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1003A - 고온 색안정성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온 색안정성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1003A
KR20120041003A KR1020100102549A KR20100102549A KR20120041003A KR 20120041003 A KR20120041003 A KR 20120041003A KR 1020100102549 A KR1020100102549 A KR 1020100102549A KR 20100102549 A KR20100102549 A KR 20100102549A KR 20120041003 A KR20120041003 A KR 20120041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ber
polyester resin
resin composition
reinforced polyester
phosp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6149B1 (ko
Inventor
김혜영
하두한
허진영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2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149B1/ko
Priority to CN201110175622.4A priority patent/CN102453312B/zh
Publication of KR20120041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1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B)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C) 유리섬유, 및 (D)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로 이루어진 열안정제를 포함하며, 장기간의 고온에서의 색안정성 및 광택성, 그리고 내열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고온 색안정성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Glass Fiber Reinforc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With Color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
본 발명은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장기간에 걸쳐 고온에서의 변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내화학성이 좋아 오븐 손잡이 및 자동차 외장재를 비롯한 광범위한 분야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기계적 또는 열적 특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유리섬유가 함께 사용된다.
한편, 유리섬유가 보강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표면 경도, 내용제성, 충격강도, 강성, 내열성, 외관, 착색성 등과 같은 특성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120 ℃ 이상의 고온에 노출되면 색상이 변하게 되고 광택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흰색이나 밝은 색 염료를 사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우에 더욱 심각하게 발생하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오븐 손잡이, 토스터, 드라이어, 헤어 스타일링 기구, 다리미 등과 같은 열에 노출되는 기구에 적용시키는데 있어서 제한요소가 된다.
한편, UV 안정제, 안료, 염료, 무기물, 활제, 가소제, 산화방지제 등과 같은 첨가제들은 폴리에스테르의 기계적 물성을 유지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상기 고온에서의 변색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등록특허 제6,187,848호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에 포스페이트, 티오에스테르 및 포스포나이트로 이루어진 안정제를 첨가한 강화 폴리에스테르 성형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문헌에 개시된 성형 조성물에는 여전히 고온에서의 변색성 문제가 남아 있어, 이 성형 조성물을 장기간에 걸쳐 밝은 외관이 중요시되는 전자 제품 및 가전 기구에 적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이 성형 조성물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온에서의 광택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내화학성과 기계적 물성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고온에서의 색안정성과 광택성이 우수한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발명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화학성 및 기계적 물성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고온에서의 색안정성이 우수한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온에서의 색안정성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고온에서의 광택성이 우수한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온에서의 색안정성 및 광택성뿐만 아니라, 내열성이 우수한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모두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B)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C) 유리섬유, 및 (D)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로 이루어진 열안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40 내지 60 중량부, (B)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25 내지 45 중량부, (C) 유리섬유 10 내지 30 중량부, 및 (D)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로 이루어진 열안정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내화학성 및 기계적 물성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고온에서의 색안정성, 장기간의 고온에서의 광택성 및 내열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B)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C) 유리섬유, 및 (D)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로 이루어진 열안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40 내지 60 중량부, (B)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25 내지 45 중량부, (C) 유리섬유 10 내지 30 중량부, 및 (D)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로 이루어진 열안정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1,4-부탄디올과,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시키거나,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켜 축합 중합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충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PTMG),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지방족 폴리아미드 등과 같은 충격개선 화합물과 공중합한 공중합체,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상기 충격개선 화합물과 혼합한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ASTM D2857에 따라 측정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η]는 0.36 내지 1.60 dl/g인 것이 바람직하며, 0.52 내지 1.25 dl/g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가 상기 범위를 갖는 경우에 기계적 특성과 성형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전체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중에서 4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에 내화학성 및 기계적 물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확보할 수 있다
 
(B)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을 축합 중합하여 제조한 선형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구성하는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성분의 일부를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로 치환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은 상기 에틸렌 글리콜 성분에 대하여 3 내지 48 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이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에, 표면 평활성 및 내열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ASTM D2857에 따라 측정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η]는 0.5 내지 1 dl/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가 상기 범위를 갖는 경우에, 기계적 특성과 성형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전체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중에서 20 내지 45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2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고온에서의 색안정성 및 광택성이 저하되고, 4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C) 유리섬유(Glass Fi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섬유의 직경은 8 내지 20 ㎛ 이고, 길이는 2.5 내지 6 ㎜ 이다. 또한 상기 유리섬유의 단면은 원형, 직사각형, 타원형, 아령, 마름모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섬유는 다른 무기질 섬유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무기질 섬유는 탄소 섬유, 현무암 섬유, 및 양마, 대마 등의 천연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섬유는 섬유 제조시 또는 후처리 공정시 유리섬유 처리제(sizing compositions)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데, 상기 유리섬유 처리제로는 윤활제, 커플링제, 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상기 윤활제는 주로 유리섬유 제조시 양호한 스트랜드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커플링제는 유리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수지 사이의 양호한 접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유리섬유의 종류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의 사용 방법으로는 유리섬유에 직접 처리하는 방법, 유기 매트릭스에 첨가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커플링제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그것의 함량을 적절히 선택하여야 한다.
상기 커플링제의 예로서, 아민계; 아크릴계; 및 γ-아미노 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γ-aminopropyltriethoxy silane), γ-아미노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γ-amino propyltrimethoxy silane), N-(베타-아미노에틸) γ-아미노 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N-(β-amino ethyl) γ-amino propyltriethoxy silane), γ-메타크릴록시 프로필트리에톡시 실란(γ-methacryloxy propyltriethoxy silane), γ-메타크릴록시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γ-methacryloxy propyltrimethoxy silane), γ-글리시독시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γ-glycidoxy propyltriethoxy silane), β(3,4-에폭시에틸) γ-아미노 프로필트리메톡시 실란(β(3,4-epoxyethyl) γ-amino propyltrimethoxy silane) 등의 실란계가 있으며, 상기 실란계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리섬유는 전체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중에서 10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유리섬유가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에 우수한 기계적 특성이 달성될 수 있다.
 
(D) 열안정제
본 발명에 따른 열안정제는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장기간에 걸친 고온에서의 색안정성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안정제는 전체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중에서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0.6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상기 열안정제가 5 중량부 이상으로 포함되면, 고온에서의 광택성이 저하될 수 있다.
 
(D-1)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로서 일반적인 상업화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의 예로는 옥타딜-3-(4-히드록시-3,5-디터셔리부틸페닐) 프로피오네이트 (Octadeeyl-3-(4-hydroxy-3,5-ditert-butylphenyl) propionate), 테트라비스[메틸렌-3-(3,5-디터셔리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메탄 (Tetrab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methane), 1,3,5-트리-메틸-2,4,6,-트리(3,5-디터셔리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1,3,5-Tri-methyl-2,4,6-tris(3,5-di-tert-butyl-4-hydroxybenzyl)benzene),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터셔리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Pentaerythritol tetrak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등이 있으며,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터셔리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2) 포스파이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스파이트로서, 트리페닐 포스파이트(Triphenyl phosphite), 트리스(모닐 페닐) 포스파이트(Tris(monyl phenyl) phosphite), 트리이소데실 포스파이트 (Triisodecyl phosphite), 디페닐-이소-옥틸-포스파이트(diphenyl-iso-octyl-phosphite), 비스(2,6-디터셔리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 디포스파이트 (Bis(2,6-di-tert-butyl-4-methylphenyl)pentaerythritol diphosphite),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 포스파이트 (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ite 등이 사용되며,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 포스파이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3) 포스포나이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스포나이트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또는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 아릴, 알킬아릴, C1-C30 알킬 또는 C6-C30 아릴이며, Ar은 페닐, 나프틸, 바이페틸, 터페닐 등과 같은 아릴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스포나이트로서 한 아릴기에 두 포스포나이트가 결합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 R2, R3 또는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 아릴, 알킬아릴, C1-C30 알킬 또는 C6-C30 아릴이며, Ar은 페닐, 나프틸, 바이페틸, 터페닐 등과 같은 아릴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학식 2의 R1, R2, R3 및 R4는 알킬치환된 페놀이고, Ar은 바이페닐로부터 유도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포스포나이트로서, 테트라키스(2,4-디-터셔리-부틸페닐)4,4'-바이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각 구성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의 혼합물을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는 방법에 의해 펠렛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펠렛은 사출 및 압출 성형품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펠렛은 250 내지 280 ℃의 온도에서 사출되고, 금형의 온도는 80 내지 100 ℃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형온도가 80 ℃ 이하가 될 경우 광택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0 ℃ 이상이 될 경우 펠렛이 금형에 달라붙게 되어 이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화될 것이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뿐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각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점도가 1.10±0.02 (dl/g)인 SHINKONG사의 Shinite K006을 사용하였다.
(B)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점도가 0.77±0.02 (dl/g)인 SK케미칼사의 SKYPET 1100을 사용하였다.
(C) 유리섬유
직경이 13 μm이고, 길이가 3 mm이며, 에폭시 계열의 물질이 코팅된 촙 스트랜드(chop strand) 유리 섬유를 사용하였다.
(D-1)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CIBA GEIGY사의 IRGANOX 1010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터셔리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사용하였다.
(D-2) 포스파이트
CIBA GEIGY사의 IRGAFOS 168인 트리스 (2,4-디터셔리부틸페닐) 포스파이트를 사용하였다.
(D-3) 포스포나이트
CIBA GEIGY사의 IRGAFOS P-EPQ인 테트라키스 (2,4-디터셔리부틸페닐)[1,1-바이페닐]-4,4'디일비스포스포나이트를 사용하였다.
(D-4) 포스페이트
영진화학사의 제1 인산소다(NaH2PO4)를 사용하였다.
(D-5) 티오에스테르
ASAHI DENKA사의 ADK STAB AO-412S인 테트라키스(메틸렌-3-도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메탄을 사용하였다.
기타
색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ZnS계의 안료로서 Sachtolith GRADE HD-L을 사용하였으며, 활제로서 MITSUI 석유화학사의 HI-WAX 400P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8
상기 각 구성성분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대로 혼합한 뒤, 이 혼합물을 60 kg/hr의 속도로 공급하고, 스크류의 rpm이 250이고 직경이 45 mm이며, L/D=36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50 ℃의 온도에서 압출하였으며, 이 압출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을 100 ℃에서 4 시간이상 건조시킨 후, 80 ℃의 온도에서 사출하여 2.5 mm × 50 mm × 90 mm 크기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다.
(1) 색안정성: 컬러칩 시편을 150 ℃의 열풍건조오븐에 넣은 뒤, 4일 뒤와 12일 뒤에 꺼내서 실온으로 식힌 후에 색 변화를 MINOLTA사의 CM-3600 색차계로 측정하였다.
(2) 광택성: 컬러칩 시편을 150 ℃의 열풍건조오븐에 넣은 뒤, 4일 뒤와 12일 뒤에 꺼내서 실온으로 식힌 후에 광택도를 SUGA사의 UGV-6P Gloss meter를 사용하여 60˚로 측정하였다.
(3) 내열성(HDT): 18.56 kgf/cm2의 하중하에서 ASTM D648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7 8
(A) PBT 43 51 54 57 57 57 50 48
(B) PET 42 34 31 28 28 28 33 32
(C) GF 15 15 15 15 15 15 17 20
(D-1) Hindered phenolic antioxidant 0.1 0.1 0.1 0.1 0.1 0.15 0.1 0.1
(D-2) phosphite 0.2 0.2 0.2 0.2 0.2 0.15 0.2 0.2
(D-3) phosphonite 0.3 0.3 0.3 0.3 0.5 0.3 0.3 0.3
  ZnS 2 2 2 2 2 2 2 2
△E (150℃,4days) 0.35 0.46 0.50 0.58 0.68 0.63 0.56 0.59
△E (150℃,12days) 0.45 0.52 0.66 0.67 0.76 0.69 0.65 0.68
△Gloss(150℃,4days) -2 -2 -4 -11 -8 -10 -9 -11
△Gloss(150℃,12days) -7 -8 -8 -19 -12 -15 -15 -17
내열성 193.2 197.9 198.2 198.7 198.7 198.7 201.2 205.8
상기 표 1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8은, 4일 후의 △E 값이 모두 0.68 이하이고 △Gloss 값이 모두 -11 이상이며, 12일 후의 △E 값이 모두 0.76 이하이고 △Gloss 값이 모두 -19 이상이며, 열변형온도가 모두 193.2 ℃ 이상으로서, 고온에서의 색안정성과 광택성 및 내열성이 모두 우수함을 보여주며, 시간이 경과해도 색안정성과 광택성이 급격하게 저하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비교실시예 1-6
상기 각 구성성분을 하기 표 2에 기재된 함량대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다.
 
비교실시예
1 2 3 4 5 6
(A) PBT 73 65 51 51 73 51
(B) PET 12 20 34 34 12 34
(C) GF 15 15 15 15 15 15
(D-1) Hindered phenolic antioxidant 0.1 0.1 0.3 0.3 - -
(D-2) phosphite 0.2 0.2 - - - -
(D-3) phosphonite 0.3 0.3 0.3 - 0.15 -
(D-4) phosphate - - - 0.3 0.6 -
(D-5) thioester - - - - 0.3 -
  ZnS 2 2 2 2 2 2
△E (150℃,4days) 0.40 0.21 0.76 0.62 0.69 0.65
△E (150℃,12days) 1.94 1.06 1.41 1.11 2.85 1.22
△Gloss(150℃,4days) -44 -41 -3 -7 -44 -1
△Gloss(150℃,12days) -49 -47 -7 -10 -49 -5
내열성 203.2 202.0 198.7 198.7 203.2 197.9
상기 표 2에 따라 제조된 비교실시예 1 내지 6 중에서, 비교실시예 1 및 2는 25 중량부 이하의 (B)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고온에서의 색안정성 및 광택성이 모두 저하되었음을 보여준다. 비교실시예 3은 열안정제로서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과 포스포나이트만을 사용하여, 고온에서의 색안정성이 저하되었음을 보여준다.
비교실시예 4는 열안정제로서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과 포스페이트만을 사용하여, 고온에서의 색안정성이 저하되었음을 보여준다. 비교실시예 5는 25 중량부 이하의 (B)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열안정제로서 포스포나이트, 포스페이트, 티오에스테르를 사용하여, 고온에서의 색안정성 및 광택성이 모두 저하되었음을 보여준다. 비교실시예 6은 열안정제를 사용하지 않아 고온에서의 색안정성이 저하되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9)

  1.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B)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C) 유리섬유; 및
    (D)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로 이루어지는 열안정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2.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40 내지 60 중량부;
    (B)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25 내지 45 중량부;
    (C) 유리섬유 10 내지 30 중량부; 및
    (D)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로 이루어진 열안정제 0.1 내지 5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는 상기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와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지방족 폴리아미드 등과 같은 충격개선 화합물을 공중합한 공중합체, 또는 상기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와 상기 충격개선 화합물을 혼합한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ASTM D2857에 따라 측정한 상기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의 고유점도[η]가 0.36 내지 1.60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글리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ASTM D2857에 따라 측정한 상기 (B)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고유점도[η]가 0.5 내지 1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이 옥타딜-3-(4-히드록시-3,5-디터셔리부틸페닐) 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비스[메틸렌-3-(3,5-디터셔리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5-트리-메틸-2,4,6,-트리(3,5-디터셔리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및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터셔리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이트가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스(모닐 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이소데실 포스파이트, 디페닐-이소-옥틸-포스파이트, 비스(2,6-디터셔리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 디포스파이트, 및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 포스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포나이트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R1, R2, R3 또는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 아릴, 알킬아릴, C1-C30 알킬 또는 C6-C30 아릴이며, Ar은 페닐, 나프틸, 바이페틸, 터페닐 등과 같은 아릴기임.
KR1020100102549A 2010-10-20 2010-10-20 고온 색안정성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286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549A KR101286149B1 (ko) 2010-10-20 2010-10-20 고온 색안정성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N201110175622.4A CN102453312B (zh) 2010-10-20 2011-06-27 在高温下具有颜色稳定性的玻璃纤维增强聚酯树脂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549A KR101286149B1 (ko) 2010-10-20 2010-10-20 고온 색안정성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003A true KR20120041003A (ko) 2012-04-30
KR101286149B1 KR101286149B1 (ko) 2013-07-15

Family

ID=46037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549A KR101286149B1 (ko) 2010-10-20 2010-10-20 고온 색안정성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6149B1 (ko)
CN (1) CN10245331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8688A (zh) * 2018-08-22 2018-12-07 中广核俊尔(上海)新材料有限公司 一种玻纤增强pbt/pet材料
KR20190070248A (ko) * 2017-12-12 2019-06-20 롯데첨단소재(주)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452A (ko) 2013-07-01 2016-03-11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사출 성형성이 우수한 고열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19077529A2 (en) 2017-10-17 2019-04-25 Celanese Sales Germany Gmbh FLAME 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
CN113402856A (zh) * 2020-03-17 2021-09-17 广东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树脂组合物、消音器、压缩机和制冷装置
KR20220050776A (ko) 2020-10-16 2022-04-25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7848B1 (en) 1998-02-20 2001-02-13 General Electric Company Glass filled polyest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color stability
WO2003046084A1 (fr) * 2001-11-30 2003-06-05 Polyplastics Co., Ltd. Composition de resine ignifuge
US7119141B2 (en) 2003-08-20 2006-10-10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
RU2309959C1 (ru) * 2006-02-22 2007-11-10 Институт Молекулярной Биологии Им. В.А. Энгельгардта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Применение не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х полимерных материалов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дложки биочипов, биочип на их основе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способ иммобилизации гидрогелей на не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х полимерных материалах
KR101078837B1 (ko) 2007-12-28 2011-11-02 주식회사 삼양사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248A (ko) * 2017-12-12 2019-06-20 롯데첨단소재(주)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08948688A (zh) * 2018-08-22 2018-12-07 中广核俊尔(上海)新材料有限公司 一种玻纤增强pbt/pet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53312A (zh) 2012-05-16
KR101286149B1 (ko) 2013-07-15
CN102453312B (zh)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149B1 (ko) 고온 색안정성을 갖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US4088709A (en) Phosphorus stabilized-polyester-polycarbonate molding compositions
US5254610A (en) Polyester/polycarbonate blends containing phosphites
CA1338160C (en) Reinforced mold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1,4- 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improved crystallization characteristics
US10526482B2 (en)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KR102234108B1 (ko) 강도가 우수한 생분해성 의료용 복합조성물
KR10199016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02690507B (zh) 玻纤增强聚乳酸复合材料
US10208199B2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using the same
JPS63108054A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ト系成形用樹脂組成物
TW201542668A (zh) 用於丙烯腈-丁二烯-苯乙烯共聚物之複合式安定劑
KR20170092143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S586745B2 (ja) ネツアンテイカポリエステルソセイブツ
KR102116887B1 (ko)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615183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성형품
KR102658748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0524162B1 (ko)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JP6777269B1 (ja)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KR20220050776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606516B1 (ko) 폴리포스포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432602B1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S60147468A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ト樹脂組成物
EP4365226A1 (en)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molded product manufactured therefrom
KR20240038576A (ko)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964988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