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149A -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149A
KR20120032149A KR1020100093625A KR20100093625A KR20120032149A KR 20120032149 A KR20120032149 A KR 20120032149A KR 1020100093625 A KR1020100093625 A KR 1020100093625A KR 20100093625 A KR20100093625 A KR 20100093625A KR 20120032149 A KR20120032149 A KR 20120032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vca
camera
noise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3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2149A/ko
Priority to US13/246,194 priority patent/US8478119B2/en
Publication of KR20120032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의 이음을 방지하기 위한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동작모드로부터 카메라 정지모드로 진입하는 정지모드 진입단계; 정지모드 진입단계로부터 VCA 이음 발생 제거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VCA 이음 제거 제어단계; VCA 이음 제거 제어단계의 제어에 의해 VCA 이음제거위치로 렌즈를 이동하는 렌즈이동단계; 및 VCA 이음제거위치로 이동된 렌즈를 바닥면까지 이동하도록 카메라전원 오프를 제어하는 카메라전원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및 장치가 제공되기 때문에, 에러발생이 없고, 동작 시간이 짧으며, 이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및 장치{Lens movement control method and lens movement control apparatus of a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voice coil actuator; VCA)의 이음(異音)을 방지하기 위한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에는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사진을 찍기 위한 카메라모듈이 내장된다. 이러한 카메라모듈은,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렌즈를 직선이동시키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단으로서,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4는 카메라 모듈의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가 동작모드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5는 도 4로부터 렌즈가 바닥면까지 이동된,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렌즈(110)의 측면과 결합되어 있는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120)가 하우징(housing; 130)의 보빈지지부(bobbin support; 131)의 상부에 위치해 있다.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120)는 영구자석(122)과 보빈(bobbin; 121)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카메라모듈(100)은, 카메라 동작모드로부터 카메라 정지모드로 진입할 때 카메라 전원은 오프(off)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60)의 힘에 의해 보빈(121)이 렌즈(110)를 바닥면(bottom surface; 133)까지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렌즈(110)가 바닥면(133)까지 이동시 보빈(121)의 하단부(123)와 하우징(130)의 보빈지지부(131)가 충돌하여 생기는 소리인 VCA 이음이 발생된다.
상술한 도 4 및 도 5의 카메라모듈의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 도면과, 도 1의 카메라 모듈의 제어 블록도 및 도 2의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카메라 모듈의 렌즈 이동 제어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 제어부(103)는 입력부(102)의 입력으로부터 카메라 동작모드인지를 확인한다(S11). 상기 과정(S11)에서 카메라 동작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다시 카메라 동작모드인지를 확인하고(S11), 상기 과정(S11)에서 카메라 동작모드인 경우에는 카메라 정지모드로 진입한다(S12). 카메라 동작모드는 카메라모듈이 촬영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모드로서, 프리뷰(preview; 카메라모듈이 사진을 찍기 전에 촬영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 또는 동영상촬영을 포함한다. 또한, 카메라 정지모드는 카메라모듈이 촬영동작을 정지하고 있는 모드로서, 퀵뷰(quickview; 프리뷰 상태에서 사진을 찍은 직후에, 찍은 사진을 잠시 화면에 보여주는 상태), 메뉴보기 또는 사진보기 등을 포함한다. 카메라 정지모드로의 진입은 퀵뷰와 같이 제어부(103)에 의해 자동으로 행해질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부(102)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행해질 수도 있다.
그 다음에, 보빈하강횟수(n)를 초기값 0으로 설정하고(S13), 제어부(103)는 렌즈구동부(104)를 제어하여 보빈(121)을 하강한다(S14). 상기 보빈(121)의 하강이 시작되고, 제어부(103)는 보빈(121)의 하강횟수에 1을 더한다(S15). 또한 제어부(103)는 렌즈(110)가 바닥면(133)까지 이동되었는지를 감지부(105)의 감지를 통해 확인하고(S16), 제어부(103)는, 감지부(105)를 통해 렌즈(110)가 바닥면(133)까지 이동되었음이 감지되면 렌즈 구동부(104)를 제어하여 렌즈이동을 종료한다. 렌즈(110)가 바닥면까지 이동되지 않은 경우에는 보빈하강횟수가 6(보빈하강최대횟수; 카메라전원이 오프되기 전에 보빈이 하강할 수 있는 최대횟수)인지를 확인한다(S17). 이와 같이 보빈하강최대횟수가 6이지만, 7 이상의 횟수도 가능하다. 보빈하강횟수가 6보다 작은 경우에는 S14로 되돌아가 보빈 하강을 반복한다. 따라서 종래는 렌즈(110)가 바닥면(133)까지 천천히 이동되게 함을 알 수 있으며, 결국, 보빈하강횟수가 6인 경우에는 카메라전원을 오프하고(S18), 렌즈이동제어를 종료한다.
이와 같은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은, 보빈을 하강한 후 렌즈가 바닥면까지 이동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으로부터 보빈하강최대횟수만큼 반복되는 경우가 많아 동작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결국, 카메라 정지모드로 진입한 때부터 렌즈가 바닥면으로 이동되는 때까지의 시간이 6초 이상 걸리며, 상기 확인하는 과정에서 에러 발생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에러발생이 없고, 동작 시간이 짧으며, VCA 이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 동작모드로부터 카메라 정지모드로 진입하는 정지모드 진입단계; 정지모드 진입단계로부터 VCA 이음 발생 제거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VCA 이음 제거 제어단계; VCA 이음 제거 제어단계의 제어에 의해 VCA 이음제거위치로 렌즈를 이동하는 렌즈이동단계; 및 VCA 이음제거위치로 이동된 렌즈를 바닥면까지 이동하도록 카메라전원 오프를 제어하는 카메라전원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을 카메라 동작모드로부터 카메라 정지모드로 진입시키는 정지모드 진입부; VCA 이음 발생 제거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VCA 이음 제거 제어부; VCA 이음 제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VCA 이음제거위치로 렌즈를 이동하는 렌즈 구동부; 및 VCA 이음제거위치로 이동된 렌즈를 바닥면까지 이동하도록 카메라전원 오프를 제어하는 카메라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렌즈 이동시 강제적으로 렌즈를 VCA 이음제거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카메라전원을 오프하므로, VCA 이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알고리즘이 간단하기 때문에 에러발생이 없으며, 카메라 정지모드로 진입한 때부터 렌즈가 바닥면으로 이동되는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카메라모듈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VCA 이음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카메라 모듈의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가 동작모드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도 4로부터 렌즈가 바닥면까지 이동된,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카메라모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메라모듈(100)은 촬영부(101), 입력부(102), 제어부(103), 렌즈 구동부(104) 및 감지부(105)를 구비한다.
촬영부(101)는 렌즈(110), IR 필터(infrared cut-off filter; 140) 및 이미지센서(150)을 포함한다. 렌즈(110)는 입사광을 모아 이미지센서(150)에 결상(結像)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렌즈(110)의 하부에는 IR 필터(140)가 배치되어 있고, IR 필터(140)의 하부에는 이미지센서(150)가 배치되어 있다.
입력부(102)는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사용자가 카메라모듈(100)에 원하는 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요소로서, 터치스크린, 터치키 또는 버튼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 구동부(104)는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120), 렌즈 구동전원(도시되지 않음), 스프링(160) 및 하우징(130)을 포함한다.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120)는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렌즈(110)를 광축을 따라 직선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보빈(121)과 영구자석(122)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빈(121)은 렌즈(110)의 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코일(도시되지 않음)이 감겨있다. 보빈(121)은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양에 따라 렌즈(110)의 위치를 조절한다. 영구자석(122)은 보빈(121)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다. 보빈(121)의 하단부(123)는, 카메라모듈(100)이 촬영동작을 수행하고 있을 때 하우징(130)의 보빈지지부(131)와 간격(h)을 두고 있다. 보빈(121)의 하단부(123)와 하우징(130)의 보빈지지부(131) 사이의 간격(h)은 렌즈(110)의 하면과 바닥면(133)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 렌즈 구동전원은 렌즈(110)를 구동하기 위해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120)에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스프링(160)은 카메라전원이 오프되었을 때 렌즈(110)를 바닥면(133)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120)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스프링(161)과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120)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스프링(162)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130)은 카메라모듈(100)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감싸서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보빈지지부(131) 및 렌즈하단지지부(132)를 포함한다. 렌즈하단지지부(132)의 상면은 카메라전원이 오프되었을 때 렌즈(110)와 접촉하는 바닥면(133)을 형성한다.
감지부(105)는 도 4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렌즈(11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요소이다.
제어부(103)는 도 4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입력부(102), 촬영부(101) 및 감지부(105)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렌즈 구동부(104)를 제어하기 위한 요소이다. 제어부(103)는, 카메라모듈(100)을 카메라 동작모드로부터 카메라 정지모드로 진입시키는 정지모드 진입부, VCA 이음 발생 제거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VCA 이음 제거 제어부, 및 카메라전원 오프를 제어하는 카메라전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동작모드 확인단계(S21)에서, 제어부(103)는 입력부(102)를 통한 입력으로부터 카메라 동작모드인지를 확인한다. 동작모드 확인단계(S21)에서 카메라 동작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103)는 카메라 동작모드인지를 반복해서 확인한다. 동작모드 확인단계(S21)에서 카메라 동작모드인 경우, 정지모드 진입단계(S22)로 진행되어, 카메라 동작모드로부터 카메라 정지모드로 진입한다.
그 다음에, 이음제거전류 공급단계(S23)로 진행되어, 제어부(103)가 렌즈(110)를 VCA 이음제거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렌즈이동명령을 실행한 후, 렌즈 구동전원이 렌즈 구동부(104)의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120)에 VCA 이음제거전류를 공급한다. 그 다음에, 렌즈이동단계(S24)로 진행되어,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120)는 렌즈(110)를 VCA 이음제거위치로 이동한다.
VCA 이음제거위치는, 카메라전원이 오프되어도 VCA 이음이 방지될 수 있는 바닥면(133)에 근접한 렌즈(110)의 위치이고, VCA 이음제거전류는 렌즈(110)를 VCA 이음제거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류량을 가진,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120)에 공급하는 전류이다. 렌즈이동명령은, 제어부(103) 내의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카메라전원 오프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전단에 위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렌즈(110)와 바닥면(133) 사이의 최대 간격이 hmax이고, 렌즈(110)가 바닥면(133)과 최대 간격을 이루도록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120)에 공급하는 전류는 10 ㎃이며, VCA 이음제거위치는 렌즈(110)와 바닥면(133) 사이의 간격이 0.1hmax 이하가 되는 위치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120)에 1 ㎃를 공급함으로써 렌즈(110)를 VCA 이음제거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다음에, 카메라전원 오프단계(S25)로 진행되어, 제어부(10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10)를 바닥면(133)까지 이동하기 위해 카메라전원을 오프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렌즈를 VCA 이음제거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카메라전원을 오프하므로, 렌즈가 카메라전원의 오프로 인하여 스프링의 힘에 눌려도 VCA 이음과 렌즈와 렌즈하단지지부 사이의 이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이동 완료 유무를 체크하지 않는 간단한 동작 알고리즘으로 렌즈이동을 제어하므로, 종래의 이음제거 방식에 비해, 카메라 정지모드로 진입한 때부터 렌즈가 바닥면으로 이동되는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부작용이 없다.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카메라모듈 110: 렌즈
120: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 121: 보빈
122: 영구자석 123: 하단부
130: 하우징 131: 보빈지지부
132: 렌즈하단지지부 133: 바닥면
140: IR 필터 150: 이미지센서
160: 스프링 161: 상부스프링
162: 하부스프링

Claims (7)

  1. 카메라 동작모드로부터 카메라 정지모드로 진입하는 정지모드 진입단계;
    상기 정지모드 진입단계로부터 VCA 이음 발생 제거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VCA 이음 제거 제어단계;
    상기 VCA 이음 제거 제어단계의 제어에 의해 VCA 이음제거위치로 렌즈를 이동하는 렌즈이동단계; 및
    상기 VCA 이음제거위치로 이동된 렌즈를 바닥면까지 이동하도록 카메라전원 오프를 제어하는 카메라전원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이동단계는, 상기 렌즈를 VCA 이음제거위치로 이동하기 이전에, 상기 렌즈를 VCA 이음제거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류량을 가진 VCA 이음제거전류를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에 공급하는 이음제거전류 공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VCA 이음 제거 제어단계는, 카메라전원 오프 API의 전단에 위치된 렌즈이동명령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모드 진입단계는, 상기 카메라 정지모드로 진입하기 이전에, 카메라 동작모드인지를 확인하는 동작모드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 제어방법.
  5. 카메라모듈을 카메라 동작모드로부터 카메라 정지모드로 진입시키는 정지모드 진입부;
    VCA 이음 발생 제거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VCA 이음 제거 제어부;
    상기 VCA 이음 제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VCA 이음제거위치로 렌즈를 이동하는 렌즈 구동부; 및
    상기 VCA 이음제거위치로 이동된 렌즈를 바닥면까지 이동하도록 카메라전원 오프를 제어하는 카메라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장치.
  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이동부는, 상기 렌즈를 VCA 이음제거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류량을 가진 VCA 이음제거전류를 보이스코일 액츄에이터에 공급하는 이음제거전류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VCA 이음 제거 제어부는, 카메라전원 오프 API의 전단에 위치된 렌즈이동명령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장치.
KR1020100093625A 2010-09-28 2010-09-28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및 장치 KR20120032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625A KR20120032149A (ko) 2010-09-28 2010-09-28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및 장치
US13/246,194 US8478119B2 (en) 2010-09-28 2011-09-27 Lens movement control method and lens movement control apparatus of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625A KR20120032149A (ko) 2010-09-28 2010-09-28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149A true KR20120032149A (ko) 2012-04-05

Family

ID=4587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625A KR20120032149A (ko) 2010-09-28 2010-09-28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78119B2 (ko)
KR (1) KR201200321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2149A (ko) * 2010-09-28 201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및 장치
TW201323847A (zh) * 2011-12-13 2013-06-16 Hon Hai Prec Ind Co Ltd 相機卡膠的測試方法
TWI553395B (zh) * 2012-05-14 2016-10-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相機模組測試系統及方法
CN104219453B (zh) * 2014-09-28 2018-04-27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相机模组的镜头控制方法和终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21613B (zh) * 2010-05-14 2014-01-01 Ability Entpr Co Ltd 行動通訊裝置之自動對焦裝置
US8189280B2 (en) * 2010-07-16 2012-05-29 Nokia Corporation Voice coil motor with pulse-width modulation driver
KR20120032149A (ko) * 2010-09-28 201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76481A1 (en) 2012-03-29
US8478119B2 (en)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9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EP3142348B1 (en) Imaging device
US10241382B2 (en) State transitions of viewfinder in image pickup apparatus
US1009142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to perform a process based on state transition of viewfinder
KR20120032149A (ko) 카메라모듈의 렌즈이동제어방법 및 장치
KR102450657B1 (ko) 포커스 렌즈 어셈블리의 제어
JP2009169065A (ja) ズーム駆動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並びに撮像装置
TWI595739B (zh) 音圈馬達驅動控制裝置及音圈馬達驅動控制方法
KR1005480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EP2039148B1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4718203B2 (ja) 撮影装置
KR101703246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812281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5889507B2 (ja) カメラ装置、及び撮影タイミング報知方法、撮影タイミング報知プログラム
JP2009276592A (ja)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プロジェクタの制御方法
JP2003315672A (ja) カメラ
JP2012169903A (ja) カメラ
JP2001183740A (ja) 画像入出力装置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2009069617A (ja) 撮像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9086472A (ja) 撮像装置
KR20120004095A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14142553A (ja) カメラ
JP2006165842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8298805A (ja) レンズ駆動装置
JPH0784302A (ja) 音声入力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