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894A - 체어리프트용 체어 - Google Patents

체어리프트용 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894A
KR20120038894A KR1020110103579A KR20110103579A KR20120038894A KR 20120038894 A KR20120038894 A KR 20120038894A KR 1020110103579 A KR1020110103579 A KR 1020110103579A KR 20110103579 A KR20110103579 A KR 20110103579A KR 20120038894 A KR20120038894 A KR 20120038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ootrest
boarding
moved
dis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8032B1 (ko
Inventor
크리스토프 힌테레거
Original Assignee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38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02Cabins; Ski-lift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47C7/5062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rectilinearly
    • A47C7/5064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rectilinearly in vertic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6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directly under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체어리프트의 체어(3)가 자동위치선정기구(17)에 연결되고 이송위치와 탑승 또는 하차위치 사이에서 체어(3)의 시이트(5)의 하측에 배치되는 발판(6)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체어리프트용 체어 {A CHAIR OF A CHAIRLIFT}
본 발명은 좌부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시이트, 시이트상에 가로질러 연장되고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 안전바와, 적어도 하나의 발판으로 구성되는 체어리프트(chairlift)용 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시이트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시이트로 구성된 체어가 일측 터미널로부터 타측 터미널로 이동되고 안전바가 터미널에서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회전되는 체어리프트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체어리프트용 체어는 적어도 하나의 시이트, 또는 시이트가 인접하여 둘, 셋, 넷 또는 8개 이상 예를 들어 10개의 시이트로 구성되고, 각 시이트에 발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탑승자가 스키나 스노우보드를 착용한 그의 발을 얹어 놓을 수 있게 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AT 411 523 B, AT 411 046 B 참조). 발판은 시이트의 전방에서 안전바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봉을 통하여 체어의 안전바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발판 자체는 지지봉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 봉체 또는 관체로 구성되며 지지봉의 하단에 고정되고 안전바를 회전시킴으로서 탑승위치 또는 하차위치에 놓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안전바를 회전시키는 것에 따른 문제점은 탑승자가 올바를 착석위치에 있지 않을 때 발판이 배치된 지지봉에 탑승자의 다리가 걸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탑승자가 시이트로부터 미끌어져 내리는 위험이 있어 탑승자가 올바른 착석위치로 바로 잡고자 할 때 위험을 초래한다. 또한 탑승자는 착석자세가 올바르지 않을 때 불편한 착석위치를 그대로 고수할 수밖에 없다.
탑승자가 착석자세를 올바르게 한 후에 탑승자가 스스로 안전바를 폐쇄하는 해결방법은 안전바가 너무 늦게 폐쇄되는 위험이 있는 결점이 있다. 아울러, 터미널의 영역에서 탑승자는 올바른 탑승과 하차에만 집중할 수 있어야 한다. 탑승자의 올바른 탑승과 하차는 제작자에 의하여 제공된 안전장치가 탑승자의 올바른 자세일 때에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에 체어리프트 터미널내에서나 일측 터미널로부터 타측 터미널로 이동중에 중요한 안전문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능한 한 상기 언급된 문제점이 없는 상기 언급된 형태의 체어와 작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을 갖는 체어리프트용 체어에 의하여 성취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22항의 특징으로 갖는 방법에 의하여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선 실시형태 또는 유리한 실시형태가 하위 청구범위의 주제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은 자동위치선정기구에 의하여 시이트의 아래에서 이동위치와 탑승 또는 하차위치 사이로 조절되므로, 더 이상 탑승자의 다리가 걸리는 위험이 없고, 탑승자는 발판의 위치를 바꾸어 놓을 필요가 없으며 안전바를 폐쇄하거나 발판의 위치를 선정하는 것에 대한 염려를 할 필요가 없어, 탑승자는 탑승이나 하차에만 집중하면 된다. 더욱이, 탑승 및 하차시에, 안전바의 폐쇄와 개방 그리고 발판의 배치와 제거가 서로 순서대로 분리될 수 있다. 환언컨데, 탑승시에 안전바가 먼저 폐쇄될 수 있고 이후에 발판이 배치되며, 하차시에는 안전바가 폐쇄된 상태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발판이 옮겨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동위치에 이르기 전에 발판은 운동성분이 수직상측으로 향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발판은 운동성분이 수직하측으로 향하고 이송위치를 향하여서는 수직상측으로 향하는 운동성분에 합쳐지게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부터 이동되는 것이 좋다. 스키나 스노우보드의 하측으로부터 이동위치로 이동될 때 발판은 이에 근접하여 이동되므로, 발판이 스포츠장비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것이 방지된다.
우선실시형태에서, 위치선정기구는 체어에 배치되고 트리핑장치가 체어리프트 터미널의 영역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특히 위치선정기구는 터미널의 영역에서 체어가 안내롤러에 결합된 안내장치의 영역을 통하여 이동될 때 상승 또는 하강되는 안내롤러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롤러는 트리핑장치로서 안내레일과 위치선정장치를 위한 구동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위치선정장치의 트리핑은 무선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가 트리핑장치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우선실시형태에서, 위치선정기구는 안전바의 개방과 폐쇄 그리고 좌부면의 회전을 위한 기구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제작자에 의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다수의 안전장치가 동시에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위치선정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 특히 전기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터미널의 영역에서, 또한 트리핑장치는 모터를 위한 전기신호송신기일 수 있다. 전기모터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전기모터는 체어리프트의 작동시간 외에 충전되거나 체어가 터미널을 통과할 때 충전될 수 있는 충전형 배터리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터미널을 통과할 때 배터리가 충전되는 경우, 배터리는 각 체어의 클램핑동체 또는 현가봉에 배치된 집전장치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체어가 케이블웨이 터미널로 진입할 때, 집전장치가 케이블웨이 시스템에 제공된 접점장치에 접촉하게 되어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집전장치는 터미널의 접점장치와 협동하는 롤링 접점 및 슬라이딩 접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접점은 케이블웨이 시스템의 컨베이어 케이블 또는 케이블 풀(cable pull)을 따라 배치된 전도체 레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에너지는 인덕티브 커플링의 형태인 무접점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케이블 풀을 따라 배치된 장치에 의하여 체어의 대응하는 장치에 공급되어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교번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순전히 기계적인 위치선정기구의 경우, 상기 기구는 예를 들어 케이블에 의한 인장력 또는 예를 들어 롯드장치에 의한 압축력을 발판에 가할 수 있다.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위치선정기구의 경우, 발판에 인장력이나 압축력을 가하기 위한 케이블 또는 롯드가 필요없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스프링장치가 발판이 이송위치로부터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 이동될 때 긴장되고 발판이 이러한 스프링장치에 의하여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부터 이송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스프링장치로서 예를 들어 기계적인 스프링 또는 압력매체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으며 체어가 터미널로 이송될 때 긴장될 수 있고 발판이 이송위치로부터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에 저장된 에너지가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부터 발판을 이송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과정은 자연적으로 체어가 터미널로부터 이송되고 저장된 에너지가 발판을 이송위치로부터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때 긴장되었던 스프링장치에 의하여 역으로 수행될 수 있다. 스프링장치를 긴장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체어리프트의 안전바 또는 보호커버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것으로부터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은 기구가 터미널내에서 또는 그 상류측에서 안내레일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프링장치의 작동이 시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무선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스프링장치의 잠금수단을 해제하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특히, 발판은 이송위치에서 좌부면의 전면변부 아래의 영역에 배치되고 탑승 또는 하차위치에서는 좌부면의 배면변부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발판은 또한 탑승 또는 하차위치에서 좌부면의 아래 또는 등받이의 뒤쪽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위치에서, 즉, 탑승자가 착석하여 자신의 발에 스키나 스노우보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발판에 얹었을 때, 발판은 적어도 하나의 텐션봉에 의하여 이러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어의 실시형태에서, 위치선정기구 자체는 충분히 안정된 상태에 놓이고 부가적인 텐션봉이 제공될 필요는 없다.
발판은 예를 들어 시이트의 폭 일부에 부분적으로 연장되거나 시이트 폭 전체에 걸쳐 연장된 크로스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예를 들어 플레이트형의 발판과 같은 다른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두개의 터미널 사이에 설치된 체어리프트를 보인 설명도.
도 1a - 도 1c는 터미널을 떠날 때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의 연속이동위치를 보인 설명도.
도 1d와 도 1e는 터미널에 진입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의 연속이동위치를 보인 설명도.
도 2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의 연속이동위치를 상세히 보인 설명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의 텐션봉을 보인 상세도.
도 10은 도 7의 위치에 놓인 것을 보인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설명도.
도 11은 이송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설명도.
도 12는 중간위치에 놓여 있는 도 11의 실시형태를 보인 설명도.
도 13은 도 11의 실시형태가 탑승 또는 하차위치에 놓여 있는 것을 보인 설명도.
도 1에는 제1 터미널(1)과 제2 터미널(2) 사이에 설치된 체어리프트를 보인 것이로, 이들 터미널 사이에서 이송케이블(4)을 따라 체어(3)가 이동된다. 체어는 이송케이블(4)에 고정 또는 결합될 수 있게 이송케이블에 연결될 수 있다.
만약 탑승자가 제1 터미널(1)에서 체어(3)의 시이트(5)에 착석하는 경우, 발판(6)은 체어(3)의 배면위치인 그 탑승위치에 놓인다(도 1a 및 도 1의 영역 1a). 제1 터미널(1)을 떠나는 동안에 또는 떠난 직후에 발판(6)은 시이트(5)의 하측으로 회전되어(도 1b와 도 1의 영역 1b) 도 1c에서 보인 이송위치에 이르고 탑승자가 스포츠장비를 착용한 상태에서 자신의 발을 얹을 수 있다. 그리고 발판(6)은 체어(3)가 제2 터미널(2)의 진입영역에 이를 때까지 이러한 이송위치에 놓인다. 그리고 제2 터미널(2)의 진입영역에서, 발판(6)은 시이트(5)의 하측 후방으로 회전되어(도 1d와 도 1의 영역 1d) 발판(6)이 다시 체어(3)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하차위치에 놓인다. 탑승위치와 같은 이러한 하차위치(도 1e와 도 1의 영역 1e)에서, 탑승자는 제2 터미널(2)에서 체어(3)로부터 하차할 수 있고 새로운 탑승자가 체어(3)에 오를 수 있다.
도 2 - 도 7에서, 체어(3)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판(6)은 후측에 비스듬이 놓여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체어(3)는 각각 좌부면과 등받이(7)를 갖춘 4개의 시이트(5)를 가지고, 좌부면은 등받이(7)쪽의 배면변부(8)와 이러한 배면변부(8)의 반대쪽인 전면변부(9)를 갖는다. 아울러, 체어(3)는 시이트(5)상에 가로질러 연장되고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 안전바(10)를 갖는다.
발판(6)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은 종래기술과 같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만 기술할 것인 바, 예를 들어, 안전바(10)는 프레임(11)에 배치되고 이는 조인트를 통하여 지지봉(12)에 연결되며, 그 상측단부에 체어(3)를 이송케이블(4)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은 모든 형태의 체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 - 도 7에서 보인 실시형태에서, 발판(6)은 실질적으로 체어(3)의 전폭에 걸쳐 연장된 크로스빔이다. 이러한 크로스빔에는 두개의 측부(6a, 6b)가 연장되어 있으며 이들은 조인트(15)를 통하여 체어(3)에 착설된 평행한 회전봉(14)에 조인트(1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발판(6)의 측부(6a, 6b)는 발판(6)을 그 이송위치에 부가적으로 고정하는 텐션봉(16)이 관절연결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이러한 텐션봉(16)은 회전봉(14)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 텐션봉(16)은 탑승자에 의하여 발판에 가하여지는 하중이 최상의 방식으로 이러한 텐션봉에 가하여질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발판(6)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발판(6)과 측부(6a, 6b)는 U-자형의 프레임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회전봉(14)은 두개의 평행한 봉체와 하나의 횡방향 봉체로 구성되는 U-자형 프레임의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U-자형 회전봉(14)에 발판(6)이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T-형 봉체의 형태로 하나 이상의 발판이 U-형 회전봉(14)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시이트에 대하여, 하나의 발판이 제공될 수 있는 바, U-자형 회전봉(14)의 횡방향 봉체로부터 연장된 봉체가 이송방향에서 보았을 때 이송위치에서 시이트(5)의 아래에 중앙으로 연장된다. T-형 크로스빔의 형태로 구성된 발판은 시이트(5)의 전면변부(9)의 길이방향으로 최대한의 길이로 연장된다. 또한, 두개의 시이트에 대하여 하나의 발판이 제공되는 경우, U-자형 회전봉(14)의 횡방향 봉체로부터 연장된 봉체가 이송위치에서 이송방향에서 보았을 때 두 시이트(5) 사이로 연장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발판은 예를 들어 하나의 인접한 시이트(5)의 중앙으로부터 다른 인접한 시이트(5)의 중앙으로 연장된다.
도 1a 및 도 1e에 유사하게 발판(6)의 탑승 또는 하차위치가 도 2에도 도시되어 있다. 안전바(10)가 시이트(5)의 상부인 개방위치에 배치되는 이러한 위치에서, 발판(6)과 회전봉(14)은 등받이(7)의 배면부에 배치되고, 발판(6)으로 사용되는 크로스빔은 좌부면의 배면변부(8)의 영역에 배치된다. 회전봉(14)에 의하여 그리고 측부(6a, 6b) 및 크로스빔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은 실질적으로 등받이(7)의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텐션봉(16)이 이들의 초기위치에 배치되어 이들은 발판(6)의 측부(6a, 6b)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약 10°의 각도).
체어(3)가 터미널(1)로부터 이동하여 나갈 때, 발판(6)은 도 3 -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위치선정기구(17)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회전된다. 도 2 - 도 7에서 보인 실시형태의 예시에서 위치선정기구(17)는 체어(3)와 회전봉(14) 사이, 회전봉(14)과 측부(6a, 6b) 사이, 그리고 측부(6a, 6b)와 텐션봉(16) 사이의 조인트연결부(13, 15, 19)의 영역에 배치되는 전기모터로 구성된다. 발판(6)의 회전은 배면측으로,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시이트(5)의 하측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1b 및 도 1d에서 보인 위치와 유사한 위치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위치의 영역에서 발판(6)은 최하측 위치에 놓여 있고 전방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계속 이동함으로서 후방 하측에서 이는 탑승자의 스키 또는 스노우보드에 접근한다. 발판(6)의 운동은 발판이 도 7에서 보인 이송위치에 이르기 전에 수직상측으로 향하고 전방에 수평으로 향하는 운동성분을 갖는다.
도 6에서, 이 위치는 발판(6)이 이미 이송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보이고 있다. 발판으로 사용되는 크로스빔은 이제 좌부면의 전면변부(9)의 아래에 배치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텐션봉(16)은 조인트(19)를 통하여 이들의 초기위치로부터 회전되어 텐션봉(16)의 자유단부(20)가 좌부면의 전면변부(9)에 접근한다. 이러한 텐션봉의 회전은 전기모터(19)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 7에서, 발판(6)의 최종이송위치가 도 1c와 유사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발판(6)으로 사용되는 크로스빔은 좌부면의 전면변부(9)의 하측에 배치된다. 텐션봉(16)은 측부(6a, 6b)에 대하여 약 90°의 각도로 배치된다. 이러한 이송위치에서, 발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텐션봉(16)은 도 8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들의 자유단부(20)가 좌부면의 전면변부(9)의 영역에 고정된 이들의 사용위치에 놓인다. 체어(3)는 제1 터미널(1)로부터 제2 터미널(2)의 입구영역으로 진입하는 과정중에 도 7에서 보인 이송위치에 놓여 있다.
도 8과 도 9는 좌부면의 전면변부(9)의 영역에 배치되고 종축선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는 핀(21)을 보이고 있다. 발판(6)의 이송위치에서 핀(21)은 텐션봉(16)의 자유단부(20)를 고정하는 반면에(도 8), 이는 도 9에서 보인 위치로 당기어져 텐션봉(16)의 자유단부(20)를 해제함으로서 발판(6)이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방법으로 텐션봉을 체어의 안정적인 부분에 고정할 수도 있다.
텐션봉(16)의 자유단부(20)가 해제되고자 할 때, 제2 터미널(2)의 입구영역과 같이, 발판(6)이 이송위치로부터 하차위치로 회전되려 할 것이며 핀(21)이 시이트(5)측으로 가압되어 텐션봉(16)의 자유단부(20)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핀(21)은 발판(6)의 위치선정을 위한 것과 같은 동일한 트리핑장치를 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송위치로부터 하차위치로 발판(6)을 회전시키는 것은 앞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으나 역순으로 위치선정장치(17)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 10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가 이송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위치선정기구(17)는 체어(3)에 배치된 전기모터에 부가하여 회전봉(14)과 측부(6a, 6b) 그리고 텐션봉(16)에 배치되는 케이블(18)을 포함한다. 케이블(18)에 의하여, 인장력이 상기 언급된 구성요소들에 가하여져 발판(6)의 위치가 이송위치로부터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 바뀌는 것에 도움이 된다.
도 11 -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여기에서 위치선정기구(22)는 조인트(25)를 통하여 함께 연결된 두개의 레버암(23, 24)을 갖는 토글 레버를 갖는다. 일측 레버암(23)은 프레임에 고정된 구성요소(27)에 조인트(26)를 통하여 관절연결방식으로 연결되고, 타측 레버암(24)은 조인트(28)를 통하여 측부(6a, 6b)에 연결된다.
조인트(26)에 결합된 레버암(23)의 단부는 체어(3)에 배치된 전기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축(도시하지 않았음)에 연결된다. 또한, 레버암(23)의 구동을 위하여 상기 언급된 것과는 상이한 구동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발판(6)이 이송위치에 있는 것을 보인 것으로, 이러한 발판에 탑승자는 스포츠장비를 착용한 자신의 발을 얹어 놓을 수 있다. 두개의 레버(23, 24)는 소위 잠금위치에 배치되고 이러한 위치에서는 조인트(25)가 상측으로 더욱 이동될 수는 없어 레버(23)가 더 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정지구가 레버(23, 24)에 배치되는 것이 좋으며 이들 정지구에 의하여 잠금위치가 한정된다.
만약 이러한 발판(6)이 도 11에서 보인 이송위치로부터 도 13에서 보인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도 12에서 보인 바와 같이 레버(2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레버(23)가 더욱 회전되어 발판(6)은 제2 레버(24)를 통하여 도 13에서 보인 위치로 회전된다. 발판(6)이 도 11에서 보인 이송위치로 더욱 회전되는 경우, 레버(23)는 이것이 다시 도 12에서 보인 중간위치를 통하여 도 11에서 보인 위치에 이를 때까지 도 13에서 보인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여기에서 정지구(도시하지 않았음)가 다른 정지구에 접속하여 탑승자가 발판(6)에 서있을 때에도 더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레버(23, 24)가 도 11에서 보인 위치를 벗어나 더욱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언급된 정지구와는 다른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안전바(10)의 운동은 발판(6)의 운동과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이러한 발판의 운동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순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간격을 두고 순서대로 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안전바(10)가 먼저 폐쇄되고 이어서 발판(6)의 운동이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부터 이송위치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발판(6)은 안전바(10)가 개방되기 전에 이송위치로부터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1: 제1 터미널, 2: 제2 터미널, 3: 체어, 4: 이송케이블, 5: 시이트, 6: 발판, 7: 등받이, 8: 배면변부, 9: 전면변부, 10: 안전바, 11: 프레임, 12: 지지봉, 13: 조인트, 14: 회전봉, 15: 조인트, 16: 텐션봉, 17: 위치선정기구, 19: 조인트, 20: 자유단부, 21: 핀, 22: 위치선정기구, 23, 24: 레버암, 25, 26: 조인트, 27: 구성요소, 28: 조인트.

Claims (31)

  1. 좌부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시이트(5), 시이트(5)상에 가로질러 연장되고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 안전바(10)와, 적어도 하나의 발판(6)으로 구성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에 있어서, 발판(6)이 자동위치선정기구(17, 22)에 연결되고 시이트(5)의 아래에서 이동위치와 탑승 또는 하차위치 사이로 조절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위치에 이르기 전에 발판(6)은 운동성분이 수직상측으로 향하게 이동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3. 제2항에 있어서, 발판(6)은 운동성분이 수직하측으로 향하고 이송위치를 향하여서는 수직상측으로 향하는 운동성분과 합져지게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부터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선정기구(22)가 체어(3)에 배치되고 트리핑장치가 체어리프트 터미널의 영역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선정기구(17, 22)가 안전바(10)를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기구 또는 좌부면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부면이 전면변부(9)와 배면변부(8)를 가지고 이송위치에서 발판(6)이 좌부면의 전면변부(9)의 하측영역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판(6)이 좌부면 하측의 탑승 또는 하차위치 또는 좌부면의 배면영역(8)의 영역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판(6)이 등받이(7)의 배면에서 탑승 또는 하차위치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9.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판(6)이 시이트(5)의 폭의 적어도 일부분에 연장된 크로스빔임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10.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판(6)이 실질적으로 시이트(5)의 전폭에 연장된 크로스빔임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11. 제1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판(6)이 회전봉(14)을 통하여 체어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12. 제11항에 있어서, 회전봉(14)이 프레임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발판(6)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텐션봉(16)이 발판(6)의 적어도 한 부분(6a, 6b)에 배치되고, 이송위치에서 상기 텐션봉의 자유단부(20)가 좌부면의 전면변부(9)의 영역에 고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이송위치에서 텐션봉(16)의 자유단부(20)가 접속부, 예를 들어 종축선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핀(21)에 고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15. 제11항 내지 제1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선정기구(17)가 회전봉(14), 발판(6)의 적어도 한 부분(6a, 6b)과, 텐션봉(16)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16. 제1항 내지 제1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선정기구(17)가 적어도 하나의 모터, 특히 전기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17. 제1항 내지 제1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선정기구(17)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18) 및/또는 봉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18. 제1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판(6)이 이송위치로부터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 이동될 때 긴장되는 스프링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19. 제1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판(6)이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부터 이송위치로 이동될 때 긴장되는 스프링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20. 제1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기구(22)는 일측 레버(23)가 체어(3)에 착설되거나 체어(3)에 부분적으로 고정연결되고 타측 레버(24)가 발판(6) 또는 이러한 발판(6)에 연결된 일부분에 착설되는 토글레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21. 제20항에 있어서, 토글레버(23, 24)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23, 24)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더욱 회전될 수 없는 잠금위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용 체어.
  22. 좌부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시이트(5)로 구성되는 체어(3)가 제1 터미널(1)로부터 제2 터미널(2)로 이동하고 터미널(1, 2)의 영역에서 안전바(10)가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회전되는 체어리프트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터미널(1, 2)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발판(6)이 이송위치와 탑승 또는 하차위치 사이에서 자동위치선정기구(17, 22)에 의하여 시이트(5)의 하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의 작동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이동위치에 이르기 전에 발판(6)은 운동성분이 수직상측으로 향하게 이동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의 작동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탑승 또는 하차위치 이후에, 발판(6)은 운동성분이 수직하측으로 향하고 이송위치를 향하여서는 수직상측으로 향하는 운동성분과 합져지게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부터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의 작동방법.
  25. 제22항 내지 제2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선정기구(22)가 체어(3)에 배치되고 체어리프트 터미널의 영역에서 트리핑장치에 의하여 트리핑되거나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의 작동방법.
  26. 제22항 내지 제2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선정기구(17, 22)가 안전바(10)를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기구에 의하여 구동되거나 또는 좌부면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구에 의하여 트리핑되거나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의 작동방법.
  27. 제22항 내지 제2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위치에서 발판(6)이 좌부면의 전면변부(9)의 하측영역에 배치되고, 탑승 또는 하차위치에서는 발판이 좌부면의 배면영역(8)의 영역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의 작동방법.
  28. 제22항 내지 제2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탑승 또는 하차위치에서 발판(6)이 시이트(5)의 하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의 작동방법.
  29. 제22항 내지 제2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탑승 또는 하차위치에서 발판(6)이 등받이(7)의 배면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의 작동방법.
  30. 제22항 내지 제2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장치가 발판(6)이 이송위치로부터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 이동될 때 긴장되고 발판(6)이 이러한 스프링장치에 의하여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부터 이송위치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의 작동방법.
  31. 제22항 내지 제2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장치가 발판(6)이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부터 이송위치로 이동될 때 긴장되고 발판(6)이 이러한 스프링장치에 의하여 이송위치로부터 탑승 또는 하차위치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어리프트의 작동방법.
KR20110103579A 2010-10-14 2011-10-11 체어리프트의 체어 KR101508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710/2010 2010-10-14
ATA1710/2010A AT510521B1 (de) 2010-10-14 2010-10-14 Fussstütz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894A true KR20120038894A (ko) 2012-04-24
KR101508032B1 KR101508032B1 (ko) 2015-04-07

Family

ID=4487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03579A KR101508032B1 (ko) 2010-10-14 2011-10-11 체어리프트의 체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701563B2 (ko)
EP (1) EP2441637B1 (ko)
JP (1) JP5773361B2 (ko)
KR (1) KR101508032B1 (ko)
CN (1) CN102556080B (ko)
AT (1) AT510521B1 (ko)
AU (1) AU2011232784B2 (ko)
CA (1) CA2754868C (ko)
ES (1) ES2624839T3 (ko)
NZ (1) NZ595608A (ko)
RU (1) RU256426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70157U1 (it) * 2007-04-20 2008-10-21 Rolic Invest Sarl Seggiovia
AT517204B1 (de) * 2015-07-09 2016-12-15 Innova Patent Gmbh Sessel für einen Sessellift
CN105438029A (zh) * 2015-12-29 2016-03-30 浙江安吉祥泰家具有限公司 一种搁脚架滑轨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2587A (en) * 1949-11-18 1953-12-15 Mcilvaine Alexander Chair for aerial skilifts
AT183106B (de) * 1949-11-18 1955-09-10 Alexander Mc Ilvaine Sessel für Sessellifte
US2710650A (en) * 1954-03-19 1955-06-14 Riblet Tramway Company Aerial ski lift chair
US3582137A (en) * 1969-12-12 1971-06-01 Hall Ski Lift Co Inc Footrest for a three-seat ski-lift chair
FR2094617A5 (ko) * 1970-06-26 1972-02-04 Sigma Plastique
CH540802A (fr) * 1970-06-26 1973-08-31 Pomagalski Sa Siège convertible pour télésièges
US4509798A (en) * 1982-08-23 1985-04-09 John Strothers Vehicle seat harness
JPS6085272A (ja) * 1983-10-14 1985-05-14 Tokyo Tatsuno Co Ltd ポンプ装置
JPS6085272U (ja) * 1983-11-16 1985-06-12 株式会社明輝電機製作所 椅子式リフト搬器
JPH0547020Y2 (ko) * 1988-01-26 1993-12-09
JPH03148368A (ja) * 1989-11-02 1991-06-25 Ube Ind Ltd リニア搬送装置
DE59704352D1 (de) * 1996-05-21 2001-09-27 Leitner Spa Sessel von Sesselliften mit einer Fallschutzeinrichtung
AT411046B (de) 1999-11-04 2003-09-25 Girak Garaventa Gmbh Einrichtung zum schutz von fahrgästen auf einem sessel einer seilbahnanlage
AT411523B (de) 2002-01-24 2004-02-25 Innova Patent Gmbh Sessel für eine seilbahnanlage
AT500573B1 (de) * 2002-09-03 2007-01-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mit einem trag- und förderseil und mit einer vielzahl von an dieses ankuppelbaren sesseln
ITBZ20060036A1 (it) * 2006-08-16 2008-02-17 High Technology Investments Bv Dispositivo anticaduta per seggiole di seggiovie con dispositivo di comando d'impegno e disimpegno dello sbarramento.
ITMI20070157U1 (it) * 2007-04-20 2008-10-21 Rolic Invest Sarl Seggiovia
AT505696A3 (de) * 2007-08-30 2011-06-15 Innova Patent Gmbh Fahrbetriebsmittel eines sesselliftes oder einer seilbahnanlage
AT507312B1 (de) * 2008-10-09 2010-08-15 Innova Patent Gmbh Sessel für sesselli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41637B1 (de) 2017-02-22
JP5773361B2 (ja) 2015-09-02
AU2011232784B2 (en) 2014-04-10
CN102556080A (zh) 2012-07-11
AT510521B1 (de) 2012-12-15
CN102556080B (zh) 2016-08-31
NZ595608A (en) 2011-12-22
US8701563B2 (en) 2014-04-22
US20120090500A1 (en) 2012-04-19
EP2441637A1 (de) 2012-04-18
RU2564267C2 (ru) 2015-09-27
ES2624839T3 (es) 2017-07-17
AT510521A1 (de) 2012-04-15
CA2754868C (en) 2016-04-05
CA2754868A1 (en) 2012-04-14
RU2011141575A (ru) 2013-04-20
KR101508032B1 (ko) 2015-04-07
JP2012081960A (ja) 2012-04-26
AU2011232784A1 (en)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4475B2 (ja) チェアリフト又はロープウエイシステムの輸送装置
US9499176B2 (en) Ski lift seat having a magnetic lock for restraining bar
RU2505434C2 (ru) Механический подъемник
RU2505435C2 (ru) Кресло для кресельного подъемника
KR20120038894A (ko) 체어리프트용 체어
US20090243366A1 (en) Safety System for a Seat of a Ski Lift Facility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KR102098667B1 (ko) 기계식 체어리프트 시트 및 이러한 시트를 구비한 시설
ES2452470T3 (es) Pivotación de asiento
WO2016157081A1 (en) Device and transport unit for disabled persons inside a passenger compartment of an aircraft
US20100089278A1 (en) Chair for a Chair Lift and Chair Lift
EP1721647A1 (en) Amusement device
JP6321900B2 (ja) 低高地用交通システム
CN110464556B (zh) 可自动上下车的救护车担架组合
DE202009004618U1 (de) Treppensteiggerät
KR20150097971A (ko) 계단용 응급 구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조 방법
US20190300022A1 (en) Transport vehicle designed to be pulled by an overhead cable and installation comprising a vehicle of said type
JP6392074B2 (ja) チェアリフトの搬器用落下防止器
JP7464312B2 (ja) ケーブルカー車両のための扉制御装置
KR101315289B1 (ko) 파렛트 자동연결장치
WO2022109670A1 (en) Chair lift stretcher cradle
JP6376925B2 (ja) チェアリフト搬器用落下防止器
US20080307998A1 (en) Snowboarders chair for use on a ski lift
CN117695090A (zh) 一种船舶用全场景伤员转运装置
JPH0623150A (ja) リュージュのような小型乗物用の機械的引き上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