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534A -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534A
KR20120033534A KR1020100095097A KR20100095097A KR20120033534A KR 20120033534 A KR20120033534 A KR 20120033534A KR 1020100095097 A KR1020100095097 A KR 1020100095097A KR 20100095097 A KR20100095097 A KR 20100095097A KR 20120033534 A KR20120033534 A KR 20120033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solution
red sea
acid
basic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영
조문제
박태균
임희경
고형범
윤원종
김길남
함영민
김동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100095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3534A/ko
Publication of KR2012003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21/00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 C12P21/06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produced by the hydrolysis of a peptide bond, e.g. hydrolysate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30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precipitation
    • C07K1/303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precipitation by salting ou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8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or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2Cysteine endopeptidases (3.4.22)
    • C12Y304/22002Papain (3.4.22.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3Aspartic endopeptidases (3.4.23)
    • C12Y304/23001Pepsin A (3.4.23.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은 (a) 비콜라겐성 단백질의 제거를 위하여 수세한 홍해삼에 염기성 용액을 처리하는 단계, (b) 염기성 용액 처리 후 원심분리하여 알칼리 처리 잔사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수득한 알칼리 처리 잔사에 대하여 산성 용액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Method for Isolating Collagen from Sea Cucumber}
본 발명은 홍해삼으로부터 콜라겐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은 생체 단백질 총중량의 30%를 차지하고, 최소 19종(type Ⅰ-ⅩⅨ) 이상인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주요 구성 아미노산은 글리신?프롤린?하이드록시프롤린?알라닌?글루탐산 등이며, 그 중에서도 다른 단백질에 존재하지 않는 하이드록시프롤린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Meat Science . 64:43-50, 2003).
콜라겐은 피부, 뼈, 연골, 혈관 등을 형성하는 주요 섬유성 단백질이며, 조직이나 장기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 세포 접착의 지탱 등의 역할을 한다(Ann N Y Acad Sci. 1990;580:8-16).
콜라겐은 2중 나선구조를 하고 있는 근원섬유단백질과는 달리 3중 나선구조로, 그 직경이 약 14~15 nm, 길이는 280~300 nm, 평균 분자량은 약 300 KDa이며(Lehninger, A.L. Biochemistry, 2nd ed., pp.145, 1975), (Gly-X-Y)n과 같은 규칙적인 형태의 아미노산 배열을 가지며 섬유상 단백질의 기본단위 분자인 트로포콜라겐(tropocollagen) 분자 내 또는 트로포콜라겐(tropocollagen) 분자 간의 공유결합성 교차결합 (crosslinking)에 의해 물리적, 생물학적으로 안정한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2(7):121-124, 1971).
콜라겐은 혈소판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혈소판을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지혈 효과가 있으며, 화상이나 상처에 의해 손상된 피부의 치유 효과도 보고되어 있다(Journal of Pharmacy & Pharmacology, 43:60-62, 1991). 또한 콜라겐은 진피층의 90% 이상을 구성하고 있어 피부 탄력 및 피부 보습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Arch Dermatol. 1989;125(8):1150; J. Inv . Der ., 98; 248-254, 1992).
콜라겐을 분리하는 방법은 1950년대 이후 많이 알려져 있으나, 여전히 다양한 생물체, 다양한 동물 조직로부터의 분리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홍해삼으로부터 콜라겐을 분리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홍해삼으로부터 콜라겐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의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은 (a) 비콜라겐성 단백질의 제거를 위하여 수세한 홍해삼에 염기성 용액(알칼리 용액)을 처리하는 단계, (b) 염기성 용액 처리 후 원심분리하여 염기성 용액 처리 잔사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수득한 염기성 용액 처리 잔사에 대하여 산성 용액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콜라겐"은 산 가용성 및/또는 프로테아제 가용성 콜라겐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타입 Ⅰ 콜라겐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홍해삼"은 학명이 Stichopus japonicus Orange인 해삼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체색(體色)이 적색에 황갈색 또는 암적갈색의 반문이 있고 복부는 적색이며, 폴리씨낭(Polian vesicle)이 가늘고 길며 선단이 뾰족하고, 수축성이 심해서 체형이 구형 비슷하며, 알에 두께 25㎛ 내외의 젤라틴 피물을 가진 해삼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염기성 용액은 제한적이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Ca(OH)2), 수산화마그네슘(Mg(OH)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염기성 용액이다. 염기성 용액의 처리 농도는 0.01, 0.05, 0.1, 0.5, 0.75, 1.0, 1.5, 2.0, 2.5N 이상일 수 있으며, 처리 시간은 12, 24, 36, 48, 72 시간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염기성 용액의 처리는 당업자의 판단 또는 필요에 따라 1~3회 수행될 수 있으며, 교반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교반(stirring)의 바람직한 조건은 100 내지 250 rpm의 범위 내이다.
또 본 발명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에 있어서, 산성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유기산 용액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연산, 아세트산, 아스콜빈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산성 용액이다. 상기 염기성 용액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산성 용액의 처리 농도도 0.01, 0.05, 0.1, 0.5, 0.75, 1.0, 1.5, 2.0, 2.5N 이상일 수 있으며, 처리 시간도 12, 24, 36, 48, 72 시간 이상일 수 있다. 또 처리 횟수도 당업자의 판단 또는 필요에 따라 1~3회 수행될 수 있으며, 교반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교반(stirring)의 바람직한 조건은 상기 염기성 용액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100 내지 250 rpm의 범위 내이다.
또 본 발명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프로테아제를 산성 용액과 함께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될 수 있는 프로테아제는 펩신, 파파인, 트립신, 엘라스티나제 등이며, 펩신 또는 파파인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프로테아제의 처리는 시료의 중량 대비 1 내지 6%(w/w)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처리 시간은 24, 36, 48, 60, 72 시간 이상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에 있어서, 염기성 용액과 프로테아제의 처리는 아래의 실시예에서 확인되듯이(특히 <도 2> 참조), 짧은 시간으로 높은 수율의 콜라겐을 얻고자 할 때에는 염기성 용액은 24시간 또는 그 이상, 프로테아제는 48시간 또는 그 이상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높은 수율로 콜라겐을 얻고자 할 때에는 염기성 용액을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프로테아제를 72시간 동안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첨부된 <도 2>에서 확인되듯이 염기성 용액의 24시간 또는 그 이상 처리시 프로테아제를 48시간 또는 그 이상 처리할 때 콜라겐의 수율이 모두 50%를 넘었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에 보다 정제된 형태의 콜라겐을 얻기 위하여 염석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염석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염석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염은 예를 들어 황산암모늄, 염화칼륨(KCl), 염화나트륨(NaCl) 또는 단백질의 침전에 유용한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다른 염일 수 있다. 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기술에 의해 (c) 단계 후의 시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저농도의 염을 첨가하고 고 농도의 염을 첨가하여 2단계에 걸쳐 염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저농도의 염은 0.2M 전후의 농도로, 고농도의 염은 0.8M 전후의 농도로 첨가될 수 있다.
각각의 침전물에서 콜라겐의 회수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데, 예컨대 원심분리, 여과, 재현탁, 농축 등의 방법에 의해 상등액(저농도의 염 처리시) 또는 침전물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이러한 염석 단계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반복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전에 또는 (c) 단계 후에 세섬유화(fibrilization, 피브릴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세섬유화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콜라겐의 세섬유화 기술 예컨대, 시료에 인산나트륨, 염화나트륨, EDTA, Tris-HCl 등을 처리함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또 미국 특허 제4,511,653호, 제4,582,640호, 제5,436,135호 등이 개시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에 있어서, 전술한 바의 각 단계 후에는 당업자의 판단 또는 필요에 따라 처리 용액의 세척 단계가 추가될 수 있으며, 각 처리 용액의 세척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a) 단계의 염기성 용액의 처리 후에는 원심 분리하고 그 처리 잔사를 증류수로 세척할 수 있으며, 또 염석 후의 침전물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필요에 따라(예컨대 염의 제거를 위해서) 세척될 수 있다. 세척 방법도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유기산 용액 등 산성 용액, 증류수, Na2HPO4 완충용액 등을 사용하여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에 따라 얻어진 콜라겐(이하 "본 발명의 콜라겐")은 콜라겐의 생리활성에 적합하게 화장품 조성물, 약품 조성물, 식품 조성물 등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콜라겐이 화장품 조성물로 제제화될 경우에 그 화장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또는 분말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콜라겐이 화장품 조성물로 제제화될 경우에 콜라겐 이외에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독성 이상의 독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화장품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화장품의 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이나 손)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콜라겐은 약품 조성물로도 제제화 될 수 있는데, 약품 조성물로 제제화 될 경우에 그 약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콜라겐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경구용 제형(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 비경구형 제형(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국소형 제형(크림, 로션, 연고(반고형의 외용약), 마이크로로에멀젼, 젤, 페이스트, 경피제제(TTS)(예컨대 패치제, 붕대 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약품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약품 조성물이 수성 현탁제로 제조될 경우에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액으로 제조되는 경우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콜라겐을 함유하는 약품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국소적으로도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콜라겐은 식품 조성물로도 제제화될 수 있다.
식품 조성물로 제제화될 경우에 콜라겐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제화할 경우 본 발명의 콜라겐은 콜라겐 사용 목적, 제형 등에 따라 임의의 농도로 그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어떠한 농도로 포함되어야 하는가의 결정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 속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홍해삼으로부터 콜라겐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콜라겐은 그것의 생리활성에 적합하게 화장품, 약품, 식품 등으로 제제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홍해삼으로부터의 산 또는 펩신 가용성 콜라겐의 분리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염기성 용액(NaOH)의 처리 시간별 프로테아제(펩신) 처리 시간에 따른 콜라겐의 분리 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홍해삼으로부터 분리한 콜라겐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는 전기영동 결과이다.
도 4 내지 6은 홍해삼으로부터 분리한 콜라겐의 창상 치유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홍해삼으로부터 산 가용성 콜라겐의 분리
콜라겐 추출을 위하여 5배의 냉수로 홍해삼을 잘 씻은 후, 시료의 10배 (v/v)에 해당하는 disaggregating solution(0.5M NaCl, 50mM EDTA, 0.2M β-mercaptoethanol, 0.1M Tris-HCl(pH 8.0))을 이용하여 균질화 한 후 3일 동안 4℃에서 stirring하면서 collagen fibril을 조성하였다. 3일 후 원심분리(7500rpm, 1hr)하여 상층액과 잔사로 분리하고, 원심분리 후 수득한 잔사에 대하여 비콜라겐성 단백질의 제거와 잔존 효소의 불활성화를 위하여 잔사의 20배에 해당하는 0.1N NaOH 용액을 가하여 2일 동안 교반하면서 알칼리 처리를 하였다. 알칼리 처리 후 원심분리(7500rpm, 1hr)하여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알칼리 처리 잔사를 증류수로 세척한 후, 산 가용성 콜라겐의 제조를 위해서 잔사의 10배 (w/v)에 해당하는 0.5M 아세트산 용액을 가하여 3일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교반을 마친 시료는 원심분리(7500rpm, 1hr)하여 추출액과 잔사를 분리하고, 그 추출액에 최종 농도가 0.8M이 되도록 NaCl 용액을 가하여 염석을 하고, 원심분리(7500rpm, 1hr)하여 염석 후 생선된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침전물을 다시 0.5M 아세트산 용액에 가용화시킨 후, 염석 후의 침전물로부터 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투석막(Sigma, D9527)에 침전물을 넣고 0.02M Na2HPO4 완충용액을 가하여 투석처리하였다. 투석 처리 후 원심분리(75000rpm, 1hr)하고 침전물을 수득하고 이를 동결건조하여 산 가용성 콜라겐을 수득하였다.
산 가용성 콜라겐의 분리 공정의 개략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2> 펩신 가용성 콜라겐의 분리
콜라겐 추출을 위하여 5배의 냉수로 홍해삼을 잘 씻은 후, 시료의 10배 (v/v)에 해당하는 disaggregating solution(0.5M NaCl, 50mM EDTA, 0.2M β-mercaptoethanol, 0.1M Tris-HCl(pH 8.0))을 이용하여 균질화 한 후 3일 동안 4℃에서 stirring하면서 collagen fibril을 조성하였다. 3일 후 원심분리(7500rpm, 1hr)하여 상층액과 잔사로 분리하고, 원심분리 후 수득한 잔사에 대하여 비콜라겐성 단백질의 제거와 잔존 효소의 불활성화를 위하여 잔사의 20배에 해당하는 0.1N NaOH 용액을 가하여 2일 동안 교반하면서 알칼리 처리를 하였다. 알칼리 처리 후 원심분리(7500rpm, 1hr)하여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알칼리 처리 잔사에 대하여 펩신 가용성 콜라겐의 제조를 위해서 잔사의 10배 (w/v)에 해당하는 0.5M 아세트산 용액과 함께 잔사의 1%(w/w)에 해당하는 펩신을 가하여 12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였다. 교반을 마친 시료는 원심분리(7500rpm, 1hr)하여 추출액과 잔사를 분리하고, 그 추출액에 최종 농도가 0.8M이 되도록 NaCl 용액을 가하여 염석을 하고, 원심분리(7500rpm, 1hr)하여 염석 후 생선된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침전물을 다시 0.5M 아세트산 용액에 가용화시킨 후, 염석 후의 침전물로부터 염을 제거하기 위하여 투석막(Sigma, D9527)에 침전물을 넣고 0.02M Na2HPO4 완충용액을 가하여 투석처리하였다. 투석 처리 후 원심분리(75000rpm, 1hr)하고 침전물을 수득하고 이를 동결건조하여 펩신 가용성 콜라겐을 수득하였다.
펩신 가용성 콜라겐의 분리 공정의 함께 나타내었다.
< 실시예 3> 콜라겐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동결건조된 형태의 산 가용성 및 펩신 가용성 콜라겐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참고로 아래 [표 1]에서 <실시예 1>의 산 불용성 콜라겐은 0.5M 아세트산 용액으로 추출하여 원심분리하고 원심분리한 잔사를 동결건조하여 얻은 것이며, <실시예 2>의 펩신 불용성 콜라겐은 0.5M 아세트산 용액과 펩신을 가하여 추출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잔사를 동결건조한 것이다.
콜라겐 정량 결과
구분 콜라겐 양/해삼 100g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산 가용성 콜라겐 0.24g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산 불용성 콜라겐 2.208g
<실시예 2>에서 얻어진 펩신 가용성 콜라겐 1.92g
<실시예 2>에서 얻어진 펩신 불용성 콜라겐 0.2352g
상기 [표 1]의 결과는 콜라겐 분리에 펩신을 처리한 경우가 분리 수율이 매우 높음을 보여준다.
< 실시예 4> 콜라겐의 효율적 분리 공정 검토
<도 1>에서 확인되듯이 콜라겐 분리 과정은 적어도 10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확인되듯이 펩신을 처리할 경우가 수율이 높다. 따라서 염기성 용액(0.1N NaOH 용액) 처리 시간과 펩신 처리 시간에 따른 수율을 평가하여 콜라겐의 효율적 분리 공정을 검토하였다.
콜라겐의 분리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펩신 가용성 콜라겐을 분리하였으며, 다만 염기성 용액(0.1N NaOH 용액)의 처리 시간을 12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으로 하고, 각 염기성 용액의 처리 시간에 대해서 펩신 처리 시간을 24시간, 36시간, 48시간, 60시간 72시간으로 하였다.
콜라겐은 동결건조된 형태를 정량하였으며, 분리 수율은 펩신 가용성 콜라겐과 펩신 불용성 콜라겐 대비 펩신 가용성 콜라겐의 백분율로 하여, 그 결과를 그래프로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염기성 용액의 12시간 처리군의 경우는 전체적으로 다른 시간대의 처리군에 비해서 분리 수율이 낮아 24시간 이상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고, 펩신이 경우도 48시간 이상 처리하였을 때 염기성 용액의 12시간 처리군을 제외하고 분리 수율이 모두 50% 이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시예 5> SDS - PAGE 를 통한 콜라겐의 패턴 분석
8%의 SDS-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2×SDS gel-loading 완충용액(100 mM Tris-Cl, pH 6.8, 200 mM dithiothreitol, 4% SDS, 0.2% bromophenol blue, 20% glycerol)에 1:1로 콜라겐을 섞고 95℃에서 5분간 끓인 후 전기영동 완충용액 (25 mM Tris, 250 mM glycine pH 8.3, 0.1% SDS)이 채워진 gel에 loading 한 후 100V로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loading 순서는 molecular weight marker (Bio-rad 161-0374), 랫드 콜라겐(Rat collagen)(sigma C7661), 송아지 콜라겐(Calf collagen)(sigma C8919), 홍해삼 콜라겐 순으로 하였다. 전기영동이 끝난 gel은 Coomassie brilliant blue로 염색하였다. 0.25 g의 Coomassie brilliant blue R250을 10% acetic acid, 45% methanol 혼합용액(staining solution)에 녹인 후 덜 녹은 시약을 제거하기 위해 Whatman 1번 여과지로 거른다. Gel을 적어도 5배 부피에 해당하는 염색액에 담근 후 염색이 충분히 될 때까지 서서히 흔든다. 염색액을 제거한 후 염색약이 포함되지 않은 10% acetic acid, 45% methanol 용액(destaining solution)에 gel을 담가 두어 탈색시킨다. 탈색용액을 여러 차례 갈아 주면서 관찰하였다.
마커 단백질은 랫드(rat)(sigma C7661)와 송아지(calf) 콜라겐 type I(sigma C8919)을 사용하였다.
전기영동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랫드와 송아지 의 콜라겐 type I과 비교하였을 때 동일한 유형을 보였다. 다만 pepsin 에 의해 말단잔기가 잘리면서 사이즈가 약간 작아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type I의 α,β, γ 밴드가 전반적으로 사이즈가 약간 작게 나타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실시예 6> 홍해삼 콜라겐의 상처 치유 활성 평가
Human keratinocyte인 HaCaT 세포에 scraching을 하여 상처를 준 후 24시간 동안 배양 한 후 상처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는데, 콜라겐을 처리한 세포에서 세포이동이 빨라져 창상 치유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HaCaT 세포에 홍해삼 콜라겐과 랫드 콜라겐과 젤라틴을 처리하여 창상 치유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는데, 홍해삼 콜라겐이 창상 치유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Human keratinocyte 세포인 HaCaT에서 홍해삼 콜라겐과 랫드 콜라겐, 그리고 젤라틴을 처리하였을 때 피브로넥틴(Fibronectin)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RT-PCR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피브로넥틴은 상피재생인자 중 하나로서 창상 치유에 필수적인 매개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는데, 홍해삼 콜라겐을 처리한 경우가 피브로넥틴의 발현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도 5>의 실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Claims (8)

  1. (a) 비콜라겐성 단백질의 제거를 위하여 수세한 홍해삼에 염기성 용액을 처리하는 단계, (b) 염기성 용액 처리 후 원심분리하여 알칼리 처리 잔사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수득한 알칼리 처리 잔사에 대하여 산성 용액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용액은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Ca(OH)2), 수산화마그네슘(Mg(OH)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염기성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용액은 구연산, 아세트산, 아스콜빈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산성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프로테아제를 함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테아제는 펩신 또는 파파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에 염석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염석 단계 후에 염석 후의 침전물을 세척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얻어진 홍해삼으로부터 분리된 콜라겐.
KR1020100095097A 2010-09-30 2010-09-30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 KR20120033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097A KR20120033534A (ko) 2010-09-30 2010-09-30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097A KR20120033534A (ko) 2010-09-30 2010-09-30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667A Division KR101306960B1 (ko) 2013-04-09 2013-04-09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534A true KR20120033534A (ko) 2012-04-09

Family

ID=4613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097A KR20120033534A (ko) 2010-09-30 2010-09-30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353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9277A (zh) * 2012-11-23 2014-06-04 秦德文 一种新型功能性食品及其制备方法
CN105361153A (zh) * 2015-11-18 2016-03-02 山东省海洋资源与环境研究院 一种海参糖肽螯合钙的加工方法
CN106929555A (zh) * 2017-03-29 2017-07-07 山东圣洲海洋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海参酶解‑醇提取组分的制备方法及其制备得到的醇提取组分和应用
CN112274536A (zh) * 2020-11-05 2021-01-29 江南大学 海参粉在制备促皮肤创面愈合药物中的应用
CN113135981A (zh) * 2021-03-26 2021-07-20 大连工业大学 一种促伤口愈合海参蛋白的制备方法及应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9277A (zh) * 2012-11-23 2014-06-04 秦德文 一种新型功能性食品及其制备方法
CN105361153A (zh) * 2015-11-18 2016-03-02 山东省海洋资源与环境研究院 一种海参糖肽螯合钙的加工方法
CN106929555A (zh) * 2017-03-29 2017-07-07 山东圣洲海洋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海参酶解‑醇提取组分的制备方法及其制备得到的醇提取组分和应用
CN112274536A (zh) * 2020-11-05 2021-01-29 江南大学 海参粉在制备促皮肤创面愈合药物中的应用
CN113135981A (zh) * 2021-03-26 2021-07-20 大连工业大学 一种促伤口愈合海参蛋白的制备方法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2727B2 (ja) 皮膚の保湿性、肌理、及び外観を改善するための、植物を主成分とする調合物
JP4542300B2 (ja) ヒアルロン酸蓄積促進剤
KR20120033534A (ko)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
KR102110081B1 (ko) 복합 효소를 이용한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US10898429B2 (en) Uses of coffee pulp extract
KR102271001B1 (ko)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를 이용한 차가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7218B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315346B1 (ko) 홍해삼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제 조성물
JP6986251B2 (ja) 抗老化剤
KR101306960B1 (ko) 홍해삼으로부터의 콜라겐의 분리 방법
KR20170011035A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5261B1 (ko) 피부보습 효능 및 피부 탄력성 효능이 향상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450039A (zh) 一种温和无刺激的保湿抗衰老眼霜及其制备方法
KR101754643B1 (ko) 리포좀에 포획된 산삼 배양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8726B1 (ko) 명태껍질로부터 엘라스틴을 포함하는 단백질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KR20220156317A (ko) 녹용 유래 저분자 콜라겐의 제조 방법
KR20190048935A (ko) 적양파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적양파 흑효모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09217B1 (ko) 해파리로부터 당단백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8139B1 (ko) 녹차, 귀리 유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88761B1 (ko) 온주 밀감 미숙과 추출물을 이용한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1612386B1 (ko) 진귤 종자 가공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102447998B1 (ko) 탱자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9220B1 (ko) 두피 보호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625741B1 (ko) 카퍼, 올리브나무, 당귤 및 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