업화에 제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서, 클립을 이용한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에서 클립을 분리하고 그 곳에 안경다리를 결합하여 겸용토록 하는 기술이 개발 되어 있으나, 이는 클립을 이용하는 모자 부착 방식의 불편성과 적용할 수 있는 모자 선택의 제한성 때문에 이 또한 산업화에 제한점이 있었다.
클립을 이용하여 모자 챙에 부착하는 기술의 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석을 이용한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가 개발되었으나, 일반 선글라스로 겸용할 수 있는 기술은 개발 되지 못 하였다.
일반 선글라스(10)는 도 1에서와 같이 프레임(30), 렌즈(11) 그리고 안경다리(50)로 구성 되어 있으며, 또 다른 기존의 기술인 자석을 이용한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20)는 도 2에서와 같이 안경다리 없는 프레임(30), 렌즈(11) 그리고 모자부착장치(40)로 구성 되어 있다.
즉, 일반 선글라스에는 모자에 부착할 수 있는 모자부착 장치가 없으며, 자석을 이용한 모자부착형 선글라스는 모자부착 장치는 있으나 안경다리가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선글라스의 프레임에 모자부착 장치와 안경다리를 탈부착이 가능 하도록 하였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기존의 기술인 자석(41),(43)을 이용한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의 모자부착 장치(40)를 활용하기 위하여 모자 부착장치의 와이어포밍 스프링(42)을 선글라스 프레임(30)에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중앙 후반부에 스프링 연결구(31)를 구비하여 원터치 식으로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하고, 안경다리(50)와 프레임(30)을 연결하는 힌지부에는 관절형 연결 장치(32),(51)를 구비하여 원터치 식으로 탈부착 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시에는 안경다리를 연결하여 일반 선글라스로 사용하고, 필요시에는 안경다리를 제거하고 모자 부착 장치(40)를 연결하여 모자 부착형으로 겸용 가능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즉, 자석을 이용한 모자 부착 장치의 와이어포밍 스프링(42)을 원터치 식으로 탈부착 가능 하도록 스프링 연결구(31)를 구비하고 또한 안경다리를 원터치 식으로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레임 연결부(32)를 구비한 선글라스 프레임(30)과, 프레임 연결부(32)에 탈부착 할 수 있는 안경다리 연결부(51)를 구비한 안경다리(50)와, 프레임의 스프링 연결구(31)에 탈부착할 수 있는 와이어포밍 스프링(42)이 구비된 자석을 이용한 모자 부착 장치(40)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모자 부착 겸용 선글라스는 한 개의 제품으로 필요에 따라 일반 선글라스로도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모자 부착형으로도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함과 경제성을 극대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안경다리를 사용하는 일반 선글라스의 실시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자석을 이용한 모자부착형 선글라스의 실시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모자부착 겸용 선글라스의 실시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프레임의 연결부에 안경다리 연결부를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프레임의 스프링 연결구에 모자 부착 장치의 와이어포밍 스프링을 결합 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프레임의 스프링 연결구에 모자 부착 장치의 와이어포밍 스프링을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 선글라스(10)는 도 1에서와 같이 프레임(30)과 렌즈(11) 그리고 안경다리(50)로 구성 되어 있다. 반면에 자석을 이용한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20)는 도 2에서와 같이 안경다리가 없이 프레임(30)과 렌즈(11) 그리고 모자 부착 장치(40)로 구성되어 있다.
즉, 프레임에 안경다리만을 연결 하면 일반 선글라스가 될 수 있고, 모자 부착 장치만을 연결 하면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프레임에 안경다리를 편리하게 탈부착 가능 토록 하기 위하여, 프레임과 안경다리의 결합 방식을 기존의 나사 결합식에서 탈피하여 분리 가능한 관절형 연결 장치를 구비하였다.
도 3에서와 같이 관절형 연결 장치는 프레임 연결부(32)와 안경다리 연결부(51)로 구성 되어 있다.
도 4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 하면, 안경다리(50)를 프레임(3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안경다리 연결부(51)를 프레임 연결부(32)에 밀어 넣음(83)으로서 결합이 완료 된다. 즉, 안경다리 연결부의 이중 연결판(52)을 프레임 연결부의 유도홈(34)에 밀어 넣으면 되는 것이다. 이 때 안경다리 연결부(51)의 이중 연결판(52)이 탄성으로 서로 수축(84)되면서 프레임의 유도홈(34)으로 들어가서 이중 연결판(52)의 상하 반구형 걸림턱(53)이 프레임의 상하 원통형 걸림구멍(35)에 연결됨으로서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수축된 이중 연결판(52)의 복원력(84)에 의해 상하로 강하게 연결되며 임의로 분리되지 않으면서 안경다리가 회동할 수 있다. 안경다리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때는 결합할 때의 역방향으로 당기기만 하면 된다.
즉, 관절형 연결 장치는 사용자가 별도의 장비 없이 안경다리를 프레임으로부터 손쉽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의지 없이는 분리되지 않는 역할을 한다.
모자부착 장치를 프레임에 탈부착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5에서와 같이 프레임(30)의 중앙 후반부에 개방형 스프링 연결구(31)를 구비 하였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모자부착 장치(40)의 와이어포밍 스프링(42)을 압축(81)하면서 스프링 연결구(31)에 넣으면 도 6에서와 같이 와이어포밍 스프링(42)의 복원력(82)에 의해 스프링 연결구(31)의 슬라이딩 홈(33)에 결합 되면서 스프링과 선글라스 프레임의 안정적인 결합이 완료 된다.
슬라이딩 홈은 스프링의 결합을 안정 시켜서 선글라스의 자세를 유지 시키는 기능을 포함 한다.
와이어포밍 스프링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때는 결합할 때의 역순으로 손으로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분리하면 된다.
즉, 프레임의 개방형 스프링 연결구는 사용자가 별도의 장비 없이 프레임에 와이어포밍 스프링을 손으로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 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의지 없이는 분리되지 않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와이어포밍 스프링(42)은 개방형 스프링 연결구(31)에 결합되어 있을 때 그 복원력(82)으로 스프링(42)과 슬라이딩 홈(33)과의 마찰력을 증대 시켜서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프레임의 상하 이동 제어는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에 있어서 선글라스의 위치를 사용자의 눈 높이에 맞추기 위한 중요한 기능이다.
사용자가 일반 선글라스로 사용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자부착 장치 없이 프레임에 안경다리 만을 결합하여 사용하며, 모자 부착형으로 사용할 때에는 안경다리 없이 모자 부착 장치만을 결합 하여 사용함으로서 한 개의 제품으로 일반 선글라스와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로 겸용이 가능 하다.

Claims (2)

  1. 선글라스에 있어서,
    프레임(30)의 중앙 후반부에 위치 하고 내측 양면에 슬라이딩 홈(33)을 포함하는 일면이 개방된 개방형 스프링 연결구(31)가 구비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스프링 연결구(31)에 탈부착 할 수 있는 와이어포밍 스프링(42)을 포함하는 모자부착 장치(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안경다리 연결부(51)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유도홈(34)과 원통형 걸림구멍(35)을 상하에 포함하는 프레임 연결부(32)가 양 단면에 구비된 프레임과,
    프레임 연결부(32)에 연결하기 위하여 돌출된 반구형 걸림턱(53)을 포함하는 이중 연결판(52)을 구비한 안경다리 연결부(51)가 일면에 구비된 안경다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글라스
KR1020100110143A 2010-11-08 2010-11-08 모자부착 겸용 선글라스 KR20120048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143A KR20120048784A (ko) 2010-11-08 2010-11-08 모자부착 겸용 선글라스
PCT/KR2011/008180 WO2012064041A2 (ko) 2010-11-08 2011-10-31 모자부착 겸용 선글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143A KR20120048784A (ko) 2010-11-08 2010-11-08 모자부착 겸용 선글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784A true KR20120048784A (ko) 2012-05-16

Family

ID=4605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143A KR20120048784A (ko) 2010-11-08 2010-11-08 모자부착 겸용 선글라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48784A (ko)
WO (1) WO201206404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723Y1 (ko) * 2015-08-19 2016-06-29 조용선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
KR102050903B1 (ko) * 2018-06-04 2019-12-02 조용선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568U (ko) * 1998-01-26 1999-08-25 김만성 선글라스가 달린 모자
KR100949653B1 (ko) * 2008-03-20 2010-03-26 기 연 김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의 접이식 프레임과 제어 장치
JP5071907B2 (ja) * 2008-08-27 2012-11-14 山本光学株式会社 眼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723Y1 (ko) * 2015-08-19 2016-06-29 조용선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
KR102050903B1 (ko) * 2018-06-04 2019-12-02 조용선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64041A2 (ko) 2012-05-18
WO2012064041A3 (ko)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64652A1 (en) Visor mounted eyewear
CN203502683U (zh) 头戴式通用眼镜架
CN204945524U (zh) 一种安全载物眼镜架
CN200956273Y (zh) 头戴式显示器
KR20120048784A (ko) 모자부착 겸용 선글라스
KR101566101B1 (ko) 안경테 탈착 구조체
US20180045977A1 (en) Bridgeless glasses
KR200350658Y1 (ko) 모자 결합용 선글래스
CN207232555U (zh) 一种防滑眼镜
KR101335776B1 (ko) 안경착용자(시)와 비착용자(시) 모두 사용이 가능한 쓰리디안경
CN204347357U (zh) 头带眼镜
CN205809447U (zh) 简便拆卸式镜架及眼镜
KR100739464B1 (ko) 선글라스 홀더
CN204229057U (zh) 可拆解眼镜
KR101620203B1 (ko) 스포츠용 고글
CN204536677U (zh) 一种镜腿可调节的眼镜
KR101594223B1 (ko) 안경의 렌즈 탈착 구조체
CN203838433U (zh) 具有旋转遮盖功能的护目镜
KR20100053290A (ko) 길이 조절 가능한 안경
CN102636879B (zh) 多功能立体眼镜
WO2008039011B1 (en) Spectacles
CN205281046U (zh) 一种新型眼镜铰接结构
CN205608313U (zh) 一种适用于影院的3d观影设备
CN204964923U (zh) 一种可连接太阳镜的光学眼镜
CN203981986U (zh) 骑行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