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0503A -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양방향 리모콘 - Google Patents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양방향 리모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0503A
KR20120040503A KR20100101962A KR20100101962A KR20120040503A KR 20120040503 A KR20120040503 A KR 20120040503A KR 20100101962 A KR20100101962 A KR 20100101962A KR 20100101962 A KR20100101962 A KR 20100101962A KR 20120040503 A KR20120040503 A KR 20120040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menu
menu screen
screen
control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01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6577B1 (ko
Inventor
배시므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1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577B1/ko
Priority to EP15167756.4A priority patent/EP2924981A1/en
Priority to EP20110172125 priority patent/EP2445201A1/en
Priority to US13/177,091 priority patent/US8537286B2/en
Priority to CN2011102776511A priority patent/CN102456269A/zh
Publication of KR20120040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503A/ko
Priority to US13/967,863 priority patent/US9030611B2/en
Priority to US14/670,549 priority patent/US2015020811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Abstract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직접 전송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은 리모콘이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화면 중 메뉴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하는 제어 명령 및 상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양방향 리모콘{Method for Controlling Bidirectional Remote Controller and Bidirectional Remote Controller for implementing thereof}
본 발명은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양방향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양방향 리모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콘은 텔리비전(television), 디브이디(digital versatile disc:DVD), 브이씨알(video cassette recoder:VCR), 케이블(cable) 방송, 셋탑박스(settop box), 오디오(audio)와 같은 원격 제어 기기를 원격에서 제어 주파수의 무선 송신을 통해 각 전자 제품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이를 위해 리모콘은 예를 들어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기기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리모콘(120)에 의한 채널 변경, 볼률 조절 등과 같은 단순한 신호만 일방향으로 수신한다.
그러나,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제어함에 있어서 OSD를 이용하여 메뉴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그러나, 화명에서 처리하고 디스플레이해야 할 기능 및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 리모콘을 사용하여 화명의 OSD의 네비게이션, 선택,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매뉴얼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탐색하여 설정해야 하므로, 화면에서 설명을 보고 OSD를 다시 빠져나와 실제 동작하는 화면의 OSD를 구동하여야 하며, 인터넷 브라우징을 하기 위해서 특별한 포인팅 디바이스 또는 문자 입력 기능의 필요성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직접 전송할 수 있는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양방향 리모콘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은 리모콘이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화면 중 메뉴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하는 제어 명령 및 상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리모콘은, 터치 스크린 리모콘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리모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OSD 메뉴 화면 및 전자 매뉴얼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OSD 메뉴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또는 사운드 설정을 위한 화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XML 데이터 포맷으로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XML 데이터 포맷으로 수신된 상기 메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상기 리모콘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하는 제어 명령은, 상기 리모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화면 중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활성창을 즉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상기 활성창마다 고유의 아이디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선택된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은 상기 고유의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복수의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리모콘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메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뉴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하는 제어 명령 및 상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기능 실행부; 및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양방향 리모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OSD 메뉴 화면 및 전자 매뉴얼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OSD 메뉴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또는 사운드 설정을 위한 화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메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XML 데이터 포맷으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XML 데이터 포맷으로 수시된 상기 메뉴 화면을 상기 양방향 리모콘에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리모콘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받는 사용자 명령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리모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화면 중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활성창을 즉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상기 활성창마다 고유의 아이디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선택된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은 상기 고유의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복수의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리모콘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및 동작 화면을 리모콘에서 확인을 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직접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리모콘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220)은 디스플레이 장치(210)와 양방향 통신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양방향 리모콘(22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OSD 메뉴 화면을 전송할 수 있으며, 양방향 리모콘(220)은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하는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양방향 리모콘에는 화면의 밝기, 컨트라스트 등을 제어하는 OSD 메뉴 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리모콘(220)은 수신부(221), 디스플레이부(223), 기능 실행부(225), 전송부(227) 및 사용자 명령 입력부(229)를 포함한다.
수신부(221)는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제어하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210)로부터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부(221)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XML 데이터 포맷으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XML 데이터 포맷이란, 확장성 생성 언어(XML) 문법을 이용해서 스키마를 기술하는 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정의하기 위한 XML 응용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뉴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OSD 메뉴 화면 및 전자 메뉴얼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OSD 메뉴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또는 사운드 설정을 위한 화면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메뉴 화면은 주 영상 기기인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OSD, 메뉴얼 등을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또는 사운드 등을 설정하기 위한 OSD 메뉴 화면이거나, 메뉴얼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 설명서인 전자 메뉴얼(E-Munual)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OSD 화면을 직접 제공받아, 자신이 원하고자하는 화면 또는 사운드 등의 설정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223)는 수신부(221)에 의해 수신된 메뉴 화면을 리모콘에 출력한다.
여기서, 리모콘은 터치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리모콘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OSD 화면 등을 제공받아 리모콘 상에 디스플레이하여야 하므로, 터치 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리모콘이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223)는 수신부(221)에 의해 XML 데이터 포맷으로 수신된 메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리모콘에 설치(install)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OSD 화면 등을 양방향 리모콘에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한 OSD 화면 등에 대한 설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기능 실행부(225)는 메뉴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메뉴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선택된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활성창(Active Window)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 및 선택된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기능 실행부(225)는 디스플레이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OSD 메뉴 화면 또는 전자 메뉴얼 화면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선택한 항목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이다.
전송부(227)는 기능 실행부(225)에 의해 생성된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21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부(227)는 리모콘에서 디스플레이된 메뉴 화면 중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로 활성창을 즉시 디스플레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의 전송부는 사용자가 리모콘 상의 다양한 메뉴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메뉴 항목에 해당하는 활성창(Active Window)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즉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면이나 사운드 등의 설정을 OSD 메뉴 화면을 조작할 필요 없이, 리모콘 상에서 모든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활성창은 각각 고유의 아이디를 가지고 있으며, 선택된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은 고유의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리모콘 상에서 선택된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즉시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리모콘 상에서 선택된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활성창 마다 인덱스(Index) ID와 같은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고, 제어 명령에 활성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고유 아이디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된 고유 아이디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즉시 디스플레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부(227)는 복수의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송부(227)는 기능 실행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따른 제어 명령을 제어 명령이 발생할 때마다 각각 개별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모든 설정을 마친 후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일괄적으로 한번에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어 명령은 리모콘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10)에 저장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 명령은 사용자는 리모콘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메뉴 화면에 따른 제어 명령뿐만이 아니라, 리모콘을 통해 문자 입력 또는 리모콘에 의해 변경된 설정 데이터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고, 전송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명령 입력부(229)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받는다.
다시 말해, 기능 실행부(225)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받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부(227)는 사용자 명령 입력부(229)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명령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문자 입력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뿐만 아니라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합 리모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은 전자 매뉴얼 등의 컨텐츠 이용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동작 설명을 리모콘 상에서 지켜보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즉시 전송하여 저장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OSD 메뉴 화면을 가리지 않고, 리모콘 상에서 자유롭게 OSD 메뉴 화면의 조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OSD 메뉴 화면의 네비게이션을 양방향 리모콘을 이용함으로써 터치, 지시, 문자 입력 등의 사용자 입력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리모콘이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S410).
여기서, 리모콘은 터치 스크린 리모콘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리모콘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OSD 화면 등을 제공받아 리모콘 상에 디스플레이하여야 하므로, 터치 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리모콘이어야 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뉴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OSD 메뉴 화면 및 전자 매뉴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OSD 메뉴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또는 사운드 설정을 위한 화면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메뉴 화면은 주 영상 기기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OSD, 메뉴얼 등을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또는 사운드 등을 설정하기 위한 OSD 메뉴 화면이거나, 메뉴얼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 설명서인 전자 메뉴얼(E-Munual)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OSD 화면을 직접 제공받아, 자신이 원하고자하는 화면 또는 사운드 등의 설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뉴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XML 데이터 포맷으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리모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XML 데이터 포맷으로 수신된 메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리모콘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OSD 화면 등을 양방향 리모콘에서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한 OSD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설치 프로그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S4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메뉴 화면 중 메뉴를 선택 받는다(S430).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한 OSD 메뉴 화면 또는 전자 메뉴얼 화면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S430 단계에서 선택된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 및 선택된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S450).
여기서, S430 단계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선택된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은 리모콘에서 디스플레이된 메뉴 화면 중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메뉴가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로 활성창을 즉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리모콘 상의 다양한 메뉴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메뉴 항목에 해당하는 활성창(Active Window)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즉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면이나 사운드 등의 설정을 OSD 메뉴 화면을 조작할 필요 없이, 리모콘 상에서 모든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활성창은 각각 고유의 아이디를 가지고 있으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은 고유의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리모콘 상에서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즉시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리모콘 상에서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활성창 마다 인덱스(Index) ID와 같은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고, 제어 명령에 활성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고유 아이디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된 고유 아이디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즉시 디스플레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S450 단계는 복수의 메뉴가 선택된 경우, 제어 명령 각각을 개별적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제어 명령을 일괄적으로 한번에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에 따른 제어 명령을 제어 명령이 발생할 때마다 각각 개별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모든 설정을 마친 후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일괄적으로 한번에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어 명령은 리모콘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 명령은 사용자는 리모콘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메뉴 선택에 따른 제어 명령뿐만이 아니라, 리모콘을 통해 문자 입력 또는 리모콘에 의해 변경된 설정 데이터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고, 전송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은 전자 매뉴얼 등의 컨텐츠 이용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동작 설명을 리모콘 상에서 지켜보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즉시 전송하여 저장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OSD 메뉴 화면을 가리지 않고, 리모콘 상에서 자유롭게 OSD 메뉴 화면의 조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OSD 메뉴 화면의 네비게이션을 양방향 리모콘을 이용함으로써 터치, 지시, 문자 입력 등의 사용자 입력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한편, 이러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20 : 양방향 리모콘 221 : 수신부
223 : 디스플레이부 225 : 기능 실행부
227 : 전송부 229 : 사용자 명령 입력부

Claims (21)

  1. 리모콘이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화면 중 메뉴를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하는 제어 명령 및 상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은,
    터치 스크린 리모콘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리모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OSD 메뉴 화면 및 전자 매뉴얼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OSD 메뉴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또는 사운드 설정을 위한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XML 데이터 포맷으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XML 데이터 포맷으로 수신된 상기 메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상기 리모콘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하는 제어 명령은,
    상기 리모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화면 중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활성창을 즉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상기 활성창마다 고유의 아이디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선택된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은 상기 고유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복수의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리모콘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12.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메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뉴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하는 제어 명령 및 상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기능 실행부; 및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양방향 리모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OSD 메뉴 화면 및 전자 매뉴얼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OSD 메뉴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또는 사운드 설정을 위한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메뉴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XML 데이터 포맷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XML 데이터 포맷으로 수시된 상기 메뉴 화면을 상기 양방향 리모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받는 사용자 명령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리모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메뉴 화면 중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활성창을 즉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메뉴에 해당하는 상기 활성창마다 고유의 아이디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선택된 메뉴 화면에 해당하는 활성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은 상기 고유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복수의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메뉴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리모콘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리모콘.
KR1020100101962A 2010-10-19 2010-10-19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양방향 리모콘 KR101786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962A KR101786577B1 (ko) 2010-10-19 2010-10-19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양방향 리모콘
EP15167756.4A EP2924981A1 (en) 2010-10-19 2011-06-30 Method for controlling bidirectional remote controller and bidirectional remote controller implementing the method
EP20110172125 EP2445201A1 (en) 2010-10-19 2011-06-30 Method for controlling bidirectional remote controller and bidirectional remote controller implementing the method
US13/177,091 US8537286B2 (en) 2010-10-19 2011-07-06 Method for controlling bidirectional remote controller and bidirectional remote controller implementing the method
CN2011102776511A CN102456269A (zh) 2010-10-19 2011-09-19 用于控制双向遥控器的方法和实施该方法的双向遥控器
US13/967,863 US9030611B2 (en) 2010-10-19 2013-08-15 Method for controlling bidirectional remote controller and bidirectional remote controller implementing the method
US14/670,549 US20150208114A1 (en) 2010-10-19 2015-03-27 Method for controlling bidirectional remote controller and bidirectional remote controller implement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962A KR101786577B1 (ko) 2010-10-19 2010-10-19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양방향 리모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503A true KR20120040503A (ko) 2012-04-27
KR101786577B1 KR101786577B1 (ko) 2017-11-15

Family

ID=4450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962A KR101786577B1 (ko) 2010-10-19 2010-10-19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양방향 리모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8537286B2 (ko)
EP (2) EP2924981A1 (ko)
KR (1) KR101786577B1 (ko)
CN (1) CN1024562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0971B2 (en) * 2009-10-13 2013-04-02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 by a display device
CN103049997B (zh) * 2011-10-11 2016-01-27 Lg电子株式会社 遥控器以及多媒体设备的控制方法
US8659703B1 (en) * 2012-10-23 2014-02-25 Sony Corporation Adapting layout and text font size for viewer distance from TV
US20140168522A1 (en) * 2012-12-14 2014-06-19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controller, and code processing method
US20140192207A1 (en) * 2013-01-07 2014-07-10 Jinsong Ji Method and apparatus to measure video characteristics locally or remotely
KR101755625B1 (ko) * 2013-01-07 2017-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ui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8959562B2 (en) * 2013-02-26 2015-02-17 Roku,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econd screen engagement
CN103873943B (zh) * 2013-12-20 2017-12-19 天津三星电子有限公司 一种osd交互界面显示方法、终端及系统
TWI525474B (zh) 2014-01-29 2016-03-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手持式電子裝置、遙控方法、家電系統及家電裝置
CN104346040B (zh) * 2014-10-23 2018-08-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快速查找方法、显示控制系统及输入设备
US11503360B2 (en) * 2015-03-04 2022-11-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Adaptive remote control
TWI605719B (zh) * 2016-01-12 2017-11-1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配合遙控器之電視管理裝置及電視管理方法
KR102563630B1 (ko) * 2018-10-10 2023-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US11237851B1 (en) 2020-07-14 2022-02-01 Xerox Corporation Simultaneous generation of differently interactive device menus automatically from an initial device menu
CN112667143A (zh) * 2021-01-22 2021-04-16 深圳市绘王动漫科技有限公司 触控手写屏及其调用屏幕菜单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0326A (en) * 1992-12-04 1995-04-25 Goldstein; Steven W. 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 for interacting with a plurality of remotely controlled devices
KR0170326B1 (ko) * 1994-07-27 1999-03-30 김광호 원격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5969770A (en) * 1995-05-24 1999-10-1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nimated "on-screen" display provisions for an MPEG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US6130726A (en) * 1997-03-24 2000-10-10 Evolve Products, Inc. Program guide on a remote control display
US6104334A (en) * 1997-12-31 2000-08-15 Eremote, Inc. Portable internet-enabled controller and information browser for consumer devices
JPH11239305A (ja) * 1998-02-24 1999-08-31 Sony Corp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装置
US6040829A (en) * 1998-05-13 2000-03-21 Croy; Clemens Personal navigator system
US7831930B2 (en) * 2001-11-20 2010-11-0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US6532592B1 (en) 1998-11-09 2003-03-11 Sony Corporation Bi-directional remote control uni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00244989A (ja) * 1999-02-19 2000-09-08 Sharp Corp 双方向リモコン制御システム
US6407779B1 (en) * 1999-03-29 2002-06-18 Zilo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uitive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AU2001266417A1 (en) * 2000-06-29 2002-01-08 Woori Technology Inc. Remote controller and broadcasting receiver having electronic program guide (epu) function and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same
JP4543513B2 (ja) * 2000-07-17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双方向通信システム、表示装置、ベース装置および双方向通信方法
US6938101B2 (en) * 2001-01-29 2005-08-30 Universal Electronics Inc. Hand held device having a browser application
US6806887B2 (en) * 2001-04-04 2004-10-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integrating personalized data with visual content
US7109974B2 (en) * 2002-03-05 2006-09-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an on-screen display (OSD)
US20040103434A1 (en) * 2002-11-25 2004-05-2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with conflict management capabilities
US7535465B2 (en) * 2003-09-02 2009-05-19 Creative Technology Ltd. Method and system to display media content data
JP2005328379A (ja) * 2004-05-14 2005-11-24 Toshiba Corp 入力ガイド表示操作システム
JP4649979B2 (ja) * 2004-12-21 2011-03-16 船井電機株式会社 画質調整装置および画質調整装置を有するテレビジョン受像機
GB0525995D0 (en) * 2005-12-21 2006-02-01 Electra Entertainment Ltd An enhanced interactive television return path
US8031270B1 (en) * 2006-01-31 2011-10-04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Remote control system
US8054294B2 (en) * 2006-03-31 2011-11-08 Sony Corporation Touch screen remote control system for use in controlling one or more devices
US20080010405A1 (en) * 2006-07-10 2008-0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able profiles and actions for removable memory devices
TW200835320A (en) * 2007-02-09 2008-08-16 Mitac Int Corp Portable multimedia device
KR100857508B1 (ko) * 2007-04-24 2008-09-08 (주)비욘위즈 디지털 방송용 셋탑박스 제어장치, 그 구동방법 및 디지털방송 시스템
US8818272B2 (en) * 2007-07-18 2014-08-26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bluetooth enabled electronic equipment
US20090077583A1 (en) * 2007-09-17 2009-03-19 Sony Corpor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 Remote Commander for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KR101446090B1 (ko) * 2008-05-27 2014-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디바이스 및 그 ui 제공 방법
US20100205628A1 (en) * 2009-02-12 2010-08-12 Davis Bruce L Media processing methods and arrangements
US20100118209A1 (en) * 2008-11-11 2010-05-1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saving via context based communication
US8289286B2 (en) * 2008-12-19 2012-10-1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Zooming keyboard/keypad
US20110191516A1 (en) * 2010-02-04 2011-08-04 True Xiong Universal touch-screen remote controller
US8803655B2 (en) * 2010-05-11 2014-08-1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enhanced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US9100707B2 (en) * 2010-06-11 2015-08-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tegrating video share and text messaging with set-top box and access point
US9542007B2 (en) * 2010-07-13 2017-01-10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ual use remote-control devices
EP2416564B1 (en) * 2010-08-02 2016-04-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US9264753B2 (en) * 2010-08-03 2016-02-16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control of media play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577B1 (ko) 2017-11-15
US8537286B2 (en) 2013-09-17
US9030611B2 (en) 2015-05-12
EP2924981A1 (en) 2015-09-30
CN102456269A (zh) 2012-05-16
EP2445201A1 (en) 2012-04-25
US20150208114A1 (en) 2015-07-23
US20130329131A1 (en) 2013-12-12
US20120092564A1 (en)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577B1 (ko) 양방향 리모콘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양방향 리모콘
US8736769B2 (en) Attached device control on television event
US92647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control of media players
US9179175B2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broadcast receiver
US11650667B2 (en) Haptic feedback remo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84587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anding a controlled device
CN101594499B (zh) 控制装置和提供其用户接口的方法
US20140029913A1 (en) Controlling Trick Play And Progress of Media Playback For Multiple Media Devices
US20110310298A1 (en) Method and system to control a non-gesture controlled device using gesture interactions with a gesture controlled device
US20090091658A1 (en) Av system
US8618917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control learning
KR101342369B1 (ko)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신호 싱크 및 그의동작 방법
US20200201530A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s thereof
KR10205804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10443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23420A (ko) 컨텐츠 전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1053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11211415A (ja) リモコンシステム、サーバ装置、リモコン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