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0440A -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0440A
KR20120040440A KR1020100101862A KR20100101862A KR20120040440A KR 20120040440 A KR20120040440 A KR 20120040440A KR 1020100101862 A KR1020100101862 A KR 1020100101862A KR 20100101862 A KR20100101862 A KR 20100101862A KR 20120040440 A KR20120040440 A KR 20120040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secondary battery
active material
type secondary
solid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1901B1 (ko
Inventor
권요한
김제영
신헌철
김기태
이상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00101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901B1/ko
Priority to CN201180050682.1A priority patent/CN103181002B/zh
Priority to JP2013534802A priority patent/JP5604599B2/ja
Priority to EP11834573.5A priority patent/EP2631970B1/en
Priority to PCT/KR2011/007625 priority patent/WO2012053773A2/ko
Priority to US13/399,614 priority patent/US9673485B2/en
Publication of KR20120040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8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u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16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impregnation with a solution, dispersion, paste or dry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5Electrochemical coating; Electrochemical impregnation
    • H01M4/0452Electrochemical coating; Electrochemical impregnation from solu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69Electroforming a self-supporting electrode; Electroforming of powdered electrod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5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8Composites of electroconductive material and synthetic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5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with shapes other than plane or cylindr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1) 음극 활물질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S2) 상기 음극 활물질 수용액에,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집전체인 코어부를 담근 후에 전기를 통전시켜 집전체인 코어부의 외면에 음극 활물질로 이루어진 다공성 쉘부를 형성하여 음극을 제조하는 단계; 및 (S3) 고체 전해질 용액에 상기 음극을 통과시켜 음극의 표면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층이 코팅된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음극은 높은 표면적을 가지므로 리튬 이온의 이동성이 향상되어 전지 성능이 우수하며, 충방전시의 부피팽창과 같은 전지 내부의 스트레스 및 압력에 대한 완충작용이 가능하여 전지의 변형을 방지하고 안정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음극의 다공성 쉘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다공성 쉘부의 표면에 고체 전해질을 연속적으로 코팅하게 되므로, 고체 전해질층에 의한 다공성 쉘부의 보호가 가능하여 제조과정에서 다공성 쉘부가 바스러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Anode For Cable Type Secondary Batter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적합한 음극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음극을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의 형태로 바꾸어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에 전기를 만들어 내는 장치를 말한다. 여러 번 충전할 수 있다는 뜻으로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라는 명칭도 쓰인다. 흔히 쓰이는 이차전지로는 납 축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NiCd), 니켈 수소 축전지(NiMH), 리튬 이온 전지(Li-ion),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Li-ion polymer)가 있다. 이차 전지는 한 번 쓰고 버리는 일차 전지에 비해 경제적인 이점과 환경적인 이점을 모두 제공한다.
이차 전지는 현재 낮은 전력을 사용하는 곳에 쓰인다. 이를테면 자동차의 시동을 돕는 기기, 휴대용 장치, 도구, 무정전 전원 장치를 들 수 있다. 최근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은 휴대용 장치의 대중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종래의 많은 종류의 장치들을 무선화하는 경향도 있어,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폭발하고 있다. 또한, 환경오염 등의 방지 측면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가 실용화되고 있는데, 이들 차세대 자동차들은 이차전지를 사용하여 값과 무게를 줄이고 수명을 늘리는 기술을 채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원통형, 각형 또는 파우치형의 전지가 대부분이다. 이는 이차전지는 음극, 양극 및 분리막으로 구성된 전극조립체를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캔이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전해질을 주입시켜 제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차전지 장착을 위한 일정한 공간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이러한 이차전지의 원통형, 각형 또는 파우치형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장치의 개발에 대한 제약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다양한 형태가 가능한 신규한 형태의 이차전지가 요구되며, 가요성이 우수한 단면적 직경에 대하여 길이의 비가 매우 큰 전지인 선형전지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가요성이 요구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구조적 특성상 이차전지가 꺾이는 경우와 같은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에 의한 단선의 우려가 높으며, 또한 Si 또는 Sn과 같은 음극활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 반복된 충방전에 의한 전극의 팽창과 수축에 의하여 활물질이 탈리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케이블형 이차전지는 물리적인 충격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일반적인 이차전지의 경우보다 전지성능 저하가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화학적 반응성이 우수하고, 전지 내부의 스트레스 및 압력에 대한 완충작용이 가능한 다공성 구조를 갖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S1) 음극 활물질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S2) 상기 음극 활물질 수용액에,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집전체인 코어부를 담근 후에 전기를 통전시켜 집전체인 코어부의 외면에 음극 활물질로 이루어진 다공성 쉘부를 형성하여 음극을 제조하는 단계; 및 (S3) 고체 전해질 용액에 상기 음극을 통과시켜 음극의 표면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층이 코팅된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Si, Sn, Li, Zn, Mg, Cd, Ce, Ni 및 Fe; 및 이들의 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1 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집전체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티탄, 은, 팔라듐, 니켈, 구리 및 스테인리스스틸의 표면에 티탄, 은, 팔라듐, 니켈, 구리로 표면처리한 집전체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집전체는 고분자 코어부 및 상기 고분자 코어부 표면에 형성된 금속 코팅층을 구비하는 집전체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코어부는 폴리아세틸렌 (polyacetylene), 폴리아닐린 (polyaniline), 폴리피롤 (polypyrrole), 폴리티오펜 (polythiophene), 폴리설퍼니트리드(poly sulfur nitride), 폴리에틸렌(polyet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 PVA), 아크릴계 고분자(polyacrylate),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중에서 선택된 1종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고분자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 코팅층은 은, 팔라듐, 니켈 및 구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체 전해질은 PEO, PVdF, PVdF-HFP, PMMA, PAN 또는 PVAC를 사용한 겔형 고분자 전해질; 또는 PEO, PPO(polypropylene oxide), PEI(polyethylene imine), PES(polyethyle sulphide) 또는 PVAc(polyvinyl acetate)를 사용한 고체 전해질; 숙시노니트릴을 사용한 플라스틱 크리스탈 전해질 중에서 선택된 전해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체 전해질 용액은 리튬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리튬염은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및 4페닐붕산리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정 형상의 수평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집전체인 코어부 및 그 코어부의 외면을 음극 활물질로 감싸며 코팅된 다공성 쉘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공성 쉘부의 공극에 고체 전해질이 충진되며 형성된 고체 전해질층이 코팅된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다공성 쉘부의 기공크기는 10 내지 1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공성 쉘부의 기공도는 60 내지 9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공성 쉘부의 표면적은 8×104 내지 5×105 cm2/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공성 음극은 리튬 이차전지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음극은 다공성의 기공구조로 인하여 완충작용이 가능하므로 이차전지가 꺾이는 경우와 같은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 강하므로 단선을 방지한다. 또한, Si나 Sn와 같은 음극활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방전 시에 발생하는 부피팽창과 같은 전지 내부의 스트레스 및 압력에 대한 완충작용이 가능하여 전지의 변형을 방지하고 안정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음극은 음극활물질로 이루어진 다공성 쉘부를 구비하므로 높은 표면적을 가지고, 따라서 전해질 특히 고체전해질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리튬 이온의 이동성이 향상되므로 이온전도도가 우수하므로 전지성능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음극의 다공성 쉘부는 기공도가 높지만 경도가 높지 않아서 이차전지의 제조과정에서 바스러지기 쉽지만,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음극의 다공성 쉘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다공성 쉘부의 표면에 고체 전해질을 연속적으로 코팅하게 되므로, 고체 전해질층에 의한 다공성 쉘부의 보호가 가능하여 제조과정에서 다공성 쉘부가 바스러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집전체인 코어부를 구비하는 고체 전해질층이 코팅된 다공성 음극의 단면도이다.
도 2는 고분자 코어부 및 상기 고분자 코어부 표면에 형성된 금속 코팅층을 구비하는 집전체인 코어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전해질층이 코팅된 다공성 음극의 제조방법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다공성 음극의 SEM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다공성 음극의 SEM 사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전해질층이 코팅된 다공성 음극의 사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 전해질층이 코팅된 다공성 음극을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전해질층이 형성된 다공성 음극(100)의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음극은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집전체인 코어부(110) 및 그 코어부의 외면을 음극 활물질로 감싸며 코팅된 다공성 쉘부(120)를 구비하며, 고체 전해질층(130)이 표면에 코팅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의 형상이라 함은 특별히 형상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본 발명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는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집전체(110)의 수평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는데, 원형 구조는 기하학적으로 완전한 대칭형의 원형과 비대칭형의 타원형 구조이다. 다각형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다각형 구조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일 수 있다.
집전체(110)의 표면에 음극 활물질(120)을 전기도금법 또는 양극산화 처리방법 등을 이용하여 다공성의 음극활물질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음극 활물질은 Si, Sn, Li, Zn, Mg, Cd, Ce, Ni, Fe 및 이들의 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1 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전기도금법을 이용하여 집전체의 표면에 활물질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수소기체가 발생하게 되는 데 이러한 수소의 발생량 및 발생하는 수소 기포의 크기를 조절하여 원하는 기공크기를 가지는 3차원적인 기공구조의 활물질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양극산화 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집전체의 표면에 금속 산화물 계열의 활물질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양극산화 조건 하에서 발생하는 산소 기체량 및 기포 크기를 조절하여 1차원적인 채널(channel) 형태를 가지는 기공구조의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활물질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쉘부의 기공크기는 10 내지 150 ㎛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공성 쉘부의 기공도는 60 내지 95 %일 수 있으며, 다공성 쉘부의 표면적은 8×104 내지 5×105 cm2/g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음극의 외면에는 고체 전해질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고체 전해질로는 PEO, PVdF, PVdF-HFP, PMMA, PAN 또는 PVAC를 사용한 겔형 고분자 전해질; 또는 PEO, PPO(polypropylene oxide), PEI(polyethylene imine), PES(polyethyle sulphide) 또는 PVAc(polyvinyl acetate)를 사용한 고체 전해질; 숙시노니트릴을 사용한 플라스틱 크리스탈 전해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집전체인 코어부(110) 및 그 코어부의 외면을 음극 활물질로 감싸며 코팅된 다공성 쉘부(120)를 구비하며, 고체 전해질층(130)이 표면에 코팅되는 음극(100)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음극 활물질 수용액을 준비한다(S1 단계).
음극 활물질 수용액은 산성의 수용액에 음극 활물질을 용해시켜 준비하는데, 주로 음극 활물질이 산성염의 형태로 존재하는 전구체를 사용한다. 음극 활물질로는 Si, Sn, Li, Zn, Mg, Cd, Ce, Ni 및 F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Si 또는 Sn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 수용액에,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집전체인 코어부를 담근 후에 전기를 통전시켜 집전체인 코어부의 외면에 다공성 쉘부를 형성한다(S2 단계).
음극 활물질 수용액이 담긴 비이커에 집전체인 코어부와 상대 전극으로 양극과 음극을 구성하여 전기도금 장치를 준비한다. 일정시간 동안 전기를 통전시켜 음극 활물질이 석출되어 음극 활물질층을 형성한다. 이때 집전체인 코어부에는 수소기체가 생성되면서 다공성 구조를 갖는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된다.
이차전지는 충?방전시 반복되는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스웰링(swelling)하게 되는데 특히 Sn 및 Si계 음극활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 그 정도가 심하다. 따라서 이러한 부피 변화에 의해 활물질이 탈락되거나 열화되고, 또한 부반응을 촉발시켜 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활물질층은 다공성 구조로 되어 있어 부피변화에 대한 완충작용이 가능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다공성의 활물질층으로 인하여 전해질과 접촉하는 음극의 표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리튬 이온의 이동이 빠르고 원활히 할 수 있어 전기화학반응에 유리하므로 전지의 성능의 향상을 가져온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공성 쉘부에 잔존하는 음극 활물질 수용액으로 인한 부가적인 반응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세척 단계를 진행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고체 전해질 용액에 상기 음극을 통과시켜 음극의 표면에 전해질층을 형성한다(S3).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음극의 다공성 쉘부는 기공도가 높지만 경도가 높지 않아서 이차전지의 제조과정에서 바스러지기 쉽지만,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음극의 다공성 쉘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다공성 쉘부의 표면에 고체 전해질을 연속적으로 코팅하게 되므로, 고체 전해질에 의한 다공성 쉘부의 보호가 가능하여 제조과정에서 다공성 쉘부가 바스러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고체 전해질 용액은 고체 전해질을 용매에 용해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고, 고체 전해질의 중합이 가능한 고분자 단량체 또는 고분자 올리고머 등을 용매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후에, 후처리 공정으로 용매를 제거하기 위한 건조 과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특히, 고체 전해질 용액에 고분자 단량체 또는 고분자 올리고머 등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고체 전해질의 중합을 위한 UV조사나 가열과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도 있다. 또한, 고체 전해질 용액은 가교제와 같은 추가적인 첨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 형태의 집전체(110)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탄소, 구리 및 스테인리스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합금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 폴리아세틸렌 (polyacetylene), 폴리아닐린 (polyaniline), 폴리피롤 (polypyrrole), 폴리티오펜 (polythiophene) 또는 폴리설퍼니트리드(poly sulfur nitride)인 것일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특히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가요성 확보를 위해서 상기 와이어 형태의 집전체(110)는 고분자 코어부(111) 및 상기 고분자 코어부 표면에 형성된 금속 코팅층(11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분자 코어부(111)는 폴리아세틸렌 (polyacetylene), 폴리아닐린 (polyaniline), 폴리피롤 (polypyrrole), 폴리티오펜 (polythiophene), 폴리설퍼니트리드(poly sulfur nitride), 폴리에틸렌(polyet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 PVA), 아크릴계 고분자(polyacrylate),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금속 코팅층(112)은 은, 팔라듐, 니켈 및 구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금속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음극은 양극과 결합하여 전극구조체를 이루고, 리튬 이차전지로 제조된다. 전극 구조체를 이루는 양극은 리튬 이차전지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던 것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함유 전이금속 산화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Li(NiaCobMnc)O2(0<a<1, 0<b<1, 0<c<1, a+b+c=1), LiNi1 - yCoyO2, LiCo1 - yMnyO2, LiNi1 -yMnyO2(O≤y<1), Li(NiaCobMnc)O4(0<a<2, 0<b<2, 0<c<2, a+b+c=2), LiMn2 - zNizO4, LiMn2 -zCozO4(0<z<2), LiCoPO4 및 LiFeP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산화물(oxide) 외에 황화물(sulfide), 셀렌화물(selenide) 및 할로겐화물(halide)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정 형상의 수평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집전체인 코어부 및 그 코어부의 외면을 음극 활물질로 감싸며 코팅된 다공성 쉘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공성 쉘부의 공극에 고체 전해질이 충진되며 형성된 고체 전해질층이 코팅된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극 활물질로 이루어진 다공성 쉘부의 기공에 고체전해질이 침투되어 고체전해질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리튬 이온의 이동성이 향상되므로 이온전도도가 우수하므로 전지성능이 뛰어나다. 또한, 바스러지기 쉬운 다공성 쉘부를 물리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쉘부의 기공크기는 10 내지 1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다공성 쉘부의 기공도는 60 내지 9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공성 쉘부의 표면적은 8×104 내지 5×105 cm2/g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공성 음극은 리튬 이차전지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케이블형 이차전지에 적합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음극을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 7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본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고체 전해질층이 코팅된 다공성 음극을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300)는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는 음극집전체(310)에 음극활물질(320)이 코팅된 평행하게 배치된 음극; 상기 음극을 둘러싸며 충진된, 이온의 통로가 되는 전해질층(330); 상기 전해질층의 외면을 둘러싸는,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갖는 파이프형의 집전체(350)에 양극활물질(340)이 도포된 양극; 및 상기 양극의 둘레에 배치되는 보호피복(3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호피복(360)은 절연체로서 공기 중의 수분 및 외부충격에 대하여 전극을 보호하기 위해 전지의 외면에 형성한다. 보호피복으로는 통상의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PVC, HDPE 또는 에폭시 수지가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와이어형 다공성 음극의 제조
도 3을 참고하여 구체적인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와이어형의 구리 집전체를 아세톤과 묽은 염산으로 세척하였다. 0.15M SnSO4, 1.5M H2SO4 용액을 혼합한 음극 활물질 수용액(211)을 수조 1(210)에 준비하였다.
백금을 음극으로 구성하고, 상기 구리 집전체(212)를 양극으로 하여 일정한 속도로 상기 구리 집전체를 수조 1을 통과시키면서 3A/cm2 이상의 전류를 흘려주면서 전기도금을 하였다. 구리 집전체(212)에 주석(213)이 석출되어 와이어형 다공성 음극(222)이 제조되었다.
고체 전해질층을 형성하기 위한 고체 전해질 용액(221)를 하기와 같이 준비하였다. 숙시노니트릴 50중량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15중량부, 분자량 400 g/mol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EGDMA) 35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이후에, 리튬 비스-트리플로로메탄 설포닐이미드(lithium bis-trifluoromethan sulfonylimide)를 상기 PEGDMA의 에틸렌옥사이드 단위와 몰비로 1/8의 양을 첨가한 후에 서로 균일하게 섞이도록 혼합하였다. 또한, 자외선(UV) 개시제인 벤조인을 PEGDMA 대비 3중량%를 첨가하여 수조 2(220)에 고체 전해질 용액(221)를 준비하였다.
상기 제조된 와이어형 다공성 음극(222)를 상기 고체 전해질 용액(221)을 포함하는 수조 2(220)를 통과시켜 고체 전해질 용액을 코팅(223)하고 후에 UV를 조사하여 고체 전해질층을 형성하였다.
시험예 1. 다공성 음극의 기공구조의 확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공성 음극의 SEM사진을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따르면, 구리 집전체의 표면에 3차원의 기공의 구조를 가지는 주석으로 이루어진 음극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고체 전해질층이 코팅된 다공성 음극의 사진은 도 6에 나타내었다.
100 : 다공성 음극 110 : 집전체
120 : 음극활물질층 130 : 고체 전해질층
111 : 고분자 코어부 112 : 금속 코팅층
210 : 수조 1 211 : 음극활물질 용액
212 : 와이어형 집전체 213 : 음극활물질층
220 : 수조 2 221 : 고체전해질 용액
222 : 다공성 음극 223 : 고체전해질 코팅층
300 : 케이블형 이차전지 310 : 음극 집전체
320 : 음극활물질층 330 : 고체 전해질층
340 : 양극 활물질층 350 : 양극 집전체
360 : 보호피복

Claims (15)

  1. (S1) 음극 활물질 수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S2) 상기 음극 활물질 수용액에, 소정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집전체인 코어부를 담근 후에 전기를 통전시켜 집전체인 코어부의 외면에 음극 활물질로 이루어진 다공성 쉘부를 형성하여 음극을 제조하는 단계; 및
    (S3) 고체 전해질 용액에 상기 음극을 통과시켜 음극의 표면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층이 코팅된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 수용액은 Si, Sn, Li, Zn, Mg, Cd, Ce, Ni 및 Fe; 및 이들의 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1 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는 스테인리스스틸, 알루미늄, 티탄, 은, 팔라듐, 니켈, 구리 및 스테인리스스틸의 표면에 티탄, 은, 팔라듐, 니켈, 구리로 표면처리한 집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는 고분자 코어부 및 상기 고분자 코어부 표면에 형성된 금속 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코어부는 폴리아세틸렌 (polyacetylene), 폴리아닐린 (polyaniline), 폴리피롤 (polypyrrole), 폴리티오펜 (polythiophene), 폴리설퍼니트리드(poly sulfur nitride), 폴리에틸렌(polyet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 PVA), 아크릴계 고분자(polyacrylate),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중에서 선택된 1종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고분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코팅층은 은, 팔라듐, 니켈 및 구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전해질 용액은 PEO, PVdF, PVdF-HFP, PMMA, PAN 또는 PVAC를 사용한 겔형 고분자 전해질; 또는 PEO, PPO(polypropylene oxide), PEI(polyethylene imine), PES(polyethyle sulphide) 또는 PVAc(polyvinyl acetate)를 사용한 고체 전해질; 숙시노니트릴을 사용한 플라스틱 크리스탈 전해질 중에서 선택된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전해질 용액은 리튬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CF3SO2)2NLi,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및 4페닐붕산리튬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10. 소정 형상의 수평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집전체인 코어부 및 그 코어부의 외면을 음극 활물질로 감싸며 코팅된 다공성 쉘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공성 쉘부의 공극에 고체 전해질이 충진되며 형성된 고체 전해질층이 코팅된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쉘부의 기공크기는 10 내지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쉘부의 기공도는 60 내지 9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쉘부의 표면적은 8×104 내지 5×105 c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은 Si, Sn, Li, Zn, Mg, Cd, Ce, Ni 및 Fe; 및 이들의 산화물 중에서 선택된 1 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15. 제 10항 내지 제 14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음극을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20100101862A 2010-10-19 2010-10-19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1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862A KR101351901B1 (ko) 2010-10-19 2010-10-19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CN201180050682.1A CN103181002B (zh) 2010-10-19 2011-10-13 线缆型二次电池的负极及其制造方法
JP2013534802A JP5604599B2 (ja) 2010-10-19 2011-10-13 ケーブル型二次電池用負極及びその製造方法
EP11834573.5A EP2631970B1 (en) 2010-10-19 2011-10-13 Cathode for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CT/KR2011/007625 WO2012053773A2 (ko) 2010-10-19 2011-10-13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US13/399,614 US9673485B2 (en) 2010-10-19 2012-02-17 Anode of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862A KR101351901B1 (ko) 2010-10-19 2010-10-19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440A true KR20120040440A (ko) 2012-04-27
KR101351901B1 KR101351901B1 (ko) 2014-01-17

Family

ID=4597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862A KR101351901B1 (ko) 2010-10-19 2010-10-19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73485B2 (ko)
EP (1) EP2631970B1 (ko)
JP (1) JP5604599B2 (ko)
KR (1) KR101351901B1 (ko)
CN (1) CN103181002B (ko)
WO (1) WO201205377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4647A (ko) * 2013-08-27 2015-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 이차전지용 와이어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3833A1 (de) 2014-09-24 2016-03-24 Universität Augsburg Polymerelektrolyt-Membra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S10205187B2 (en) * 2015-04-03 2019-02-12 Intel Corporation Constrained anode fiber for rechargeable battery
TWI540782B (zh) 2015-06-30 2016-07-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電解質組合物、及包含其之能量儲存裝置
EP3474346B1 (en) * 2017-10-23 2020-06-17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manufacturing an apparatus
US11242152B2 (en) 2017-11-17 2022-02-08 Ge Aviation System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ce accretion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8669A (en) * 1980-11-20 1982-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nufacture of electrode for alkaline storage battery
JP2643019B2 (ja) * 1990-10-31 1997-08-20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電池及び集合電池
JPH0888019A (ja) * 1994-09-20 1996-04-02 Sony Corp 密閉型蓄電池
JPH09161793A (ja) * 1995-12-06 1997-06-20 Toyota Motor Corp 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および電極
US6579649B2 (en) * 1998-02-18 2003-06-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lymer electrolyte battery
JP2001110445A (ja) * 1999-10-12 2001-04-20 Sony Corp コード型バッテリ
JP2004139768A (ja) * 2002-10-16 2004-05-13 Hitachi Maxell Ltd 多孔質薄膜電極と、これを負極とするリチウム二次電池
CN100452493C (zh) 2003-01-06 2009-01-14 三星Sdi株式会社 再充电锂电池用的负极活性材料、其制法和再充电锂电池
JP3827642B2 (ja) 2003-01-06 2006-09-27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リチウム二次電池
JP4920880B2 (ja) * 2003-09-26 2012-04-18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0560541B1 (ko) * 2003-09-26 2006-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KR100625892B1 (ko) 2004-04-12 2006-09-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실형태의 가변형 전지
AU2006207557B2 (en) * 2005-01-20 2010-07-22 Oticon A/S Hearing aid with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JP5031193B2 (ja) * 2005-03-16 2012-09-19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金属製の多孔質負極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742739B1 (ko) * 2005-07-15 2007-07-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직조가 쉬운 실 형태의 가변형 전지
JP2007087789A (ja) * 2005-09-22 2007-04-05 Hitachi Cable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7055087A1 (ja) * 2005-10-20 2007-05-1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れに用いる非水系電解液
KR100804411B1 (ko) * 2006-01-17 2008-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이차전지
KR20090009598A (ko) 2007-07-20 2009-01-2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충전용 선형 전지
JP2010073533A (ja) * 2008-09-19 2010-04-0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充放電可能な電池
JP5422360B2 (ja) * 2008-12-15 2014-02-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活物質用金属多孔体の製造方法
KR101024635B1 (ko) * 2008-12-29 2011-03-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실 형태 전지 및 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JP5679257B2 (ja) 2009-01-16 2015-03-04 ヒューマン・メタボローム・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測定データの取得・評価方法
KR20110127972A (ko) * 2010-05-20 2011-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금속 코팅된 고분자 집전체를 갖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351896B1 (ko) * 2010-06-28 2014-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322695B1 (ko) * 2010-08-25 2013-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EP2587562A4 (en) 2011-01-14 2013-06-12 Panasonic Corp LIGHT SOURCE LIGH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4647A (ko) * 2013-08-27 2015-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 이차전지용 와이어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31970A4 (en) 2014-12-24
CN103181002A (zh) 2013-06-26
US9673485B2 (en) 2017-06-06
WO2012053773A2 (ko) 2012-04-26
WO2012053773A3 (ko) 2012-08-30
EP2631970A2 (en) 2013-08-28
EP2631970B1 (en) 2016-01-13
US20120148918A1 (en) 2012-06-14
KR101351901B1 (ko) 2014-01-17
JP5604599B2 (ja) 2014-10-08
CN103181002B (zh) 2016-07-13
JP2013540340A (ja)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896B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380586B1 (ko)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JP5721822B2 (ja) 金属コーティングされた高分子集電体を有するケーブル型二次電池
US9356308B2 (en) Cable-type secondary battery
US9755265B2 (en) An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20120019977A (ko)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351901B1 (ko)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US9620807B2 (en) Cable-type secondary battery
KR101530678B1 (ko) 금속 코팅된 고분자 집전체를 갖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US9537154B2 (en) An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101644819B1 (ko)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