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0142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우선순위 처리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우선순위 처리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0142A
KR20120040142A KR1020117028350A KR20117028350A KR20120040142A KR 20120040142 A KR20120040142 A KR 20120040142A KR 1020117028350 A KR1020117028350 A KR 1020117028350A KR 20117028350 A KR20117028350 A KR 20117028350A KR 20120040142 A KR20120040142 A KR 20120040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haul
access
signal
radio resour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228B1 (ko
Inventor
서한별
김학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40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중계기의 우선순위 처리 동작의 다양한 방법들 및 장치들이 개시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에서 상향링크 신호들의 전송 및 수신을 우선순위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수신 및/또는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을 결정하는 단계; 무선 자원에서 스케줄링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각각 및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각각의 신호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신호의 수신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 및 상기 무선 자원에서 스케줄링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각각 및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각각의 신호 타입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 동작 및 수신 모드 동작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우선순위 처리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FOR PRIORITIZING OPERATION OF RELAY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중계기의 우선순위 처리(prioritizing)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도 1 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낸다. 도 1 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기지국(eNB, 110), 중계기(RN, 120) 및 사용자기기들(UEs, 131 및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eNB(110)에 의해서 직접 서빙받는 UE(131)은 매크로-UE라 칭하고, RN(120)에 의해서 서빙받는 UE(132)는 중계기-UE라 칭한다. 일반적으로, RN(120)은 중계기-UE(132)로부터 기지국(110)으로의 신호 또는 기지국(110)으로부터 중계기-UE(132)로의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RN(120)은 높은 데이터 레이트 커버리지의 확장, 그룹 이동성, 임시적인 네트워크 배치, 셀-경계 수율 및 새로운 영역에 셀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향상을 지원한다.
도 2는 eNB와 RN 간의 링크들 및 RN과 UE간의 링크들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RN은 Un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eNB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RN과 eNB 간의 무선 링크는 백홀 링크라고 칭한다. 백홀 하향링크는 eNB로부터 RN으로의 무선 링크이고, 백홀 상향링크는 RN으로부터 eNB로의 무선 링크이다. 또한, RN은 Uu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UE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RN과 UE 간의 무선 링크는 액세스 링크라고 칭한다. 액세스 하향링크는 RN으로부터 UE로의 무선 링크이고, 액세스 상향링크는 UE로부터 RN으로의 무선 링크이다.
백홀 링크는 액세스 링크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이를 '인-밴드'라고 칭한다. 한편, 백홀 링크는 액세스 링크와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를 '아웃-밴드'라고 칭한다.
인-밴드 RN의 경우에, 백홀 하향링크 신호의 수신과 액세스 하향링크 신호의 송신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RN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가 RN 수신기에서 수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RN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액세스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RN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가 RN 수신기에서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간섭이 발생하는데 이는 RN 송신기가 자기 자신의 수신기에 대해서 간섭을 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RN에 대한 자원 분할(resource partitioning)이 고려될 수 있다. 즉, RN 동작에 있어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 상에서의 송신 및 수신이 동시에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자원 분할을 위해서, RN은 반-양방향(half-duplex)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밴드 RN은 특정 시간 슬롯(또는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액세스 상향링크 신호를 다른 시간 슬롯(또는 서브프레임)에서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의 송신/수신은 시분할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방식으로 다중화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RN은 대부분의 경우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시에 수신 및 송신을 수행할 수 없다. 이는 RN의 동작에 있어서 동시 송신 및 수신 기능은 높은 복잡성을 요구하여 설치 비용을 높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반-양방향(half-duplex) RN의 동작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 상에서 특정 시간 슬롯(또는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상향링크 전송과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 사이에 (또는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과 백홀 하향링크 수신 사이에) 충돌(conflict)이 발생할 수 있다. 반-양방향 RN은 송신 모드이거나 아니면 수신 모드에 있어야 하므로, 백홀 링크 송신(또는 수신)과 액세스 링크 수신(또는 송신)의 양자 모두가 동일한 시간 슬롯에서 스케줄링되는 경우에 충돌 해결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RN의 우선순위 처리(prioritizing) 동작에 대한 방법에 대한 것이며, 종래 기술에서의 제약 및 난점으로 인한 하나 이상의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백홀 링크/액세스 링크 송신/수신 동작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백홀 링크/액세스 링크 송신/수신 동작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지연 및/또는 재전송을 감소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백홀 링크/액세스 링크 송신/수신 동작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신호의 손실을 방지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계기에서의 우선순위 처리 동작에 대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에서 상향링크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을 우선순위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수신 및/또는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을 결정하는 단계; 무선 자원에서 스케줄링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각각 및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각각의 신호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신호의 수신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 및 상기 무선 자원에서 스케줄링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각각 및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각각의 신호 타입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 동작 및 수신 모드 동작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특징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수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전송 시간 간격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수신에 대한 액세스 링크 사용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백홀 제어 타입 2 신호에 대한 피드백/전송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는 데이터 신호, 제어 타입 1 신호, 및 제어 타입 2 신호 중의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신호의 수신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 및 상기 무선 자원에서 스케줄링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각각 및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각각의 신호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가 개시된다. 상기 중계기는, 수신 모듈; 전송 모듈; 및 상기 수신 모듈 및 상기 전송 모듈과 통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모듈을 이용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수신 및/또는 상기 전송 모듈을 이용한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을 결정하고; 무선 자원에서 스케줄링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각각 및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각각의 신호 타입을 결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신호의 수신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 및 상기 무선 자원에서 스케줄링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각각 및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각각의 신호 타입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 동작 및 수신 모드 동작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특징으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전송 시간 간격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수신에 대한 액세스 링크 사용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계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수신에 대한 액세스 링크 사용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수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백홀 제어 2 신호에 대한 피드백/전송 주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계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백홀 제어 2 신호에 대한 피드백/전송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는 데이터 신호, 제어 타입 1 신호, 및 제어 타입 2 신호 중의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신호의 수신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 및 상기 무선 자원에서 스케줄링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각각 및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각각의 신호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 모듈을 제어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청구항 기재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들이 획득될 수 있다.
중계기의 백홀 링크/액세스 링크 송신/수신 동작에 있어서, 자원이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지연이 감소되고, 재전송이 감소되고, 신호의 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eNB와 RN간의 링크들, 및 RN과 UE간의 링크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N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N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N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N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RN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N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고, 그 예시들은 첨부하는 도면에 도시된다. 도면 전체에서 동일/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RN에서의 우선순위 처리 동작에 대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대상을 불명확하게 하는 과정 또는 단계는 생략하고,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는 과정 또는 단계는 생략한다. 그러나, 도시되지 않은 과정 또는 단계가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중계기 간의 신호 송수신 및 중계기와 이동국 간의 신호 송수신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ABS(Advanced Base Station) 및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중계기(Relay Node; RN)는 릴레이(Relay) 및 RS(Relay Station)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동국(mobile station)은, UE(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AMS(Advanced Mobile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의미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서비스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고정 및/또는 이동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에서 이동국은 송신단이고 기지국은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에서 이동국은 수신단이고 기지국은 송신단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xx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시스템,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3GPP LTE (릴리즈 8 또는 릴리즈 9) 및 3GPP LTE-A 의 표준 문서의 하나 이상에 의해서 뒷받침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수행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특정 용어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WiMAX는 IEEE 802.16e 규격(WirelessMAN-OFDMA Reference System) 및 발전된 IEEE 802.16m 규격(WirelessMAN-OFDMA Advanced system)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은 3GPP LTE 시스템의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 에서 무선 프레임은 10 개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도메인(time domain)에서 2 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은 전송시간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 밀리초(ms)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하나의 슬롯은 0.5 ms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도메인에서 복수개의 직교주파수분할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들을 포함할 수 있다. 3GPP LTE 는 하향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므로, OFDM 심볼은 하나의 심볼 구간을 나타낸다. OFDM 심볼은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이고,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개의 연속하는 부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적이다. 따라서,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개수 또는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개수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 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를 나타낸다.
도 4 에서,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도메인에서 복수개의 OFDM 심볼들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이 7 개의 OFDM 심볼들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 블록(RB)가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에서 12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원 그리드의 각각의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라고 칭할 수 있다. 하나의 RB는 12×7 자원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NDL개의 RB들은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에 따라 결정된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5 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 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슬롯의 앞 부분에 위치하는 최대 3 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에 대응한다. 나머지 OFDM 심볼들은 물리하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cel; PDSCH)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에 대응한다. 3GPP LTE 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은, 예를 들어, 물리제어포맷지시자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물리하이브리드ARQ지시자채널(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HI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그 서브프레임의 제어 채널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나른다. PHICH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응답이며 HARQ 긍정확인응답(ACK)/부정확인응답(NACK) 신호를 나른다. PDCCH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칭한다. DCI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특정 단말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전력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PDCCH는 하향링크-공유채널(DL-SCH)의 전송 포맷 및 자원할당, 상향링크-공유채널(UL-SCH)의 자원할당 정보, 페이징채널(PCH) 상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에서 전송되는 임의접속응답과 같은 상위계층 자원 할당, 특정 단말 그룹 내의 개별 단말들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 세트, 전송전력 제어 명령,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등의 정보를 나를 수 있다. 복수개의 PDCCH들이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복수개의 PDCCH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연속된 CCE(Control Channel Element)의 조합으로 전송된다. CCE는 PDCCH에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초한 코딩 레이트를 제공하는 논리적인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개의 자원요소그룹에 대응한다. PDCCH의 포맷 및 이용가능한 PDCCH의 비트 개수는 CCE의 개수와 CCE에 의해서 제공되는 코딩 레이트의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될 DCI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부착한다. CRC는 PDCCH의 소유자 또는 용도에 따라 유일한 식별자(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로 마스킹될 수 있다. PDCCH가 특정 UE에 대한 것이면, UE에 대한 유일한 식별자(예를 들어, Cell-RNTI(C-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PDCCH가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것이면, 페이징 지시자 식별자(예를 들어, paging-RNTI(P-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PDCCH가 시스템 정보(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 대한 것이며, 시스템 정보 식별자 및 시스템 정보 RNTI(SI-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UE의 임의접속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임의접속응답을 지시하기 위해서, 임의접속-RNTI(RA-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도 6 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 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된다. 단일 반송파 특성(single carrier property)을 유지하기 위해서, 하나의 UE는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UE에 대한 PUCCH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RB 쌍(RB pair)에 할당된다. RB 쌍에 속하는 RB들은 2 개의 슬롯에 대해 상이한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가 할당되는 RB 쌍이 슬롯 경계(boundary)에서 주파수-호핑된다(frequency-hopped)고 표현할 수 있다.
도 1 을 다시 참조하면 RN(120)은 셀들을 제어할 수 있고, 셀들의 각각은 중계기-UE(132)에게 도너 셀(기지국(110))과 구별되는 별개의 셀로 보이고 유일한 물리계층 아이덴터티를 가지며 일반적인 eNB와 동일한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매커니즘을 가지므로, RN(120)은 특정 중계기-단말(특히, 3GPP LTE 릴리즈 8 단말)에게는 일반적인 eNB로 보인다. 따라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채널들에 대하여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이 액세스 링크(RN과 중계기-UE 간의 무선 링크)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백홀 링크(eNB와 RN간의 무선 링크)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유사한 서브프레임 구조를 지원할 수 있다. 백홀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물리채널들은 PDCCH, PDSCH, PUCCH 및 PDSCH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N에 대한 PDCCH는 백홀 하향링크 데이터를 위한 자원을 할당하거나 백홀 상향링크 데이터를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백홀 링크 물리 채널들을 액세스 링크 물리 채널들과 구별하기 위해서, RN 에 대한 채널들을 R-채널(중계기-채널)이라고 칭할 수 있다. R-채널들은, eNB와 매크로-UE 간의 채널과 달리, 백홀 링크 채널들에 대해서 최적화된 채널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N에 대한 PDCCH(백홀 하향링크 상의 PDCCH)는 R-PDCCH(중계기-PDCCH)라고 칭하여질 수 있고, 그 채널 구조는 eNB로부터 매크로-UE로 전송되는 PDCCH의 채널 구조와 달리 백홀 링크 채널에 대해서 최적화될 수 있다. 유사하게, RN에 대한 PDSCH, RN에 대한 PUCCH 및 RN에 대한 PUSCH는 각각 R-PDSCH, R-PUCCH 및 R-PUSCH로 칭하여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양방향 RN의 동작에서 백홀 상향링크 전송과 액세스 상향링크 수신(또는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 및 백홀 하향링크 수신)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시에 수행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반-양방향 RN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특정 시간 슬롯(또는 서브프레임)에서 전송 모드에 있거나 아니면 수신 모드에 있어야 한다. 또한, 동일한 시간 슬롯에서 백홀 링크 전송(또는 수신) 및 액세스 링크 수신(또는 송신) 모두가 스케줄링된 경우에 백홀 링크 또는 액세스 링크 신호 중 어떤 것이 송신/수신할지를 결정하는 충돌 해결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RN의 전송 모드 및 수신 모드 간의 충돌에 대한 해결방안이 제공된다. RN의 전송 모드 또는 수신 모드는 송신/수신될 신호를 그들의 속성(properties)에 따라서 우선순위를 매겨서 처리(prioritizing)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신호의 속성은 신호의 방향(즉, 백홀 링크 또는 액세스 링크) 및 신호의 내용(즉,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을 포함할 수 있다. RN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특정 시간 슬롯(또는 서브프레임)에서 송신 모드 또는 수신 모드에서 동작한다. 따라서, 반-양방향 RN은 송신/수신될 신호의 가장 높은 우선순위에 따라서 전송 모드 또는 수신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술한 충돌이 해결될 수 있다.
RN 동작에서, 상향링크 신호는 신호의 방향에 따라 2 개의 그룹, 즉, (1) RN으로부터 eNB로의 '백홀' 상향링크 및 (2) 중계기-UE로부터 RN으로의 '액세스' 상향링크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신호는 신호의 내용에 따라서 3 개의 타입, 즉, (1) PUSCH 및 중계기-PUSCH(R-PUSCH)와 같은 '데이터', (2) ACK/NACK 및 스케줄링 요청(SR)과 같은 데이터 전송 및 스케줄링 결정에 관련된 '제어 1' 및 (3) 채널상태정보(CSI) 피드백 및 사운딩참조신호(SRS)와 같은 채널상태정보에 관련된 '제어 2' 로 분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신호의 분류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우선순위를 매기는 규칙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1) 백홀 링크 신호가 액세스 링크 신호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규칙 (1)은, 백홀 링크 자원이 다른 RN들 및 매크로-UE들과 공유되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경우에서 백홀 링크 자원이 중계기 시스템 성능의 병목(bottleneck)이 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2) 데이터 신호(PUSCH 및 R-PUSCH)는 제어 신호(예를 들어, ACK/NACK, SR, CSI 피드백, SRS 등)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며, 이는 데이터 신호가 제어 신호보다 일반적으로 많은 자원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3) 제어 1(ACK/NACK 및/또는 SR)은 제어 2(CSI 피드백 및/또는 SRS)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며, 이는 제어 1 이 데이터 신호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것이고 제어 1 이 손실되는 경우에 불필요한 재전송 및/또는 스케줄링 지연이 유발되기 때문이다.
(4) 하나의 신호에 하나 초과의 신호가 조합(또는 다중화)되는 경우에, 그 구성요소 신호들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가 조합된 신호에 할당된다. 예를 들어, 백홀 데이터(R-PUSCH) 및 백홀 CSI 피드백이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함께 다중화되는 경우에, 백홀 데이터(즉,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신호)의 우선순위가 다중화된 신호의 우선순위로서 적용된다.
(5) 다른 우선순위 규칙이 없는 경우에 백홀 또는 액세스 데이터가 재전송되는 경우에도 위와 동일한 규칙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후술하는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상향링크 신호의 우선순위를 매겨서 처리하는 방안이 주로 논의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향링크 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매기는 동일한 원리 및 기준이 하향링크 신호들의 우선순위를 매기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 1 은 신호의 우선순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백홀 데이터 > 백홀 제어 1 > 액세스 데이터 > 액세스 제어 1 > 백홀 제어 2 > 액세스 제어 2
RN은 주어진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는 다양한 신호를 가질 수 있다. RN은 위와 같은 우선순위의 순서에 따라서 스케줄링된 신호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우선순위 정의에 따르면, RN은 특정 시간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에서의 자신의 동작 모드를 명확하게 결정할 수 있고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백홀 상향링크 전송 및 액세스 상향링크 전송 간의 충돌을 겪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홀 데이터 신호(즉, R-PUSCH)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따라서, 중계기-UE를 위한 PUSCH 전송이 스케줄링된 서브프레임에서 RN이 중계기-PDCCH(R-PDCCH)를 통해서 상향링크(UL) 백홀 그랜트를 수신하는 경우에, RN은 PUSCH 수신을 무시한 채 R-PDCCH에 따라 R-PUSCH를 전송한다.
백홀 제어 1 (즉, 백홀 ACK/NACK 및/또는 SR)은 다른 어떤 액세스 링크 신호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지만, 백홀 제어 2(즉, 백홀 CSI 피드백 및/또는 SRS)는 액세스 데이터(PUSCH) 및 액세스 제어 1 (액세스 ACK/NACK 및 SR)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따라서, 종속된 중계기-UE가 액세스 링크 ACK/NACK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에서 RN이 백홀 CSI 피드백을 전송하도록 스케줄링되는 경우, R-PUSCH, 백홀 ACK/NACK, 또는 백홀 SR 이 그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CSI 피드백과 함께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RN은 백홀 전송을 무시한 채 액세스 링크 ACK/NACK을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RN의 동작을 다음의 표 1 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표 1 에서, 'X'는 주어진 서브프레임에서 스케줄링되지 않은 신호를 나타내고, 'O'는 그 서브프레임에서 스케줄링된 신호를 나타낸다. 한편, '-'는 고려되지 않는 신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6)의 경우에, 어떤 서브프레임에 액세스 데이터가 스케줄링되면, 액세스 제어 1 및/또는 액세스 제어 2 의 스케줄링 상태에 무관하게 액세스 데이터가 수신된다. 이 동작은 상기 규칙 (4)에 관련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주어진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제어 2 (예를 들어, 백홀 CSI 피드백)가 스케줄링되는 경우에, 그 서브프레임에서 액세스 제어 2 (예를 들어, 액세스 CSI 피드백) 홀로 스케줄링되면 RN은 액세스 제어 2 의 수신을 무시하지만, 그 서브프레임에서 액세스 제어 2 가 액세스 데이터 (예를 들어, PUSCH)와 함께 다중화되면 RN은 다중화된 액세스 신호를 수신하고 백홀 제어 2 를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RX'는 RN의 수신 모드 (즉, 액세스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을 의미하고, 'TX'는 RN의 전송 모드 (즉, 백홀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4)의 경우에 RN은 백홀 제어 2 신호를 전송한다. 1-(5)의 경우에 액세스 제어 2 에 무관하게 RN은 액세스 제어 1 신호를 수신한다.
도 7은 본 실시예 1 에 따른 RN 동작의 흐름도이다.
주어진 무선 자원(주어진 주파수 대역에서 주어진 서브프레임)에서 RN은 전송 및/또는 수신할 다양한 신호를 가지기 때문에, 수신 및/또는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의 결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스케줄링된 신호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스케줄링된 전송/수신 신호의 각각의 타입을 결정하는 것이 수행된다.
먼저,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701).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TX 모드로 동작한다 (S702).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703).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TX 모드로 동작한다 (S704).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705).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RX 모드로 동작한다 (S706).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707).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RX 모드로 동작한다 (S708).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709).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TX 모드로 동작한다 (S710).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711).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RX 모드로 동작한다 (S712).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RN은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의 신호 우선순위 처리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 2 는 신호의 우선순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백홀 데이터 > 액세스 데이터 > 백홀 제어 1 > 액세스 제어 1 > 백홀 제어 2 > 액세스 제어 2
본 실시예 2 에서, 액세스 데이터 신호(즉, PUSCH)는 백홀 제어 1(즉, 백홀 ACK/NACK 및/또는 SR)에 비하여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따라서, 종속된 중계기-UE가 액세스 링크 PUSCH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에서 RN이 백홀 ACK/NACK 및/또는 SR을 전송하도록 스케줄링되는 경우, R-PUSCH(백홀 데이터 신호)가 그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제어 1 과 함께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RN은 백홀 전송을 무시한 채 액세스 링크 PUSCH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의 우선순위 기법에 따르면, RN은 특정 시간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에서의 자신의 동작 모드를 명확하게 결정할 수 있고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백홀 상향링크 전송 및 액세스 상향링크 전송 간의 충돌을 겪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RN의 동작을 다음의 표 2 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RN이 백홀 제어 1 을 전송하는 TX 모드로 동작하는 실시예 1 의 표 1 의 1-(9)의 경우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 2 의 표 2 의 2-(9)의 경우에 RN은 액세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RX 모드로 동작한다.
도 8 은 본 실시예 2 에 따른 RN 동작의 흐름도이다.
주어진 무선 자원(주어진 주파수 대역에서 주어진 서브프레임)에서 RN은 전송 및/또는 수신할 다양한 신호를 가지기 때문에, 수신 및/또는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의 결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스케줄링된 신호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스케줄링된 전송/수신 신호의 각각의 타입을 결정하는 것이 수행된다.
먼저,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801).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TX 모드로 동작한다 (S802).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803).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RX 모드로 동작한다 (S804).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805).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TX 모드로 동작한다 (S806).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807).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RX 모드로 동작한다 (S808).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809).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TX 모드로 동작한다 (S810).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811).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RX 모드로 동작한다 (S812).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RN은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의 신호 우선순위 처리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 3 은 신호의 우선순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백홀 데이터 > 백홀 제어 1 > 백홀 제어 2 > 액세스 데이터 > 액세스 제어 1 > 액세스 제어 2
본 실시예 3 에서, 백홀 신호들은 액세스 링크 신호들의 어떤 타입에 비해서도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따라서, 어떤 서브프레임에서 임의의 타입의 백홀 전송이 스케줄링되는 경우에, 그 서브프레임에서 RN은 종속된 중계기-UE로부터의 모든 신호를 무시하고 백홀 신호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 3 의 우선순위 기법에 따르면, RN은 특정 시간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에서의 자신의 동작 모드를 명확하게 결정할 수 있고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백홀 상향링크 전송 및 액세스 상향링크 전송 간의 충돌을 겪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RN의 동작을 다음의 표 3 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도 9 는 본 실시예 3 에 따른 RN 동작의 흐름도이다.
주어진 무선 자원(주어진 주파수 대역에서 주어진 서브프레임)에서 RN은 전송 및/또는 수신할 다양한 신호를 가지기 때문에, 수신 및/또는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의 결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스케줄링된 신호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스케줄링된 전송/수신 신호의 각각의 타입을 결정하는 것이 수행된다.
먼저,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901).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TX 모드로 동작한다 (S902).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903).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TX 모드로 동작한다 (S904).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905).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TX 모드로 동작한다 (S906).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2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907).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RX 모드로 동작한다 (S908).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909).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RX 모드로 동작한다 (S910).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911).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RX 모드로 동작한다 (S912).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RN은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의 신호 우선순위 처리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 4 는 신호의 우선순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백홀 데이터 > 액세스 데이터 > 백홀 제어 1 > 백홀 제어 2 > 액세스 제어 1 > 액세스 제어 2
본 실시예 4 에서, 액세스 데이터는 백홀 제어 신호들에 비하여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지만 액세스 제어 신호들은 백홀 제어신호들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따라서, 종속된 중계기-UE가 액세스 링크 제어 1 (ACK/NACK 및/또는 SR)을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에서 RN이 백홀 제어 2 (CSI 피드백 및/또는 SRS)를 전송하도록 스케줄링되는 경우, RN은 액세스 링크 신호 수신을 무시한 채 백홀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나, 그 서브프레임에서 액세스 링크 데이터(PUSCH)가 함께 스케줄링되는 경우, RN은 백홀 전송을 무시한 채 액세스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 4 의 우선순위 기법에 따르면, RN은 특정 시간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에서의 자신의 동작 모드를 명확하게 결정할 수 있고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백홀 상향링크 전송 및 액세스 상향링크 전송 간의 충돌을 겪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RN의 동작을 다음의 표 4 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Figure pct00004
도 10 은 본 실시예 4 에 따른 RN 동작의 흐름도이다.
주어진 무선 자원(주어진 주파수 대역에서 주어진 서브프레임)에서 RN은 전송 및/또는 수신할 다양한 신호를 가지기 때문에, 수신 및/또는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의 결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스케줄링된 신호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스케줄링된 전송/수신 신호의 각각의 타입을 결정하는 것이 수행된다.
먼저,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1001).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TX 모드로 동작한다 (S1002).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1003).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RX 모드로 동작한다 (S1004).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데이터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1005).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TX 모드로 동작한다 (S1006).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1007).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TX 모드로 동작한다 (S1008).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백홀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1009).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RX 모드로 동작한다 (S1010).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1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1011).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면, RN은 해당 무선 자원에서 RX 모드로 동작한다 (S1012).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 액세스 제어 2 의 신호 타입이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RN은 주어진 무선 자원에서의 신호 우선순위 처리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5 및 6은 RN 동작의 우선순위 선택의 기준을 제공한다.
실시예 5
본 실시예 5 에서, RN은 액세스 링크의 사용도(degree of utilization) (이용량 또는 부하)를 측정하여 백홀 제어 1 (백홀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백홀 제어 신호)과 액세스 데이터 사이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액세스 링크의 사용도는 액세스 링크의 실제 신호 전송이 차지하는 자원의 몫이고, 액세스 링크의 사용도는 RN에 연결된 중계기-UE들의 개수, 중계기-UE들의 트래픽 강도, 또는 액세스 링크 품질 등 중에서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링크 사용도의 측정은 상대적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링크의 사용은 백홀 자원 이용가능성에 의해서 정규화(normalized)될 수 있다.
백홀 제어 1과 액세스 데이터 간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액세스 링크 사용도는 미리 결정된 임계치와 비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세스 링크 사용도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액세스 데이터에 주어진 우선순위보다 백홀 제어 1 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자면, 주어진 서브프레임에서 백홀 제어 1 의 송신/수신이 스케줄링되는 경우에 RN은 액세스 데이터의 송신/수신을 누락(drop)할 수 있다. 이러한 RN 동작은 액세스 링크에 대한 자원 요구가 높지 않고 백홀 링크에서의 불필요한 재전송을 회피함으로써 백홀 링크 효율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허용될 수 있다. 따라서, RN은 실시예 1 에서 정의된 신호 우선순위 (백홀 데이터 > 백홀 제어 1 > 액세스 데이터 > 액세스 제어 1 > 백홀 제어 2 > 액세스 제어 2) 또는 실시예 3 에서 정의된 신호 우선순위 (백홀 데이터 > 백홀 제어 1 > 백홀 제어 2 > 액세스 데이터 > 액세스 제어 1 > 액세스 제어 2)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액세스 링크 사용도가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에, RN은 백홀 제어 1 에 주어진 우선순위보다 액세스 데이터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RN은 실시예 2 에서 정의된 신호 우선순위 (백홀 데이터 > 액세스 데이터 > 백홀 제어 1 > 액세스 제어 1 > 백홀 제어 2 > 액세스 제어 2) 또는 실시예 4 에서 정의된 신호 우선순위 (백홀 데이터 > 액세스 데이터 > 백홀 제어 1 > 백홀 제어 2 > 액세스 제어 1 > 액세스 제어 2)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실시예 6
RN이 연결된 eNB는 백홀 제어 2 의 설정 메시지 (예를 들어, 주기적인 CQI 피드백 설정, SRS 전송 설정)을 RN에게 전송할 수 있다. RN의 백홀 제어 2 의 피드백/전송 주기는 eNB로부터의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RN은 백홀 제어 2 에 대한 피드백/전송 주기를 미리 결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백홀 제어 2와 액세스 데이터의 우선순위 또는 백홀 제어 2 와 액세스 제어 1 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홀 제어 2 의 피드백/전송 주기가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즉, 백홀 제어 2 전송 기회가 드문(infrequent) 경우), RN 은 액세스 데이터 또는 액세스 제어 1 에 주어진 우선순위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백홀 제어 2 에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RN 동작은 RN에게 드물게 주어지는 백홀 제어 신호의 피드백/전송 기회의 손실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RN은 실시예 3 에서 정의된 신호 우선순위 (백홀 데이터 > 백홀 제어 1 > 백홀 제어 2 > 액세스 데이터 > 액세스 제어 1 > 액세스 제어 2) 또는 실시예 4 에서 정의된 신호 우선순위 (백홀 데이터 > 액세스 데이터 > 백홀 제어 1 > 백홀 제어 2 > 액세스 제어 1 > 액세스 제어 2)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백홀 제어 2 의 피드백/전송 주기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 (즉, 백홀 제어 2 전송 기회가 빈번한 경우), RN은 백홀 제어 2 에 주어진 우선순위보다 액세스 데이터 또는 액세스 제어 1 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RN은 실시예 1 에서 정의된 신호 우선순위 (백홀 데이터 > 백홀 제어 1 > 액세스 데이터 > 액세스 제어 1 > 백홀 제어 2 > 액세스 제어 2) 또는 실시예 2 에서 정의된 신호 우선순위 (백홀 데이터 > 액세스 데이터 > 백홀 제어 1 > 액세스 제어 1 > 백홀 제어 2 > 액세스 제어 2)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5 및 6 이 우선순위 결정의 기준으로서 동시에 고려될 수 있으며, 이를 정리하면 다음의 표 5 와 같다.
Figure pct00005
도 11을 참조하여, 표 5 의 우선순위 기준에 따른 RN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101에서, RN은 eNB로부터 수신된 설정 메시지로부터 백홀 제어 2 (예를 들어, 백홀 링크 CSI 및/또는 SRS)의 전송의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102에서 RN은, 전술한 실시예 6 에 따라, 결정된 백홀 제어 2 의 전송의 주기를 미리 결정된 제 1 임계값에 비교할 수 있다. 백홀 제어 2 의 전송의 주기가 제 1 임계값보다 크면 (즉, 단계 S1102의 비교 결과가 'YES' 이면), RN은 자신에게 설정된 백홀 제어 2 전송 기회가 드문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S1103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1103에서, RN은 또한 액세스 링크의 사용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1104에서 RN은, 전술한 실시예 5 에 따라, 측정된 액세스 링크 사용도를 미리 결정된 제 2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액세스 링크 사용도가 제 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즉, 단계 S1104의 비교결과가 'YES' 이면), RN은 실시예 4 에서 정의된 신호 우선순위(백홀 데이터 > 액세스 데이터 > 백홀 제어 1 > 백홀 제어 2 > 액세스 제어 1 > 액세스 제어 2)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단계 S1105).
액세스 링크 사용도가 제 2 임계값 이하인 경우 (단계 S1104의 비교 결과가 'NO'인 경우), RN은 실시예 3 에서 정의된 신호 우선순위(백홀 데이터 > 백홀 제어 1 > 백홀 제어 2 > 액세스 데이터 > 액세스 제어 1 > 액세스 제어 2)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단계 S1106).
한편, 단계 S1102에서 백홀 제어 2 의 전송의 주기가 제 1 임계값 이하인 경우 (단계 S1102 의 비교 결과가 'NO'인 경우), RN은 자신에게 설정된 백홀 제어 2 전송 기회가 빈번한 것으로 결정하고, 단계 S1107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1107에서 RN은 또한 액세스 링크의 사용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1108에서 RN은, 실시예 5 에 따라, 측정된 액세스 링크 사용도를 미리 결정된 제 2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액세스 링크 사용도가 제 2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즉, 단계 S1108의 비교 결과가 'YES'인 경우), RN은 실시예 2 에서 정의되는 신호 우선순위(백홀 데이터 > 액세스 데이터 > 백홀 제어 1 > 액세스 제어 1 > 백홀 제어 2 > 액세스 제어 2)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단계 S1109).
액세스 링크 사용도가 제 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즉, 단계 S1108의 비교의 결과가 'NO'인 경우), RN은 실시예 1 에서 정의되는 신호 우선순위(백홀 데이터 > 백홀 제어 1 > 액세스 데이터 > 액세스 제어 1 > 백홀 제어 2 > 액세스 제어 2)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단계 S1110).
실시예 5 및/또는 실시예 6 의 우선순위 결정의 기준에 따라서, RN은 또한 특정 시간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에서의 자신의 동작 모드를 명확하게 결정할 수 있고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백홀 상향링크 전송 및 액세스 상향링크 전송 간의 충돌을 겪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N은 수신 모듈, 전송 모듈, 프로세서, 메모리 유닛, 다중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 동작의 우선순위 처리를 수행하는 RN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N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RN(1200)은 수신(Rx) 모듈(1210), 전송(Tx) 모듈(1220), 프로세서(1230), 메모리 유닛(1240) 및 다중 안테나(1250)를 포함할 수 있다. RN(1200)은 eNB(1260)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백홀 하향링크는 eNB(1260)으로부터 RN(1200)으로의 무선 링크이고, 백홀 상향링크는 RN(1200)으로부터 eNB(1260)으로의 무선 링크이다. 또한, RN(1200)은 UE(1270)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액세스 하향링크는 RN(1200)으로부터 UE(1270)으로의 무선 링크이고, 액세스 상향링크는 UE(1270)로부터 RN(1200)으로의 무선 링크이다.
프로세서(1230)는 다른 구성요소들(Rx 모듈(1210), Tx 모듈(1220), 메모리 유닛(1240) 및 다중 안테나(1250))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230)는 다양한 기능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제어 모듈(1231), 계산 모듈(1232) 및 비교 모듈(1233)이 도 12 에서 도시된다. 제어 모듈(1231)은 RN(12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231)은 신호들의 우선순위에 따라서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신호들을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해 Rx 모듈(1210) 및 Tx 모듈(122)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231)은 신호들의 우선순위에 따라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 신호들을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해 Rx 모듈(1210) 및 Tx 모듈(122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계산 모듈(1232)은 액세스 링크 사용도를 측정하고, eNB에 의해서 지시되는 제어 신호 전송 주기를 결정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교 모듈(1233)은 다양한 값들 간의 비교, 예를 들어, 제어 신호 주기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 간의 비교, 또는 측정된 액세스 링크 사용도와 미리 결정된 임계값 간의 비교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1240)은 RN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산 모듈(1232)로부터의 계산된 결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4 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신호 우선순위 순서 등을 저장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UE(1270)의 관점에서, RN(1200)은 UE(1270)에게 별도의 eNB로 보인다. UE(1270)은 스케줄링 정보 및 HARQ 피드백을 RN(1200)으로부터 직접 수신하고 자신의 제어 채널(SR, ACK/NACK, CQI, SRS 등)을 RN(1200)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RN의 존재를 고려하지 않는 UE들에 대한 역방향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UE(1270)로부터 RN(1200)으로의 상향링크 신호는 3 가지 타입의 신호, 데이터(PUSCH), 데이터 전송에 관련된 제어 신호(ACK/NACK 및/또는 SR), 채널상태정보와 관련된 제어 신호(CQI 피드백 및/또는 SRS)로 분류될 수 있다.
UE(1270)로부터 RN(1200)으로의 전송은 (UE(1270)에게 eNB로 보이는) RN(1200)에 의해서 스케줄링될 수 있다. RN(1200)으로부터의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UE(1270)는 데이터, 데이터 전송에 관련된 제어 신호 및 채널상태정보에 관련된 제어 신호의 순서에 따른 전송 우선순위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RN(1200)으로부터 eNB(1260)으로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에 관련된 제어 신호도 스케줄링되지 않는 경우에, UE(1270)는 주어진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PUSCH) 또는 UE 데이터 전송에 관련된 제어 신호(ACK/NACK 및/또는 SR)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N(1200)으로부터 eNB(1260)으로의 데이터, 데이터 전송에 관련된 제어 신호 및 채널상태정보에 관련된 제어 신호 중 아무 것도 스케줄링되지 않는 경우에, UE(1270)는 채널상태정보(CQI 피드백 및/또는 SRS)에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동국의 예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폰, WCDMA(wideband CDMA) 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 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의 예시는 PDA, 핸드-헬드 PC, 노트북 PC, 스마트 폰, 다중모드-다중밴드(MM-MB)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의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의 예시들은 3GPP LTE 시스템, 3GPP LTE-A 시스템, 3GPP2 시스템 및/또는 IEEE 802.xx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액세스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양한 액세스 시스템들이 적용되는 모든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1200 RN 1210 Rx 모듈
1220 Tx 모듈 1230 프로세서
1231 제어 모듈 1232 계산 모듈
1233 비교 모듈 1240 메모리 유닛
1250 다중 안테나 1260 eNB
1270 UE

Claims (10)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에서 상향링크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을 우선순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수신 및/또는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을 결정하는 단계;
    무선 자원에서 스케줄링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각각 및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각각의 신호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신호의 수신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 및 상기 무선 자원에서 스케줄링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각각 및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각각의 신호 타입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 동작 및 수신 모드 동작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선순위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수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전송 시간 간격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수신에 대한 액세스 링크 사용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선순위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백홀 제어 타입 2 신호에 대한 피드백/전송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선순위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는 데이터 신호, 제어 타입 1 신호, 및 제어 타입 2 신호 중의 하나 이상인, 우선순위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신호의 수신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 및 상기 무선 자원에서 스케줄링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각각 및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각각의 신호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우선순위 처리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로서,
    수신 모듈;
    전송 모듈; 및
    상기 수신 모듈 및 상기 전송 모듈과 통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모듈을 이용한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수신 및/또는 상기 전송 모듈을 이용한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을 결정하고;
    무선 자원에서 스케줄링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각각 및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각각의 신호 타입을 결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신호의 수신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 및 상기 무선 자원에서 스케줄링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각각 및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각각의 신호 타입에 기초하여 송신 모드 동작 및 수신 모드 동작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중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전송 시간 간격 동안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수신에 대한 액세스 링크 사용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계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수신에 대한 액세스 링크 사용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수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을 결정하는, 중계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백홀 제어 2 신호에 대한 피드백/전송 주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계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백홀 제어 2 신호에 대한 피드백/전송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을 결정하는, 중계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는 데이터 신호, 제어 타입 1 신호, 및 제어 타입 2 신호 중의 하나 이상인, 중계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신호의 수신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 요건, 및 상기 무선 자원에서 스케줄링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의 각각 및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의 각각의 신호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액세스 링크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 모듈을 제어하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백홀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전송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중계기.
KR1020117028350A 2009-06-30 2010-06-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우선순위 처리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43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206209P 2009-06-30 2009-06-30
US61/222,062 2009-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142A true KR20120040142A (ko) 2012-04-26
KR101643228B1 KR101643228B1 (ko) 2016-07-27

Family

ID=4341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350A KR101643228B1 (ko) 2009-06-30 2010-06-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우선순위 처리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908697B2 (ko)
EP (1) EP2449696B1 (ko)
JP (2) JP5544013B2 (ko)
KR (1) KR101643228B1 (ko)
CN (2) CN102474338B (ko)
WO (1) WO201100217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1627B2 (en) 2010-12-07 2014-03-25 Sharp Kabushiki Kaisha Prioritizing multiple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reporting with carrier aggregation
US9930677B2 (en) * 2010-12-07 2018-03-27 Sharp Kabushiki Kaisha Prioritizing multiple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reporting with carrier aggregation
US9635666B2 (en) * 2010-12-22 2017-04-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quiring sequentia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EP2681960B1 (en) 2011-03-03 2018-05-09 Telecom Italia S.p.A. Link scheduling algorithm for ofdma wireless networks with relay nodes
GB2493784B (en) 2011-08-19 2016-04-20 Sca Ipla Holdings Inc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8576766B2 (en) 2011-08-29 2013-11-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ynamic scheduling of in-band relay node resources
GB2497548B (en) * 2011-12-12 2014-04-30 Toshiba Res Europ Ltd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JP6112387B2 (ja) * 2012-09-24 2017-04-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中継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9148817B1 (en) * 2013-01-21 2015-09-29 Sprint Spectrum L.P. Methods and systems for routing signaling traffic
US9853709B2 (en) * 2013-08-18 2017-12-26 Lg Electronics Inc. Repeater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123799B1 (en) 2014-03-28 2019-08-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ioritizing d2d transmission and d2d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242897B (zh) * 2015-06-24 2022-02-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输信号的方法和装置
US10383136B2 (en) 2015-08-24 2019-08-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 apparatus for backhaul and access link scheduling i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etwork and synchronized networks
US10477423B1 (en) * 2015-10-19 2019-11-12 Sprint Spectrum L.P. Control of channel state reporting rate based on extent to which the reporting device provides connectivity for one or more other devices
CN108883576B (zh) * 2016-04-28 2021-08-2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三维打印
BR112018015592A2 (pt) 2016-04-28 2018-12-26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conjuntos de material fotoluminescente
WO2017188963A1 (en) 2016-04-28 2017-11-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3-dimensional printed parts
US10855342B2 (en) * 2016-06-24 2020-12-0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E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222355A1 (en) * 2016-06-24 2017-12-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backhaul signaling mechanism for new radio access technolog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00037398A1 (en) * 2016-09-30 2020-01-30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10257835B2 (en) 2017-03-24 2019-04-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enhanced beam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49298B1 (en) 2017-05-04 2018-04-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signaling and transmission protocols for enhanced beam management for initial access
US11129091B2 (en) * 2018-05-25 2021-09-21 Marvell Asia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resource element (RE) identification system to process received uplink transmissions
US11937217B2 (en) 2018-10-31 2024-03-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lay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EP3879869A4 (en) * 2018-11-09 2022-07-06 Ntt Docomo, Inc. WIRELESS NOD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0880808B1 (en) * 2019-06-27 2020-12-29 REALTEK SINGAPORE Pte. Ltd. Wireless backhaul network for dynamically configuring wireless backhaul path
US20230224072A1 (en) * 2022-01-10 2023-07-13 Qualcomm Incorporated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ode to repeater convers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6199A (ja) * 2005-06-24 2007-01-11 Kddi Corp 高速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における中継局のメディア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8050425A1 (fr) * 2006-10-25 2008-05-02 Fujitsu Limited Station de base radio, station relais, système de communication radio, et procédé de communication radio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027B1 (ko) * 2006-08-18 2012-03-2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멀티홉 중계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자원 관리
JP4910574B2 (ja) * 2006-08-31 2012-04-0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EP1916808A1 (en) * 2006-10-27 2008-04-30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Method of connection based scheduling with differentiated service support for multi-hop wireless networks
CN100555907C (zh) * 2007-02-05 2009-10-28 北京邮电大学 一种支撑多媒体广播业务的无线多跳中继组网方法
KR20090115220A (ko) * 2007-03-01 2009-11-04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CN101296490A (zh) * 2007-04-27 2008-10-2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WiMax/WiBro中继系统中下行调度表的传输方法
KR100976383B1 (ko) * 2007-07-05 2010-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이 구성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의 전송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038924B2 (ja) * 2008-01-25 2012-10-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リレー伝送システム、基地局、中継局及び方法
US8472337B2 (en) * 2008-01-25 2013-06-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Variation of up link resources in a cellular system
US20110111693A1 (en) * 2008-02-14 2011-05-12 Seigo Nakao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relay st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1641441B1 (ko) * 2008-06-12 2016-07-20 애플 인크. 집합 스펙트럼을 갖는 중계기들을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PL2351401T3 (pl) * 2008-11-18 2017-08-31 Nokia Technologies Oy Przekazywanie w systemie komunikacji
US8311061B2 (en) * 2008-12-17 2012-11-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r multiplexing
US20100150022A1 (en) * 2008-12-17 2010-06-17 Research In Moti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Relay Protocol Stack
KR101578011B1 (ko) * 2009-02-11 2015-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및 피드백 정보 전송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하는 중계기 장치
KR101595428B1 (ko) * 2009-02-24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중계기
KR20140023419A (ko) * 2009-03-17 2014-02-26 노키아 지멘스 네트웍스 오와이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상의 주기적 피드백 정보의 전송 구성
US9084150B2 (en) * 2009-03-20 2015-07-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ignaling mechanisms for network-relay interface with reduced overhead
EP2522089A4 (en) * 2010-01-08 2016-11-09 Nokia Solutions & Networks Oy DOWNLINK CONTROL SIGNALING FOR LAND CONNECTION
US9801139B2 (en) * 2010-03-19 2017-10-2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8908604B2 (en) * 2010-04-28 2014-12-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02300270B (zh) * 2010-06-25 2015-01-1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回程链路控制信道信息的资源配置方法和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6199A (ja) * 2005-06-24 2007-01-11 Kddi Corp 高速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における中継局のメディア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8050425A1 (fr) * 2006-10-25 2008-05-02 Fujitsu Limited Station de base radio, station relais, système de communication radio, et procédé de communication radi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rtel, "Control Channel and Data Channel Design for Relay Link in LTEAdvanced,"3GPP Document R1-090753, (2009.02.09-1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44013B2 (ja) 2014-07-09
CN102474338B (zh) 2014-11-19
CN104393905B (zh) 2017-11-21
US8908697B2 (en) 2014-12-09
US9203502B2 (en) 2015-12-01
WO2011002176A2 (en) 2011-01-06
EP2449696A4 (en) 2017-05-24
US20120106437A1 (en) 2012-05-03
CN104393905A (zh) 2015-03-04
KR101643228B1 (ko) 2016-07-27
EP2449696A2 (en) 2012-05-09
JP2014140257A (ja) 2014-07-31
US20150063200A1 (en) 2015-03-05
CN102474338A (zh) 2012-05-23
JP2012532520A (ja) 2012-12-13
WO2011002176A3 (en) 2011-03-31
JP5801921B2 (ja) 2015-10-28
EP2449696B1 (en) 2019-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22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우선순위 처리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597361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リソースを割り当て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5944834B2 (ja) 測定参照信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607333B1 (ko) 중계국의 제어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91856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source allocation for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378675B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ing mbsfn subframe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8797941B2 (en) Relay node device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rom a base station and method therefor
US8855072B2 (en) Relay backhaul resource allocation
EP23710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85659B1 (ko) 릴레이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TW201739228A (zh) 終端裝置、基地台裝置及通訊方法
US20120269113A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backhau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200760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149673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nterference reduction in tdd systems allowing allocation of flexible subframes for uplink or downlink transmission
JP201612934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中継方法およびノード
US884260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laying operation using uplink re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