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3817A - 수평밀착창호 - Google Patents

수평밀착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3817A
KR20120043817A KR1020100105043A KR20100105043A KR20120043817A KR 20120043817 A KR20120043817 A KR 20120043817A KR 1020100105043 A KR1020100105043 A KR 1020100105043A KR 20100105043 A KR20100105043 A KR 20100105043A KR 20120043817 A KR20120043817 A KR 20120043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moving
roller housing
lower runner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0118B1 (ko
Inventor
김정훈
김세진
김종태
김성중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00105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118B1/ko
Priority to PCT/KR2011/008069 priority patent/WO2012057540A1/en
Priority to CN201180050263.8A priority patent/CN103168144B/zh
Priority to DE112011103610.8T priority patent/DE112011103610B4/de
Priority to JP2013534831A priority patent/JP5660549B2/ja
Priority to RU2013124019/12A priority patent/RU2530851C1/ru
Publication of KR20120043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13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창틀에 장착된 고정창짝; 상기 창틀의 하부 내측에 구비된 직선형 레일; 및 상기 직선형 레일을 따라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창짝;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창짝은 이동창짝에 장착된 윈도우 글라스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창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방식으로 개폐되는 창호이면서 핸들 조작에 의해서 창문을 창틀에 수평이동하여 밀착시킬 수 있어서 기밀성과 수밀성을 확보함으로써 슬라이딩 방식 창호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Description

수평밀착창호{HORIZONTAL LOCKING WINDOW SYSTEM}
본 발명은 수평 밀착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개폐되는 창문이 상기 직선운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창틀에 완전히 밀착함으로써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란 건물 벽면에 설치된 창틀과 상기 창틀에 설치된 창문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창호는 외부의 빛을 실내로 유입시키는 채광기능,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기능, 실내와 실외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냉,난방기능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창호는 크게 개폐 방식에 따라 여닫이 창호와 미서기(미닫이) 창호로 분류된다. 여닫이 창호는 힌지를 통해 창틀에 결합된 창문이 상기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창호를 말한다. 여닫이 창호는 기밀성, 수밀성 및 내풍압성이 우수하고, 창호의 입면 분할 및 구조 보장이 용이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여닫이 창호에는 실내에서 바라보는 창호의 입면이 미서기 창호에 비해 미려하지 못하고, 특별한 고정 장치가 없는 경우 창문이 바람에 의해 갑자기 열리거나 닫히는 단점이 있다.
미서기 창호는 창틀에 구비된 레일과 결합한 창문이 상기 레일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면서 개폐되는 창호를 말한다. 미서기 창호는 실내에서 바라보는 창호의 입면이 여닫이 창호에 비해 미려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으나, 여닫이 창호에 비해, 기밀성, 수밀성 및 내풍압성이 양호하지 못한 단점 또한 보유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종래의 여닫이 창호와 미서기 창호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슬라이딩방식의 미서기 창호이면서 핸들 조작에 의해서 창호를 창틀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밀성과 수밀성 및 내풍압성을 확보한 창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위 기능을 가지면서도 동시에, 내부로 열리는 여닫이 창의 경우 회전 반경으로 인해 내부 생활공간이 침해되지만, 본 발명은 여닫이 성능을 보유하면서 생활공간 침해가 일어나지 않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창틀에 장착된 고정창짝; 상기 창틀의 하부 내측에 구비된 직선형 레일; 및 상기 직선형 레일을 따라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창짝;을 포함하는 창호로서, 상기 이동창짝은 이동창짝에 장착된 윈도우 글라스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창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밀착창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일을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롤러를 구비한 롤러 하우징; 및 상기 롤러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부 러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일단과, 상기 하부 러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타단을 포함하는 암; 상기 암에 고정되며, 가이드 홀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창짝의 손잡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암은 일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상기 하부 러너를 상기 롤러 하우징과 이격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딩방식의 창호이면서 핸들 조작에 의해서 창문을 창틀에 수평이동하여 밀착시킬 수 있어서 기밀성과 수밀성을 확보함으로써 슬라이딩 방식 창호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작동 방식을 보여주기 위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수평 밀착 창호의 창문에 구비되는 하드웨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하부 러너 및 롤러 하우징을 하부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하부 러너 및 롤러 하우징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하부 러너 및 롤러 하우징이 잠금 위치에 있을 때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 밀착 창호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의 작동 방식을 보여주기 위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수평 밀착 창호의 창문에 구비되는 하드웨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하부 러너 및 롤러 하우징을 하부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하부 러너 및 롤러 하우징이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하부 러너 및 롤러 하우징이 잠금 위치에 있을 때의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창틀(10)과 상기 창틀(10)에 설치되는 창짝(20,25)을 포함한다. 상기 창짝은 창틀(10)에 고정되는 고정창짝(25)과 창틀(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하면서 창호를 개폐하는 이동창짝(20)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은 윈도우 글라스(w)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동창짝(20)은 창틀(10)과 평행을 유지한 채 창틀(10)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제1방향(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된 A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여 창문이 개폐된다. 또한 이동창짝(20)은 창틀(10)과 평행을 유지한 채 창틀(10)을 향하는 방향 즉, 상기 윈도우 글라스(w)가 이루는 면에 수직한 제2방향(도 1b에 도시된 B방향)으로 이동하여 창틀(10)과 밀착하여 기밀을 유지하면서 완전히 밀폐된다(이러한 방식으로 창틀에 밀착하는 창호를 이하에서는 '수평밀착창호'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밀착창호는 이동창짝(20)이 창틀에 구비된 직선 레일을 따라 제1방향(A)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며, 또한 제2방향(B방향)으로 이동하여 완전히 밀폐되어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잠금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밀착창호에서는 이동창짝(20)이 3차원적으로 움직이므로 이동창짝의 위치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 '개방 위치'는 이동창짝(20)이 슬라이딩되어 창문이 개방된 위치를 의미하며, '닫힘 위치'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창문이 제1방향(A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창틀의 개구 부분을 막아서 실내가 막힌 상태를 의미하며, '잠금 위치'란 닫힘 위치에서 이동창짝(20)이 창틀(10)과 평행을 유지한 채 창틀(10)이 위치하는 제2방향(B방향)으로 이동하여 창틀(10)과 완전히 밀착한 위치를 의미한다.
도 2a와 도 2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수평밀착창호가 열림 위치와 잠금 위치에 있을 경우 이들을 종방향 단면의 모습을 보여준다. 즉, 수평밀착창호가 열림 위치에 있는 경우(도 2a)에는 이동창짝(20)이 창틀(10)에 완전히 밀착하지 않아서 이들 사이에는 일정 거리 만큼 이격된 틈(G)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 틈(G)을 통해서 실내외 공기가 서로 순환할 수 있어서 실내 공기 환기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창호는 이동창짝을 개방하지 않은 닫힘 상태에서도 이동창짝과 창틀 사이에는 일정 거리 만큼의 틈이 존재하므로 환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에는 환기는 이루어지되, 밖에서 창을 열지 못하도록 Lock기능이 작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평밀착창호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도 2b)에는 이동창짝(20)이 창틀(10)에 완전히 밀착되어서 이들 사이에는 틈이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완전히 밀폐되는 것이다.
수평 밀착 창호의 이동창짝(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드웨어(30)와 상기 하드웨어의 외표면에 입혀지는 외피(skin)(미도시)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잡고서 창문의 개폐동작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하드웨어의 세로부재에 구비된 손잡이(H)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30)는 사각형의 틀 형상을 가지며 이동창짝의 측면을 둘러싼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손잡이(H)의 회전동작에 따라 링크를 매개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하드웨어(30)의 하부 횡부재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러너(60)와 롤러 하우징(50)이 설치된다. 롤러 하우징(50)은 창틀(10)에 구비된 직선형 레일 상에서 자전하는 롤러(52)를 수용하여 이동창짝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 러너(6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원리에 의해서 이동창짝이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러너(60)는 베이스 플레이트(64)와, 베이스 플레이트(64)의 외면에 장착되는 로드바(66)와, 상기 로드바(66)에 고정 장착되는 가이드 핀(68)과, 코너 드라이브(40)에 형성된 홀(hole)에 삽입될 수 있도록 로드바(66)에 형성된 코너 드라이브 연결핀(62)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H)를 회전시키면, 회전력은 상기 로드바(66)를 통해서 상기 가이드 핀(68)에 전달되어 가이드 핀이 직선이동하게 된다. 가이드 핀(68)의 직선이동에 의해 하부 러너(60)가 상기 B방향으로 이동하여 수평밀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이하 설명함).
상기 이동창짝(20)이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하부 러너(60)는 롤러 하우징(50)으로부터 약 20mm 이격되어 있고, 이동창짝(20)이 닫힘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하부 러너(60)는 평행하게 이동하여 롤러 하우징(50)과 밀착한다. 하부 러너(60)의 평행 이동은 하드웨어(30)에 구비된 손잡이(H)의 회전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밀착 창호의 잠금 및 슬라이딩은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하부 러너 및 롤러 하우징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하부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인데, 하부 러너 및 롤러 하우징을 서로 이격시키는 암(1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암(110)의 일단은 제1샤프트(112)를 통해 롤러 하우징(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암(110)의 타단은 제2샤프트(114)를 통해 하부 러너(60)의 베이스 플레이트(6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암(110)의 타단에는 첨부(1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암(110)에는 가이드 플레이트(70)가 고정되고, 가이드 플레이트(70)에는 가이드 홀(75)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에는 가이드 핀(68)이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손잡이(H)가 회전하면 상기 로드바(66)에 연결된 상기 가이드 핀(68)이 상기 가이드 홀(75)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암(110)은 제1샤프트(11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하부 러너(60)를 롤러 하우징(5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거나 롤러 하우징(50)으로부터 평행하게 이격시킨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러너(60)가 롤러 하우징(50)으로부터 최대로 이격되어 있는 개방 위치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드웨어(30)에 구비된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암(110)은 제1샤프트(11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암(11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하우징(50)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어 닫힘 위치가 되고, 이후 손잡이를 더 회전시키면 이동창짝(20)은 창틀로 수평이동하여 잠금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암(110)이 제1샤프트(11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을 개시하였을 때, 첨부(116)를 가압함으로써 암(110)을 하부 러너(60)의 평행이동이 완료될 때까지 회전시키는 복귀 수단(130)을 가진다. 상기 복귀 수단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수평밀착창호의 이동창짝(20)이 개방된 상태에서 손잡이의 각도를 예를 들어 0 도 라고 하면(도 5의 상태), 상기 가이드 핀(68)은 상기 가이드 홀(75)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암(110)의 회전에 의해 하부 러너(60)가 롤러 하우징(50)으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손잡이(H)가 약 90도 회전하면 가이드 핀(68)이 상기 가이드 홀(75)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고(도 6의 상태), 하부 러너(60)는 롤러 하우징(50)에 밀착된다. 이 후 손잡이를 약 180도 정도 회전시키면, 가이드 핀(68)이 상기 가이드 홀(75)의 반대쪽 끝단에 위치하게 되고 창문은 창틀의 잠금장치(미도시)에 맞물려 완전히 밀착된다(도 7의 상태).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창틀에 구비된 직선 레일 상을 이동창짝이 이동하여 창문이 개폐되되, 상기 이동창짝은 창틀을 향해서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미서기 창호의 단점인 밀폐기능을 완벽히 구현함으로써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실내와 실외의 열전달을 차단하고 외부 소음을 완벽히 차단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Claims (4)

  1. 창틀에 장착된 고정창짝;
    상기 창틀의 하부 내측에 구비된 직선형 레일; 및
    상기 직선형 레일을 따라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윈도우 글라스를 구비하는 이동창짝;을 포함하는 창호로서,
    상기 이동창짝은 상기 윈도우 글라스 면에 수직한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창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밀착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을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롤러를 구비한 롤러 하우징; 및
    상기 롤러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부 러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밀착창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일단과, 상기 하부 러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타단을 포함하는 암;
    상기 암에 고정되며, 가이드 홀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밀착창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창짝의 손잡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암은 일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상기 하부 러너를 상기 롤러 하우징과 이격되도록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밀착창호.
KR1020100105043A 2010-10-27 2010-10-27 수평밀착창호 KR101280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043A KR101280118B1 (ko) 2010-10-27 2010-10-27 수평밀착창호
PCT/KR2011/008069 WO2012057540A1 (en) 2010-10-27 2011-10-27 Horizontal locking window system
CN201180050263.8A CN103168144B (zh) 2010-10-27 2011-10-27 水平锁紧的窗户系统
DE112011103610.8T DE112011103610B4 (de) 2010-10-27 2011-10-27 Horizontales verriegelndes Fenstersystem
JP2013534831A JP5660549B2 (ja) 2010-10-27 2011-10-27 水平密着窓戸
RU2013124019/12A RU2530851C1 (ru) 2010-10-27 2011-10-27 Оконная система с горизонтальным запирание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043A KR101280118B1 (ko) 2010-10-27 2010-10-27 수평밀착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817A true KR20120043817A (ko) 2012-05-07
KR101280118B1 KR101280118B1 (ko) 2013-07-05

Family

ID=4599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043A KR101280118B1 (ko) 2010-10-27 2010-10-27 수평밀착창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660549B2 (ko)
KR (1) KR101280118B1 (ko)
CN (1) CN103168144B (ko)
DE (1) DE112011103610B4 (ko)
RU (1) RU2530851C1 (ko)
WO (1) WO20120575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58A (ko) * 2020-06-25 2022-01-03 주식회사남선알미늄 단열성능이 향상된 단열창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29679B1 (de) 2013-07-22 2017-02-01 Roto Frank Ag Beschlag zum Anpressen eines Schiebeflügels an eine feste Einfassung
KR101552544B1 (ko) 2014-02-28 2015-09-14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JP6393049B2 (ja) * 2014-03-18 2018-09-19 Ykk Ap株式会社 建具
JP6393050B2 (ja) * 2014-03-18 2018-09-19 Ykk Ap株式会社 建具
KR101733388B1 (ko) 2015-01-15 2017-05-08 문수용 밀폐형 미서기창
JP7107488B2 (ja) 2020-01-23 2022-07-27 シーエス テック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換気機能及び水平密着機能を有する窓組立体
KR102373584B1 (ko) 2021-06-18 2022-03-11 주식회사 씨에스테크 환기 기능 및 수평 밀착 기능을 갖는 창호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걸림 안내부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00598C2 (de) * 1977-01-08 1985-08-08 Carl Fuhr Gmbh & Co, 5628 Heiligenhaus Schiebefenster
JPS6145590U (ja) * 1984-08-29 1986-03-26 不二サッシ株式会社
JPH0349269Y2 (ko) * 1984-12-27 1991-10-21
DE8515998U1 (de) * 1985-05-31 1985-07-18 W. Hautau GmbH, 3068 Helpsen Beschlag für einen mittels Ausstellarm parallel abstellbaren Schiebeflügel für Fenster, Türen oder dgl.
JP2571398B2 (ja) * 1987-10-19 1997-01-16 日本建鐵株式会社 引違い直列サッシ
JP3455313B2 (ja) * 1994-12-16 2003-10-14 株式会社ヒガキマニテック 障子窓
FR2739353B1 (fr) * 1995-10-02 1997-12-19 Unisabi Sa Emballage et presentoir de produits
JP3058402B2 (ja) * 1995-12-04 2000-07-04 三協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サッシ
US5927767A (en) * 1996-11-01 1999-07-27 Newell Operating Company Window locking system
KR100729222B1 (ko) 2005-12-29 2007-06-19 이광석 미서기 창호 시스템의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KR100753571B1 (ko) * 2006-06-29 2007-08-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CN101177990B (zh) * 2006-11-10 2011-03-16 王瑞汶 平面气密窗
KR100785705B1 (ko) * 2006-11-13 2007-12-17 김영록 슬라이딩 창호의 개폐틸트장치
JP4810448B2 (ja) * 2007-01-26 2011-11-09 Ykk Ap株式会社 建具
DE202008004033U1 (de) * 2008-03-20 2009-07-30 Siegenia-Aubi Kg Beschlag für Horizontal-Schiebefenster
KR101070954B1 (ko) * 2008-08-22 2011-10-07 곽수만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스템용 창문개폐모듈
KR101078413B1 (ko) * 2008-08-28 2011-11-01 주식회사 윈스터 고기밀성 미서기 창호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058A (ko) * 2020-06-25 2022-01-03 주식회사남선알미늄 단열성능이 향상된 단열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7540A1 (en) 2012-05-03
CN103168144B (zh) 2016-01-20
JP5660549B2 (ja) 2015-01-28
JP2013540221A (ja) 2013-10-31
CN103168144A (zh) 2013-06-19
DE112011103610B4 (de) 2017-12-21
DE112011103610T5 (de) 2013-08-08
KR101280118B1 (ko) 2013-07-05
RU2530851C1 (ru) 201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488B1 (ko) 수평밀착창호
KR101280118B1 (ko) 수평밀착창호
KR101335198B1 (ko) 수평밀착창호
KR101254327B1 (ko) 수평밀착창호의 잠금모듈
KR101303504B1 (ko) 이탈방지장치를 구비한 수평 밀착 창호
KR101528662B1 (ko) 기밀유지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딩 창호
KR101202093B1 (ko) 수평 밀착 창호의 잠금모듈
KR20150104716A (ko) 윗, 아랫열기 및 여닫이 기능을 갖는 복합시스템창호
KR101916627B1 (ko) 복합 시스템 창호
JP2015031150A (ja) 窓扉用防風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窓扉
RU2581561C1 (ru) Окно с функцией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KR20110065611A (ko)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KR102588762B1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셔터 블레이드 지지대를 포함하는 루버
KR101211877B1 (ko) 시스템 창호
KR101254412B1 (ko) 수평밀착 창호의 창문을 잠금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모듈
KR100543792B1 (ko) 공동주택용 창호구조
KR101733388B1 (ko) 밀폐형 미서기창
KR102263847B1 (ko) 기밀도어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1446523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1589520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창호
KR20190114382A (ko) 연결 문짝 수직프레임의 단열구조
JP7420867B2 (ja) 建具
CN207700975U (zh) 一种便于房屋内空气流通的窗户
JP2022116730A (ja) 開き窓
KR100691308B1 (ko) 슬라이딩 도어 어셈블리의 밀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