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576A -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576A
KR20240038576A KR1020230087762A KR20230087762A KR20240038576A KR 20240038576 A KR20240038576 A KR 20240038576A KR 1020230087762 A KR1020230087762 A KR 1020230087762A KR 20230087762 A KR20230087762 A KR 20230087762A KR 20240038576 A KR20240038576 A KR 20240038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butylene terephthalate
weight
resin composition
silica
terephthalat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현
권태훈
박재찬
박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23844057.2A priority Critical patent/EP4365226A1/en
Priority to PCT/KR2023/009651 priority patent/WO2024058384A1/ko
Priority to CN202380012303.2A priority patent/CN118055970A/zh
Publication of KR20240038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57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3Phosphinic compounds, e.g. R2=P(: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4Triazines containing cyanurate groups; Tauto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9Est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not representing cyclic esters of phosphoric or phosphorous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할로겐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복합소재에 상응하거나 그 이상의 수준으로 기계적 강도와 난연성간 우수한 물성 균형이 제공되고, 유동성이 우수하여 가공성이 뛰어나며, 특히 자동차 전장 부품 소재로서 적합하다.

Description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OLDED PRODUCT THEREFROM}
본 발명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할로겐계 난연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기계적 물성과 난연성의 물성 균형이 우수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경량화 및 제조 원가 절감을 위하여 자동차 분야에서는 부품 소재를 플라스틱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플라스틱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자동차 부품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알루미늄이나 스틸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자동차용 부품 소재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서도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고강성과 내열성 등이 우수하여 이를 다양한 자동차 부품에 적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전장 부품, 특히 커넥터 부품 소재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포함시킨 난연 복합소재로의 개발이 필요하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복합소재에 사용되는 비할로겐계 난연제로는 주로 금속염 인계 난연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했을 때와 비교하여 동일한 정도의 기계적 강성 및 난연성을 구현하기 어려워,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포함하면서도 기계적 강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등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1-007282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부품 소재에 적합한 수준의 기계적 강도와 난연성의 물성 균형을 구현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를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수학식 1]
7.76 ≤ a/b ≤ 45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ISO 527로 측정한 인장강도(MPa)이고, b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265℃에서 2.16 kg 하중에 대해 ISO 1133를 사용하여 측정한 유동지수(g/10min)이다.)
II) 상기 I)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함유 강화제는, 상기 강화제 중에 실리카를 50 중량% 이상, 구체적인 예로 50 내지 7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III) 상기 I) 또는 II)에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을 c라 하고, 상기 실리카 함유 강화제의 함량을 d라 할 때, 0.5d ≤ c ≤ 2d의 상관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함량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는 중량%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폴리에틸렌,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여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하는 중량%를 의미한다.
IV) 상기 I) 내지 III)에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 총 100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65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에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15 내지 65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V) 상기 I) 내지 IV)에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ASTM D2857에 따라 측정한 고유점도(η)가 0.5 내지 1.25 dl/g일 수 있다.
VI) 상기 I) 내지 V)에서, 상기 실리카 함유 강화제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 총 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카 함유 강화제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에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10 내지 50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VII) 상기 I) 내지 VI)에 있어서, 상기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 총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5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에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5 내지 35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VIII) 상기 I) 내지 VII)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 총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에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IX) 상기 I) 내지 VIII)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고, 이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를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실리카 함유 강화제 및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총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실리카 함유 강화제 및 멜라민 시아누레이트에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X) 상기 I) 내지 IX)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개선제를 포함하고, 이를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에 가공성 개선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0.001 내지 3 중량%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XI) 상기 I) 내지 X)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를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에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0.001 내지 3 중량%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XII)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를 포함하여 혼련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수학식 1]
7.76 ≤ a/b ≤ 45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ISO 527로 측정한 인장강도(MPa)이고, b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265℃에서 2.16 kg 하중에 대해 ISO 1133를 사용하여 측정한 유동지수(g/10min)이다.)
또한, 본 발명은 XIII) 전술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을 포함한다.
XIV) 상기 XIII)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자동차 전장 부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할로겐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복합소재에 상응하거나 그 이상의 수준으로 기계적 강도와 난연성간 우수한 물성 균형이 제공되고, 유동성이 우수하여 가공성이 뛰어나며, 특히 자동차 전장 부품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은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과 난연성간 높은 수준의 물성 균형이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이를 필요로 하는 자동차 부품분야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구성하는 종류와 함량을 조절하여 자동차 부품 소재에 적합한 수준의 기계적 강도와 난연성의 물성 균형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ISO 527로 측정한 인장강도(MPa)를 a라 하고, 265℃에서 2.16 kg 하중에 대해 ISO 1133를 사용하여 측정한 유동지수(g/10min)를 b라 할 때, a/b가 일례로 7.76 내지 45, 구체적으로는 7.76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7.77 내지 40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강성, 난연성 및 가공성의 물성 균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a는 130 이상, 또는 130 내지 165일 수 있고, 상기 b는 4 내지 20, 또는 4 내지 18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각 성분별로 상세하게 살펴본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1,4-부탄디올과,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직접 에스터화 반응시키거나 또는 에스터 교환반응시켜 축중합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충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지방족 폴리에스터, 지방족 폴리아미드 등과 같은 충격개선 화합물과 공중합한 공중합체,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상기 충격개선 화합물과 혼합한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ASTM D2857에 따라 측정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 η는 일례로 0.5 내지 1.25 dl/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25 dl/g,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 내지 1 dl/g인 것이다.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기계적 특성과 성형성의 물성 균형이 우수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 총 100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65 중량%, 25 내지 58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에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15 내지 65 중량%, 25 내지 58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에 가공성, 비중, 기계적 특성의 물성 균형이 우수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강화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강화제는 일례로 유리섬유일 수 있고, 상기 강화제는 다른 무기질 섬유들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무기질 섬유는 일례로 탄소섬유, 현무암섬유, 양마 또는 대마 등의 천연섬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강화제의 단면은 원형, 직사각형, 타원형, 아령, 마름모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평균직경이 8 내지 20㎛, 또는 10 내지 15㎛이고, 평균길이가 2 내지 6mm, 또는 2 내지 4mm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강화제의 평균직경 및 평균길이는 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강화제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으로 관찰하고 이로부터 10 내지 30개의 스트랜드의 평균직경과 평균길이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강화제는 섬유 제조시 또는 후처리 공정시 사이징제(sizing compositions)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데, 해당 사이징제로는 가공개선제, 커플링제, 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상기 가공개선제는 주로 양호한 스트랜드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커플링제는 강화제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사이의 양호한 접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강화제의 종류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경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의 사용방법으로는 강화제에 직접 처리하는 방법, 유기 매트릭스에 첨가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커플링제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그 함량을 적절히 선택하여야 한다.
상기 커플링제의 예로는 아민계, 아크릴계 및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베타-아미노에틸)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에틸) γ-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실란계가 있다.
특히, 본 기재의 강화제는 실리카를 함유하는 것이 강성 및 기계적 물성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는 강화제 중에 일례로 50 중량% 이상, 구체적인 예로 50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우수한 강성 및 기계적 물성 균형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리카가 적절하지 않은 함량, 예를 들어 48중량%인 강화제를 대체 투입한 경우 난연도는 탁월하였으나 인장강도와 유동지수가 불량하여 물성 균형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비교예 4 참조).
본 발명에서 강화제내 실리카 함량은 XRF(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X선 형광분석)를 이용하여 측정 또는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리카 함유 강화제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 총 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카 함유 강화제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에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비할로겐계 난연제
본 발명에 따른 비할로겐계 난연제는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압사출 가공 도중 난연 효과를 제공할 뿐 아니라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장시간 보관시에도 난연 효과를 충분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은 고분자 표면에 차르를 형성하여 조성물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으로서 시판되는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은 일례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 총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5 중량%, 10 내지 30 중량%, 구체적인 예로 10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에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5 내지 35 중량%, 10 내지 30 중량%, 구체적인 예로 10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고분자 표면에 차르를 형성하여 조성물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는 전술한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과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에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과 함께 고분자 표면에 차르를 형성하여 연소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로서 시판되는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는 일례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 총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구체적인 예로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에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일례로 0.1 내지 10 중량%, 구체적인 예로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고분자 표면에 차르를 충분하게 형성하여 조성물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불활성 기체를 발생시켜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는 일례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실리카 함유 강화제 및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총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구체적인 예로 0.1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5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실리카 함유 강화제 및 멜라민 시아누레이트에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일례로 0.1 내지 10 중량%, 구체적인 예로 0.1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5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가공성 개선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성 개선제는 올레핀계 왁스일 수 있고,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이형성 및 사출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상기 올레핀계 왁스는 용융점도가 낮은 중합체로 미끄럼성과 가소성을 갖는 유질상의 고체일 수 있고, 일례로 폴리에틸렌 왁스 및 폴리프로필렌 왁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가공성 개선제는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드롭 포인트(drop point)가 100 내지 120℃이고, 융점(mp)이 95 내지 115℃이며, 밀도(23℃)가 0.9 내지 1.0 g/cm3이고, 절대점도(120℃)가 350 내지 450 mm2/s인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형성과 사출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드롭 포인트는 ASTM D566, KS M 2033에 따른 실험방법에 의하여 활제가 온도 상승에 의해서 액상으 로 변화하는 최저 온도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경 100mm인 규정된 컵(cup)에 시료를 넣고 상기 규정된 조건으로 가열하여 그리스가 적하할 때의 온도를 측정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융점은 TA 사에서 제조한 시차 주사 열량계(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2920)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측정예로, 융점은 DSC를 온도 0℃에서 평형에 이르게 한 후, 분당 20℃씩 증가시켜 180℃까지 올린 후, 분당 20℃씩 감소시켜 -60℃까지 내린 후, 분당 10℃씩 증가시켜 180℃까지 온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융점은 두 번째 온도가 상승하는 동안 흡열 곡선의 꼭대기 영역을 취해 얻어진다.
본 기재에서 밀도는 일례로 ASTM D1505의 측정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절대점도는 Brookfield 사의 절대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측정예로, 절대점도는 Brookfield 사의 절대점도계 LVT 230을 사용하여 ASTM D1986-14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가공성 개선제는 105 내지 115℃이고, 융점(mp)이 100 내지 110℃이며, 밀도(23℃)가 0.95 내지 1.0 g/cm3이고, 절대점도(120℃)가 380 내지 420 mm2/s인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가공성 개선제는 108 내지 112℃이고, 융점(mp)이 102 내지 106℃이며, 밀도(23℃)가 0.95 내지 0.98 g/cm3이고, 절대점도(120℃)가 400 내지 420 mm2/s인 폴리에틸렌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공성 개선제로서 시판되는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C102N 등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공성 개선제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실리카 함유 강화제 및 가공성 개선제 총 100 중량%에 대하여 일례로 0.001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폴리에틸렌, 실리카 함유 강화제 및 멜라민 시아누레이트에 가공성 개선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일례로 0.001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우수한 이형성 및 사출성을 충분하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이 폴리에틸렌을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실리카 함유 강화제 및 폴리에틸렌 총 100 중량%에 대하여 일례로 0.001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및 내열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폴리에틸렌,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에 폴리에틸렌,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및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일례로 0.001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 내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내열성 첨가제
본 발명에 따른 내열성 첨가제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압사출 가공 도중 고온에서 산화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열성 첨가제는 일례로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포스파이트계 화합물 및 포스포나이트계 화합물 중에서 2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로서 시판되는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의 예로는 옥타딜-3-(4-히드록시-3,5-디터셔리부틸페닐) 프로피오네이트(Octadeeyl-3-(4-hydroxy-3,5-ditert-butylphenyl) propionate), 테트라비스[메틸렌-3-(3,5-디터셔리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 피오네이트]메탄(Tetrab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methane), 1,3,5-트리-메틸-2,4,6,-트리(3,5-디터셔리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1,3,5-Tri-methyl-2,4,6-tris(3,5-di-tertbutyl-4-hydroxybenzyl)benzene),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터셔리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ol tetrak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등이 있으며,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터셔리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스파이트계 화합물로서, 트리페닐 포스파이트(Triphenyl phosphite), 트리스(모닐페닐)포스파이트(Tris(monyl phenyl) phosphite), 트리이소데실 포스파이트(Triisodecyl phosphite), 디페닐 이소옥틸-포스파이트(diphenyl-isooctyl-phosphite), 비스(2,6-디터셔리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 디포스파이트(Bis(2,6-di-tert-butyl-4-methylphenyl)pentaerythritol diphosphite),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 포스파이트(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ite 등이 사용되며, 트리스(2,4-디터셔리부틸페닐) 포스파이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스포나이트계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또는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 아릴, 알킬아릴, 구체적인 예로 C1-C30 알킬, C6-C30 아릴 또는 알킬아릴이며, Ar은 페닐, 나프틸, 바이페닐, 터페닐 등과 같은 아릴기이다.
다른 예로, 상기 내열성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혼합된 경우, 밀도가 일례로 530 g/l 이상, 구체적인 예로 530~630 g/l인 것이 고온에서 산화방지 효과를 제공하기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밀도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 측정되는 방식 및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시판되는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225 등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2]
[화학식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열성 첨가제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에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일례로 0.001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고온 가공시 열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열성 첨가제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실리카 함유 강화제 및 멜라민 시아누레이트에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일례로 0.001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내열성 첨가제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실리카 함유 강화제,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및 폴리에틸렌에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일례로 0.001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을 c라 하고, 상기 실리카 함유 강화제의 함량을 d라 할 때, 0.5d ≤ c ≤ 2d의 상관관계, 구체적으로는 d ≤ c ≤ 2d의 상관관계, 바람직하게는 1.3d ≤ c ≤ 1.8d의 상관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강성 및 기계적 물성과 난연성간 우수한 물성 균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사용하는 용어 "함량"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중량% 단위를 지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와 d의 함량은 각각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실리카 함유 강화제,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포함되는 중량%일 수 있다.
여기서 c는 일례로 35 내지 58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8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의 정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0의 정수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강성 및 기계적 물성과 난연성간 우수한 물성 균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는 일례로 10 내지 5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의 정수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강성 및 기계적 물성과 난연성간 우수한 물성 균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5 내지 65 중량%; 실리카 함유 강화제 10 내지 50 중량%;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5 내지 35 중량%;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0.1 내지 10 중량%;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0 내지 10 중량%; 내열성 첨가제 0.001 내지 3 중량%; 및 가공성 개선제 0.001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35 내지 58 중량%; 실리카 함유 강화제 15 내지 50 중량%;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10 내지 25 중량%;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0.1 내지 5 중량%;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0 내지 4.5 중량%; 내열성 첨가제 0.001 내지 3 중량%; 및 가공성 개선제 0.001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40 내지 58 중량%; 실리카 함유 강화제 20 내지 50 중량%;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10 내지 20 중량%;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1 내지 5 중량%;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0.1 내지 10 중량%; 내열성 첨가제 0.05 내지 2 중량%; 및 가공성 개선제 0.05 내지 3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강성 및 기계적 물성과 난연성간 우수한 물성 균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UV 안정제, 안료 및 착색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일례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수지 조성물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첨가제 본연의 특성이 발현되는 효과가 있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각 구성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의 혼합물을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는 방법에 의해 펠렛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펠렛은 사출 및 압출 성형품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펠렛은 240 내지 280℃의 온도에서 압출되고, 사출 시 금형의 온도는 80 내지 120℃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형 온도가 80℃ 미만일 경우 외관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120℃를 초과할 경우 펠렛이 금형에 달라붙게 되어 이형성이 저하되고 냉각 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일례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를 포함하여 혼련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전술한 멜라닌 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련 및 압출하는 단계에서, 압출기의 스크류 회전수는 일례로 150 내지 330 rpm, 150 내지 300 rpm, 또는 200 내지 250 rpm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서 값이 낮을수록, 강성과 가공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압출기에 투입하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시간당 이송량(F/R)은 70 kg/hr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kg/hr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kg/hr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kg/hr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경우에 강성 및 가공성, 비중의 물성 균형을 구현할 수 있다.
<성형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품은 일례로 자동차 전장 부품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구체적인 예로 자동차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ISO 527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강도가 130 MPa 이상, 또는 135 내지 165 MPa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ISO 1133에 의거하여 265℃에서 2.16 kg 하중 하에 측정한 유동지수가 4 내지 20 g/10min, 또는 4 내지 18 g/min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UL 94에 의거하여 측정한 0.8mm 시편에 대한 난연도(Burning time/5개)가 50초 이하일 수 있다.
본 기재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성형품을 설명함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은 다른 조건이나 장비 등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각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A)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고유점도 0.5~1 dl/g)
(B)실리카 함유 강화제: 평균직경이 10㎛이고 평균길이가 3mm인 유리섬유
(B-1)유리섬유 1: 실리카 55 중량% 포함
(B-2)유리섬유 2: 실리카 48 중량% 포함
(C)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D)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E)멜라민 시아누레이트
(F)방향족 포스페이트: 제품명 PX200
(G)내열성 첨가제: 제품명 B-225
(H)가공성 개선제: 드롭 포인트(drop point)가 110℃이고, 융점(mp)이 104℃이며, 밀도(23℃)가 0.97 g/cm3이고, 절대점도(120℃)가 410 mm2/s인 폴리에틸렌
(I) 드롭방지제: 테프론(제품명 JF-4A)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6
상기 각 구성성분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대로 혼합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고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유동지수(g/10min): ISO 1133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혼합물을 50 kg/hr로 공급하고, 압출기의 스크류 회전수는 250 rpm을 적용하였다. 이때 스크류의 직경은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50℃의 온도로 압출하였으며, 이 압출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을 100℃에서 4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80℃의 온도에서 사출하여 2.5mm x 50 mm x 90 mm 크기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고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Mpa): ISO 527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난연도(Burning time/5ea): 0.8mm 시편을 제작하여 UL94에 의거하여 시편 5개의 연소되는 총 소요시간(sec)을 측정하였다. V-0 등급인 경우 OK로 표기하면서 소요되는 시간을 병기하였고, V-0 등급에 미치지 못한 경우에는 NG로 표기하였다.
*인장강도 값을 a라 하고 유동지수 값을 b라 할 때, a/b 계산값을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A 50.1 50.1 33.1 40.9 50.1 53.1 50.1 53.1 50.1
B-1 33 33 50 33 33 33 - 30 33
B-2 - - - - - 33 - -
C 13 10 10 13 16 10 10 10 3
D 3 3 3 - - 3 3 3 3
E - 3 3 6 - - 3 3 10
F - - - 6 - - 3 - -
G 0.4 0.4 0.4 0.4 0.4 0.4 0.4 0.4 0.4
H 0.5 0.5 0.5 0.5 0.5 0.5 0.5 0.5 0.5
I - - - 0.2 - - - - -
인장강도
(MPa,a)
135 140 160 110 126 148 133 140 147
유동지수(g/10분,b) 10 18 4 21.2 5.9 19.1 20.3 19.1 25
a/b 13.5 7.77 40 5.2 21 7.70 6.6 7.3 5.88
난연도 V-0
(sec)
OK
(34)
OK
(13.9)
OK
(14)
OK
(19.1)
NG
(46.4)
NG:V-2
(측정불가)
OK
(15)
NG:V-2
(측정불가)
NG:V-2
(측정불가)
(상기 표에서 제시된 성분들의 총합은 100중량%이다.)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3은 유동지수가 4 내지 18 g/10분이고, 인장강도가 135 내지 160MPa, 난연도 V-0로 연소되는 총 소요시간이 13.9 내지 34초 범위 내로서, 강성, 가공성, 난연도의 물성 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a/b 계산값은 7.77 내지 40으로서 적절한 범위 내로 확인되었다.
반면, 방향족 포스페이트 및 테프론을 함께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인장강도와 유동지수가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경우 a/b 계산값 또한 7.76에 미달하는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인장강도가 불량하였고 유동지수는 측정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어 a/b 계산값 또한 계산되지 못하였다.
또한,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을 단독 투입하고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와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를 미투입한 비교예 2의 경우, 인장강도와 유동지수가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의 조성에서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의 함량을 줄인 만큼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추가 투입한 비교예 3의 경우, 인장강도와 유동지수는 탁월하였으나 난연도가 측정 불가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의 조성에서 실리카 함량이 적절한 범위에 미달하는 강화제를 대체 투입한 비교예 4의 경우, 난연도는 탁월하였으나 인장강도와 유동지수가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경우 a/b 계산값 또한 7.76 미만의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의 조성에서 강화제 함량을 줄인 만큼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추가 투입한 비교예 5의 경우, 유동지수는 탁월하였으나 인장강도와 난연도가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경우 a/b 계산값 또한 7.76 미만의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의 조성에서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함량과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함량을 바꿔 투입한 비교예 6의 경우, 난연도가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경우 a/b 계산값 또한 7.76 미만의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개시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실리카 함유 강화제를 사용하여 보강하면서 특정 조성의 난연 성분과 내열 성분 등을 포함함으로써 가공성, 비중, 강성 및 난연도간 물성 균형을 구현하여 할로겐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복합소재의 대체 소재로서 자동차 부품분야에 사용하기 적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4)

  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를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수학식 1]
    7.76 ≤ a/b ≤ 45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ISO 527로 측정한 인장강도(MPa)이고, b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265℃에서 2.16 kg 하중에 대해 ISO 1133을 사용하여 측정한 유동지수(g/10min)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함유 강화제는, 상기 강화제 중에 실리카를 50 중량% 이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을 c라 하고, 상기 실리카 함유 강화제의 함량을 d라 할 때, 0.5d ≤ c ≤ 2d의 상관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 총 100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65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에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15 내지 65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ASTM D2857에 따라 측정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η)가 0.5 내지 1.25 dl/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함유 강화제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 총 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카 함유 강화제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에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10 내지 50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 총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5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에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5 내지 35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 총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에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를 포함하고, 이 멜라민 시아누레이트를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실리카 함유 강화제 및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총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실리카 함유 강화제 및 멜라민 시아누레이트에 가공성 개선제 및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개선제를 포함하고, 이를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에 가공성 개선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0.001 내지 3 중량%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이를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에 내열성 첨가제를 합한 총 100 중량% 중에 0.001 내지 3 중량%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1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포스핀산의 알루미늄염,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및 실리카 함유 강화제를 포함하여 혼련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수학식 1]
    7.76 ≤ a/b ≤ 45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ISO 527로 측정한 인장강도(MPa)이고, b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265℃에서 2.16 kg 하중에 대해 ISO 1133을 사용하여 측정한 유동지수(g/10min)이다.)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자동차 전장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230087762A 2022-09-16 2023-07-06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40038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3844057.2A EP4365226A1 (en) 2022-09-16 2023-0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molded product manufactured therefrom
PCT/KR2023/009651 WO2024058384A1 (ko) 2022-09-16 2023-07-07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202380012303.2A CN118055970A (zh) 2022-09-16 2023-07-07 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树脂组合物、制备其的方法和包括其的模制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17051 2022-09-16
KR1020220117051 2022-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576A true KR20240038576A (ko) 2024-03-25

Family

ID=9047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762A KR20240038576A (ko) 2022-09-16 2023-07-06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85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828A (ko) 2009-12-23 2011-06-29 주식회사 삼양사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828A (ko) 2009-12-23 2011-06-29 주식회사 삼양사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086B1 (ko) 유리 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물품
JP2014513194A (ja) 非ハロゲン難燃性高剛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2581751B1 (ko) 비-할로겐화된 난연성 폴리아미드 조성물
JP2017082028A (ja) ガラス長繊維強化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ペレ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構造体
KR20060063879A (ko) 난연화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0877392B1 (ko) 우수한 난연성 및 장기 내열성을 갖고 압출 튜빙 가능한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7481360B2 (ja) 非ハロゲン系難燃性ポリアミド組成物
KR101790834B1 (ko)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난연수지 조성물 및 사출품
KR20240038576A (ko)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10072828A (ko)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EP4365226A1 (en)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molded product manufactured therefrom
KR101748243B1 (ko) 유동성과 표면 광택이 우수한 비할로겐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TW202413527A (zh) 聚對苯二甲酸丁二醇酯樹脂組成物、其製備方法以及包含其的模製品
KR20210038165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668550B1 (ko) 비-할로겐화된 난연성 폴리아미드 조성물
JP2021017533A (ja) 繊維強化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EP4372051A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therefrom
CN114989600B (zh) 一种可替代pc成型高光、耐刮擦面板的无卤阻燃尼龙材料
CN118055970A (zh) 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树脂组合物、制备其的方法和包括其的模制品
KR102499710B1 (ko) 레이저 용접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TWI833938B (zh) 非鹵化阻燃性聚醯胺組合物
KR20130078771A (ko)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KR100576331B1 (ko) 증착성이 개선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0706840B1 (ko) 흐름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240028920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