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611A -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 Google Patents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611A
KR20110065611A KR1020090122176A KR20090122176A KR20110065611A KR 20110065611 A KR20110065611 A KR 20110065611A KR 1020090122176 A KR1020090122176 A KR 1020090122176A KR 20090122176 A KR20090122176 A KR 20090122176A KR 20110065611 A KR20110065611 A KR 20110065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runner
arm
window
attachment
roll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0952B1 (ko
Inventor
서송원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122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9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13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평 밀착 창호의 창문에 구비된 롤러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일단과, 상기 창문에 구비된 하부 러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타단과, 상기 타단에 형성된 첨부를 포함하는 암; 및 상기 암의 첨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러너에 고정된 복귀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러너를 상기 롤러 하우징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암이 상기 일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을 개시한 경우, 상기 복귀 수단은 상기 암의 첨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하부 러너의 평행이동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암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을 제공한다.
수평 밀착 창호, 하부 러너, 암(arm), 복귀 수단, 스프링, 탄성체, 경사면

Description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Module For Returning Lower Runner from sliding-position to locking-position horizontally}
본 발명은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 밀착 창호에 구비된 창문의 슬라이딩을 위해 롤러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된 하부 러너를 상기 창문의 잠금을 위해 상기 롤러 하우징에 밀착시키기 위한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란 건물 벽면에 설치된 창틀과 상기 창틀에 설치된 창문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창호는 외부의 빛을 실내로 유입시키는 채광기능,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기능, 실내와 실외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하는 냉,난방기능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창호는 크게 개폐 방식에 따라 여닫이 창호와 미서기(미닫이) 창호로 분류된다.
여닫이 창호는 힌지를 통해 창틀에 결합된 창문이 상기 힌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창호를 말한다. 여닫이 창호는 기밀성, 수밀성 및 내풍압성이 우수하고, 창호의 입면 분할 및 구조 보장이 용이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여닫이 창호에는 실내에서 바라보는 창호의 입면이 미서기 창호에 비해 미려하지 못하고, 특별한 고정 장치가 없는 경우 창문이 바람에 의해 갑자기 열리거나 닫히는 단점이 있다.
미서기 창호는 창틀에 구비된 레일과 결합한 창문이 상기 레일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면서 개폐되는 창호를 말한다. 미서기 창호는 실내에서 바라보는 창호의 입면이 여닫이 창호에 비해 미려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으나, 여닫이 창호에 비해 시공이 난해하고, 기밀성, 수밀성 및 내풍압성이 양호하지 못한 단점 또한 보유하고 있다.
현재, 상술한 바와 같은 여닫이 창호와 미서기 창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창호가 공개되어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2005-9356호는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창호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한국공개특허에 개시된 창호에 의하면, 창문은 창틀과 결합한 상면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틸트될 수 있고, 창틀과 결합한 측면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창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면서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721455호는 올림 미닫이 방식의 창호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한국등록특허에 개시된 발명에 의하면, 창문이 다운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잠금 상태가 유지되고, 창문이 업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잠금 해제가 이루어져서 창문이 미닫이 방식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본 출원인은 현재까지 알려진 창호, 즉 여닫이 창호, 미서기 창호 및 이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창호와는 작동방식이 상이한 수평 밀착 창호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수평 밀착 창호를 구성하는 다양한 모듈 중 하나인 하부 러너 복귀 모듈, 즉 수평 밀착 창호에 구비된 창문의 슬라이딩을 위해 롤러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된 하부 러너를 상기 창문의 잠금을 위해 상기 롤러 하우징에 밀착시키기 위한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평 밀착 창호의 창문에 구비된 롤러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일단과, 상기 창문에 구비된 하부 러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타단과, 상기 타단에 형성된 첨부를 포함하는 암; 및 상기 암의 첨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러너에 고정된 복귀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러너를 상기 롤러 하우징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암이 상기 일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을 개시한 경우, 상기 복귀 수단은 상기 암의 첨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하부 러너의 평행이동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암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귀 수단은, 상기 롤러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첨부 를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의해 발생한 가압력의 방향을 상기 암의 회전방향으로 변환하는 가압 방향 변환 수단; 및 상기 스프링 및 가압 방향 변환 수단을 수용하면서 상기 하부 러너에 고정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압 방향 변환 수단은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으로 인해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가이드이되, 상기 가이드의 측면 중 상기 암의 첨부와 접하는 측면에는 가압 방향 변환을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롤러 하우징이 위치하는 쪽으로 갈수록 상기 스프링에 가까워지고, 상기 경사면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 러너와 상기 롤러 하우징의 최대 이격 시 상기 암의 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의 직선운동을 저지하기 위한 단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복귀 수단은, 상기 암이 회전을 개시한 이후 변형되고, 변형된 이후에는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면서 상기 첨부를 상기 롤러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에 의해 발생한 가압력의 방향을 상기 암의 회전방향으로 변환하는 가압 방향 변환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압 방향 변환 수단은 상기 탄성체의 측면 중 상기 암의 첨부와 접하는 측면에 형성된 돌기이되, 상기 돌기의 일측면은 가압 방향 변환을 위한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롤러 하우징이 위치하는 쪽으로 갈수록 상기 탄성체에 가까워지고, 상기 복귀 수단은 상기 탄성체의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에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단 암의 회전이 개시되면 암과 복귀 모듈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하부 러너가 자동으로 롤러 하우징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과 복귀 모듈의 상호 작용은 암의 회전이 완료될 때까지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부 러너의 복귀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도 1은 수평 밀착 창호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수평 밀착 창호의 창문에 구비되는 골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하부 러너 및 롤러 하우징과,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러너 복귀 모듈의 일실시예를 하부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제거된 도 3의 하부 러너 및 롤러 하우징과, 도 4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제거된 도 3의 하부 러너 및 롤러 하우징과,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러너 복귀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러너 복귀 모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수평 밀착 창호에 대한 설명이 선행된 후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러너 복귀 모듈이 설명될 것이다.
수평 밀착 창호는 미서기 방식과 여닫이 방식이 결합된 창호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창틀(10)과 상기 창틀(10)에 설치되는 창문(20)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위치에 있는 창문(20)은 창틀(10)과 이격된 상태로 창틀(10)과 평행을 유지한 채 창틀(10)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한다(도 1에서 A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함). 닫힘 위치에 있는 창문(20)은 상기 레일의 단부에 도달함과 동시에 창틀(1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닫힘 위치에 있는 창문(20)이 창틀(10)과 평행을 유지한 채 창틀(10)이 위치하는 방향(도 5에서 B방향)으로 이동하여 창틀(10)과 밀착하면 창문(20)은 잠금 위치에 놓이게 된다.
수평 밀착 창호의 창문(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골조(30)와 상기 골조의 외표면에 입혀지는 외피(skin)(미도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골조(30)의 하부 횡부재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러너(60)와 롤러 하우징(50)이 설치된다. 롤러 하우징(50)은 창틀(10)에 구비된 레일 상에서 자전하는 롤러(52)를 수용하고, 하부 러너(60)는 베이스 플레이트(64)와, 베이스 플레이트(64)의 외면에 장착되는 커넥팅 로드(66)와, 베이스 플레이트(64)에 고정된 가이드 핀(68)과, 코너 드라이브(40)에 형성된 홀(hole)에 삽입될 수 있도록 커넥팅 로드(66)에 형성된 코너 드라이브 연결핀(62)을 포함한다.
창문(20)이 슬라이딩 위치 및 닫힘 위치에 있는 경우 하부 러너(60)는 롤러 하우징(5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창문(20)이 닫힘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하부 러너(60)는 평행하게 이동하여 롤러 하우징(50)과 밀착한다. 하부 러너(60)의 평행 이동은 골조(30)에 구비된 손잡이의 회전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110) 및 복귀 수단을 포함한다.
암(110)의 일단은 제1샤프트(112)를 통해 롤러 하우징(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암(110)의 타단은 제2샤프트(114)를 통해 하부 러너(60)의 베이스 플레이트(6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암(110)의 타단에는 첨부(1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암(110)에는 가이드 플레이트(70)가 고정되고, 가이드 플레이트(70)에는 가이드 홀(hole)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68)에 고정된 가이드 핀(68)이 삽입된다. 하부 러너(60)를 롤러 하우징(5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거나 롤러 하우징(50)으로부터 평행하게 이격시키기 위해 암(110)이 제1샤프트(11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 가이드 핀(68)은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복귀 수단은 첨부(116)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64)에 고정되어 암(110)의 복귀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귀 수단은, 암(110)이 제1샤프트(11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을 개시하였을 때, 첨부(116)를 가압함으로써 암(110)을 하부 러너(60)의 평행이동이 완료될 때까지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복귀 수단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 모듈(130) 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성 모듈(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 모듈(130)은 스프링(132)과, 가압 방향 변환 수단과, 하우징(136)을 포함한다. 스프링(132)은 롤러 하우징(50)의 길이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작용시키고, 상기 탄성 복원력에 의해 첨부(116)가 가압된다. 상기 가압 방향 변환 수단은 스프링(132)에 의해 발생한 가압력의 방향을 암(110)의 회전방향으로 변환한다. 즉, 스프링(132)이 가압 방향 변환 수단을 롤러 하우징(50)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가압 방향 변환 수단은 첨부(116)를 암(110)의 회전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하우징(136)은 스프링(132) 및 가압 방향 변환 수단을 수용하고, 하부 러너(60)의 베이스 플레이트(64)에 고정된다.
상기 가압 방향 변환 수단은 경사면(142)을 포함하는 가이드(134)로 구성된다. 가이드(134)는 스프링(1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롤러 하우징(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을 수행한다. 경사면(142)은 가이드(134)의 측면 중 암(110)의 첨부(116)와 접하는 측면에 구비되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하우징(50)이 위치하는 쪽으로 가면서 스프링(132)에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져 있다.
한편, 상기 경사면(142)의 일측에는 하부 러너(60)와 롤러 하우징(50)의 최대 이격 시 암의 첨부(116)가 삽입되는 삽입홈(14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36)에는 가이드(134)의 직선운동을 저지하기 위한 단턱(137)이 형성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하부 러너 복귀 모듈의 작동 과정을 설명 한다.
수평 밀착 창호의 창문(20)이 닫힘 위치에 있는 경우, 하부 러너(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하우징(50)으로부터 최대로 이격되어 있고, 암(110)의 첨부(116)는 가이드(134)에 형성된 삽입홈(140)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창문(20)을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골조(30)에 구비된 손잡이를 약간 회전시키면, 첨부(116)는 삽입홈(140)으로부터 이탈한 후 경사면(142)과 접촉하게 된다. 첨부(116)와 경사면(142)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스프링(1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134)가 암(11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고, 이로써 암(110)은 제1샤프트(11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후 암(11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하우징(50)에 형성된 안착홈(54)에 안착되면, 하부 러너(60)는 롤러 하우징(50)과 밀착하고 상기 창문(20)은 잠금 위치에 놓이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복귀 수단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성 모듈(230)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탄성 모듈(130)은 베이스 플레이트(64)에 고정된 탄성체(236)와, 가압 방향 변환 수단을 포함한다.
탄성체(236)는 암(110)이 회전을 개시한 이후 변형되고, 변형된 이후에는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면서 첨부(116)를 롤러 하우징(50)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가압 방향 변환 수단은 탄성체(236)에 의해 발생한 가압력의 방향을 암(110)의 회전방향으로 변환한다. 즉, 탄성체(236)가 의해 가압 방향 변환 수단을 롤러 하우징(5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면, 상기 가압 방향 변환 수단은 첨부(116)를 암(110)의 회전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가압 방향 변환 수단은 경사면(238)을 포함하는 돌기(232)로 구성된다. 돌기(232)는 탄성체(236)의 측면 중 암(110)의 첨부(116)와 접하는 측면에 형성되고, 경사면(238)은 롤러 하우징(50)이 위치하는 쪽으로 가면서 탄성체(236)에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져 있다.
한편, 탄성 모듈(130)은 탄성체(236)의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236)에 형성된 홀(234)을 포함한다.
하부 러너(6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하우징(50)으로부터 최대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골조(30)에 구비된 손잡이를 약간 회전시키면, 첨부(116)는 돌기(232)를 가압하면서 회전한 후 경사면(142)과 접촉하게 된다. 첨부(116)와 경사면(142)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변형된 탄성체(23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돌기(232)가 암(11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고, 이로써 암(110)은 제1샤프트(11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후 암(11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하우징(50)에 형성된 안착홈(54)에 안착되면, 하부 러너(60)는 롤러 하우징(50)과 밀착하고 창문(20)은 잠금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수평 밀착 창호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수평 밀착 창호의 창문에 구비되는 골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부 러너 및 롤러 하우징과,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러너 복귀 모듈의 일실시예를 하부에서 바라본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제거된 도 3의 하부 러너 및 롤러 하우징과, 도 4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제거된 도 3의 하부 러너 및 롤러 하우징과,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러너 복귀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Claims (10)

  1. 수평 밀착 창호의 창문에 구비된 롤러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일단과, 상기 창문에 구비된 하부 러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타단과, 상기 타단에 형성된 첨부를 포함하는 암; 및
    상기 암의 첨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러너에 고정된 복귀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러너를 상기 롤러 하우징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암이 상기 일단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을 개시한 경우, 상기 복귀 수단은 상기 암의 첨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하부 러너의 평행이동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암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수단은,
    상기 롤러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첨부를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의해 발생한 가압력의 방향을 상기 암의 회전방향으로 변환하는 가압 방향 변환 수단; 및
    상기 스프링 및 가압 방향 변환 수단을 수용하면서 상기 하부 러너에 고정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방향 변환 수단은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으로 인해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가이드이되, 상기 가이드의 측면 중 상기 암의 첨부와 접하는 측면에는 가압 방향 변환을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롤러 하우징이 위치하는 쪽으로 갈수록 상기 스프링에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 러너와 상기 롤러 하우징의 최대 이격 시 상기 암의 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의 직선운동을 저지하기 위한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수단은,
    상기 암이 회전을 개시한 이후 변형되고, 변형된 이후에는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면서 상기 첨부를 상기 롤러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에 의해 발생한 가압력의 방향을 상기 암의 회전방향으로 변환하는 가압 방향 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방향 변환 수단은 상기 탄성체의 측면 중 상기 암의 첨부와 접하는 측면에 형성된 돌기이되, 상기 돌기의 일측면은 가압 방향 변환을 위한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롤러 하우징이 위치하는 쪽으로 갈수록 상기 탄성체에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수단은 상기 탄성체의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에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KR1020090122176A 2009-12-10 2009-12-10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KR101190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176A KR101190952B1 (ko) 2009-12-10 2009-12-10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176A KR101190952B1 (ko) 2009-12-10 2009-12-10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611A true KR20110065611A (ko) 2011-06-16
KR101190952B1 KR101190952B1 (ko) 2012-10-12

Family

ID=44398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176A KR101190952B1 (ko) 2009-12-10 2009-12-10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9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8135A (zh) * 2019-01-16 2019-03-19 江苏御捷时代汽车有限公司 一种新式开关
CN109488142A (zh) * 2018-10-31 2019-03-19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机械锁止装置和汽车
AT526241B1 (de) * 2023-04-12 2024-01-15 Kdm Innovation Gmbh Scharnier zur bewegbaren Lagerung eines Abdeckelement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256U1 (ru) * 2020-09-15 2020-12-0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Летний сад" (ООО "Летний сад") Фрикционная петля для открывающихся наружу верхнеподвесных окон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8870A (ja) 1999-08-30 2001-03-16 Takigen Mfg Co Ltd スライドドアのガイドレール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8142A (zh) * 2018-10-31 2019-03-19 广东东箭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机械锁止装置和汽车
CN109488135A (zh) * 2019-01-16 2019-03-19 江苏御捷时代汽车有限公司 一种新式开关
AT526241B1 (de) * 2023-04-12 2024-01-15 Kdm Innovation Gmbh Scharnier zur bewegbaren Lagerung eines Abdeckelementes
AT526241A4 (de) * 2023-04-12 2024-01-15 Kdm Innovation Gmbh Scharnier zur bewegbaren Lagerung eines Abdeckelemen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0952B1 (ko) 201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021B1 (ko) 창호 잠금장치
RU2530851C1 (ru) Оконная система с горизонтальным запиранием
RU2526418C1 (ru) Оконная система, запираемая в горизонтальном направлении
KR101190952B1 (ko) 수평 밀착 창호의 하부 러너 복귀 모듈
KR101335198B1 (ko) 수평밀착창호
KR101303504B1 (ko) 이탈방지장치를 구비한 수평 밀착 창호
KR101202093B1 (ko) 수평 밀착 창호의 잠금모듈
CN201155269Y (zh) 一种自带隐形纱窗的高密封性推拉窗
CN209653812U (zh) 一种带有卡锁结构的平开窗
EP2140089A1 (en) Structure and outline system for hermetical and acoustic sealing in sliding windows and doors
RU2514231C2 (ru) Оконная система
KR100827340B1 (ko) 창문용 크리센트
WO2021179378A1 (zh) 一种滑移门用导向机构和淋浴房
CN210013600U (zh) 锁定机构及门窗结构
JP3971590B2 (ja) 引き違い折畳み開閉自在のサッシ
KR101829937B1 (ko) 개폐가능한 고정창을 갖는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
CN208653049U (zh) 制冷设备用折叠门把及制冷设备
CN101915044A (zh) 平移定位式手动开窗器及其窗
KR101254412B1 (ko) 수평밀착 창호의 창문을 잠금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모듈
KR200421506Y1 (ko) 도어의 틈새막이 장치
CN110512998A (zh) 一种节能铝合金门窗
KR101460602B1 (ko) 출입문
KR200355903Y1 (ko) 여닫이창용 키퍼
CN220434550U (zh) 铝合金框的门窗结构
JPH10280828A (ja) 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