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440A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440A
KR20120032440A KR1020110097444A KR20110097444A KR20120032440A KR 20120032440 A KR20120032440 A KR 20120032440A KR 1020110097444 A KR1020110097444 A KR 1020110097444A KR 20110097444 A KR20110097444 A KR 20110097444A KR 20120032440 A KR20120032440 A KR 20120032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amount
control means
cleaned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히로 이시자와
마사미찌 우네
유스께 아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20032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1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 A47L9/281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using optical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자주하는 바닥 브러시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피청소면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18)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를 갖는다.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18)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풍로를 갖는다. 전기 청소기는, 풍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바닥 브러시를 갖는다. 풍로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검출하는 광 센서(42)를 갖는다. 전기 청소기는, 바닥 브러시를 자주시키는 동시에, 광 센서(42)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바닥 브러시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41)을 갖는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풍로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검출하는 진애량 검출 수단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캐니스터형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본체 케이스를 갖는 청소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청소기 본체에는,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집진부가 배치되어 있고, 이 집진부에는,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풍로를 내부에 구획하는 풍로 형성체가 접속된다.
이 풍로 형성체는,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부측으로, 호스체, 연장관 및 바닥 브러시가 순차 연통 접속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풍로의 내부에는, 이 풍로의 내부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검출하는 진애량 검출 수단으로서의 광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4997호 공보
바닥 브러시를 자주(自走)시키는 구성의 경우, 광 센서에 의해 검출한 피청소면의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값보다 많다고 판단하였을 때라도, 바닥 브러시는 그 진애량과는 관계없이 자주하므로, 바닥 브러시의 위치를 피청소면의 진애량에 따라서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에 설치한 회전 브러시의 회전수를 가변시키는 등의 제어를 해도, 피청소면 상의 진애를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자주하는 흡입구체라도 피청소면의 진애를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풍로와, 이 풍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피청소면을 주행 가능한 주행 수단을 구비한 흡입구체와, 상기 풍로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검출하는 진애량 검출 수단과, 상기 흡입구체의 상기 주행 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흡입구체를 자주시키는 동시에, 상기 진애량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흡입구체의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 수단을 갖는다.
이에 의해, 진애가 많은 피청소면 상의 위치를 중점적으로 청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피청소면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흡입구체를 도시하는 것으로, (a)는 하측으로부터 도시하는 평면도, (b)는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제4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부호 11은 이른바 캐니스터형의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고, 이 전기 청소기(11)는 청소기 본체(12)와, 이 청소기 본체(1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관부인 풍로 형성체(13)를 갖고 있다.
청소기 본체(12)는, 피청소면 상을 선회 및 주행 가능한 중공 형상의 본체 케이스(15)를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 케이스(15)의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본체 집진실과 전동 송풍기실이 전후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전동 송풍기실 내에는, 전동 송풍기(18)가 수용되어 있고, 이 전동 송풍기(18)의 흡입측이 본체 집진실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본체 집진실 내에는, 필터, 집진 주머니, 혹은 집진 장치(집진 컵) 등의 집진부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15)의 전방부에는, 본체 집진실에 연통됨과 함께 풍로 형성체(13)의 기단부측이 접속되는 본체 흡입구(19)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풍로 형성체(13)는, 본체 흡입구(19)에 접속되는 접속관부(21)와, 이 접속관부(21)의 선단부측(상류측)에 연통되는 가요성을 갖는 호스체(22)와, 이 호스체(22)의 선단부측(상류측)에 설치된 손잡이 조작부(23)와, 이 손잡이 조작부(23)의 선단부측(상류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연장관(24)과, 이 연장관(24)의 선단부측(상류측)에 연통 접속되는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2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풍로 형성체(13)는, 전동 송풍기(18)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풍로(W)를 내부에 구획하는 것이다.
바닥 브러시(26)는, 풍로(W)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폭 방향으로 긴 형상, 즉 가로로 긴 케이스체(31)와, 이 케이스체(31)의 좌우 폭 방향의 대략 중심 위치의 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통 접속된 접속관(32)을 구비하고, 피청소면 상을 전후 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케이스체(31)의 하부에는, 바닥 브러시(26)를 피청소면(바닥면) 상에서 주행시키는 주행 수단으로서의 흡입구체 구동 수단인 한 쌍의 주행륜(33, 33)이 중앙부 근방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체(31)에는, 케이스체(31)의 내부를 통해 접속관(32)과 연통되는 가로로 긴 흡입구(34)가 형성되고, 또한 흡입구(34)에는, 회전 청소체의 회전 브러시(35)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주행륜(33, 33)은, 바닥 브러시(26)의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서로 동축에 연결되어, 케이스체(31) 내에 배치된 주행륜용 전동기(37)에 의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마찬가지로, 회전 브러시(35)는 케이스체(31) 내에 배치된 브러시용 전동기(38)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이 주행륜(33)이나 회전 청소체(35)는 바닥 브러시(26)의 주행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접속관(32)은, 도 4에 도시하는 풍로 형성체(13)[연장관(24)]의 선단부측(상류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손잡이 조작부(23)에는, 파지부(39)가 호스체(22)측으로 돌출되고, 이 파지부(39)에는 전동 송풍기(18)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인 복수의 설정 버튼(4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전기 청소기(11)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청소기 본체(12)의 내부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제어 수단(41)이 전동 송풍기실 등에 수용되어 있다. 이 제어 수단(41)에는, 설정 버튼(40)과, 풍로(W) 내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검출하는 진애량 검출 수단으로서의 광 센서(42)와, 바닥 브러시(26)의 주행 방향을 검출하는 주행 방향 검출 수단으로서의 방향 센서(4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들 설정 버튼(40), 광 센서(42) 및 방향 센서(43)로부터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이 제어 수단(41)은, 도시하지 않은 트라이액 등의 제어 소자를 통해, 전동 송풍기(18), 주행륜용 전동기(37) 및 브러시용 전동기(38)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어 수단(41)은, 사용자에 의한 설정 버튼(40)의 설정 조작에 의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서 전동 송풍기(18)를 도통각 제어하고, 이 전동 송풍기(18)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전동 송풍기 제어 수단의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광 센서(42)의 검출 결과, 즉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풍로(W) 내를 통과하는 진애량에 따라서 주행륜용 전동기(37)[주행륜(33, 33)]을 구동하여 바닥 브러시(26)를 주행 제어하는 주행 제어 수단의 기능과, 브러시용 전동기(38)[회전 브러시(35)]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전 청소체 제어 수단의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이들 제어 수단(41) 등의 전원은, 예를 들어 전원 코드(46)(도 4)를 통해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공급된다.
광 센서(42)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적외광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의 발광부(47)와, 이 발광부(47)에 의해 발광된 적외광을 수광하는 수광 수단의 수광부(48)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고, 발광부(47)로부터의 적외광을 수광부(48)에서 수광하는 그 수광량에 의해, 풍로(W) 중을 통과하는 진애량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 수단(41)에 출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발광부(47)는, 적외광 등의 광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47a)와, 이 발광 소자(47a)로부터의 발광을 풍로(W) 내로 유도하는 발광측 도광 부재로 되는 한쪽 및 다른 쪽의 발광측 렌즈(47b, 47c)를 갖고 있다.
발광 소자(47a)는,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12)의 본체 흡입구(19)의 상부에, 하방을 향해 배치되어 있고, 이 하방으로 적외광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한쪽의 발광측 렌즈(47b)는, 발광 소자(47a)의 적외광의 출력측인 하방에서 본체 흡입구(19)의 내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의 발광측 렌즈(47c)는, 풍로 형성체(13)의 접속관부(21)를 본체 흡입구(19)에 접속한 상태에서 발광 소자(47a)[발광측 렌즈(47b)]의 하방에, 발광 소자(47a)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다른 쪽의 발광측 렌즈(47c)는, 접속관부(21)에 직경 방향을 따라 천공된 발광측 구멍부(47d) 내에, 이 발광측 구멍부(47d)를 기밀하게 폐색하도록 끼워 맞추어져 있고, 일단부측이 발광 소자(47a)측[발광측 렌즈(47b)측]에 면하고, 타단부측이 풍로(W)의 내부에 면하고 있다.
즉, 발광측 구멍부(47d)로부터 풍로(W) 내의 공기가 풍로(W)의 외부로 유출되는 일은 없다.
마찬가지로, 수광부(48)는, 발광부(47)로부터 출력된 적외광을 검출하는 수광 소자(48a)와, 발광부(47)로부터 출력된 광을 수광 소자(48a)로 유도하는 수광측 도광 부재로 되는 한쪽 및 다른 쪽의 수광측 렌즈(48b, 48c)를 갖고 있다.
수광 소자(48a)는, 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12)의 본체 흡입구(19)의 하부에, 상방을 향해, 즉 발광 소자(47a)측을 향해 배치되어 있고, 이 발광 소자(47a)로부터 출력된 적외광을 수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수광측 렌즈(48b)는, 수광 소자(48a)의 적외광의 입력측인 상방에서, 본체 흡입구(19)의 내면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쪽의 수광측 렌즈(48c)는, 풍로 형성체(13)의 접속관부(21)를 본체 흡입구(19)에 접속한 상태에서 수광 소자(48a)[수광측 렌즈(48b)]의 상방에, 수광 소자(48a)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다른 쪽의 수광측 렌즈(48c)는, 접속관부(21)에 직경 방향을 따라 천공된 수광측 구멍부(48d) 내에, 이 수광측 구멍부(48d)를 기밀하게 폐색하도록 끼워 맞추어져 있고, 일단부측이 수광 소자(48a)측[수광측 렌즈(48b)측]에 면하고, 타단부측이 풍로(W)의 내부에 면하고 있다.
즉, 수광측 구멍부(48d)로부터 풍로(W) 내의 공기가 풍로(W)의 외부로 유출되는 일은 없다.
방향 센서(43)는, 예를 들어 전환 스위치이며,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26)의 케이스체(31)의 하부로부터, 선단부측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피청소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방향 센서(43)는, 바닥 브러시(26)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서, 도 2의 (b)의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청소면과의 접촉에 의해 요동(틸팅)함으로써,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바닥 브러시(26)의 주행 방향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청소 동작을,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도 5에 나타내는 흐름도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집진부를 청소기 본체(12) 내에 장착하고, 풍로 형성체(13)를 청소기 본체(12)의 본체 흡입구(19)에 접속한 상태에서, 전원 코드(46)를 접속하면, 제어 수단(41) 및 광 센서(42) 등에 대해,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전원(전압)이 공급(인가)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파지부(39)를 파지하고, 피청소면, 예를 들어 융단 등의 위에 바닥 브러시(26)를 적재한 상태에서 원하는 설정 버튼(40)을 조작하면, 제어 수단(41)이, 조작된 설정 버튼(40)에 대응한 동작 모드로 전동 송풍기(18)를 기동시킴과 함께, 각 전동기(37, 38)를 통해, 주행륜(33, 33) 및 회전 브러시(35)를 기동시킨다(스텝 1).
사용자는, 파지부(39)를 통해 바닥 브러시(26)를 전후로 반복 주행시킴으로써, 전동 송풍기(18)의 부압의 작용에 의해 피청소면 상의 진애를 흡입구(34)로부터 풍로 형성체(13)의 풍로(W)에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이때, 제어 수단(41)은, 방향 센서(43)에 의해 바닥 브러시(26)의 주행 방향을 검출하여, 사용자가 바닥 브러시(26)를 전진시키고 있는지 후진시키고 있는지를 검출하고 있고, 그 주행 방향을 따르도록 주행륜용 전동기(37)[주행륜(33, 33)]를 회전 구동시키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닥 브러시(26)를 전후로 주행시킬 때, 주행륜용 전동기(37)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교대로 전환되어, 피청소면과 접촉하고 있는 주행륜(33, 33)이, 주행륜용 전동기(37)에 의해 구동되어 바닥 브러시(26)의 주행을 보조한다. 즉, 제어 수단(41)에 의해, 바닥 브러시(26)가 자주한다.
또한, 제어 수단(41)은, 브러시용 전동기(38)[회전 브러시(35)]를 회전 구동시키고 있다. 회전 브러시(35)는, 피청소면과 접촉하여, 브러시용 전동기(38)에 의해 구동되어 피청소면에 들어간 진애를 긁어낸다.
또한, 브러시용 전동기(38)[회전 브러시(35)]는, 바닥 브러시(26)의 주행 방향에 관계없이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해도 되고, 주행륜용 전동기(37)[주행륜(33, 33)]와 마찬가지로, 방향 센서(43)에 의해 검출한 바닥 브러시(26)의 주행 방향을 따라(또는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라) 교대로 회전 방향이 전환되도록 회전시켜도 된다.
풍로 형성체(13)의 풍로(W)로 흡입된 진애는, 흡입풍으로 된 공기와 함께 연장관(24), 호스체(22)를 순차 통과하고, 접속관부(21)를 통과하여 본체 흡입구(19)로부터 집진부로 흡입될 때에, 광 센서(42)의 발광부(47)와 수광부(48) 사이를 통과한다.
광 센서(42)에서는, 전동 송풍기(18)[전기 청소기(11)]의 동작 중, 발광부(47)로부터 수광부(48)를 향해 상시 발광되어 있고, 수광부(48)로부터의 수광 강도에 의해, 풍로(W) 내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검출한다(스텝 2).
즉, 풍로(W) 내를 통과하는 진애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는, 발광부(47)로부터의 발광이 진애에 의해 차단되는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므로, 수광부(48)의 수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반대로, 풍로(W) 내를 통과하는 진애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는, 발광부(47)로부터의 발광이 진애에 의해 차단되는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수광부(48)의 수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커진다.
따라서, 제어 수단(41)에서는, 이 광 센서(42)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통해 풍로(W) 내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감시한다.
그리고 제어 수단(41)은,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광 센서(42)로부터의 출력 신호]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 혹은 미리 설정된 소정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3).
제어 수단(41)이,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으로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바꾸어 말하면 진애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피청소면의 위치를 청소하고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스텝 3의 "예")에는, 제어 수단(41)은, 주행륜용 전동기(37)를 정지시켜, 즉 주행륜(33, 33)을 정지시켜 바닥 브러시(26)를 그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예를 들어 2초 정도 정지시킨다(스텝 4).
이때, 제어 수단(41)은,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18) 및 브러시용 전동기(38)의 입력을 소정 시간 동안, 일시적으로 증가시켜, 진애를 보다 강하게 피청소면으로부터 긁어내어 흡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어 수단(41)은,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량에 기초하여 판단한 피청소면의 진애량을, 도시하지 않은 표시 수단 등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 수단(41)이,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미만으로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바꾸어 말하면 진애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피청소면의 위치를 청소하고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스텝 3의 "아니오")에는, 제어 수단(41)은 주행륜용 전동기(37)[주행륜(33, 33)]를, 방향 센서(43)에 의해 검출한 바닥 브러시(26)의 주행 방향을 따라 회전시킨다(스텝 5).
이어서, 제어 수단(41)은, 사용자가 설정 버튼(40)에 의해 전동 송풍기(18)를 정지시키는 조작을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6).
그리고 전동 송풍기(18)를 정지시키는 조작을 하고 있지 않다고 제어 수단(41)이 판단하였을 때(스텝 6의 "아니오")에는, 스텝 2로 복귀한다. 전동 송풍기(18)를 정지시키는 조작을 하였다고 제어 수단(41)이 판단하였을 때(스텝 6의 "예")에는, 이 제어 수단(41)은, 전동 송풍기(18) 및 각 전동기(37, 38)를 각각 정지시키고(스텝 7), 청소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수단(41)이,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인 경우, 바닥 브러시(26)를 그 위치에 소정 시간 정지시켜, 진애량이 많다고 판단된 피청소면 상의 위치를 중점적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진애를 효과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수단(41)은,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미만인 경우, 바닥 브러시(26)를 그대로 자주시킴으로써, 진애가 적은 피청소면 상의 위치의 청소에 필요 이상의 시간을 소비하는 일이 없어, 바닥 브러시(26)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생략하고, 불필요한 청소 시간을 생략하여, 청소 시간의 단축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제2 실시 형태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 수단(41)이,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소정량 이상인 경우(스텝 3의 "아니오")에, 그 검출한 진애량에 대응하여, 바닥 브러시(26)를 정지시키는 시간을 가변시키는 것이다.
즉,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3 대신에, 제어 수단(41)이,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광 센서(42)로부터의 출력 신호]이 미리 설정된 제1 소정량 이상인지 여부(미리 설정된 제1 소정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0).
이 스텝 10에 있어서,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제1 소정량 이상이 아니라(제1 소정량 미만임)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량이 적은, 바꾸어 말하면 진애량이 적은 피청소면의 위치를 청소하고 있다고 제어 수단(41)이 판단하였을 때(스텝 10의 "아니오")에는, 주행륜(33, 33)을 주행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는 스텝 5로 진행한다.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제1 소정량 이상이라고 제어 수단(41)이 판단하였을 때(스텝 10의 "예")에는, 이 제어 수단(41)이,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광 센서(42)로부터의 출력 신호]이 미리 설정된 제2 소정량 이상인지 여부(미리 설정된 제2 소정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11).
여기서, 이 제2 소정량은, 스텝 10에서 판단한 제1 소정량보다도 진애량이 많은 양이다. 즉, 제2 소정 임계값은, 제1 소정 임계값보다도 작은 값이다.
그리고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제2 소정량 이상이 아니라(제2 소정량 미만임)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량이 비교적 많은, 바꾸어 말하면 진애량이 비교적 많은 피청소면의 위치를 청소하고 있다고 제어 수단(41)이 판단하였을 때(스텝 11의 "아니오")에는, 제어 수단(41)은, 주행륜용 전동기(37)를 정지시켜 주행륜(33, 33)을 정지시키고, 바닥 브러시(26)를 그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제1 소정 시간, 예를 들어 2초 정도 정지시킨다(스텝 12).
이때, 제어 수단(41)은,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18) 및 브러시용 전동기(38)의 입력을 제1 소정 시간 동안, 일시적으로 증가시켜, 진애를 보다 강하게 피청소면으로부터 긁어내어 흡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제2 소정량 이상으로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량이 상당히 많은, 바꾸어 말하면 진애량이 상당히 많은 피청소면의 위치를 청소하고 있다고 제어 수단(41)이 판단하였을 때(스텝 11의 "예")에는, 제어 수단(41)은, 주행륜용 전동기(37)를 정지시켜 주행륜(33, 33)을 정지시키고, 바닥 브러시(26)를 그 위치에서 미리 설정된 제2 소정 시간(제1 소정 시간보다도 긴 시간), 예를 들어 4초 정도 정지시킨다(스텝 13). 즉, 제1 소정 시간<제2 소정 시간의 관계에 있다.
이때, 제어 수단(41)은,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18) 및 브러시용 전동기(38)의 입력을 제2 소정 시간 동안, 일시적으로 증가시켜, 진애를 보다 강하게 피청소면으로부터 긁어내어 흡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때의 전동 송풍기(18) 및 브러시용 전동기(38)의 입력의 증가량은, 스텝 12일 때보다도 크게 하도록 설정해도 된다.
그리고 스텝 5, 스텝 12 혹은 스텝 13의 제어 후, 전동 송풍기의 정지에 이르는 스텝 6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수단(41)이,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소정량 이상인 경우에, 그 검출한 진애량에 대응하여, 바닥 브러시(26)를 정지시키는 시간을 가변, 구체적으로는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많을수록 바닥 브러시(26)를 정지시키는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진애가 많다고 판단된 피청소면 상의 위치일수록 중점적으로 청소할 수 있어, 진애를 남겨 두는 일 없이, 보다 효과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바닥 브러시(26)의 정지 시간을 제1 소정 시간과 제2 소정 시간의 서로 다른 2종류로 하였지만, 예를 들어 서로 다른 3종류 이상으로 해도 마찬가지로 대응할 수 있다.
다음에, 제3 실시 형태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3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 수단(41)이,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인(스텝 3) 경우, 바닥 브러시(26)의 주행 속도를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상대적으로 저하시키는 것이다.
즉, 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3 및 스텝 4 대신에, 이하의 스텝 15 및 스텝 16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 수단(41)이,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으로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바꾸어 말하면 진애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피청소면의 위치를 청소하고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스텝 3의 "예")에는, 제어 수단(41)은, 주행륜용 전동기(37)의 입력을 미리 설정된 소정값으로 저하시켜 주행륜용 전동기(37)[주행륜(33, 33)]의 회전 속도를 미리 설정된 소정 회전 속도로 저하시킴으로써 바닥 브러시(26)의 주행 속도를 소정 속도로 저하시킨다(스텝 15).
이때, 제어 수단(41)은,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18) 및 브러시용 전동기(38)의 입력을 증가시켜, 진애를 보다 강하게 피청소면으로부터 긁어내어 흡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어 수단(41)은,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량에 기초하여 판단한 피청소면의 진애량을, 도시하지 않은 표시 수단 등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스텝 3에 있어서, 제어 수단(41)이,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이 아니라(소정량 미만임)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바꾸어 말하면 진애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피청소면의 위치를 청소하고 있다고 판단하였을 때(스텝 3의 "아니오")에는, 제어 수단(41)은, 주행륜용 전동기(37)[주행륜(33, 33)]을 통상 속도로 회전시켜, 바닥 브러시(26)를 통상 속도로 주행시킨다(스텝 16).
그리고 스텝 15, 혹은 스텝 16 후, 스텝 6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수단(41)이,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인 경우, 바닥 브러시(26)의 주행 속도를 저하시켜, 진애량이 많다고 판단된 피청소면 상의 위치를 중점적으로 청소할 수 있어, 진애를 효과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수단(41)은,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미만인 경우, 바닥 브러시(26)를 그대로의 주행 속도로 자주시킴으로써, 진애가 적은 피청소면 상의 위치의 청소에 필요 이상의 시간을 소비하는 일이 없고, 바닥 브러시(26)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생략하고, 불필요한 청소 시간을 생략하여, 청소 시간의 단축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제4 실시 형태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4 실시 형태는,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 수단(41)이,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소정량 이상인 경우에, 그 검출한 진애량에 대응하여, 바닥 브러시(26)의 주행 속도의 저하량을 가변시키는 것이다.
즉, 이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스텝 3 대신에,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인 스텝 10 및 스텝 11의 제어를 함과 함께, 스텝 10에 있어서,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제1 소정량 이상이 아니라(제1 소정량 미만임)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량이 적은, 바꾸어 말하면 진애량이 적은 피청소면의 위치를 청소하고 있다고 제어 수단(41)이 판단하였을 때에는, 스텝 16으로 진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스텝 11에 있어서,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제2 소정량 이상이 아니라(제2 소정량 미만임)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량이 비교적 많은, 바꾸어 말하면 진애량이 비교적 많은 피청소면의 위치를 청소하고 있다고 제어 수단(41)이 판단하였을 때(스텝 11의 "아니오")에는, 제어 수단(41)은, 주행륜용 전동기(37)[주행륜(33, 33)]의 회전 속도를 미리 설정된 제1 소정 회전 속도로 하고, 바닥 브러시(26)의 주행 속도를 미리 설정된 제1 소정 속도로 저하시킨다(스텝 18).
이때, 제어 수단(41)은,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18) 및 브러시용 전동기(38)의 입력을 증가시켜, 진애를 보다 강하게 피청소면으로부터 긁어내어 흡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제2 소정량 이상으로 풍로(W)를 통과하는 진애량이 상당히 많은, 바꾸어 말하면 진애량이 상당히 많은 피청소면의 위치를 청소하고 있다고 제어 수단(41)이 판단하였을 때(스텝 11의 "예")에는, 제어 수단(41)은, 주행륜용 전동기(37)[주행륜(33, 33)]의 회전 속도를 미리 설정된 제2 소정 회전 속도로 하고, 바닥 브러시(26)의 주행 속도를 미리 설정된 제2 소정 속도로 저하시킨다(스텝 19).
여기서, 제2 소정 속도는, 제1 소정 속도보다도 작다. 이때, 제어 수단(41)은,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18) 및 브러시용 전동기(38)의 입력을 증가시켜, 진애를 보다 강하게 피청소면으로부터 긁어내어 흡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때의 전동 송풍기(18) 및 브러시용 전동기(38)의 입력의 증가량은, 스텝 18일 때보다도 크게 하도록 설정해도 된다.
그리고 스텝 16, 스텝 18 혹은 스텝 19의 제어 후, 스텝 6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수단(41)이,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소정량 이상인 경우에, 그 검출한 진애량에 대응하여, 바닥 브러시(26)의 주행 속도의 저하량을 가변, 구체적으로는 광 센서(42)에 의해 검출한 진애량이 많을수록 바닥 브러시(26)의 주행 속도의 저하량을 증가시킴으로써[바닥 브러시(26)의 주행 속도를 느리게 함으로써], 진애가 많다고 판단된 피청소면 상의 위치일수록 중점적으로 청소할 수 있어, 진애를 보다 효과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속도 저하시의 바닥 브러시(26)의 주행 속도를 제1 소정 속도와 제2 소정 속도의 서로 다른 2종류로 하였지만, 예를 들어 서로 다른 3종류 이상으로 해도 마찬가지로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 설명한 각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수단(41)이, 광 센서(42)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바닥 브러시(26)를 주행 제어함으로써, 자주하는 바닥 브러시(26)라도, 진애가 많은 피청소면 상의 위치를 중점적으로 청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피청소면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바닥 브러시(26)가, 피청소면에 대향하여 회전 브러시(35)를 구비함으로써, 특히 진애가 얽혀 붙기 쉬운 융단 등의 피청소면을 청소할 때에, 전동 송풍기(18)의 부압의 작용에 의해 단순히 진애를 흡입할 뿐만 아니라, 회전 브러시(35)에 의해 진애를 피청소면으로부터 긁어낼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진애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회전 브러시(35)[브러시용 전동기(38)]는,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18)의 동작시에, 피청소면의 종류를 피청소면 검출 수단 등에 의해 검출하여 그 종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해도 되고, 회전 브러시(35)의 회전/정지를 사용자가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 등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제어와는 별개로, 전동 송풍기(18)의 동작시의 임의의 타이밍에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제어 수단(41)은, 사용자에 의한 바닥 브러시(26)의 전후 이동을 주행륜용 전동기(37)[주행륜(33, 33)]에 의해 보조하는 구성 외에, 사용자에 의한 바닥 브러시(26)의 전후 이동 대신에, 주행륜용 전동기(37)[주행륜(33, 33)]를 구동시켜 바닥 브러시(26)를 소정 스트로크로 전후로 주행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1개의 제어 수단(41)에 의해 전동 송풍기(18), 주행륜용 전동기(37) 및 브러시용 전동기(38) 모두를 제어하였지만, 예를 들어 주행륜용 전동기(37)[주행륜(33, 33)]의 회전/정지를 제어하는 주행 제어 수단의 기능 및 브러시용 전동기(38)[회전 브러시(35)]의 회전/정지를 제어하는 회전 청소체 제어 수단의 기능을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전기 청소기(11)로서는, 캐니스터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26)가 청소기 본체(12)의 하부에 접속된 업라이트형 등이라도 마찬가지로 대응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1 : 전기 청소기
12 : 청소기 본체
18 : 전동 송풍기
26 :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
35 : 회전 청소체로서의 회전 브러시
41 : 주행 제어 수단의 기능을 갖는 제어 수단
42 : 진애량 검출 수단으로서의 광 센서
W : 풍로

Claims (6)

  1. 전기 청소기로서,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풍로와,
    상기 풍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피청소면을 주행 가능한 주행 수단을 구비한 흡입구체와,
    상기 풍로를 통과하는 진애량을 검출하는 진애량 검출 수단과,
    상기 흡입구체의 상기 주행 수단을 구동하여 상기 흡입구체를 자주(自走)시킴과 함께, 상기 진애량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흡입구체의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제어 수단은, 상기 진애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상기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인 경우, 상기 흡입구체를 그 위치에 소정 시간 정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제어 수단은, 상기 진애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상기 진애량이 소정량 이상인 경우, 상기 검출한 진애량에 대응하여, 상기 흡입구체를 정지시키는 시간을 가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제어 수단은, 상기 진애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상기 진애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량 이상인 경우, 상기 흡입구체의 주행 속도를 상대적으로 저하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제어 수단은, 상기 진애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상기 진애량이 소정량 이상인 경우, 상기 검출한 진애량에 대응하여, 상기 흡입구체의 주행 속도의 저하량을 가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체는 피청소면에 대향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 청소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KR1020110097444A 2010-09-28 2011-09-27 전기 청소기 KR201200324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17382 2010-09-28
JP2010217382A JP2012070883A (ja) 2010-09-28 2010-09-28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440A true KR20120032440A (ko) 2012-04-05

Family

ID=4594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444A KR20120032440A (ko) 2010-09-28 2011-09-27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2070883A (ko)
KR (1) KR20120032440A (ko)
CN (1) CN102415856B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1679A (ja) * 1997-01-23 1998-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掃除機
JP4654793B2 (ja) * 2005-06-28 2011-03-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塵埃検知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4674506B2 (ja) * 2005-08-05 2011-04-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EP1836941B1 (en) * 2006-03-14 2014-02-1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Electric vacuum cleaner
CN101152064A (zh) * 2006-09-27 2008-04-02 上海中策工贸有限公司 多功能吸尘器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70883A (ja) 2012-04-12
CN102415856B (zh) 2014-07-23
CN102415856A (zh)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0921B2 (ja) 電気掃除機
KR101471322B1 (ko) 전기 청소기
KR101325439B1 (ko) 전기 청소기
KR101035165B1 (ko) 진공 청소기
KR101411028B1 (ko) 전기 청소기
KR20070102849A (ko) 업라이트 청소기와 그 제어방법
JP2019033814A (ja) 電気掃除機
JP5620089B2 (ja) 電気掃除機
KR20120032440A (ko) 전기 청소기
JP2010115360A (ja) 電気掃除機
KR101052108B1 (ko) 진공 청소기
KR100283861B1 (ko) 로봇청소기
JP5259210B2 (ja) 電気掃除機
KR101932074B1 (ko) 진공 청소기 및 진공 청소기의 제어방법
KR20060063426A (ko) 로봇청소기의 제어방법
JP5722170B2 (ja) 電気掃除機
JP2003265372A (ja) 吸込口体と電気掃除機
JP2003265371A (ja) 吸込口体と電気掃除機
KR20040061323A (ko) 로봇청소기의 구동륜제어장치
JPH0595882A (ja) 電気掃除機
JP2012200556A (ja) 電気掃除機
JP2011183030A (ja) 電気掃除機
JP2004135892A (ja) 電気掃除機
JP2010069019A (ja) 電気掃除機
KR20090049939A (ko)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