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545A - 전송 네트워크들에서 라인 레이턴시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송 네트워크들에서 라인 레이턴시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32545A KR20120032545A KR1020127002520A KR20127002520A KR20120032545A KR 20120032545 A KR20120032545 A KR 20120032545A KR 1020127002520 A KR1020127002520 A KR 1020127002520A KR 20127002520 A KR20127002520 A KR 20127002520A KR 20120032545 A KR20120032545 A KR 201200325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work node
- latency
- virtual concatenation
- line
- networ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RGNPBRKPHBKNKX-UHFFFAOYSA-N hexaflum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F)F)=C(Cl)C=C1NC(=O)NC(=O)C1=C(F)C=CC=C1F RGNPBRKPHBKN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2—Synchronisation of signals having the same nominal but fluctuating bit rates, e.g. using buffers
- H04J3/0623—Synchronous multiplexing systems, e.g.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synchronous optical network (SDH/SONET), synchronisation with a pointer proce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82—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by delay compensation, e.g. by compensation of propagation delay or variations thereof, by rang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05—Fixed allocated frame structures
- H04J3/1611—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DH] or SONET
- H04J3/1617—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DH] or SONET carrying packets or ATM cel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3—Assignment of logical groups to network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89—Multiplexing, e.g. coding, scrambling, SONET
- H04J2203/0094—Virtual Concaten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47—Synchronisation among TDM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종단으로부터 종단으로 특정한 전송 서비스의 레이턴시를 측정하기 위해, 제 1 네트워크 노드(N1)와 제 2 네트워크 노드(N2) 사이의 전송 접속의 레이턴시를 측정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수신된 가상 연접 그룹에서 멤버들 사이의 차동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 버퍼(B)와의 가상 연접 기능을 사용한다. 특히, 제 1 네트워크 노드(N1)는 멤버들로서 적어도 2개의 멀티플렉싱 유닛들(VC4_1, VC4_2)을 갖는 가상 연접 그룹을 생성한다. 2개 중 제 1 멀티플렉싱 유닛(VC4_1)은 레이턴시 측정을 위한 레퍼런스로서 사용된다. 제 2 멀티플렉싱 유닛(VC4_2)이 제 2 네트워크 노드(N2)로 전송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N1)로 루프백된다. 가상 연접 그룹의 멤버들을 재정렬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버퍼(B)를 사용함으로써, 제 1 네트워크 노드(N1)는 제 1 및 제 2 멀티플렉싱 유닛들(VC4_1, VC4_2) 사이의 레이턴시 차이를 결정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통신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송 네트워크에서 라인의 레이턴시를 측정하는 방법 및 관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턴시 요건들은 패킷 기반 서비스들에 대해 엄격한 제약이다. 이러한 패킷 기반 서비스들은 SDH/SONET/ONT 또는 WDM 네트워크들과 같은 전송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네트워크는 레이턴시를 인지해야 한다. 특히, 보호 스위칭 및 복원과 관련하여, 단 대 단(end-to-end) 패킷 서비스에 대한 레이턴시는 변화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패킷 레이어에 대한 서비스 열화 또는 실패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전송 서비스들은 최대 레이턴시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전송 서비스의 레이턴시는 노드들을 통한 스위치 시간 및 라인 길이에 기초한다. 그 후, 단 대 단 레이턴시가 노드 당 스위칭 시간과 총 라인 길이들의 레이턴시의 합에 의해 승산된 스위칭 노드들의 수에 의해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라인 길이는 알려지지 않거나, 만약 그렇다면, 단지 대략적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라인 길이는 광속 및 섬유 길이로부터 단순히 계산될 수 없다. 라인 길이 레이턴시에 대한 추가의 영향은 자체 레이턴시를 도입하는 중계기(repeater)들 또는 WDM 장비와 같은 중간 투명 노드들로부터 온다. 이러한 레이턴시는 케이블 길이 및 매체들에서의 광속에 의해서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알려지지 않은 컴포넌트들이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SDH/SONET와 같은 전송 네트워크들에서 단 대 단 레이턴시 측정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전송 네트워크들에서, 통상적으로 소정의 링크 또는 라인에 대한 레이턴시 측정은 현재 이용가능하지 않다. 테스트 생성기가 시스템에 임베딩되어야 하거나 외부 측정 디바이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어느 것도 현재는 이용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장비와 호환가능한, 종단으로부터 종단으로의 특정한 전송 서비스의 레이턴시를 측정하게 하는 방법 및 관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래의 나타나는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수신된 가상 연접 그룹에서의 멤버들 사이의 차동 지연을 보상하기 위해 버퍼와의 가상 연접 기능을 사용하는, 제 1 네트워크 노드와 제 2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전송 접속의 레이턴시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제 1 네트워크 노드는 적어도 2개의 멀티플렉싱 유닛들을 갖는 가상 연접 그룹을 생성한다. 2개의 멀티플렉싱 유닛 중 제 1 멀티플렉싱 유닛이 레이턴시 측정을 위한 레퍼런스로서 사용된다. 제 2 멀티플렉싱 유닛이 제 2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되고, 여기서, 이것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로 루프백(loop back)된다. 제 1 네트워크 노드가 라인 카드로 내부적으로 제 1 멀티플렉싱 유닛을 역으로 스위칭하고, 여기서, 가상 연접 그룹이 종단되고, 가상 연접 그룹의 멤버들을 재정렬하는데 이용가능한 버퍼를 사용함으로써, 제 1 멀티플렉싱 유닛과 제 2 멀티플렉싱 유닛 사이의 레이턴시 차이를 결정한다.
도 1은 원단 (far end)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단 대 단 레이턴시 측정을 수행하는 전송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레이턴시 측정의 타이밍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원단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단 대 단 레이턴시 측정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의 레이턴시 측정의 타이밍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라인 및 그것의 세그먼트들의 레이턴시 측정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다중의 라인들이 병렬로 측정되는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레이턴시 측정의 타이밍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원단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단 대 단 레이턴시 측정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의 레이턴시 측정의 타이밍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라인 및 그것의 세그먼트들의 레이턴시 측정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다중의 라인들이 병렬로 측정되는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이미 이용가능한 기능들, 특히, SDH/SONET, OTN 또는 WDM에서의 가상 연접 기능을 사용하여 라인 레이턴시를 측정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SDH 네트워크들에서, 전송 신호들은 타입 N의 동기 전송 모듈(STM-N)로 칭하는 동일 길이의 프레임들로 구성되고, 여기서, N 은 1, 4, 16, 64, 256 또는 더 높을 수 있다. STM-N은 가상 컨테이너(VC)로 칭하는 멀티플렉싱 유닛들을 반송한다. 가장 큰 VC는 140MBit/s의 용량을 가진 VC4이다. STM-1은 하나의 VC4를 반송하고, STM-4는 4개의 VC4를 반송한다. 이들 VC들은 지류(tributary)들이라 칭하는 클라이언트 신호들을 전송한다. 더 큰 전송 용량을 제공하기 위해 2개 이상의 VC들이 링크될 수 있다. 이것은 VC들의 연접을 칭한다. 연속 연접에서, 모든 연접된 VC들은 동일한 STM-N내에서 전송되어야 하고, 가상 연접에서, VC들은 독립적으로 전송될 수 있고, 종단 네트워크 노드에서 재어셈블링된다. VC들이 상이한 네트워크 경로들을 통해 서로 독립적으로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은 상이한 레이턴시를 경험할 수 있어서, 버퍼가 개별 VC들 사이의 스큐(skew)를 보상하기 위해 종단 네트워크 노드에 제공되어야 한다. 이하, 이러한 버퍼를 디스큐잉(deskewing) 버퍼로 칭한다.
디스큐잉 버퍼는 모든 멤버들에 동시에 삽입되고 싱크측에서 검증되는 공통 동기 프레임에 기초한다. 따라서, 차동 지연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아이디어는, 기존의 네트워크 노드들의 패킷 서비스들을 위해 지류 라인 카드들상에 어떻게든 제공되는 가상 연접된 신호들에 대해 디스큐잉 버퍼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서, 가상 연접의 하나의 멤버는 로컬하게 루프백되고, 제 2 멤버는 고려중인 링크를 가로질러 패스된다. 고려중인 링크는 원단 네트워크 노드상에 라인 루프백되고 제 1 멤버가 위치되는 동일한 가상 연접 그룹으로 스위칭된다. 2개의 멤버들 사이의 레이턴시는 측정될 라인 레이턴시의 대략 2배와 동일하다. 이것은 어떠한 외부 측정 디바이스들도 요구하지 않고 라인 레이턴시 측정을 허용한다.
제 1 실시예의 레이턴시 측정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 1 네트워크 노드(N1)는 지류 신호들, 스위치 매트릭스(S1) 및 SDH 네트워크(N)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출력 포트(P1)에 대한 라인 카드(LC)를 포함한다. 지류 라인 카드(LC)는 이더넷 클라이언트 신호들에 대한 이더넷 포트(EP) 및 연접 종단 유닛(T)을 포함한다. 연접 종단 유닛(T)은 디스큐잉 버퍼(B)에 접속된다. 지류 라인 카드는 스위칭 매트릭스(S1)에 접속된다. 스위칭 매트릭스(S1)는 VC4의 입도(granularity)에서 멀티플렉싱 유닛들을 스위칭한다. 송신 접속이 네트워크 노드(N1)로부터 SDH 네트워크(N)를 통해 원단 종단 네트워크 노드(N2)까지 확립된다. 네트워크 노드(N2)는 SDH 포트(P2) 및 스위칭 매트릭스(S2)를 갖는다.
도 1은 네트워크 노드들(N1 및 N2)을 간략한 방식으로 도시하고, 레이턴시 측정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빌딩 블록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네트워크 노드들이 더욱 많고 또한 상이한 종류의 인터페이스들을 갖고, 하위 레벨 및 상위 레벨 제어기들, 감독 및 관리 기능들, 시그널링 및 관리 인터페이스들과 같은 다른 기능 블록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명백해야 한다.
측정 셋업은 다음의 방식으로 행해진다.
- 가상 연접 그룹(VCG) 의 2개의 멤버들이 사용되고 비교된다.
- 하나의 멤버가 단방향성 교차 접속을 사용하여 VCG 그룹으로 로컬하게 스위치 백(switch back)된다.
- 제 2 멤버가 고려중인 포트로 스위칭된다.
링크가 서비스중이 아닐 때, 포트의 피어 단부(peer end)가 라인 루프백으로 배치된다. 다르게는, VCG 멤버는 스위칭 매트릭스(S2)에서 라인으로 로컬하게 스위치 백된다.
특히, 연접 종단 유닛들(T)은 2개의 VC4들, 즉, VC4-2v의 가상 연접을 생성한다. 2개의 연접된 가상 컨테이너들(VC4)이 스위치 매트릭스(S1)로 전송된다. 2개의 VC4 중 제 1 VC4가 스위칭 매트릭스(S1)에 의해 동일한 지류 라인 카드(LC)로 스위치 백되고, 여기서, 디스큐잉 버퍼(B)에 저장된다. 제 2 VC4는 스위칭 매트릭스(S1)로부터 SDH 포트(P1)로 스위칭되고 SDH 네트워크(N)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N2)로 송신된다. 네트워크 노드(N2)에서, 제 2 VC4가 SDH 포트(P2)에서 수신된다. SDH 포트(P2)에서, 라인으로 제 2 VC4를 스위치 백하기 위해 라인 루프백 기능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제 2 VC4는 네트워크(N)를 통해 노드(N1)로 역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송신되고, 이것은 동일한 포트(P1)에서 수신된다. P1으로부터, 제 2 VC4는 스위칭 매트릭스(S1)를 통해 지류 라인 카드(LC)로 스위치 백되고, 이것은 연접 종단 유닛(T)에서 수신된다. 연접 종단 유닛(T)은 고려중인 라인의 레이턴시를 결정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가상 컨테이너들의 레이턴시를 비교한다.
도 2는 2개의 가상 컨테이너들(VC4_1, VC4_2)의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VC4 양자(VC4_1 및 VC4_2)는 지류 라인 카드(LC)로부터 스위칭 매트릭스(S1)로 동일한 시간(T0)에 전송된다. 스위칭 매트릭스(S1)는 통상적으로, 스위칭될 모든 신호들에 대해 동일한 특정한 레이턴시를 갖는다. 따라서, VC4_1은 지류 라인 카드(LC)에서 시간(T1)에 역으로 수신되고, VC4_2는 SDH 포트(P1)에서 동일한 시간(T1)에 수신된다. SDH 포트(P1)는 포트 레이턴시를 도입하는 일부 프로세싱 및 오버헤드 종단 기능들을 수행한다. 시간(T2)에서, VC4_2가 송신 라인으로 전송된다. 송신 라인은 특정한 라인 레이턴시를 추가하고, VC4_2는 네트워크 노드(N2)의 포트(P2)에서 시간(T3)에 수신된다. 루프백 기능이 특정한 레이턴시를 추가하여서, VC4_2는 고려중인 송신 라인으로 시간(T4)에서 되전송된다. 그 후, 라인 레이턴시는 복귀하는 경로 동안 제 2 시간을 추가하고, VC4_2는 노드(N1)의 포트(P1)에서 시간(T5)에 수신된다. 포트(P1)는 포트 레이턴시를 다시 추가하고, 스위칭 매트릭스(S1)는 스위칭 매트릭스 레이턴시를 추가하여, VC4_2가 지류 라인 카드(LC)에서 시간(T7)에 역으로 수신된다. T1으로부터 T7까지의 시간차가 측정된 레이턴시 값이다.
통상적으로 사용하여, 실제 라인 레이턴시에 대한 공지된 레이턴시 값이 그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스위칭 매트릭스(S1)를 통한 스위칭 시간(T1, T7)은 대략 15㎲이다. 출구측에 대한 포트 레이턴시(T2)는 대략 5㎲이다. T3, T5는 라인 레이턴시이다. 루프백 레이턴시(T4)는 매우 작고, 대략 수 ㎲이다. 입구측에서의 포트 레이턴시(T6)는 다시 대략 5㎲이다. 따라서, 라인 레이턴시는,
라인 레이턴시 = ((T7-T1 측정) - (T2+T6+T7+T4))/2
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측정 방법은 거의 모든 기존의 장비와 호환가능하다. 가상 연접이 GE, 10GE 및 패킷 서비스들에 대한 다른 지류 라인 카드들에 대해 이용가능하다. 이들 카드들은 차동 지연의 측정을 또한 제공한다. SDH 프레임들에서 측정될 수 있는 입도는 125㎲이다. 최대 범위는 1GE에 대해 통상적으로 120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15ms 및 10GE 이더넷/MPLS 지류 라인 카드들에 대해 통상적으로 256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32ms인 디스큐잉 버퍼의 사이즈에 의존한다.
내부 프로세싱 시간 동안 장비에 대한 상기 값들이 특정한 구현으로부터 취해지고 다른 것들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버퍼 사이즈는 장비 특정이고, 표준 G.7041은 256ms까지의 디스큐잉 버퍼에 대한 버퍼 사이즈를 허용한다.
프레임 측정으로 인해, 입도는 125㎲이다. 0.2m/ns = 200m/㎲의 매체에서의 평균 광속을 사용하여, 이러한 입도는 25km의 라인 길이에 비교된다. 라인 길이가 2회 측정되기 때문에, 측정의 입도는 12.5km의 라인 길이이다. 장비 기능들로 인한 20㎲ 레이턴시(T2, T6, T7, T4)는 이러한 관점에서 무시가능하다. 120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15ms의 버퍼 용량으로, 측정될 수 있는 총 레이턴시는 2500km이다. 라인이 2회 측정되기 때문에, 최대 라인 길이는 1250km이다. 256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32ms의 버퍼 용량으로, 총 길이는 6400km이고, 최대 라인 길이는 3200km일 수 있다.
디스큐잉 버퍼가 버퍼 시작에서 시작하는 선형 방식으로 채워지기 때문에, 오버플로우의 경우에서, "멀티-크로스" 표시자는, 프레임이 얼마나 자주 오버플로우되는지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이 이용가능할 때, 더욱 더 긴 라인들이 측정될 수 있다.
"멀티-크로스" 표시자가 제공되지 않을 때, 소정의 라인은 아래의 제 2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이미 알려진 다른 라인과 비교될 수 있다.
측정은 가상 연접 기능을 제공하는 라인의 일측상의 라인 카드들의 이용가능성에 기초한다. 측정은 측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카드에 대한 프리(free) VCG를 더 요구하고, 동일한 VCG에서 백-패널 용량에 대해 2개의 VC4를 요구한다. 프리 VCG 대신에, 측정은 또한 서비스중이 아닌 2개의 개별 VC4를 단순히 추가함으로써 현재 서비스중인 기존의 VCG를 사용하여 또한 행해질 수 있다. 그 후, 이러한 기존의 VCG는 활성화되지 않은 2개의 추가 멤버들을 갖는다.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아래의 구성 단계들이 실행된다: 노드(N2)에서, 라인 루프백이 구성된다. 노드(N1)에서, 지류 라인 카드(LC)에서의 VCG가 구성되고 스위칭 매트릭스(S1)가 하나의 멤버를 고려중인 SDH 포트(P1)로 스위칭하고, 하나의 멤버를 지류 라인 카드(LC)로 스위칭 백하도록 구성된다. 그 후, 측정이 실행될 수 있고, 최종으로, 스위치는 스위칭 매트릭스(S1)에서 다시 릴리즈되고, VCG는 원래의 조건으로 역으로 구성되고, 노드(N2)에서의 라인 루프백이 릴리즈된다.
상술한 측정을 지원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VCG에서 2개의 멤버들 사이의 차동 지연을 측정하는 새로운 메인터넌스 커맨드가 규정될 수 있다.
측정은 상기 구성 단계들이 오퍼레이터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는 수동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거나, 측정은 측정 단계들을 실행하는 단일 커맨드에 의해 자동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고려중인 SDH 포트가 특정되고, 옵션으로 또한, 사용될 VCG 그룹이 특정될 수 있다.
측정은, 현재 전송되고 있는 활성 트래픽이 없을 때 유휴 라인상에서, 또는 활성 트래픽을 갖지만 일부 용량이 추가의 VC-4에 대해 이용가능한 라인에 대해 행해질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서, 포트가 아직 서비스중이 아니기 때문에 디스커버리(discovery)는 라인 루프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활성 트래픽을 갖는 라인에 대한 측정을 위해, 매트릭스 루프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업 및 측정 단계들은 예를 들어, 서로 통신하는 GMPLS 제어기들에 의해 제어 평면을 통해 동기화되고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MPLS 프로토콜 슈트의 링크 관리 프로토콜 LMP가, 어느 측면이 측정되고 있는지, 라인 루프백 또는 매트릭스 루프백을 개시하는지, 및 매트릭스 루프백의 경우에서 어느 VC가 사용되는지 협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측정은 심지어, 원단 네트워크 노드(N2)에서 매트릭스 루프백을 사용함으로써 링크가 서비스중인 동안 메인터넌스 액션으로서 행해질 수 있다.
도 3으로 가서, 이제, 고려중인 라인으로 검증하기 위해 알려진 레이턴시 특징들을 갖는 제 2 라인을 사용하는 라인 레이턴시 측정의 제 2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동작에서, 테스트 라인이 예를 들어, 멀티-크로스 표시가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들에서 알려진 라인에 대해 비교된다. 셋업은 아래의 방식으로 변경된다: 연접 그룹의 제 1 멤버가 알려진 라인으로 스위칭된다. 제 2 멤버가 고려중인 포트로 스위칭된다. 링크가 서비스중이 아닐 때, 2개의 포트들의 피어 단부들 양자가 라인 루프백으로 배치되거나, VCG 멤버가 스위칭 매트릭스에서 라인으로 로컬하게 스위칭 백될 수 있다. 후자가 알려진 포트에 대해 바람직한 옵션이다.
도 3에서, 제 1 네트워크 노드(N1)는 지류 라인 카드(LC), 제 1 SDH 포트(P1), 및 제 2 SDH 포트(P1')를 갖는다. SDH 네트워크(N)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N1)는 SDH 포트(P1)로부터 네트워크 노드(N2)의 SDH 포트(P2)로 및 포트(P1')로부터 네트워크 노드(N3)의 포트(P3)로 접속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 노드(N1 및 N3) 사이의 링크의 레이턴시가 알려져 있다고 가정한다.
연접 종단 유닛(T)은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VC4들을 갖는 가상 연접 그룹을 생성하고, 이들을 스위칭 매트릭스(S1)로 전송한다. 제 1 VC4는 SDH 포트(P1')로 스위칭되고, 제 2 VC4는 SDH 포트(P1)로 스위칭된다. 제 1 VC가 네트워크 노드(N3)의 포트(P3)에서 수신되고 스위칭 매트릭스(S3)로 포워딩되고, 여기서, 이것은 SDH 포트(P3)로 루프백된다. 따라서, 제 1 VC4는 지류 라인 카드(LC)로 스위칭백되는 위치로부터, 네트워크(N)를 통해 포트(P1')로 역으로 이동한다. 제 2 VC4는 루프백 기능을 활성화한 네트워크 노드(N2)의 포트(P2)에서 수신되고, 따라서, VC4는 지류 라인 카드(LC)로 또한 스위칭 백되는 위치로부터 네트워크(N)를 통해 포트(P1)로 되전송된다. 디스큐잉 버퍼(B)를 사용하는 연접 종단 유닛(T)은 2개의 대응하는 VC4의 수신 사이의 시간차를 결정한다.
2개의 라인들 사이에서 측정된 델타가 알려진 링크의 알려진 레이턴시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델타는 버퍼 사이즈의 범위에 있는 한 음(negative) 또는 양(positive)일 수 있다.
도 4는 측정의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시간(T0)에서, VC4들(VC4_1 및 VC4_2) 양자는 라인 카드(LC)로부터 스위칭 매트릭스(S1)로 전송된다. 스위칭 레이턴시 이후에, VC4들은 그들의 각각의 SDH 포트들(P1, P1')에서 시간(T1)에 수신된다. 포트 레이턴시가 일반적으로 상이한 포트들에 대해 동일하기 때문에, VC4들 양자는 시간(T2)에서 그들의 각각의 송신 라인으로 동시에 송신된다.
VC4_1은 포트(P3)에서 시간(T3)에 수신되고, 본질적으로 (노드(N3)가 활성화된 매트릭스 루프백을 갖는다는 사실로 인해) 스위칭 매트릭스(S3)의 스위칭 레이턴시와 입구 및 출구 포트 레이턴시의 합인 루프백 레이턴시의 경과 이후에, VC4_1은 시간(T4)에서 송신 라인으로 되송신된다. 시간(T5)에서, 이것은 포트(P1')에서 수신되고, 포트 레이턴시(T6) 및 스위칭 레이턴시의 추가 이후에, 지류 라인 카드(LC)에서 시간(T7)에 역으로 수신된다.
VC4_2는 네트워크 노드(N2)의 포트(P2)에서 시간(T3') 이후에 수신된다. 그 후, 포트(P2)의 루프백 레이턴시가 추가되고, VC4_2는 송신 라인으로 시간(T4')에서 되송신된다. 시간(T5')에서, 이것은 포트(P1)에서 수신되고, 포트 레이턴시 및 스위칭 레이턴시 이후에, 시간(T7')에서 지류 라인 카드(LC)에서 역으로 최종 수신된다. 측정된 레이턴시는 VC4_1과 VC4_2 사이의 차이, 즉, T7와 T7' 사이의 차이이다. N1과 N3 사이의 송신 라인의 알려진 레이턴시로, 고려중인 송신 라인의 레이턴시가 쉽게 결정될 수 있다.
알려진 송신 라인의 특징들은 외부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사전에 측정될 수 있거나 알려진 지리적 특성들을 사용하여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알려진 라인이 단지 측정될 라인의 세그먼트이거나, 반대로, 측정될 라인이 알려진 라인의 세그먼트라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라인 및 라인의 모든 세그먼트들을 측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5는 측정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3개의 VC4의 가상 연접이 제 1 네트워크 노드(N1')에서 형성된다. 가상 연접의 제 1 엘리먼트가 로컬하게 루프백된다. 제 2 및 제 3 VC4가, 제 2 중간 네트워크 엘리먼트(NE2')를 통해 네트워크 엘리먼트(N1')를 제 3 네트워크 엘리먼트(NE3')에 상호접속하는 공통 광 라인으로 동일한 출력 포트를 통해 송신된다. 3개의 VC4 중 제 2 VC4가 네트워크 노드(NE2')에서 루프백되고, 3개의 VC4 중 제 3 VC4가 네트워크 노드(NE3')에서 루프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상 연접의 2개 이상의 엘리먼트들을 사용하여, NE1'으로부터 NE3'로의 라인 및 NE1'과 NE2' 사이의 세그먼트가 동시에 측정될 수 있다. NE1'과 NE2' 사이 및 NE1'과 NE3' 사이의 레이턴시를 알면, NE2'와 NE3' 사이의 세그먼트의 레이턴시가 2개 사이의 차이로서 쉽게 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또한 3개 이상의 VC4의 연접을 사용하여 2개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갖는 라인으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단일 장소로부터 하나의 단계에서 라인 및 라인의 모든 세그먼트들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3개의 VC4의 가상 연접이 제 1 네트워크 노드(N1")에서 형성된다. 가상 연접의 제 1 엘리먼트가 로컬하게 루프백된다. 제 2 및 제 3 VC4는 네트워크 엘리먼트(N1")를 제 2 중간 네트워크 엘리먼트(NE2") 및 제 3 네트워크 엘리먼트(NE") 각각에 접속하는 2개의 상이한 광 라인들로 상이한 출력 포트들을 통해 송신된다. 각각의 VC4들은 네트워크 노드들(NE2', NE3') 각각에서 루프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상 연접의 2개 이상의 엘리먼트들을 한번에 사용하여, 도 1의 측정이 여러 상이한 라인들을 동시에 측정하기 위해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N개의 엘리먼트들의 가상 연접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 단일 포인트로부터 병렬인 N-1개의 라인들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네트워크에서 단일 포인트로부터 병렬인 더 높은 수의 라인들 및 세그먼트들을 측정하기 위해, 가상 연접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더욱 더 높은 수의 멀티플렉스 유닛을 갖도록 이용가능한 경우에 더 작은 멀티플렉스 유닛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ONET(SDH의 ANSI 등가물)에서 더 높은 차수의 멀티플렉스 유닛인 VC-3를 사용하고, n개의 VC-3의 가상 연접(VC-3nv)을 형성하며 상이한 VC-3들을 로컬하게 루프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미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단계들은, SDH 네트워크에 분산 GMPLS 제어 평면이 장착되면 제어 평면 엘리먼트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중앙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서, 각 네트워크 노드는 GMPLS 제어기를 갖고 네트워크 노드(N1)의 GMPLS 제어기에는, 각각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N1)의 실행시에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확장이 장착되고, 또한, 네트워크 노드(N2)의 GMPLS 제어기, 네트워크 노드들(N2 및 N3) 각각에게, 어느 대안이 선택되는지에 의존하여 스위칭 매트릭스 또는 라인 카드에서 루프백을 구성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 반대로, 후자의 경우에서, 중앙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는 실행시에 모든 수반된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필요한 구성 및 측정 단계들을 개시하는 소프트웨어 확장이 장착된다.
당업자는, 다양한 상술한 방법들이 프로그램된 컴퓨터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여기서, 일부 실시예들은 머신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를 커버하고, 명령들의 머신 실행가능하거나 컴퓨터 실행가능한 프로그램들을 인코딩하도록 의도되고, 여기서, 상기 명령들은 상술한 방법들의 단계들 중 일부 또는 모두를 수행한다.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디지털 메모리들, 자기 디스크들 및 자기 테이프들과 같은 자기 저장 매체, 하드 드라이브들, 또는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일 수도 있다. 실시예들은 또한, 상술한 방법들의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설명 및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들을 예시한다. 따라서, 여기에 명백하게 설명하거나 나타내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구현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장치들을 당업자가 고안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여기에 인용된 모든 예들은 원칙적으로, 기술에 추가로 발명자(들)에 의해 기여된 개념들 및 볼 발명의 원리들을 독자가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한 교육적 목적인 것으로만 명백하게 의도되고, 이러한 구체적으로 인용된 예들 및 조건들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들, 양태들,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특정한 예들을 열거하는 여기에서의 모든 서술은 이들의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실시예들은 널리 공지된 동기 디지털 계층(SDH)의 네트워크들 및 네트워크 장비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가상 연접의 유사한 메카니즘이 예를 들어 광 전송 네트워크(OTN)에 또한 존재하고, 상술한 측정 원리들이 특히, 회로 스위칭 기술, 동일 길이의 유닛들을 멀티플렉싱하는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에 기초하는 임의의 종류의 전송 네트워크에서 멀티플렉싱 유닛들의 가상 연접을 제공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가상 연접에 대해 동등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들 및 다른 네트워크들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WDM 네트워크들과 같은 이들 연접된 TDM 서비스들을 전송하는 기반 전송 네트워크들이 설명된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Claims (12)
- 제 1 네트워크 노드(N1)와 제 2 네트워크 노드(N2) 사이의 전송 접속의 레이턴시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N1)에서, 적어도 2개의 멀티플렉싱 유닛들(VC4_1, VC4_2)을 포함하는 가상 연접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 레이턴시 측정을 위한 레퍼런스로서 상기 멀티플렉싱 유닛들 중 제 1 멀티플렉싱 유닛(VC4_1)을 사용하는 단계,
- 상기 멀티플렉싱 유닛들 중 제 2 멀티플렉싱 유닛(VC4_2)을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N2)로 전송하는 단계, 및
-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에서, 가상 연접 그룹의 멤버들을 재정렬하기 위해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N1)에서 이용가능한 버퍼(B)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멀티플렉싱 유닛들(VC4_1 및 VC4_2) 사이의 레이턴시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제 2 멀티플렉싱 유닛(VC4_2)은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N1)로 루프백되고,
- 상기 제 1 멀티플렉싱 유닛(VC4_1)은 라인 카드로 내부적으로 스위칭백되고, 상기 가상 연접 그룹이 종료되는, 전송 접속의 레이턴시를 측정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측정될 상기 전송 접속의 레이턴시는 알려진 장비 레이턴시를 감산하고, 나머지를 2로 제산함으로써 결정되는, 전송 접속의 레이턴시를 측정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연접 그룹은 상기 제 1 및 제 2 멀티플렉싱 유닛들(VC4_1, VC4_2)이 비활성 멤버들로서 추가되는 이미 존재하는 가상 연접 그룹인, 전송 접속의 레이턴시를 측정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은 상기 송신 접속이 서비스중인 동안 수행되고, 상기 루프백은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N2)의 스위칭 매트릭스(S2)에서 수행되는, 전송 접속의 레이턴시를 측정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은 상기 송신 접속이 서비스 불가인 동안 수행되고, 상기 루프백은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N2)의 수신 포트(P2)에서 라인 루프백 기능을 통해 수행되는, 전송 접속의 레이턴시를 측정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연접 그룹은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N1)의 패킷 서비스들을 위한 라인 카드(LC)상에서 생성되고, 상기 패킷 서비스들을 위한 라인 카드(LC)는 가상 연접 그룹의 멤버들을 재정렬하는 상기 버퍼(B)를 더 포함하는, 전송 접속의 레이턴시를 측정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B)의 오버플로우 이벤트들을 카운팅할 수 있는 표시자를 더 포함하고,
각 버퍼 오버플로우에 대해, 고정값이 상기 결정된 레이턴시 차이에 추가되고, 그 값은 상기 버퍼(B)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전송 접속의 레이턴시를 측정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가상 연접 그룹의 다중의 멀티플렉싱 유닛들이 중간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상기 가상 연접 그룹의 상이한 멀티플렉싱 유닛들을 루프백함으로써 라인 및 상기 라인에 따른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의 레이턴시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송 접속의 레이턴시를 측정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가상 연접 그룹의 다중의 엘리먼트들이 병렬인 다중의 라인들의 레이턴시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송 접속의 레이턴시를 측정하는 방법. - 제 1 네트워크 노드(N1)를 제어하는 분산 제어 평면의 제어기로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N1)와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N2) 사이의 전송 접속의 레이턴시를 측정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실행시에, 상기 기능은,
- 적어도 2개의 멀티플렉싱 유닛들(VC4_1, VC4_2)을 포함하는 가상 연접 그룹을 생성하고,
- 레이턴시 측정을 위한 레퍼런스로서 상기 멀티플렉싱 유닛들 중 제 1 멀티플렉싱 유닛(VC4_1)을 사용하며,
- 상기 멀티플렉싱 유닛들 중 제 2 멀티플렉싱 유닛(VC4_2)을 제 2 네트워크 노드(N2)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N1)를 구성하고,
상기 기능은 또한 상기 제 2 멀티플렉싱 유닛들(VC4_2)을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N1)로 루프백하기 위해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를 구성할 것을 상기 제 2 네트워크 노드(N2)의 제 2 제어기에 명령하고, 상기 기능은 또한 상기 제 1 멀티플렉싱 유닛(VC4_1)을 상기 가상 연접 그룹이 종료되는 라인 카드로 내부적으로 스위칭백하며, 가상 연접 그룹의 멤버들을 재정렬하기 위해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N1)에서 이용가능한 버퍼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멀티플렉싱 유닛들(VC4_1, VC4_2) 사이의 레이턴시 차이를 결정하도록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N1)를 구성하는, 분산 제어 평면의 제어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상기 제 2 제어기에 명령하기 위해, 일반화된 멀티-프로토콜 라벨 스위칭 프로토콜 슈트(Generalized Multi-Protocol Labels Switching protocol suite)의 프로토콜 및 특히 링크 관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분산 제어 평면의 제어기. - 실행시에,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제 1 네트워크 엘리먼트(N1) 및 제 2 네트워크 엘리먼트(N2)를 구성하는, 메인터넌스 기능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09305624A EP2278738B1 (en) | 2009-06-30 | 2009-06-30 |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 latency measurement in transport networks |
EP09305624.0 | 2009-06-3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2545A true KR20120032545A (ko) | 2012-04-05 |
Family
ID=4125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2520A KR20120032545A (ko) | 2009-06-30 | 2010-05-12 | 전송 네트워크들에서 라인 레이턴시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087252A1 (ko) |
EP (1) | EP2278738B1 (ko) |
JP (1) | JP2012531862A (ko) |
KR (1) | KR20120032545A (ko) |
CN (1) | CN102474373A (ko) |
AT (1) | ATE525820T1 (ko) |
WO (1) | WO2011000625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292989A (zh) * | 2015-12-10 | 2018-07-17 | 索尼公司 | 接收装置与数据处理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8374B1 (ko) * | 2013-01-11 | 2017-03-21 |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
TWI528755B (zh) | 2013-12-06 | 2016-04-01 |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 軟體定義網路中用於延遲量測之網路控制器、延遲量測系統及延遲量測方法 |
US10193765B2 (en) * | 2016-05-19 | 2019-01-29 | Ciena Corporation | Protection switching systems and methods in a packet network based on signal degrade |
CN110417503B (zh) * | 2019-07-31 | 2021-03-05 |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测试时钟网络延时的方法及数字通信设备 |
US11604751B1 (en) * | 2021-05-10 | 2023-03-14 | Xilinx, Inc. | Optimizing hardware design throughput by latency aware balancing of re-convergent paths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81597A (en) * | 1995-02-16 | 1998-07-14 | Alcatel Sel Aktiengesellschaft | Synchronous digital transmission system having justification circuit that counts frame bytes, calculates offsets, compares thresholds, and initiates justification action |
JP2751883B2 (ja) * | 1995-08-15 | 1998-05-18 | 日本電気株式会社 | 局間伝送遅延時間測定方法 |
US6545979B1 (en) * | 1998-11-27 | 2003-04-08 | Alcatel Canada Inc. | Round trip delay measurement |
JP2000332715A (ja) * | 1999-05-19 | 2000-11-30 | Nec Corp | Sdh伝送のノード間距離測定システム及び方法 |
JP3479248B2 (ja) * | 1999-12-17 | 2003-12-15 | 日本電気株式会社 | Atm伝送試験装置 |
JP2002374301A (ja) * | 2001-06-14 | 2002-12-26 | Hitachi Ltd | 通信品質測定サービスおよび装置 |
GB0200918D0 (en) * | 2002-01-16 | 2002-03-06 | Agilent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diffential delay |
IL152314A (en) * | 2002-10-16 | 2007-07-04 | Eci Telecom Ltd | Handling traffic in a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
KR100532299B1 (ko) * | 2003-01-30 | 2005-11-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선로로 접속되는 주 기지국과 원격 기지국간의 지연측정 및 보상장치 |
JP4390568B2 (ja) * | 2004-01-19 | 2009-12-24 | 富士通株式会社 | 遅延測定システム |
US8289859B2 (en) * | 2004-05-25 | 2012-10-16 | Alcatel Lucent | Link delay determination using virtual concatenation |
JP4966779B2 (ja) * | 2007-07-27 | 2012-07-04 | 富士通株式会社 | ネットワーク遅延計測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
JP2010141683A (ja) * | 2008-12-12 | 2010-06-24 | Mitsubishi Electric Corp | 光伝送装置及び分散補償器 |
US8774232B2 (en) * | 2010-01-08 | 2014-07-08 | Ciena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of measuring latency and routing thereon in optical networks |
-
2009
- 2009-06-30 EP EP09305624A patent/EP2278738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9-06-30 AT AT09305624T patent/ATE525820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
- 2010-05-12 WO PCT/EP2010/056608 patent/WO201100062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5-12 CN CN201080029627XA patent/CN102474373A/zh active Pending
- 2010-05-12 KR KR1020127002520A patent/KR20120032545A/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5-12 US US13/378,098 patent/US2012008725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5-12 JP JP2012518055A patent/JP2012531862A/ja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292989A (zh) * | 2015-12-10 | 2018-07-17 | 索尼公司 | 接收装置与数据处理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087252A1 (en) | 2012-04-12 |
JP2012531862A (ja) | 2012-12-10 |
EP2278738B1 (en) | 2011-09-21 |
CN102474373A (zh) | 2012-05-23 |
WO2011000625A1 (en) | 2011-01-06 |
ATE525820T1 (de) | 2011-10-15 |
EP2278738A1 (en) | 2011-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82634B1 (en) | Coordinated connection validation systems and methods among mated transceivers for verifying optical and data plane connectivity | |
US8559812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the hierarchical mesh restoration of connections in an automatically switched optical network | |
US9407359B2 (en) | Localized network repair systems and methods | |
US8971706B2 (en) | Link discovery, verification, and failure isolation in a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 |
EP1463370B1 (en) | Transport network restoration method | |
US8934479B2 (en) | Super optical channel transport unit signal supported by multiple wavelengths | |
KR20120032545A (ko) | 전송 네트워크들에서 라인 레이턴시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JP5506931B2 (ja) | 光トランスポートネットワークでの自動発見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US7688717B2 (en) | Transport network restoration method supporting extra traffic | |
US10284661B2 (en) | Efficient prioritized restoration of services in a control plane-based optical network | |
EP1489784A1 (en) | Restoration in an automatically switched optical transport network | |
WO2021238195A1 (zh) | 业务资源预配置方法、设备和系统 | |
US8411708B2 (en) | Dual asynchronous mapping of client signals of arbitrary rate | |
US20080298800A1 (en) | Transmission device and route verifying method | |
EP2466767B1 (en) | Adapting equipment and method | |
CN102624603B (zh) | 获取ODUflex连接所需支路时隙数的方法及装置 | |
EP2983317A1 (en) | Controlling method, controller, and node in transport network | |
EP1900129B1 (en) | Method for transmitting lcas protocol via an optical communication line | |
Berger et al. | Versatile bandwidth management: The design,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LambdaUni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