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763A - 혈액 필터 - Google Patents

혈액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763A
KR20120033763A KR1020100095462A KR20100095462A KR20120033763A KR 20120033763 A KR20120033763 A KR 20120033763A KR 1020100095462 A KR1020100095462 A KR 1020100095462A KR 20100095462 A KR20100095462 A KR 20100095462A KR 20120033763 A KR20120033763 A KR 20120033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nonwoven fabric
filter
woven fabric
blood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165B1 (ko
Inventor
이민호
조경제
최진환
김진일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5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165B1/ko
Publication of KR20120033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7Degassing devices; Buffer reservoirs; Drip chambers; Blood filters
    • A61M1/3633Blood component filters, e.g. leukocyt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07Regulation parameters
    • A61M1/360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lood, e.g. haematocrit, ur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61M2005/1655Filter with fibers, e.g. filtering element in form of hollow fi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13Blood
    • A61M2202/0439White blood cells; Leuc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33Fibre dia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과 최적의 친화성을 가짐으로써 단시간 내에 다량의 혈액을 처리할 수 있고 최적의 섬유 직경, 공경 및 밀도를 가짐에 따라 백혈구 제거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적혈구 회수율도 우수하기 때문에 백혈구 제거용 필터에 사용할 수 있는 혈액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혈액 필터는, 63 내지 120 dyne/㎝의 CWST; 15 내지 30 ㎛의 최대 공경; 7 내지 15 ㎛의 평균 공경; 및 0.10 내지 0.17 g/㎣의 적층 밀도를 갖는 부직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혈액 필터{Blood Filter}
본 발명은 혈액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백혈구를 제거하기 위한 혈액 필터에 관한 것이다.
백혈구가 포함된 혈액 또는 적혈구 농축 제제를 수혈받을 경우, 두통, 구토, 오한, 발열, 바이러스 감염, 동종항원 감작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예방하고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혈액 중에 백혈구를 충분히 제거할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백혈구를 포함하는 혈액으로부터 백혈구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혈액을 고 회전에 의해 분리하는 원심분리법과, 혈액을 필터에 걸러 백혈구를 필터에 흡착시켜 제거하는 필터법 및 혈액에 텍스트란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분리된 백혈구층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텍스트란법 등이 있다. 이 중 백혈구 제거성능이 우수하고 조작이 용이하며 비용이 저렴한 필터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필터법에 사용되는 혈액 필터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기재를 사용하는데, 기공 형성 정도를 나타내는 공극률이 높고 기공의 크기를 나타내는 공경이 미세하며 제조가 비교적 용이한 부직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혈액 필터는 다양한 요구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첫째, 혈액 필터는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단시간 내에 다량의 혈액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혈액 필터는 상술한 부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높은 백혈구 제거율을 가져야 한다. 셋째, 혈액 필터는 혈액 중의 다른 유용한 성분, 예를 들어 적혈구를 손상시키지않고 원활하게 통과시켜야 한다.
종래 백혈구의 제거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높은 혈액 친화력과 작은 공경 및 높은 적층 밀도를 갖는 혈액 필터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혈액 필터는 높은 적혈구 손상률과 낮은 적혈구 회수율을 가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백혈구 제거 성능과 적혈구 회수율을 모두 만족시키는 혈액 필터에 대한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혈액과 최적의 친화성을 가짐으로써 단시간 내에 다량의 혈액을 처리할 수 있고 최적의 섬유 직경, 기공 공경 및 적층 밀도를 가짐에 따라 백혈구 제거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적혈구 회수율도 우수하기 때문에 백혈구 제거용 필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혈액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63 내지 120 dyne/㎝의 CWST; 15 내지 30 ㎛의 최대 공경; 7 내지 15 ㎛의 평균 공경; 및 0.10 내지 0.17 g/㎣의 적층 밀도를 갖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혈액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혈액 필터는 최적의 CWST를 가짐에 따라 적혈구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다량의 혈액을 단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혈액 필터는 최적의 섬유 직경, 기공의 공경 및 적층 밀도를 가짐에 따라 백혈구 제거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적혈구 회수율도 높은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혈액 필터는 백혈구 제거 필터 장치에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드는 변경 및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필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혈액 필터는 부직포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부직포는 작은 직경의 단섬유들이 분산되어 공극을 형성하고 상기 단섬유들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서로 얽혀 3 차원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섬유들이 3 차원 구조를 이루고 있는 부직포는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여과 효율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부직포는 15 내지 30 ㎛의 최대 공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직포는 20 내지 25 ㎛의 최대 공경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의 최대 공경을 갖는 부직포는 백혈구만을 선택적으로 흡착하고 적혈구, 혈소판 등은 원활하게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부직포는 7 내지 15 ㎛의 평균 공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직포는 8 내지 12 ㎛의 평균 공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부직포는 백혈구만을 선택적으로 흡착 및 제거하기 위해 상기 범위의 평균 공격을 갖는다. 만일, 상기 부직포의 평균 공경이 7 ㎛ 미만일 경우 6 내지 8 ㎛의 크기를 갖는 적혈구가 필터를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고 압력 손실이 높아져 혈액의 통과 속도가 저하되어 혈액이 응고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부직포의 평균 공경이 15 ㎛를 초과할 경우 12 내지 15 ㎛의 크기를 갖는 백혈구가 필터를 용이하게 통과함으로써 백혈구 제거율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0.10 내지 0.17 g/㎣의 적층 밀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직포는 0.11 내지 0.15 g/㎣의 적층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층 밀도는 혈액 필터의 케이스의 전체 체적 대비 필터를 구성하는 전체 부직포의 질량으로 정량화하여 나타낸다. 만일 상기 부직포의 밀도가 0.10 g/㎣ 미만일 경우 백혈구가 용이하게 필터를 통과할 수 있어 업계에서 요구되는 정도의 백혈구 제거율을 가질 수 없고, 특히 필터와 케이스와의 유격이 발생됨에 따라 여과되지 않은 혈액이 필터를 통과하게 되어 적혈구 회수율 및 백혈구 제거율이 일정한 값을 나타내지 못하고 즉, 성능이 심한 편차를 가질 수 있다. 반면 상기 부직포의 밀도가 0.17 g/㎣를 초과할 경우 인접한 부직포 사이의 공간이 5 ㎛ 미만으로 조밀해져 적혈구가 부직포 사이를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함에 따라 적혈구 회수율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1 내지 3 ㎛의 평균 직경을 갖는 단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부직포는 백혈구 제거 성능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상기 범위의 평균 직경을 갖는 단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상기 단섬유의 평균 직경이 1 ㎛ 미만일 경우 혈액을 여과할 때 압력 손실이 너무 높아지기 때문에 실용성이 떨어지고, 반면 상기 단섬유의 평균 직경이 3 ㎛를 초과할 경우 백혈구와 단섬유들과의 접촉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에 백혈구 제거율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상기 직경에 대한 변동계수(CV%)가 30 % 이하인 단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직포는 균일한 직경을 갖는 단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필터 전체에 걸쳐 균일한 혈액 흐름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처리 효율이 우수하고 일정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변동계수는 단섬유들의 직경에 대한 표준 편차를 산술 평균으로 나누어서 구한다.
이러한, 균일한 직경의 세섬도를 갖는 단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해서, 260 내지 320 ℃의 방사 온도 및 0.7 내지 1.5 ㎏f/㎠의 공기 압력으로 설정된 조건에서 멜트 블로운 공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멜트 블로운 공정은 280 내지 300 ℃의 방사 온도, 0.8 내지 1.1 ㎏f/㎠의 공기압력으로 설정된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방사 온도가 260 ℃ 미만일 경우 방사 온도가 너무 낮아 생성된 섬유들이 충분히 연신되지 못함에 따라 3.0 ㎛ 이하의 세섬도를 갖는 단섬유를 얻을 수 없고, 컬렉터 상에서 적층된 상기 단섬유들 간의 결합력이 약해지고 이에 따라 원활한 필터 성능을 얻기가 곤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방사 온도가 320 ℃를 초과할 경우 고도한 온도로 인해 컬렉터 상에서 적층된 단섬유들 간의 결합력이 너무 강해지고 이에 따라 적정 공경을 형성할 수 없고 종이와 같은 질감이 발생할 수 있어 후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압력이 0.7 ㎏f/㎠ 미만일 경우 섬유가 충분히 연신되지 못함에 따라 3.0 ㎛ 이하의 세섬도를 갖는 단섬유를 얻을 수 없고, 반면 상기 공기 압력이 1.5 ㎏f/㎠를 초과할 경우 섬유들이 날리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균일한 형상의 부직포를 얻기가 곤란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10 내지 50 g/㎡의 중량을 가질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 g/㎡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는 0.1 내지 0.25 ㎜의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2 내지 0.18 ㎜의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중량 및 평균 두께를 갖는 부직포는 방사 온도, 공기 압력 및 방사 구금과 컬렉터 간의 간격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제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63 내지 120 dyne/㎝의 임계습윤표면장력(Critical Wetting Surface Tension, 이하 CWST라 한다)을 가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직포는 80 내지 120 dyne/㎝의 CWST를 가질 수 있다.
상기 CWST는 표면 장력이 2 내지 4 dyne/㎝(mN/m) 내에서 변하는 일련의 액체를 방울의 형태로 시료 표면에 떨어뜨린 후 각각의 액체 방울을 관찰하여 흡수되는 방울과 흡수되지 않은 방울을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dyne/㎝의 단위를 사용하는 CWST는 흡수된 액체의 표면 장력과 흡수되지 않은 액체의 표면 장력과의 평균치로서 규정된다. 만일 필터의 CWST 보다 더 낮은 표면 장력을 갖는 액체는 필터에 접촉시 자발적으로 필터를 적시게 된다. 예를 들어, 표면 장력이 72 dyne/㎝인 물다 더 낮은 CST를 갖는 필터는 물과 접촉시 적셔지지 않는다. 따라서, 필터의 CWST는 친수성의 척도로서 여겨질 수 있고, 상기 CWST가 높을수록 필터의 친수성도 높아진다.
이러한 필터의 CWST는 적절한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즉, 혈액과의 친화력이 너무 약할 경우 혈액 처리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실용적이지 못하고, 반면 혈액과의 친화력이 너무 강할 경우 백혈구뿐만 아니라 적혈구 및 혈소판도 흡착하여 제거하게 된다. 만일 상기 부직포의 CWST가 63 미만일 경우 혈액과의 친화력이 너무 떨어져 혈액 처리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림에 따라 혈액이 응고될 수 있고 혈액이 필터 기공을 통과할 때 적혈구와 섬유와의 충돌이 증가함으로써 적혈구의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LDH(Lactate Dehydrogenas) 수치가 상승함에 따라 적혈구 수명이 급격히 단축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부직포의 CWST가 120을 초과할 경우 적혈구 및 혈소판을 흡착함에 따라 업계에서 요구되는 수준의 성분을 갖는 혈액 제제를 얻을 수 없다.
상기 부직포는 셀룰로오스와 같은 천연 섬유 또는 열가소성 섬유 등 다양한 재료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섬유를 이용할 수 있는데, 상기 열가소성 섬유는 용융 방사 방법을 통해 비교적 균일한 물성을 갖는 용이하고 저렴하게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는 가격이 저렴하고 제조가 용이하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는 내열성이 우수함에 따라 열을 이용한 멸균 공정 중 기공 물성 등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수 회 재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부직포는 친수성이 떨어짐에 따라 상술한 범위의 CWST를 가질 수 없다. 이에 따라 친수성이 떨어지는 부직포는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상술한 범위의 CWST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직포는 친수성을 갖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은 비이온성 친수기를 갖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친수기를 갖는 고분자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을 수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제조된 부직포는 10 ppm 이하의 삼산화 안티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삼산화 안티몬은 발암 추정 물질이며 피부 질환 등을 일으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한 부직포는 10 ppm 이하의 삼산화 안티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인체에 무해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한 부직포를 얻기 위해 상기 부직포는 게르마늄 또는 티타늄 촉매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한 부직포는 게르마늄 또는 티타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혈액 필터는 98 % 이상의 우수한 백혈구 제거율 및 85 % 이상의 적혈구 회수율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혈액 필터는 우수한 백혈구 제거율과 적혈구 회수율이 요구되는 수혈 및 헌혈 시 혈액 정화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으로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게르마늄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고유 점도가 0.52이고 용융 온도가 257 ℃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용융시켜 방사액을 제조하고 이러한 방사액을 통상적인 멜트 블로운 부직포 제조장치에서 공기압력, 토출량, 토출 거리, 및 컬렉터의 속도를 조절하여 2 ㎛의 평균 직경을 갖고 12 %의 변동계수를 갖는 단섬유로 이루어지며, 30 g/㎡의 중량 및 0.15 ㎜의 평균 두께를 갖는 멜트 블로운 웹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웹에 시중에 시판 중인 혈액 친화제를 처리하여 표 1과 같은 물성을 갖는 부직포를 얻었다.
이어서, 상기 부직포의 여과 면적이 62 ㎠이 되도록 절단하고, 절단된 부직포 여러 장을 적층하여 0.119 g/㎣의 적층 밀도를 갖는 적층 부직포를 얻었다.
이어서, 상기 적층 부직포를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필터 케이스에 삽입 후 혈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를 밀봉하여 혈액 필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상기 적층 부직포의 적층 밀도를 0.137 g/㎣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혈액 필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상기 멜트 블로운 웹 제조 조건을 조절하여 최대 공경이 12.6 ㎛, 평균 공경이 6.9 ㎛인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혈액 필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상기 혈액 친화제의 농도를 부착량을 조절하여 CWST가 65인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혈액 필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2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상기 적층 부직포의 적층 밀도를 각각 0.09 및 0.174 g/㎣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혈액 필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상기 혈액 친화제의 농도를 부착량을 조절하여 CWST가 55인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혈액 필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들에 의해 제조된 혈액 필터들의 물성은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혈액 필터의 백혈구 제거율 및 적혈구 회수율
실시예 및 비교예 들에 의해 제조된 혈액 필터를 높이 2.0 m의 스탠드에 설치하여 전혈이 통과되는 튜브에 직접 연결하여 혈액을 여과한 후, 여과 전후의 혈액을 15 cc 정도 채취하여 자동화 혈구 계측 장치(Multicolor Flow Cyometric Method)를 사용하여 혈구의 수량을 정형적으로 측정하여 혈액 필터의 백혈구 제거율 및 적혈구 회수율을 얻었다. 상기 자동화 혈구 계측 장치는 아래 표 1의 조건에서 혈액 필터의 백혈구 제거율 및 적혈구 회수율을 측정하였다.
구 분 Auto CBC Reference
RBC Counter 3.80~6.5M/㎕
WBC Counter 4.0~11.0K/㎕
WBC differential counter Lym-: 20~45%, Neutro- : 40~75%
Hemoglobin(Hb) 11.5~18g/dL
Hematocrit(Hct) 37.0~50.0%
Platelet 150~400K/㎕
섬유의 평균 직경 (㎛) 및 변동계수( CV %)
혈액 필터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 직경 및 변동계수는 전자주사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모델명) 및 이미지 분석기(Image-Pro Plus의 소프트웨어에 JVC Digital Camera KY-F70B를 사용)를 이용하여 섬유 직경들을 측정하고 측정된 직경들의 수치를 이용하여 섬유의 평균 직경 및 변동계수를 구하였다. 이때, 20개 이상의 측정시료를 채취한 후 측정하여 섬유의 평균 직경 및 변동계수를 구하였다.
변동계수(CV%) = 표준 편차/산술 평균
부직포의 평균 공경(㎛) 및 최대 공경(㎛)
혈액 필터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평균 공경(㎛) 및 최대 공경은 전자현미경 이미지 분석기(모델명: JSM6700F, 제조사: JEOL, 측정 배율: 1.0K)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부직포의 최대 공경은 측정된 공경 중에 가장 큰 크기를 갖는 것으로부터 구하였고, 평균 공경은 전자현미경 이미지 분석을 통해 이미지를 얻고 이러한 이미지 중 공극 부분, 즉 전자현미경 이미지에서 블랙으로 인식된 부분의 면적인 A를 얻고, 이러한 A와 전자현미경 이미지에서 블랙으로 인식된 부분 중 이미지상의 결점이나 그림자가 아니라 일정 면적 이상을 나타내어 실제 공극으로 볼 수 있는 블랙 이미지 조각의 개수인 유효 공극의 개수 B를 이용하여 셀 밀도를 얻고, 상기 셀 밀도와 상수를 이용하여 아래의 식에 의해 얻을 수 있었다.
상수 = 원료 고분자의 밀도/부직포의 밀도
셀 밀도 = (B/A×100)3/2×109×상수
평균 공경 = [(상수-1)×6/(π×셀 밀도)]1/3×104
부직포의 CWST ( dynes /㎝)
혈액 필터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CWST는 각각 2?4 dynes/㎝의 표면장력을 갖는 일련의 액체를 상기 부직포의 표면에 적용하여 10 분이 지난 후 각 액체가 부직포 표면에 흡수 또는 흡수되지 않았는지를 관찰하고, 흡수된 액체의 표면 장력과 그에 이웃한 흡수되지 않은 액체의 표면 장력과의 평균치로부터 구하였다.
혈액 필터의 성능
실시예 및 비교예 들에 의해 제조된 혈액 필터의 성능은 처리시간, 백혈구 제거율, 적혈구 생존 정도 등을 모두 고려하여 4가지(◎ : 매우 양호, ○ : 양호, △ : 보통, × : 불량)로 평가하여 얻어졌다.
구분 CWST(dynes/㎝) 최대공경(㎛) 평균공경(㎛) 적층밀도(g/㎣) 적혈구회수율(%) 백혈구제거율(%) 혈액필터 성능
실시예 1 110 19.2 10.1 0.119 91.0 99.3
실시예 2 110 19.2 10.1 0.137 91.6 99.9
실시예 3 113 12.6 6.9 0.119 87.9 99.0
실시예 4 65 19.2 10.1 0.119 89.1 98.4
비교예 1 109 19.2 10.1 0.09 86.4 58.8 ×
비교예 2 108 19.2 10.1 0.174 79.9 87.9
비교예 3 55 19.2 10.1 0.119 80.0 86.6

Claims (5)

  1. 63 내지 120 dyne/㎝의 CWST;
    15 내지 30 ㎛의 최대 공경;
    7 내지 15 ㎛의 평균 공경; 및
    0.10 내지 0.17 g/㎣의 적층 밀도를 갖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혈액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1 내지 5 ㎛의 평균 직경과 30 % 이하의 직경 변동계수(CV%)를 갖는 단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10 ppm 이하의 삼산화 안티몬(Sb2O3)을 포함하는 혈액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혈액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필터는 98 % 이상의 백혈구 제거율 및 85 % 이상의 적혈구 회수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필터.
KR1020100095462A 2010-09-30 2010-09-30 혈액 필터 KR101441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462A KR101441165B1 (ko) 2010-09-30 2010-09-30 혈액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462A KR101441165B1 (ko) 2010-09-30 2010-09-30 혈액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763A true KR20120033763A (ko) 2012-04-09
KR101441165B1 KR101441165B1 (ko) 2014-09-19

Family

ID=46136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462A KR101441165B1 (ko) 2010-09-30 2010-09-30 혈액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1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188A (ko) * 2015-08-27 2017-03-08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을 포함하는 혈액필터용 부직포 웹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6745B (zh) 2014-12-30 2019-11-01 可隆工业株式会社 血液过滤器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592B2 (ja) * 1985-04-04 1994-03-30 東レ株式会社 医療用具用コ−テイング材
KR950010429B1 (ko) * 1989-09-12 1995-09-18 폴 코오포레이션 사람 수혈용 혈액처리장치 및 방법
CN1253233C (zh) * 2001-01-29 2006-04-26 旭医学株式会社 血液处理用过滤器及其制备方法
ITTO20020736A1 (it) * 2002-08-21 2004-02-22 Fresenius Hemocare Italia Srl Filtro per leucociti e suo impiego per l'impoverimento di prodotti del sangue da leucocit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188A (ko) * 2015-08-27 2017-03-08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을 포함하는 혈액필터용 부직포 웹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165B1 (ko) 2014-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8165A (en) Method for removing leukocytes and a filter system for removing the same
KR100876819B1 (ko) 백혈구 제거 방법
US7524425B2 (en) Filter for the removal of substances from blood products
KR20010020506A (ko) 백혈구 제거 필터재
US10478537B2 (en) Cell separation filter material and filter obtained by layering same
KR102060642B1 (ko) 혈액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6930A (ko) 복합 섬유를 포함하는 흡착 담체
EP3311857B1 (en) Blood-processing filter
KR101441165B1 (ko) 혈액 필터
KR101866571B1 (ko) 생분해성 부직포 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혈액 필터
Pourbaghi et al. Evaluation of polyacrylonitrile electrospun nano‐fibrous mats as leukocyte removal filter media
JP4384823B2 (ja) 白血球除去フィルター装置及び白血球除去方法
KR101624146B1 (ko) 혈액 필터용 여재 제조 방법
KR101361452B1 (ko) 혈액필터용 부직포 웹 및 그 제조방법
KR101452866B1 (ko) 백혈구 제거필터용 밀봉재
JP7019054B2 (ja) 血液処理フィルター及び血液処理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JP2009195443A (ja) 炎症性疾患処置用の血液成分処理カラム
JP2001347116A (ja) 白血球除去フィルター装置
KR20170077666A (ko) 혈액필터용 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혈액필터
KR101725814B1 (ko) 폴리케톤을 포함하는 혈액필터용 부직포 웹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2701A (ko) 혈장분리 혈액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1198215A (ja) 白血球選択除去フィルター
KR20180036310A (ko) 채혈된 혈액으로부터 백혈구를 제거하는 방법
KR20170003082A (ko) 혈액 필터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