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4105A -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4105A
KR20120044105A KR1020100105512A KR20100105512A KR20120044105A KR 20120044105 A KR20120044105 A KR 20120044105A KR 1020100105512 A KR1020100105512 A KR 1020100105512A KR 20100105512 A KR20100105512 A KR 20100105512A KR 20120044105 A KR20120044105 A KR 20120044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se oil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hors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선
이인경
한길환
김미려
조재위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성덕학원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성덕학원,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성덕학원
Priority to KR1020100105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4105A/ko
Publication of KR2012004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싸이토카인 IL-10의 발현 증가, IgE의 발현을 탁월하게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의 유용한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herbs including horse oil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본 발명은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1. Ivan Roitt, Jonathan Brostoff, David Male : Immunology 3rd edition, Mosby, 1993;19.1-22.12
[문헌 2] 대한피부과학회 : 피부과학, 서울, 여문각, 2001;166-174
[문헌 3] . 김규환 : 아토피 피부염과 면역조절제, update in Dermatology, 2003; 31-33
[문헌 4] 김윤범.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한방적 고찰. 대한외관과학회지. 5(1):113-120, 1992
[문헌 5] . 전재홍, 김현아, 강윤호. 접촉성 피부염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외관과학회지. 10(1):263-283. 1997
[문헌 6] Marithasan, S. et al. 2007. Inflammasome adaptors and sensor: intracelluar regulators of infection and inflammation. Nat Rev Immunol. 7, 31-40.
[문헌 7] Higuchi, M., N. Hisgahi, H. Taki, and T. Osawa. 1990. Cytolytic machanism of activated macrophages. Tumor necrosis factor and L-arginine-dependent mechanism act synergistically as the major cytolytic mechanism of activated macrophages. J Immunol. 144, 1425-1431.
[문헌 8] Guha, M. et al. 2001. LPS induction of gene expression in human monocytes. Cell Signal. 13, 85-94.
[문헌 9] Gracie, J. A., et al. 1999. A proinflammatory role for IL-18 in rheumatoid arthritis. J Clin Invest. 13, 85-94.
[문헌 10] 정보섭 외,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 685-187, 1989년
[문헌 11] Kawamata H, Ochiai H, Mantani N, Terasawa K. Enhanced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by Juzen-taiho-to in LPS-activated RAW264.7 cells,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Am J Chin Med 28, 217-226, 2000.
[문헌 12] Ishihara T, Okura T, Kohno K, Tanimoto T, Ikegami H, Kurimoto M. Polygonum tinctorium extract suppresses nitric oxide production by activated macrophages through inhibiting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J Ethnopharmacol. 72, 141-150, 2000.
[문헌 13] Seo WG, Pae HO, Oh GS, KY Chai, Kwon TO, YG Yun, NY Kim, HT Chung.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Cyperus rotundus rhizomes on nitric oxide and superoxide production by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cells. J Ethnopharmacol. 76, 59-64, 2001.
염증반응은 감염 또는 조직손상 후에 손상을 이환부위에 제한시킴으로서 다양한 세포와 사이토카인들이 관여하여 초기 방어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이다(Marithasan, S. et al. 2007. Inflammasome adaptors and sensor: intracelluar regulators of infection and inflammation. Nat Rev Immunol. 7, 31-40.). 대식세포(macrophage)는 선천면역뿐만 아니라 획득면역 등 다양한 숙주반응에 관여하여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염증반응 시에는 nitric oxide(NO)와 사이토카인을 생산하여 감염초기에 생체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Higuchi, M., N. Hisgahi, H. Taki, and T. Osawa. 1990. Cytolytic machanism of activated macrophages. Tumor necrosis factor and L-arginine-dependent mechanism act synergistically as the major cytolytic mechanism of activated macrophages. J Immunol. 144, 1425-1431.). 이 과정에서 대식세포와 같은 염증세포들이 활성화되면서 nitric oxide(NO)와 postaglandin(PG), interlukin-1beta(IL-1β), tumer necrosis factor-alpha(TNF-α)등 다량의 염증 매개 인자를 분비하게 된다(Guha, M. et al. 2001. LPS induction of gene expression in human monocytes. Cell Signal. 13, 85-94.). 이러한 염증 반응이 지속적으로 또는 과민하게 일러나면 과민성 알러지 질환이나 만성 염증 질환, 순환기 장애, 암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Gracie, J. A., et al. 1999. A proinflammatory role for IL-18 in rheumatoid arthritis. J Clin Invest. 13, 85-94.).
마유는 사람의 몸에 이로운 2 종류의 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예부터 마유를 이용한 피부질환, 화상 치료 등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그 와 더불어 호르몬의 초기 구성물질로서 리놀릭산, 알파리놀릭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혈압조절, 혈전, 혈관내의 지방조절 및 면역반응 그리고 염증치료 등에 많은 부분에서 관여하는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마유의 구성성분들을 이용한 항염증, 항산화, 항알러지 등에 효과가 있음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며 이를 이용한 피부의 재생효과, 화상치료, 아토피관련성등 기능성 의약외품 소재로서의 가능성과 항암, 관절염치료를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개발하는데 있다.
한편 감초(Glycyrrhiza uralensis)는 중국, 몽고 등에서 자생하거나 재배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근 및 근경에는 글리시리진(Glycyrrhizin) 등의 트리테르펜계 사포닌, 글리시레틴(glycyrrhetin), 리퀴리티게닌(liquiritigenin), 이소리퀴리티게닌 (Isoliquiritigenin), 리퀴리틴(liquiritin)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인후종통, 소화성 궤양, 약물 또는 음식 중독 등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정보섭 외,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 685-187, 1989년).
당귀(Angelica acutiloba)는 왜당귀 및 당귀의 뿌리를 지칭하며, 리구스틸리드(ligustilide), 부틸리덴 프탈리드(butylidene phthalide), 크닐리딜리드(cnidilide)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월경불순, 복통, 타박상 등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정보섭 외,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 407-409, 1989년).
숙지황은 지황(Rehmania glutinosa)의 근경을 쪄낸 약재로서, 시토스테롤(sitosterol), 레마닌(rehmanin), 알칼로이드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소갈, 비출혈, 월경불순 등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정보섭 외,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 906-909, 1989년).
천궁(Cnidium officinale)은 중국, 일본 및 한국 등에서 재배되는 다년생 초본으로, 크닐리딜리드(cnidilide), 리구스틸리드(ligustilide), 네오크니딜리드(neocnidilide)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월경불순, 유산, 근육마비 및 지통(止痛)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정보섭 외,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 418-419, 1989년).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는 중국, 울릉도, 강원도 등에서 자생 또는 재배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flavonoid, saponin, formonetin, astragaloside Ⅰ~ Ⅷ 등이 함유되고 식욕부진, 기허혈 허증 등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정보섭 외,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 662-664, 1989년).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는 전국에 분포하는 다년생 낙엽과목인 모란의 근피로서, 파에놀(paenol), 파에오노시드(paeonoside), 파에오놀리드(paeonolide)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혈변, 월경, 타박상 등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정보섭 외, 도해 향약대사전, 영림사, p 526-527, 1989년).
어성초는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하는 약모밀(Houttuynia cordata)의 전초로서,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decanoyl acetaldehyde), 라우릴알데하이드(lauric aldehyde), 미센(myrcene),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항균성, 이뇨작용, 수종, 탈항 등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정보섭 외, 도해 향약대사전, 영림사, p 812-813, 1989년).
갈근은 전국에 분포하는 다년생 식물인 칡(Pueraris thunbergiana)의 괴근으로서, 푸에라린(puerarin), 다이드진(daidzein), 시토스테롤(sitosterol)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소갈, 설사, 이질, 고혈압 등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정보섭 외, 도해 향약대사전, 영림사, p 704-705, 1989년).
그러나 상기 문헌의 어디에도, 마유 및 감초, 당귀, 숙지황, 천궁, 황기, 목단피, 어성초, 및 갈근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조합의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이 개시 또는 교시된 바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력 및 항염 활성이 탁월한 새로운 조합의 마유 포함 생약조성물 조합을 발견하고 이러한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조합의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마유는 한국산 제주마의 정제 또는 미정제된 마유, 바람직하게는 제주마로부터 얻은 마유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은 마유 및 감초, 당귀, 숙지황, 천궁, 황기, 목단피, 어성초, 및 갈근 소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과의 배합추출물, 바람직하게는 마유 및 감초, 당귀, 숙지황, 천궁, 황기, 목단피, 어성초, 또는 갈근과의 배합추출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마유 : 생약 추출물의 혼합비가 1:0.1-10 혼합중량비(w/v),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5-5 혼합중량비(w/v),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1-2 혼합중량비(w/v)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원에서 정의되는 조성물은 마유 및 항산화에 효력이 있는 것으로 문헌에 있는 감초, 당귀, 숙지황, 천궁, 황기, 목단피, 어성초, 및 갈근 소재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즉, 감초, 당귀, 숙지황, 천궁, 황기, 목단피, 어성초 및 갈근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바람직하게는 개개 생약에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0% 내지 90% 에탄올을 가하여 추출한 추출물 및 마유를 일정 혼합비,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유 : 생약 추출물의 혼합비가 1:0.1-10 혼합중량비(w/v),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5 혼합중량비(w/v),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1-2 혼합중량비(w/v)로 혼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감초, 당귀, 숙지황, 천궁, 황기, 목단피, 어성초 및 갈근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 및 마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의 약학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염증성 질환은 염증성 피부염, 건선증, 상처, 아토피성 질환, 바람직하게는 건선증, 상처, 아토피성 질환, 염증성 피부염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토피성 질환 또는 염증성 피부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감초, 당귀, 숙지황, 천궁, 황기, 목단피, 어성초, 및 갈근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을 세척 후, 각각 1시간 내지 72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에 음건 건조된 감초, 당귀, 숙지황, 천궁, 황기, 목단피, 어성초, 및 갈근을 이들의 건조중량의 약 1 내지 30배 부피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에탄올 및 메탄올 등과 같은 C₁내지 C₄의 저급알코올의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에탄올로, 약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60℃에서 3시간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게는 4시간 내지 8시간, 1회 내지 3회, 바람직하게는 1회 추출하여 얻어진 여액을 감압여과,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마유와 일정비,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유 : 생약 추출물의 혼합비가 1:0.1-10 혼합중량비(w/v),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5 혼합중량비(w/v),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1-2 혼합중량비(w/v)로 혼합하여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분획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일산화질소의 생성량, 싸이토카인 IL-10의 발현량, IgE의 발현량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탁월한 염증성 질환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의 유용한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의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의 싸이토카인 IL-10의 발현 증가를 나타낸 도이며,
도 4는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의 IgE 발현 억제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료 추출
마유(Horse oil)는 제주도 산새미 영농조합법인으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였으며 한약재는 각각의 소재 감초 1kg, 당귀 1kg, 숙지황 1kg, 천궁 1kg, 황기 1kg, 목단피 1kg, 어성초 1kg, 및 갈근 1kg에 1ℓ 50% 에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4시간 1회 추출한 다음 여과지 (Whatman No. 2)로 여과하였고, 얻어진 여액은 감압 농축, 동결건조하여 감초 추출물 200g/ℓ(w/v)(이하, “GC”라 함), 당귀 추출물 150g/ℓ(w/v)(이하, “DG”라 함), 숙지황 추출물 250g/ℓ(w/v)(이하, “SJH”라 함), 천궁 추출물 170g/ℓ(w/v)(이하, “CG”라 함), 황기 추출물 150g/ℓ(w/v)(이하, “HG”라 함), 목단피 추출물 150g/ℓ(w/v)(이하, “MDP”라 함), 어성초 추출물 160g/ℓ(w/v)(이하, “USC”라 함) 그리고 갈근 추출물 150g/ℓ(w/v)(이하, “GG”라 함)의 건물중량을 수득하였다. 이에 마유 1 ㎖에 생약추출물 1 mg 농도(1㎎/㎖)로 첨가하여 마유 함유 감초 추출물(이하, “HO-GC”라 함) 1㎎/㎖, 마유 함유 당귀 추출물(이하, “HO-DG”라 함) 1㎎/㎖, 마유 함유 숙지황 추출물(이하, “HO-SJH”라 함) 1㎎/㎖, 마유 함유 천궁 추출물(이하, “HO-CG”라 함) 1㎎/㎖, 마유 함유 황기 추출물(이하, “HO-HG”라 함) 1㎎/㎖, 마유 함유 목단피 추출물(이하, “HO-MDP”라 함) 1㎎/㎖, 마유 함유 어성초 추출물(이하, “HO-USC”라 함)1㎎/㎖, 마유 함유 갈근 추출물(이하, “HO-GG”라 함) 1㎎/㎖ 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 재료로 사용하였다.
참고예 1. 실험동물의 사육
실험동물은 male Balb/c mice 7주령을 중앙실험동물 (SLC, Japan)로부터 공급받았으며, 실험군은 1-chloro-2,4-dinitrochlorobenzene (DNCB: Aldrich, USA)를 도포하지 않은 정상 대조군 (Normal군), DNCB 단독 도포군 (Control군), Horse oil 추출물을 도포한 군 (HO+DNCB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에 7마리씩 분리하여 polycarbonate cage에 수용하고, 고형사료 (항생제 무첨가, 삼양사료 Co.)와 물을 자유롭게 섭취시키면서 1주 동안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이때 사육실의 조건은 온도가 21.4±0.05℃, 습도는 61±1%, 12시간 명 : 암 조건을 유지했다.
실험예 1. DPPH assay 실험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유 및 마유와 함께 첨가한 한약재 추출물(갈근)에 대한 항산화 효과을 확인하기위하여 각 시료에 1,1-diphenyl-2-picryl hydrazyl(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 효과로써 시료의 환원력을 측정 하였다. 즉 마유에 항산화 효과가 높은 갈근추출물을 이용 0.01mg/ml에서 5mg/ml 농도로 농도별로 제조한 시료 1ml에 0.4mM DPPH 용액 0.5ml를 가지고, 10초간 vortex mixing 후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이 반응액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농도가 높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높고 마유에 한약재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항산화율이 높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1mg/ml 농도에서는 80%의 높은 항산화 효력을 가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1 참조).
실험예 2. 일산화질소( Nitric Oxide , NO ) 생산성 확인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의 일산화질소 생성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Kawamata H, Ochiai H, Mantani N, Terasawa K. Enhanced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by Juzen-taiho-to in LPS-activated RAW264.7 cells,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Am J Chin Med 28, 217-226, 2000. ; Ishihara T, Okura T, Kohno K, Tanimoto T, Ikegami H, Kurimoto M. Polygonum tinctorium extract suppresses nitric oxide production by activated macrophages through inhibiting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J Ethnopharmacol. 72, 141-150, 2000. ; Seo WG, Pae HO, Oh GS, KY Chai, Kwon TO, YG Yun, NY Kim, HT Chung.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Cyperus rotundus rhizomes on nitric oxide and superoxide production by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cells. J Ethnopharmacol. 76, 59-64, 2001).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는 세포의 염증에 관련있는 물질로서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확인하기 위해 Mouse macrophage의 RAW263.7 세포주에 박테리아의 지질다당체(LPS: E.coli serotype 055:B5)인 염증유발물질과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첨가하여 5% FBS(fetal bovine serum), 젠타마이신(gentamicin) 50㎍/㎖를 첨가한 DMEM 배지에서 37℃, 5% CO2 배양기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주의 상층액 50㎕을 채취하여 50㎕의 그리스시약(Griess reagent: 1% sulfanilamide/0.1% naphthylethylene diamine dihydrochloride/2% phosphoric acid)과 96-well plates에서 혼합한 뒤 540nm에서 microplate reader로 측정하였다. 마유 및 마유에 9가지의 각각 한약재 추출물을 처리하여 일산화질소의 생성율을 확인하여 본 결과, 마유 단독에 비해 한약재를 첨가하였을 경우 일산화 질소의 생성율이 낮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갈근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경우 일산화 질소의 생성율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도 2 참조).
실험예 3. 싸이토카인 IL -10 생성 측정 방법 및 측정 결과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의 싸이토카인 IL-10의 생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를 10% fetal bovine serum(FBS)과 penicillin/streptomycin(10 ul/ml)을 첨가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GibcoBRL, braunschweig, Germany)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하에 배양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싸이토카인 IL-10의 생성 확인은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실험으로 측정하였다. RNA는 자외선을 조사한 후 24시간 뒤에 TRIzol 시약(Biotecx Lab., Austin, TX, USA)을 사용하여 제작사의 설명서에 따라 분리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1ml의 Trizol 시약을 넣고 세포를 용해시켜 상온에 5분간 방치한 후, 여기에 0.2 ml의 chroloform을 추가하고 잘 혼합한 후 13,000g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한다. 분리된 RNA는 diethyl procarbonate(DEPC)가 첨가된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2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농도를 정량하여 실험에 사용한다. cDNA 합성은 1μg oligo-dT와 역전사 효소(MMLV-RT,Promega Co., Madison, WI, USA)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PCR은 Taq polymerase (Takara Co., Otsu, Japan)와 각각의 특이 primer를 이용하여 실험한다.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40μM 농도로 4시간 전처리를 한 후 DMSO를 함께 24시간 처리하여서 실험을 하였다. 싸이토카인 IL-10의 생성을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각각의 ELISA 키트(KIT)(R&D systems, DTA00C, DLB50, D6050, D1200)를 가지고 DMSO와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와 처리한 세포간의 비교를 흡광도(540nm)로 측정하였다.
마유를 이용한 면역학적 작용기작을 확인 한 결과, 염증질환, 자가 면역질환, 이식 부작용 등에 억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면역세포인 T, B세포와 조절 T세포, 대식세포에서 발현되며 특히 암세포의 형성에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IL-10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참조).
실험예 4. Serum IgE 수준 측정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의 Serum IgE 수준 측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혈중 IgE 수준은 Mouse IgE ELISA kit (Shibayagi Co, Shibukawa, Japan)를 사용하여 종합면역분석기 (Wallac OY, Turku, Finaland) 450nm에서 측정하였다.
혈청 IgE 수준은 ELISA에서 450nm로 측정하였으며 측정한 결과, Normal 군에 비해 Only DNCB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Horse oil을 포함하는 DNCB + Horse oil 군에서는 Only DNCB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4 참조).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Ho-DG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Ho-GC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Ho-USC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Ho-SJH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Ho-GG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Ho-MDP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Ho-HG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8)

  1. 감초, 당귀, 숙지황, 천궁, 황기, 목단피, 어성초 및 갈근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 및 마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유는 한국산 제주마의 정제 또는 미정제된 마유인 약학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은 마유 및 감초, 당귀, 숙지황, 천궁, 황기, 목단피, 어성초 또는 갈근과의 배합추출물인 약학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유:생약 추출물의 혼합비가 1:0.1-10 혼합중량비(w/v)인 약학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염증성 피부염, 건선증, 상처 또는 아토피성 질환인 약학조성물.
  7. 감초, 당귀, 숙지황, 천궁, 황기, 목단피, 어성초 및 갈근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 및 마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은 마유 및 감초, 당귀, 숙지황, 천궁, 황기, 목단피, 어성초 또는 갈근과의 배합추출물인 건강기능식품.
KR1020100105512A 2010-10-27 2010-10-27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44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512A KR20120044105A (ko) 2010-10-27 2010-10-27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512A KR20120044105A (ko) 2010-10-27 2010-10-27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105A true KR20120044105A (ko) 2012-05-07

Family

ID=4626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512A KR20120044105A (ko) 2010-10-27 2010-10-27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410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7583A (zh) * 2014-09-02 2014-11-19 王福 一种消炎抗病毒的中药组合物
CN104906240A (zh) * 2015-06-08 2015-09-16 吉林大学珠海学院 一种镇痛消炎的复方马齿苋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7233436A (zh) * 2017-06-21 2017-10-10 福建农林大学 一种有效治疗牛皮癣的中药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KR20220069181A (ko) 2020-11-19 2022-05-27 조성준 한약재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7583A (zh) * 2014-09-02 2014-11-19 王福 一种消炎抗病毒的中药组合物
CN104906240A (zh) * 2015-06-08 2015-09-16 吉林大学珠海学院 一种镇痛消炎的复方马齿苋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7233436A (zh) * 2017-06-21 2017-10-10 福建农林大学 一种有效治疗牛皮癣的中药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KR20220069181A (ko) 2020-11-19 2022-05-27 조성준 한약재를 이용한 상처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449B1 (ko) 다중 타겟팅의 상승 효과를 유발하는 유효물질의 조합 및 그 용도
KR102013457B1 (ko) 에이엠피케이 활성화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KR100813222B1 (ko) 항비만 효능의 약용식물 추출물
CN107233442B (zh) 一种具有改善痛风不适症状的组合物及指纹图谱建立方法
KR101077523B1 (ko)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544470B1 (ko)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469325B1 (ko) 창이자 포함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20044105A (ko) 마유 함유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54532B1 (ko)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 유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03180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20090105098A (ko) 복합 생약 추출물(im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97858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49518B1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폐경기 여성의 우울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56007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210020307A (ko) 느릅나무속 식물로부터 카테킨 배당체를 고함량 포함하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KR20150083328A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70871A (ko) Dsx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억제 효과를 가지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1293835B1 (ko)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29624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복분자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67937A (ko) 사이코사포닌 에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20129168A (ko) 카스아리닌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142516A (ko) 시호 및 꽈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31432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아세틸시코닌을 포함하는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73173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