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723Y1 -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 - Google Patents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723Y1
KR200480723Y1 KR2020150005548U KR20150005548U KR200480723Y1 KR 200480723 Y1 KR200480723 Y1 KR 200480723Y1 KR 2020150005548 U KR2020150005548 U KR 2020150005548U KR 20150005548 U KR20150005548 U KR 20150005548U KR 200480723 Y1 KR200480723 Y1 KR 200480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glasses
present
hang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조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선 filed Critical 조용선
Priority to KR2020150005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7Means for attaching eyewea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6Holding hats or other garment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소에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안경 또는 선글라스에 끼워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자챙에 부착하여 편리하게 보관하며 코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모자챙(204)이 형성된 모자(202)에 안경을 부착하기 위한 안경 걸이구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204)의 내측부에 부착부재(109)를 구비하되, 상기 안경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안경테에 끼움 결합되기 위해 사각형상의 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의 가운데 부분에 결합홈(12)과 결합면(14)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2)이 안경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하부 몸체부(102)와; 상기 하부 몸체부(102)의 상부에 연결 고정되고 부착부재(108)가 구비되는 부착 몸체부(106)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몸체부(102)의 결합홈(12)에 안경테가 끼워지고, 상기 부착 몸체부(106)가 상기 모자챙(204)에 형성된 부착부재(109)에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The Glasses Hanger}
본 고안은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소에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안경 또는 선글라스에 끼워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자챙에 부착하여 편리하게 보관하며 코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글라스의 대용품으로 클립을 연결 설치하여 다양한 종류의 모자에 끼워서 사용하고 있었는바, 이러한 선글라스는 클립이 일체로 연결 고정되어서 선글라스와 안경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안경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선글라스를 벗고 별도의 수납 포켓에 넣고 보관하다가 사용해야 했으며, 선글라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경을 벗고 선글라스를 수납포켓에서 꺼내어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평상시에 사용하고 있는 본인 스스로의 안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경의 코걸이 부분이 콧등을 눌러서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었고, 더 나아가서는 코의 형상에 변형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콧등을 누르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상시에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안경을 편리하게 탈부착할 수 있고, 보관할 수 있는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선글라스의 사용과 안경의 사용시 편리하게 교체하고 모자챙에 간단하게 부착 고정함으로써 보관이 자유로운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선글라스의 사용시에는 안경을 모자챙에 부착하여 보관하고, 안경을 사용시에 선글라스를 모자챙에 부착하여 보관함으로써 별도의 수납포켓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사용과 보관이 편리한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안경에 형성된 안경알 사이에 끼워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안경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우수하며 콧등과 안경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서 콧등의 변형을 방지하고, 콧등에 안정되고 편안하게 안착시킴으로써 콧등 걸이로 사용할 수 있는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자챙(204)이 형성된 모자(202)에 안경을 부착하기 위한 안경 걸이구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204)의 내측부에 부착부재(109)를 구비하되, 상기 안경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안경테에 끼움 결합되기 위해 사각형상의 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의 가운데 부분에 결합홈(12)과 결합면(14)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2)이 안경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하부 몸체부(102)와;
상기 하부 몸체부(102)의 상부에 연결 고정되고 부착부재(108)가 구비되는 부착 몸체부(106)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몸체부(102)의 결합홈(12)에 안경테가 끼워지고, 상기 부착 몸체부(106)가 상기 모자챙(204)에 형성된 부착부재(109)에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몸체부(102)와 부착 몸체부(106)의 중간에 연결 설치되는 네크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몸체부의 일면에 콧등 안착홈(22)과 결합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콧등 안착홈(22)은 콧등 경사면(26)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에 따르면, 안경과 선글라스의 사용이 자유로운 효과가 있고, 안경과 선글라스의 보관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본인의 안경을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안경 걸이구에 의해 콧등이 보호되어 코의 변형을 방지하고 편안하게 안착됨으로서 콧등 걸이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의 다른 구조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안경걸이구가 모자챙에 부착되고 떨어지는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구조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설명은,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에 적용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용도와 목적에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을 미리 밝힌다.
도 1은 본 고안의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의 다른 구조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안경걸이구가 모자챙에 부착되고 떨어지는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구조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우선, 본 고안의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100)는 다양한 모자에 적용할 수 있고, 평상시에 사용하고 있는 안경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끼워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100)는 안경의 중간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하부 몸체부(102)와, 네크부(104)와, 부착 몸체부(106)와, 부착부재(1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몸체(102)는 안경알과 안경알 사이의 연결테 부분에 끼워질 수 있도록 단면이 디귿자(ㄷ)형상의 몸체(10)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가운데 부분에는 결합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12)의 양측면에는 결합면(14)이 형성되는바, 상기 결합면(14)은 지그재그 형상이 대칭으로 이루어져서 안경테가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몸체부(102)의 상부면에는 네크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네크부(104)는 직사각형상의 연결몸체(16)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형상으로 국한되지 않고, 산형, 아치형, 마름모형, 다각형, 원형, 원기둥형, 파형, 위는 넓고 아래는 좁은 상광하협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네크부(104)의 상부에는 부착 몸체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 몸체부(106)는 안경 걸이구를 모자챙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 몸체부(106)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 몸체(18)와, 상기 상부 몸체(18)에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결합부(20)에는 부착부재(108)가 끼워져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부재(108)는 자석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20)는 본 고안에서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타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0)와 결합 설치되는 부착부재(108)는 상기 결합부(2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부착부재(108)는 모자의 모자챙에 부착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모자챙에 부착부재(108)와 같은 자석을 설치하거나 얇은 박판으로 이루어진 철판을 삽입하여 모자챙의 내부에 삽입설치하여 이중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부착부재(108)가 자유롭게 탈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101)는 직사각형상의 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에 결합홈(12) 및 결합면(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는 부착부재(108)가 삽입 고정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12)의 상부에 부착부재(108)가 삽입 고정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모자의 전방향으로 돌출된 모자챙에 다수개의 부착부재(109)가 삽입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자챙에 형성된 부착부재(109)에 안경이 부착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안경의 양측 사이드에 형성된 안경알과 안경알 사이에 형성된 안경테에 본 고안의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10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안경이 몸체(10)의 결합홈(12)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홈(12)에 끼워져서 고정된 안경은 상기 안경걸이구(100)의 몸체(10)와 결합되고,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부착부재(108)에 의해 상기 모자챙의 부착부재(109)와 부착 고정된다.
계속해서,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의 사용상태도로서, 안경(200)을 쓴 상태에서 모자(202)를 쓰는 경우, 상기 모자(202)의 모자챙 (204)부위에 부착부재(10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경(200)에는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100)가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100)가 콧등에 얹혀져 있다가 상기 안경(200)을 상기 모자챙(204)에 형성된 부착부재(109) 방향으로 밀어올려서 몸체(10)에 형성된 부착부재(108)가 상기 부착부재(109)에 부착됨으로써 콧등으로부터 이격되어 모자챙(204)에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안경을 올렸다 내렸다 하면서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모자챙(204)의 상부면에 안경을 부착하여 올려놓고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103)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10)가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몸체(10)는 일면이 비스듬히 경사가 형성되고 그 면에 오목하게 콧등 안착홈(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단 밑면에는 오목하게 결합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콧등 안착홈(22)은 안경을 쓰는 경우 콧등이 얹혀지는 부위와 접촉하는 부위로서 코의 등 부위의 유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24)은 코의 아랫부분과 접하도록 아치형상으로 유선형을 이루면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콧등 안착홈(22)이 있는 양면 부위는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내려가면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콧등과 밀착되도록 콧등 경사면(26)이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콧등 경사면(26)의 윗부분은 직선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직선면(27)은 상기 모자챙에 부착되는 부착부재(109)와의 상부 및 하부에서 수직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몸체 12 : 결합홈
14 : 결합면 16 : 연결몸체
18 : 상부몸체 20 : 결합부
22 : 콧등 안착홈 24 : 결합홈
26 : 콧등 경사면 27 : 직선면
100 :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 102 : 하부 몸체부
104 : 네크부 106 : 네크부
108 : 부착부재

Claims (3)

  1. 모자챙(204)이 형성된 모자(202)에 안경을 부착하기 위한 안경 걸이구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204)의 내측부에 구비되는 부착부재(109)와;
    상기 안경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안경테에 끼움 결합되기 위해 사각형상의 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의 가운데 부분에 결합홈(12)과 결합면(14)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2)이 안경에 끼워져서 결합되는 하부 몸체부(102)와;
    상기 하부 몸체부(102)와 부착 몸체부(106)의 중간에 형성되는 직사각형상의 연결몸체(16)로 이루어지는 네크부(104)와;
    상기 하부 몸체부(102)의 상부에 연결 고정되고 안경 걸이구를 모자챙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부착부재(108)가 구비되는 부착 몸체부(106)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몸체부(102)의 결합홈(12)에는 안경테가 끼워지고, 상기 모자챙(204)에 형성된 부착부재(109)에는 상기 부착 몸체부(106)가 부착 고정되고,
    상기 하부 몸체부(102)의 일면에는 콧등이 보호되어 코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콧등 안착홈(22)과 결합홈(24)이 형성되며, 상기 콧등 안착홈(22)은 콧등 경사면(26)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

  2. 삭제
  3. 삭제
KR2020150005548U 2015-08-19 2015-08-19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 KR200480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548U KR200480723Y1 (ko) 2015-08-19 2015-08-19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548U KR200480723Y1 (ko) 2015-08-19 2015-08-19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723Y1 true KR200480723Y1 (ko) 2016-06-29

Family

ID=56344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548U KR200480723Y1 (ko) 2015-08-19 2015-08-19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2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5622U (ko) * 1987-02-16 1988-10-06 김상규 모자용 차광안경
KR200248912Y1 (ko) * 2001-07-02 2001-11-16 김상현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
KR20120048784A (ko) * 2010-11-08 2012-05-16 기 연 김 모자부착 겸용 선글라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5622U (ko) * 1987-02-16 1988-10-06 김상규 모자용 차광안경
KR200248912Y1 (ko) * 2001-07-02 2001-11-16 김상현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
KR20120048784A (ko) * 2010-11-08 2012-05-16 기 연 김 모자부착 겸용 선글라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78460A1 (en) Eyeglasses and clipping device therefor
US7513618B2 (en) Nose pad
US10485283B2 (en) Safety glasses deployment system
US8025395B2 (en) Industrial safety goggles with frame for ophthalmic micas and impact protection mica
KR200404740Y1 (ko) 안경
KR200480723Y1 (ko) 모자부착용 안경걸이구
KR200469060Y1 (ko) 고글 렌즈를 이용한 클립안경
KR20130002363U (ko) 코걸이 착탈이 용이한 안경테
US11061249B2 (en) Spectacles device that can be reversibly transformed into a bracelet
JP3191196U (ja) コンタクトレンズホルダー及びケース
KR101602051B1 (ko) 안경용 받침수단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JP3177906U (ja) 弾性片を具有するめがね
US8267513B2 (en) Attachment mechanism for eye glass shield
EP3479165B1 (en) Eyeglasses with easy snap-on lenses
US20190155049A1 (en) Reversible Eyeglass Frame
JP6162450B2 (ja) 着脱式眼鏡
KR102050903B1 (ko) 모자 부착용 안경 걸이구
CN209784668U (zh) 一种新型鼻托及应用该鼻托的眼镜
TWI472827B (zh) Glasses structure and its nasal cushion structure
JP4986088B1 (ja) 掛止機能付き眼鏡フレーム、眼鏡フレーム前側部材、及び眼鏡フレーム後側部材
JP3179031U (ja) 眼鏡類
KR200462109Y1 (ko) 안경용 코 받침대 결합 구조
KR200487261Y1 (ko) 안경 보조 도구
US7748841B1 (en) Side-view mirror attachment for specta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