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289B1 - 파렛트 자동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렛트 자동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289B1
KR101315289B1 KR1020110100819A KR20110100819A KR101315289B1 KR 101315289 B1 KR101315289 B1 KR 101315289B1 KR 1020110100819 A KR1020110100819 A KR 1020110100819A KR 20110100819 A KR20110100819 A KR 20110100819A KR 101315289 B1 KR101315289 B1 KR 101315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automatic
body frame
connection device
automatic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6622A (ko
Inventor
김창운
김길봉
김용환
최성호
최영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10100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289B1/ko
Publication of KR20130036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2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remote control, e.g. for rele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3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facilitating connection, e.g. hitch catchers, visual guide means, signalling 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차량 운전자가 하차하지 않고 안전한 방법으로 파렛트를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는 바디프레임; 및 상기 바디프레임에 설치되며, 연결대상 파렛트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눌린 후 연결대상 파렛트에 있는 프레임의 단턱을 지나 자동으로 복귀되면서 파렛트를 연결할 수 있는 자동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연결수단은 상하로 회동되도록 상기 바디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회동부;와 단부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향돌출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피연결 프레임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회전되며 상기 걸림부의 상하 동작을 지지한다.
이러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에 의하면, 차량와 파렛트의 연결과 분리를 쉽게하여 소통시간 단축 및 노동력 절감을 통한 효율적으로 화물을 소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파렛트 자동연결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with pallet}
본 발명은 파렛트 자동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파렛트를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하는데 사용되며, 구동바퀴를 구비한 이동형 파렛트(pallet)는 갈수록 고중량화되어 사람의 힘으로 이동시키기 어려우므로, 신속한 이동을 위해 전동차를 운용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차량(10)로 파렛트(30)를 견인하기 위해 차량(10)의 후미에 구비되는 S자형 고리(20)를 파렛트(30)에 걸어서 연결한 후 견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서, 파렛트(30)를 연결하기 위해 운전자가 전동차(10)에서 상하차를 반복하여 직접 수동으로 연결해야했다. 이로 인해, 화물 소통작업이 시간상, 업무능률상에서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차량와 파렛트의 연결과 분리를 쉽게할 수 있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파렛트를 정확하게 고정 연결할 수 있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회전바퀴가 있는 파렛트의 앞면으로만 연결이 가능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연결시 발생할 수 있는 파렛트 손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운전자가 차량에서 하차하지 않고 파렛트를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바디프레임; 및 상기 바디프레임에 설치되며, 연결대상 파렛트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눌린 후 연결대상 파렛트에 있는 프레임의 단턱을 지나 자동으로 복귀되면서 파렛트를 연결할 수 있는 자동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연결수단은 상하로 회동되도록 상기 바디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회동부;와 단부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향돌출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피연결 프레임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회전되며 상기 걸림부의 상하 동작을 지지하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자동연결수단은 상기 걸림부의 위치를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는 연결대상 파렛트 방향으로 이동될수록 상기 경사면을 따라 파렛트의 하단에 있는 피연결 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눌리는 상기 자동연결수단을 자동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파렛트 자동연결장치는 상기 자동연결수단과 파렛트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는 탈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탈거수단은 상기 자동연결수단의 상단에 접촉하고, 상하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자동연결수단을 누르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회동시킬 수 있는 작동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탈거수단은 상기 작동와이어에 연결되는 탈거레버;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프레임은 화물운송용 차량의 후미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자동연결수단은 구동바퀴를 구비한 이동형 파렛트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바디프레임은 차량의 후미에 좌우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바디프레임을 차량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복귀시키는 일렬유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자동연결수단에는 상기 걸림부의 좌우요동을 방지하고 상하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부가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와 파렛트의 연결과 분리를 쉽게하여 소통시간 단축 및 노동력 절감을 통한 효율적으로 화물을 소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파렛트를 정확하게 고정 연결하여 주행시 움직임이 없으므로 안전하게 화물을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파렛트의 앞면 즉, 회전바퀴가 있는 부분으로만 연결이 가능하여 파렛트의 뒷면에 연결되어 발생할 수 있는 방향조절 불가 및 작업장 바닥 손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파렛트 자동연결장치가 파렛트의 하단 뼈대에 연결되므로 파렛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운전석에 설치되는 탈거레버를 사용하여 운전자가 하차하지 않고 용이하게 파렛트를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S자형 고리를 사용하여 차량에 파렛트를 연결하는 종래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의 배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의 탈거수단 및 자동연결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의 파렛트 연결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에 파렛트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의 파렛트 탈거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가지다(갖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에 대해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측면도, 도4는 평면도, 도5는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파렛트 자동연결장치에 설치된 탈거수단 및 자동연결수단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는 화물운송용 차량에 설치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는 바디프레임(110) 및 자동연결수단(120)을 포함하고, 탈거수단, 이탈방지부(170), 일렬유지부재(180a,180b), 수동손잡이(190) 및 처짐방지부(2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디프레임(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는 구조물이다.
바디프레임(110)은 평면의 관점에서 이등변삼각형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좌우측에 대칭하는 삼각형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중심부를 지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프레임(110)은 각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프레임(110)은 바디프레임(110)의 각 꼭지점 부분에서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12)은 같은 높이로 구성될 수 있고, 상단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평면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T 자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2)은 후술할 수동손잡이(190), 일렬유지부재(180a,180b) 및 처짐방지 체인(210a,210b)이 설치되도록 이들을 지지할 수 있다.
자동연결수단(120)은 바디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연결대상 파렛트(3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눌린 후 연결대상 파렛트(30)에 있는 프레임의 단턱(미도시)을 지나 자동으로 복귀되어 파렛트(30)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된 일 실시예에서, 자동연결수단(120)은 수평바(122), 회동부(124), 걸림부(126) 및 경사면(12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평바(122)는 바디프레임(110)의 하부에 회동부(124)를 매개로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바 형태를 띄고 자동연결수단(120)의 본체 역할을 한다.
그리고, 회동부(124)는 자동연결수단(120)이 상하로 회동되도록 바디프레임(110)에 힌지결합된다.
즉, 회동부(124)는 수평바(122)의 일단에 구비되고, 수평바(122)가 바디프레임(110)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고, 상하로 회동가능하도록 바디프레임(110)과 수평바(122)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회동부(124)는 파렛트(30)에 연결된 자동연결수단(120)과 바디프레임(110)과의 결합을 지지할 수 있는 정도로 견고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한편, 걸림부(126)는 자동연결수단(120)의 단부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향돌출되는 경사면(127)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걸림부(126)는 수평바(122)의 전단에 구비되며, 후단에서 전단으로 내리막을 형성하는 경사면(127)을 포함하고, 후단은 수평바(122)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물체를 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126)의 후단은 물체를 더 안정적으로 걸 수 있도록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동작의 측면에서 볼 때, 수평바(122)의 일단과 타단에는 회동부(124)와 걸림부(126)가 구비되어, 걸림부(126)가 상하 동작함에 따라 회동부(124)는 회전되며 걸림부(126)의 상하 동작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자동연결수단(120)에는 걸림부(126)의 위치를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30a,130b)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30a,130b)는 인장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단을 바디프레임(110)에 결합하고 타단을 수평바(122)에 결합하여, 하방으로 이동된 걸림부(126)의 위치를 복귀시킨다.
또한, 자동연결수단(120)의 안정적인 구동을 위해 수평바(122)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탄성부재(130a,130b)가 설치될 수 있으며, 수평바(122)의 양측에는 탄성부재(130a,130b)의 결합을 위해 돌출되는 탄성부재 연결날개(132a,132b)가 구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자동연결수단(120)에는 작동시 또는 파렛트 이송작업시 걸림부(126)의 좌우요동을 방지하고 상하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부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부는 탄성부재 연결날개(132a,132b)에 고정결합되고 걸림부(126)의 상하운동방향으로 관통된 개구부를 가지는 가이드 링(134a,134b)와 가이드 링(134a,134b)에 수용되는 가이드 로드(136a,136b) 그리고 상기 가이드 로드(136a,136b)를 바디프레임(110)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로드연결부재(138a,138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걸림부(126)가 상하운동할 때 가이드 링(134a,134b)는 가이드 로드(136a,136b)를 따라 상하운동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로드(136a,136b)는 로드연결부재(138a,138b)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호를 그리면서 상하운동하는 걸림부(126)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에는 자동연결수단(120)과 파렛트(3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는 탈거수단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에 연결된 파렛트(30)를 분리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탈거수단을 작동시켜 파렛트(30)를 자동연결수단(12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된 일 실시예에서, 탈거수단은 블레이드(140), 힌지결합부(142), 와이어 연결부(144), 탈거롤러(1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40)는 자동연결수단(120)의 상단에 접촉하고, 상하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자동연결수단(120)을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블레이드(140)는 바디프레임(110) 중에서 중앙을 지나는 프레임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힌지결합되는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140)는 중앙부근에 바디프레임(110)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142)를 가지며, 상단에는 양측 블레이드(140)와 결합되며 후술할 작동와이어(150)를 연결할 수 있는 와이어 연결부(144)를 가진다.
또한, 블레이드(140)의 하단에는 양측 블레이드(140)와 결합되며 자동연결수단(120)의 수평바(122)를 누를 수 있는 탈거롤러(145)가 설치된다.
탈거롤러(145)는 수평바(122)의 길이방향으로 구를 수 있도록 설치되어, 마찰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수평바(122)에 수직하방으로 누르는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연결부(144)에 연결되는 작동와이어(150)는 블레이드(140)의 일단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40)를 회동시킬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된 일 실시예에서, 작동와이어(150)는 블레이드(140)의 상단에 구비된 와이어 연결부(144)에 고정되고, 바디프레임(110)의 앞부분에 구비되는 도르레(160)를 거쳐 차량(10)로 이어진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의 후미에는 작동와이어(150)가 통과할 수 있는 와이어 홀(152)이 구비될 수 있다.
작동와이어(150)는 와이어 홀(152)을 통과하여 차량(10)의 내부를 지나 후술할 탈거레버(300)에 연결된다. 사용자는 작동와이어(150)를 당겨서 탈거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바디프레임(110)의 앞부분에는 도르레(160)를 블레이드(140)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하는 도르레 지지부(165)가 구비될 수 있고, 도르레(160)는 도르레 지지부(165)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에는 자동연결수단(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부(17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170)는 바디프레임(110)에 결합되며, 수평바(122)가 무한히 하강하지 않도록 수평바(122)의 하단부를 잡아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자동연결수단(120)은 이상 작동시 바디프레임(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으며, 장치가 허용할 수 있는 눌림 동작의 한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탄성부재(130a,130b)의 작동 이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개시된 일 실시예에서, 바디프레임(110)은 차량 결합부(115)를 이용하여 차량(10)의 후미에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차량 결합부(115)는 차량(10)의 바닥면에 수직한 회전축을 가지는 힌지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10)는 커브에서 파렛트(30)를 더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에는 바디프레임(110)을 차량(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복귀시키는 일렬유지부재(180a,180b)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렬유지부재(180a,180b)는 커브에서 차량(10)로부터 틀어진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를 차량(10)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복귀시켜 파렛트(30)를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렬유지부재(180a,180b)는 지지프레임(112)의 좌우측단 각각과 차량(10) 몸체에 연결되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일렬유지부재(180a,180b)는 지지프레임(112) 및 차량(10)의 몸체에 직접연결되지 않고 연결고리(182)를 거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급격한 수축시 일렬유지부재(180a,180b)에 직접적인 힘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일렬유지부재(180a,180b)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는 수동손잡이(190) 및 처짐방지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동손잡이(190)는 지지프레임(112)의 상단부로부터 차량(10)의 운전석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10)를 운전하면서 한 손으로 수동손잡이(190)를 잡고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의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차량(10)의 직후방에 있는 파렛트(30) 뿐만 아니라 약간 비스듬한 위치에 있는 파렛트(30)도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처짐방지부(200)는 차량(10)의 후미에 힌지결합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가 그 자중으로 인해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다시 말해, 처짐방지부(200)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와 차량(10) 간에 힌지결합된 차량 결합부(115)가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 전체의 무게를 지탱함으로써 장치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 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처짐방지부(200)는 차량(10)의 본체 후미부분에 고정되고, 말단에 처짐방지 체인(210a,210b)을 결합한다.
처짐방지 체인(210a,210b)은 지지프레임(112)과 처짐방지부(200)에 고정 결합되어, 처짐방지부(200)가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둘을 연결한다.
그리고, 여기서 처짐방지 체인(210a,210b)과 처짐방지부(200)는 길이조절부재(212a,212b)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길이조절부재(212a,212b)는 턴버클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길이조절부재(212a,212b)의 길이를 조절하여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가 그 자중으로 인하여 처지는 점을 보완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프레임(110)의 앞쪽 양단에는 파렛트(30) 연결방향으로 돌출되는 파렛트 이탈방지부(220a,220b)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파렛트 이탈방지부(220a,220b)는 파렛트(30) 연결방향 즉,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의 전단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파렛트 이탈방지부(220a,220b)는 파렛트(30) 연결시 파렛트(30)의 몸체 좌우측단을 수용하여 적절한 연결위치(예를 들면, 파렛트(30)의 중간부분)에서 파렛트(30)가 자동연결수단(1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돕고, 이송시 파렛트(30)가 좌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앞서 탈거수단을 설명하면서 언급한 상기 탈거레버(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의 운전석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탈거레버(300)는 작동와이어(150)에 연결되고, 작동와이어(150)를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와이어(150)는 차량(10)의 내부를 통해 탈거레버(3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운전석에 설치되는 탈거레버(300)를 당기는 간단한 작동을 통해 파렛트(30) 연결장치로부터 파렛트(30)를 탈거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의 파렛트 연결동작을 살펴본다.
여기서, 도 7의 a, b, c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가 파렛트를 연결하기까지의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내고, 도 8은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와 파렛트의 연결상태의 이해를 돕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a에서, 차량(10)의 후미에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바퀴를 구비한 이동형 파렛트(30)가 차량(10)의 후방에 정지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송할 파렛트(30)를 연결하기 위해, 차량(10)를 파렛트(30) 방향으로 후진시킨다.
도 7b에서, 차량(10)가 후진하여 자동연결수단(120)에 있는 걸림부(126)의 경사면(127)에 프레임의 단턱(32)이 닿으면, 걸림부(126)는 단턱(32)에 대해 슬라이딩하며 하방으로 눌린다. 이때, 탄성부재(130a,130b)는 인장된다.
도 7c에서, 차량(10)가 계속 후진하여 걸림부(126)가 단턱(32)을 지나면, 인장되어 있던 탄성부재(130a,130b)는 걸림부(126)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이로 인해 걸림부(126)는 자동으로 단턱(32)에 걸린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렛트(30)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의 바디프레임(110) 전단에 근접하여 연결된다. 또한, 파렛트 이탈방지부(220a,220b)는 파렛트(30)의 중간부분에 자동연결수단(12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파렛트(30)를 가이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의 파렛트 탈거동작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9에서, 사용자는 차량(10)의 운전석에 설치된 탈거레버(300)를 당김 작동시킨다.
탈거레버(300)에 연결된 작동와이어(150)는 차량(10)의 전방으로 당겨지고, 작동와이어(150)에 연결된 블레이드(140)는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블레이드(140)가 회전함에 따라 탈거롤러(145)는 자동연결수단(120)을 누르고, 눌림 작동으로 인해 걸림부(126)는 하강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30a,130b)는 인장되고, 하강한 걸림부(126)는 단턱(32)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사용자는 걸림부(126)와 단턱(32)이 탈거된 상태에서 차량(10)를 전진시켜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로부터 파렛트(30)를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파렛트(30)가 파렛트 자동연결장치(100)로부터 분리된 후, 사용자가 탈거레버(300)를 놓으면, 인장되어 있던 탄성부재(130a,130b)의 탄성력으로 인해 자동연결수단(120)은 원위치로 복귀되고, 복귀되는 자동연결수단(120)은 탈거롤러(145)를 밀어올려 블레이드(14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140)는 작동와이어(150)를 회전방향으로 당기고, 작동와이어(150)는 차량(10)의 후방으로 당겨져 탈거레버(3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 : 차량 30 : 파렛트
100 : 파렛트 자동연결장치 110 : 바디프레임
112 : 지지프레임 115 : 차량 결합부
120 : 자동연결수단 122 : 수평바
124 : 회동부 126 : 걸림부
127 : 경사면 130 : 탄성부재
134 : 가이드 링 136 : 가이드 로드
140 : 블레이드 145 : 탈거롤러
150 : 작동와이어 152 : 와이어 홀
160 : 도르레 165 : 도르레 지지부
170 : 이탈방지부 180 : 일렬유지부재
190 : 수동손잡이 200 : 처짐방지부
210 : 처짐방지 체인 212 : 턴버클
220 : 파렛트 이탈방지부 300 : 탈거레버

Claims (9)

  1. 바디프레임; 및
    상기 바디프레임에 설치되며, 연결대상 파렛트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눌린 후 연결대상 파렛트에 있는 프레임의 단턱을 지나 자동으로 복귀되면서 파렛트를 연결할 수 있는 자동연결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연결수단은 상하로 회동되도록 상기 바디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회동부;와 단부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향돌출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피연결 프레임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회전되며 상기 걸림부의 상하 동작을 지지하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연결수단은,
    상기 걸림부의 위치를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연결대상 파렛트 방향으로 이동될수록 상기 경사면을 따라 파렛트의 하단에 있는 피연결 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하여 눌리는 상기 자동연결수단을 자동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연결수단과 파렛트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는 탈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수단은,
    상기 자동연결수단의 상단에 접촉하고, 상하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자동연결수단을 누르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회동시킬 수 있는 작동와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수단은,
    상기 작동와이어에 연결되는 탈거레버;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은 화물운송용 차량의 후미에 결합되고,
    상기 자동연결수단은 구동바퀴를 구비한 이동형 파렛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은 차량의 후미에 좌우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바디프레임을 차량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복귀시키는 일렬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연결수단에는,
    상기 걸림부의 좌우요동을 방지하고 상하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 자동연결장치.
KR1020110100819A 2011-10-04 2011-10-04 파렛트 자동연결장치 KR101315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819A KR101315289B1 (ko) 2011-10-04 2011-10-04 파렛트 자동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819A KR101315289B1 (ko) 2011-10-04 2011-10-04 파렛트 자동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622A KR20130036622A (ko) 2013-04-12
KR101315289B1 true KR101315289B1 (ko) 2013-10-10

Family

ID=4843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819A KR101315289B1 (ko) 2011-10-04 2011-10-04 파렛트 자동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2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12552A (ko) * 2023-01-12 2024-07-1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팔레트 견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9521A (ja) 2003-10-17 2005-05-12 Hiroshi Nishio 搬送台車
US20100096203A1 (en) 2008-10-17 2010-04-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le docking assistance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9521A (ja) 2003-10-17 2005-05-12 Hiroshi Nishio 搬送台車
US20100096203A1 (en) 2008-10-17 2010-04-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le docking assistance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12552A (ko) * 2023-01-12 2024-07-1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팔레트 견인 장치
KR102703206B1 (ko) * 2023-01-12 2024-09-05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팔레트 견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622A (ko) 201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5269B1 (en) Cable support block
CN109160273B (zh) 无动力分垛装置
KR101315289B1 (ko) 파렛트 자동연결장치
CN210024463U (zh) 多车型夹具切换设备
JP2007015426A (ja) 車輌の軸梁脱着装置。
CN117613763A (zh) 输电架空电路检修运输及救援设备
CN108967372B (zh) 一种蟹笼钩及自动脱钩回收装置
KR102005705B1 (ko) 가스통 운반기구
WO2014151343A2 (en) Apparatus for infill extraction and collection
JP2007131388A (ja) 昇降装置用落下防止装置
CN211166929U (zh) 一种用于地拖链输送系统的台车自动插拔机构
KR20200003142A (ko) 짐 보유 지지용의 핸드부 및 어시스트 기구
KR100981376B1 (ko) 차량견인장치
MX2011000038A (es) Sistema de enlonado para remolques de plataforma.
KR20200002158U (ko) 화물용 아대 집게
KR20120038894A (ko) 체어리프트용 체어
CN114284928A (zh) 悬挂小车及具有其的检测装置
JP5283163B2 (ja) トロリ線用検電接地装置
CN118408177B (zh) 高空警示装置、安装方法及拆卸方法
CN212314727U (zh) 一种地拖链线体小车的推头结构
CN218703268U (zh) 一种电缆槽搬运装置
KR20120023484A (ko) 유지보수용 신호등 착탈견인장치
CN215706573U (zh) 省力油桶搬运装置
CN114104639B (zh) 一种缆绳的搬运置放装置
CN114194406B (zh) 一种无人机搭载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