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0984A - 플러그-인 부싱, 및 이와 같은 부싱을 갖는 고전압 설비 - Google Patents

플러그-인 부싱, 및 이와 같은 부싱을 갖는 고전압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0984A
KR20120030984A KR1020110095186A KR20110095186A KR20120030984A KR 20120030984 A KR20120030984 A KR 20120030984A KR 1020110095186 A KR1020110095186 A KR 1020110095186A KR 20110095186 A KR20110095186 A KR 20110095186A KR 20120030984 A KR20120030984 A KR 20120030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plug
bushing
insulator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785B1 (ko
Inventor
안스가르 다이스
옌스 록스
올리베르 일릭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6295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3098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filed Critical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Publication of KR20120030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4Insulators apertured for fixing by nail, screw, wire, or bar, e.g. diabolo, bobb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64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02G15/072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of the condenser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 H01B17/28Capacitor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02G15/043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 H02G15/046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with bores or protruding portions allowing passage of cabl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액체 또는 기체 절연제로 채워진, 고전압 설비의 금속-캡슐화 구성요소(T)에 외부 전기 전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인 고전압 부싱(D)이 사용된다. 이것은 축(A) 방향에 대해 회전하여 대칭적인 것으로 설계된다. 중심으로 라우팅된 전기 전도체(10)와, 전계 제어 디바이스, 및 절연체(20)를 갖는데, 절연체(20)는 전기 전도체를 둘러싸고, 절연제를 위한 밀봉부를 형성하는 구성요소(T)를 차단하는 플러그 부분(60)으로의 부싱(D)의 삽입 이후에 조인트(F)를 유전적으로 강화시키는 테이퍼링 섹션(21)을 갖고, 상기 조인트(F)는 플러그 부분(60)의 절연 슬리브(64)와 절연체의 테이퍼링 섹션(21) 사이에 배치된다.
부싱은 비교적 간단하고 강력한 설계에 의해 구별되도록 의도되고, 동시에 심지어 매우 높은 동작 전압에서도 부싱의 동작 동안 작용하는 전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데 적합하도록 의도된다.
이것은, 전계 제어 디바이스가 커패시터 권선(40)의 형태이고, 커패시터 권선(40)이 커패시터 플레이트(41)를 갖고, 커패시터 플레이트(41)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절연 필름(42)에 의해 방사상 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에 유지되고, 경화된 폴리머 화합물(23)에서 커패시터 권선(40)을 내장함으로써 절연체(20)에 일체화되고, 커패시터 플레이트(41)가 장착 플랜지(30)를 통해 절연체(20)의 테이퍼링 섹션(21)으로 지나간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Description

플러그-인 부싱, 및 이와 같은 부싱을 갖는 고전압 설비{PLUG-IN BUSHING AND HIGH-VOLTAGE INSTALLATION HAVING A BUSHING SUCH AS THIS}
본 발명은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라, 고전압 설비의 금속-캡슐화(metal-encapsulated) 구성요소(액체 또는 기체 절연제로 채워짐)에 외부 전기 전도체를 연결시키기 위한 플러그-인 고전압 부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액체 또는 기체 절연제로 채워지는 금속-캡슐화 구성요소를 갖고 제 1항에 따른 플러그-인 부싱을 갖는 고전압 설비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인 부싱은, 구성요소에 배치되고 액체 또는 기체 절연제에 의해 금속 캡슐화로부터 절연되는 내부 전기 전도체를, 일반적으로 주변 공기에 의해 절연되지만 또한 고체, 오일 또는 SF6과 같은 몇몇 다른 절연제에 의해 절연될 수 있고 고전압 케이블, 케이블 단자, 케이블 슬리브 또는 가스-절연된 개폐기 조립체의 부분일 수 있는 외부 전기 전도체에 연결시킨다.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플러그-인 부싱은 예를 들어 GB 689 560, DE 10 2007 022 641 A1 및 Th. Klein 등에 의해 2006년에 Pfisterer Kontaktsysteme GmbH & Co. KG에 의해 회사 문헌으로서 발간된 논문 "A New Separable 170 kV utdoor Bushing System Creates a Multi-Purpose Transformer or Switchgear"에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플러그 부싱 각각은, 변압기가 설비 장소에 설치되고 있는 동안 절연제를 위한 밀봉부를 형성하는 변압기에 설치되는 짝을 이룬(mating) 플러그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이것은 변압기의 운송 및 유지 보수를 크게 간략화한다.
부싱의 삽입 동안, 조인트는, 짝을 이룬 플러그 부분의 절연 슬리브와 부싱의 플러그 부분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부분은 일반적으로 플러그 형태이고, 상기 조인트는 변압기와 부싱의 동작 동안 강력한 전계 효과를 받고, 상기 플러그 부분은 예를 들어 절연 오일(GB 689 560)의 도움으로, 부싱에 일체형인 전계 제어 디바이스의 도움으로, 그리고 조인트의 경계를 이룬 탄성체를 이용함으로써, 유전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에 규정된 바와 같이, 간단하고 컴팩트한 설계에 의해 구별되고 동시에 매우 높은 동작 전압에서도 부싱의 동작 동안 작용하는 전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데 적합한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플러그-인 부싱을 제공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라, 플러그-인 부싱은, 고전압 설비의, 액체 또는 기체 절연제로 채워진 금속-캡슐화 구성요소에 외부 전기 전도체를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플러그-인 부싱은, 동축 배치에서, 축을 따라 라우팅되고 플러그 접점 및 외부 전도체를 위한 연결부를 갖는 전기 전도체와, 전기 전도체에 부착되는 절연체와, 절연체에 부착되는 장착 플랜지와, 고전압이 인가될 때 작용하는 전계를 제어하기 위해 전기 전도체를 둘러싸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절연체는 절연제를 위한 밀봉부를 형성하는 고전압 설비의 구성요소를 차단하는 플러그 부분으로의 부싱의 삽입 이후에 조인트를 유전적으로 강화시키는 테이퍼링 섹션을 갖고, 상기 조인트는 플러그 부분의 절연 슬리브와 절연체의 테이퍼링 섹션 사이에 배치된다. 전계 제어 디바이스는 커패시터 권선의 형태이다. 커패시터 권선은 커패시터 플레이트를 갖는데, 커패시터 플레이트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절연 필름에 의해 방사상 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로 유지되고, 경화된 폴리머 화합물에서 커패시터 권선을 내장함으로써 절연체와 일체화된다. 커패시터 플레이트는 장착 플랜지를 통해 절연체의 테이퍼링 섹션으로 들어간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싱의 경우에, 전계 제어 디바이스로서 작용하는 커패시터 권선이 절연체에 일체화되고 동시에 장착 플랜지가 설치되기 때문에, 부싱의 제조 공정은 크게 간략화되고, 부싱은 동시에 간단하고 컴팩트한 설계에 의해 구별된다. 커패시터 권선의 제조 동안, 적합한 크기의 스테핑된 커패시터 플레이트는 적합한 위치에서 절연 필름에 쉽게 감겨진다. 이것은 신뢰성있는 결과를 초래하고, 더욱이 고전압 설비의 동작 동안 전기 전도체와 장착 플랜지 및 구성요소의 금속 하우징 사이에서 작용하는 전계의 매우 정밀한 제어를 초래한다. 플레이트의 적합한 스테핑된 배치는, 제조 동안 장착 플랜지의 한 측면 상에 위치되고 외부 전기 전도체를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외부 영역과, 장착 플랜지의 다른 측면 상에 위치되고 구성요소와 연관되는 내부 영역, 이에 따라 조인트에 대해 쉽게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2개의 영역 및 조인트에서 발생하는 특정한 전계 제어 문제는 제조를 위해 간단한 방식으로 해결된다. 그러므로, 간단하고 컴팩트한 설계임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부싱은 심지어 매우 높은 동작 전압에도, 고전압 설비의 동작 동안 장착 플랜지의 양쪽 면 및 조인트에서 작용하는 전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균일화하는데 적합하다.
테이퍼링 절연체 섹션의, 조인트의 경계를 이루는 표면은, 커패시터 권선 상에 유지되고 유리하게 탄성체의 형태인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절연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절연부(insulation)를 절연체에 잘 일체화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부싱의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커패시터 권선에 형성되는 스텝 뒤에 맞물릴 수 있다.
전술한 조인트의 경계 표면은 원뿔형일 수 있고, 원뿔형으로 테이퍼링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튤립(tulip)의 형태로 테이퍼링될 수 있다. 플러그 접점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섹션에서보다 플러그 접점을 향하는 섹션에서 상당히 크게 테이퍼링되는데, 여기서 플러그 부분의 절연 슬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조인트의 경계 표면의 대응 섹션에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다.
차폐부는 절연체의 외부 표면에 설치될 수 있고, 장착 플랜지로부터 전기 전도체의 연결부로 축 방향으로 지나간다.
전계-제어 커패시터 권선의 전기 특성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피하기 위해, 경화된 폴리머 화합물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물에 대한 확산 배리어로서 작용하는 충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충전재는 석영 분말과 같은 무기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차폐부는 또한 확산 배리어로서 작용하는 절연체 상의 코팅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패시터 플레이트의 적합한 스테핑과, 이에 따라 조인트에서의 전계의 균일한 분배를 달성하기 위해, 플러그 접점을 향하는 커패시터 플레이트의 단부는 조인트의 윤곽에 매칭되는 엔벨로프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액체 또는 기체 절연제로 채워지는 구성요소 및 전술한 플러그-인 부싱을 갖는 고전압 설비를 포함하는데, 상기 플러그-인 부싱은 절연 슬리브를 포함하고 절연제를 위한 밀봉부를 형성하는 고전압 절연체의 구성요소를 차단하는 플러그 부분에 삽입되고, 상기 플러그 부분은 전계 제어 요소의 형태이다.
고전압 설비의 일실시예에서, 플러그 부분의 절연 슬리브는 고전압 전위를 운반할 수 있는 제어 전극이 설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절연 슬리브는 전계-제어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 슬리브의, 조인트의 경계를 이루는 표면은 유리하게 탄성체의 형태인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절연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설명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간단하고 컴팩트한 설계에 의해 구별되고 동시에 매우 높은 동작 전압에서 부싱의 동작 동안 작용하는 전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데 적합한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플러그-인 부싱에 효과적이다.
도 1은 고전압 설비의, 변압기의 형태인 구성요소에 삽입하는 동안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부싱의 일실시예를 통해 축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삽입 동안 형성되는 플러그 연결의 축 방향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 변압기로의 삽입 이후의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부싱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싱에 대한 플러그 연결의 박스에서의 영역의 섹션을 확대한 도면.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효과를 갖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고 축(A)을 따라 연장하는 부싱(D)은 동축 배열로, 다음의 부분을 포함한다:
- 축(A)을 따라 라우팅되는 전기 전도체(10)로서, 상기 전기 전도체의 하부 단부는 핀 형태의 플러그 접점(11)을 갖고, 상부 단부에서 외부 고전압 전도체와의 연결부(12)가 형성되는, 축(A)을 따라 라우팅되는 전기 전도체(10)와,
- 회전 바디의 형태이고, 전기 전도체(10)의 외부 표면 상에 장착되는 강성 커패시터 권선(40)과 커패시터 권선(40)의 단부 표면 상에 장착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절연부(24)를 갖는 절연체(20)와,
- 절연체(20)의 외부 표면 상에 장착되는 장착 플랜지(30)와,
- 날씨, 먼지 및/또는 방사선에 대한 보호로서, 장착 플랜지(30)로부터 전기 연결부(12)로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절연체(20)의 외부 표면의 섹션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일반적으로 실리콘 또는 EPDM과 같은 소수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차폐부(50).
절연체(20)는 테이퍼링(tapering) 하부 섹션(21)과, 이 섹션에 인접하고 주로 원통형인 섹션(22)을 갖는다. 섹션(22)은 장착 플랜지(30)를 통해 개방-공기 연결부(12)로 지나가는 반면, 섹션(21)은 섹션(21)과 플러그 접점(11) 사이에서 장착 플랜지(30) 아래에서만 배치된다. 커패시터 권선(40)은 절연체(20)와 일체형이 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일반적으로 종이 및/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절연 필름(42)에 의해 방사 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에 유지되는 커패시터 플레이트(41)를 갖는다. 개방-공기 연결부(12)의 방향 및 플러그 접점(11)의 방향으로의 커패시터 플레이트(41)의 길이는 전기 전도체(10)로부터의 방사상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필름(42) 상에 감겨지거나 필름 상으로 가압되는 전기 전도성 커패시터 플레이트(41)와, 특히 플러그 접점(11)을 향하는 그 단부는 경화된 폴리머 매트릭스(23)에 내장된다.
경화된 폴리머 수지(23)는 일반적으로 에폭시 수지를 주원료로 한 충진되거나 충진되지 않은 폴리머를 갖는다. 절연 물질(23)은 필요시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석영을 주원료로 한 분말의 형태인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터 권선(40) 및 부싱을 제조하는 공정은, 절연 필름(42) 및 필요시 커패시터 플레이트(41)가 적합한 크기의 개구부를 갖는 경우 간략화된다. 절연 필름(42)을 감음으로써, 그리고 커패시터 플레이트(41)의 도입에 의해 사전 제조된 커패시터 권선의 침투 동안, 경화되지 않은 폴리머 수지는 충진재의 입자가 이들 개구부를 쉽게 통과하도록 한다.
커패시터 권선(40)은 고전압 전위에 있는 전기 전도체(10)와 접지 전위에 유지되는 장착 플랜지(30) 사이에서, 부싱(D)의 동작 동안 형성되는 전계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절연체 섹션(21)의 테이퍼링 외부 표면은 커패시터 권선(40)의 일단부 면 상에 유지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절연부(24)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절연부는 예를 들어 EPDM 또는 실리콘을 주원료로 한 탄성체를 유리하게 포함한다. 절연부는 장착 플랜지(30)의 하부 면으로부터 플러그 접점(11)으로 연장한다. 이것은 또한 장착 플랜지(30)가 예를 들어 클램핑 또는 접착 본딩에 의해 커패시터 권선(40)에 고정될 때까지 커패시터 권선(40)에 적용되지 않는다. 절연부(24)는 제조 관점에서 유리한 방식으로 차폐부(50)와 함께 커패시터 권선(40) 상으로 주조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부싱(D)은 축(A)을 따라 아래로 지나갈 수 있고, 변압기(T)의 플러그 부분(60)(소켓 형태인)에 삽입될 수 있다. 변압기(T)는 금속 하우징(62)을 갖는데, 금속 하우징은 접지 전위에 있고, 특히 절연 오일과 같은 액체 또는 기체 절연제(61)로 채워진다. 마찬가지로 축(A)을 따라 연장하고 도시되지 않은 고전압 권선에 연결되는 변압기(T)의 전기 전도체(63)는 플러그 부분(60)의 절연 슬리브(64) 상의 상부 단부에 유지되고, 슬리브 형태인 플러그 접점(65)을 갖는다. 전기 전도체(63)를 유지하고 축(A) 상에 플러그 접점(65)의 중심을 둔 절연 슬리브(64)는 절연제를 위한 밀봉부를 형성하는 하우징(62)의 부분(플랜지 부착물의 형태인)에 부착되고, 부착 지점으로부터 변압기(T)의 내부에서 아래로 축(A)을 따라 연속적으로 테이퍼링된다. 플러그 접점(65), 및 전기 전도체(63)에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는 제어 전극(66)은 절연 슬리브(64)의 하부 단부에 유지되며, 상기 하부 단부는 변압기의 내부에 위치된다. 안쪽으로 향하는 절연 슬리브(64)의 표면은 바깥쪽으로 향하는 테이퍼링 절연 섹션(21)의 그 표면과 크게 동일한 윤곽을 갖는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조인트(F)는, 절연 슬리브(64)의 축(A)을 향하는 내부 표면과, 축(A)으로부터 멀리 바깥쪽으로 향하는 테이퍼링 절연체 섹션(21)의 표면 사이에서, 알 수 있듯이, 소켓의 형태인 플러그 부분(60)으로의 부싱(D)의 삽입 동안 형성된다. 삽입 동안, 플러그 접점(11 및 65)은 서로 맞물려서, 2개의 전기 전도체(10 및 63)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이룬다. 장착 플랜지(30)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의 도움으로, 금속 하우징(62)에 고정된다. 공정에서, 절연부(24)는 절연 슬리브(64)의 내부 표면에 대해 가압되고,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조인트(F)를 유전적으로 강화한다.
커패시터 권선(40)의 제조 동안, 전기 전도체(10)와 장착 플랜지(30) 및 금속 하우징(62) 사이에서 작용하는 전계는 적합한 위치에서 길이를 따라 적합하게 적층되는 커패시터 플레이트(41)를 도입함으로써 매우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것은, 절연제로서 공기가 가해지고 장착 플랜지(30) 위에 위치되는 외부 영역에서, 그리고 장착 플랜지(30) 아래에 위치되고 변압기(T)의 절연제, 즉 특히 절연 오일이 가해지는 내부 영역에서, 그러므로 또한 조인트(F)에서 전계의 미세하게 배출된 균질화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2개의 영역 각각에서 그리고 조인트에서 발생하는 특정 전계 제어 문제는 제조 관점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해결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외부 영역에서의 절연 수단이 일반적으로 공기이지만, 또한 예를 들어 케이블 종단의 경우에 오일, 또는 일반적으로 가스-절연된 개폐기 조립체에서 SF6과 같은 절연 가스와 같이 상이한 절연제가 있을 수 있다.
절연 오일로 채워진 변압기(T) 대신에, 고전압 설비는 또한 특히 SF6과 같은 절연 가스로 채워진 금속-캡슐화 개폐기 조립체의 스위칭 디바이스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부싱(D)을 포함하는 고전압 설비에서의 전계는 특히 절연 슬리브(64)의 영역에서 미세하게 제어될 수 있고, 특히 플러그 부분(60)이 전계 제어 요소의 형태인 경우 조인트(F)에서 제어될 수 있다. 이것은 설비의 동작 동안 고전압 전위를 운반하는 제어 전극(66)에 의해, 또는 절연 슬리브(64)에서의 전계-제어 물질의 이용에 의해, 또는 절연 슬리브에서 전계-제어 절연 물질 및 제어 전극(66)의 조인트 이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절연부(67)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절연부(24) 이외에 또는 그 대신에 절연 슬리브(64)에 일체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리콘 또는 EPDM을 주원료로 한 탄성체의 형태인 이러한 절연부가 조인트(F)의 경계를 이루는 절연 슬리브(64)의 표면을 형성하는 경우, 조인트의 유전 세기는 부싱(D)이 변압기(T)에 삽입될 때 추가적으로 개선된다.
도 3에서 또한 알 수 있듯이, 플러그 접점(11)을 향하는 커패시터 플레이트(41)의 이들 단부는 조인트(F)의 윤곽에 매칭되는 엔벨로프 표면(H) 상에 위치된다. 이것은 특히 조인트(F)에서 전계의 균일한 제어를 초래한다.
또한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커패시터 권선(40)은 테이퍼링 절연체 섹션(21)에 위치되는 2개의 섹션(43, 44)을 갖는다. 섹션(43)은 원통형이고, 고리형 형태로 축(A) 주위에 지나가고 섹션(44)으로부터 멀리 스텝(step)의 형태인 스텝(45)에 의해 스테핑되고, 이 섹션(44)은 더 작은 직경을 갖고 아래로 테이퍼링된다{플러그 접점(11)의 방향으로}. 절연부는 스텝(45) 뒤에서 맞물려서, 커패시터 권선(40) 상의 절연부(24)의 접착을 개선한다. 이것은 플러그 부분(60)으로의 부싱(D)의 삽입 동안 중요한데, 이는 이로부터 절연부(24)가 삽입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가해진 높은 전단력을 갖기 때문이다. 스텝은 전단력의 일부분을 흡수하고, 이에 따라 커패시터 권선(40) 상의 삽입(24)의 접착을 개선한다.

Claims (13)

  1. 액체 또는 기체 절연제(61)로 채워진, 고전압 설비의 금속-캡슐화 구성요소(T)에 외부 전기 전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인 고전압 부싱(D)으로서, 동축 배열에서, 축(A)을 따라 라우팅(routed)되고 플러그 접점(11) 및 외부 전도체를 위한 연결부(12)를 갖는 전기 전도체(10)와, 전기 전도체(10)에 부착되는 절연체(20)와, 절연체(20)에 부착되는 장착 플랜지(30)와, 고전압이 인가될 때 작용하는 전계를 제어하기 위해 전기 전도체(10)를 둘러싸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체(20)는 절연제를 위한 밀봉부를 형성하는 고전압 설비의 구성요소(T)를 차단하는 플러그 부분(60)으로의 부싱(D)의 삽입 이후에 조인트(F)를 유전적으로 강화시키는 테이퍼링 섹션(tapering section)(21)을 갖고, 상기 조인트(F)는 플러그 부분(60)의 절연 슬리브(64)와 절연체의 테이퍼링 섹션(21) 사이에 배치되는, 플러그-인 고전압 부싱(D)에 있어서,
    상기 전계 제어 디바이스는 커패시터 권선(40)의 형태이고,
    상기 커패시터 권선(40)은 커패시터 플레이트(41)를 갖는데, 상기 커패시터 플레이트(41)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절연 필름(42)에 의해 방사상 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로 유지되고, 경화된 폴리머 화합물(23)에서 커패시터 권선(40)을 내장함으로써 절연체(20)에 일체화되고,
    상기 커패시터 플레이트(41)는 장착 플랜지(30)를 통해 절연체(20)의 테이퍼링 섹션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고전압 부싱.
  2. 제 1항에 있어서, 절연체 섹션(21)의, 조인트(F)의 경계를 이루는 표면은 커패시터 권선(40) 상에 유지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절연부(24)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고전압 부싱.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절연부(24)는 탄성체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플러그-인 고전압 부싱.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절연부(24)는 커패시터 권선(40)에 형성되는 스텝(45) 뒤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고전압 부싱.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폐부(shield)(50)는 절연체(20)의 외부 표면에 설치되고, 장착 플랜지(30)로부터 전기 전도체(10)의 연결부(12)로 축 방향으로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고전압 부싱.
  6. 제 5항에 있어서, 경화된 폴리머 화합물(23)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물에 대한 확산 배리어로서 작용하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고전압 부싱.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50)는 들어오는 물에 대한 확산 배리어로서 작용하는 절연체(20) 상의 코팅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고전압 부싱.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 접점(11)을 향하는 커패시터 플레이트(41)의 단부는 조인트(F)의 윤곽에 매칭되는 엔벨로프 표면(H)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고전압 부싱.
  9. 액체 또는 기체 절연제(61)로 채워지는 구성요소(T), 및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러그-인 부싱(D)을 갖는 고전압 설비로서, 상기 플러그-인 부싱(D)은 절연 슬리브(64)를 포함하고 절연제를 위한 밀봉부를 형성하는 고전압 절연체의 구성요소(T)를 차단하는 플러그 부분(60)에 삽입되는, 고전압 설비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분(60)은 전계 제어 요소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설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슬리브(64)에는 고전압 전위를 운반할 수 있는 제어 전극(6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설비.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슬리브(64)는 전계-제어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설비.
  12.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연 슬리브(64)의, 조인트(F)의 경계를 이루는 표면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절연부(67)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설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절연부(67)는 탄성체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설비.
KR1020110095186A 2010-09-21 2011-09-21 플러그-인 부싱, 및 이와 같은 부싱을 갖는 고전압 설비 KR101249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77794.4A EP2431982B1 (de) 2010-09-21 2010-09-21 Steckbare Durchführung und Hochspannungsanlage mit einer solchen Durchführung
EP10177794.4 2010-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984A true KR20120030984A (ko) 2012-03-29
KR101249785B1 KR101249785B1 (ko) 2013-04-03

Family

ID=4362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186A KR101249785B1 (ko) 2010-09-21 2011-09-21 플러그-인 부싱, 및 이와 같은 부싱을 갖는 고전압 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55763B2 (ko)
EP (1) EP2431982B1 (ko)
KR (1) KR101249785B1 (ko)
CN (1) CN102568757B (ko)
BR (1) BRPI1105755B1 (ko)
RU (1) RU2475877C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686A1 (ko) * 2015-05-26 2016-12-01 주식회사 효성 콘덴서 부싱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14712A (ko) 2019-03-29 2020-10-07 대한전선 주식회사 건식 플러그-인 부싱, 그 제조방법 및 이와 같은 부싱을 포함하는 고전압 설비
KR20200114713A (ko) 2019-03-29 2020-10-07 대한전선 주식회사 고전압 설비용 건식 플러그-인 부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04052B4 (de) * 2012-03-15 2022-12-29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Hochspannungsdurchführung mit leitenden Einlagen für Gleichspann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CN102957122A (zh) * 2012-12-20 2013-03-06 沈阳华利能源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插入式连接的固体绝缘套管
ES2635625T3 (es) * 2013-07-30 2017-10-04 Abb Schweiz Ag Dispositivo de conexión para un aparato conmutador
US9601912B2 (en) * 2014-06-23 2017-03-21 Schneider Electric USA, Inc. Compact transformer bushing
DE102014222690A1 (de) 2014-11-06 2016-05-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Detektormodul für einen Röntgendetektor
EP3148010A1 (en) * 2015-09-25 2017-03-29 ABB Schweiz AG A cable fitting for connecting a high-voltage cable to a high-voltage component or another high-voltage cable
EP3148027B1 (en) * 2015-09-25 2020-01-15 ABB Schweiz AG A cable fitting for connecting a high-voltage cable to a high-voltage component
EP3196901B1 (en) * 2016-01-25 2018-04-04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High voltage assembly
US11146053B2 (en) * 2016-01-29 2021-10-12 Power Hv Inc. Bushing for a transformer
DE102016203776A1 (de) * 2016-03-08 2017-09-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Wicklungsanordnung mit Steckdurchführung
DE102016207405A1 (de) * 2016-04-29 2017-11-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Transformator mit einsteckbaren Hochspannungsdurchführungen
DE102016220852A1 (de) * 2016-10-24 2018-04-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biler Transformatordurchführungsanschluss
US10027051B1 (en) * 2017-02-20 2018-07-17 Robert Bosch Gmbh Hybrid electrical connector
US11289243B2 (en) 2017-07-12 2022-03-29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Pluggable high-voltage bushing and electrical device having a pluggable high-voltage bushing
DE102017212977A1 (de) * 2017-07-27 2019-01-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eckbare Hochspannungsdurchführung und elektrisches Gerät mit der steckbaren Hochspannungsdurchführung
EP3435493B1 (de) 2017-07-27 2020-03-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eckbare hochspannungsdurchführung und hochspannungsanlage mit der steckbaren hochspannungsdurchführung
DE102018201224A1 (de) * 2018-01-26 2019-08-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eckbare Hochspannungsdurchführung und elektrisches Gerät mit der steckbaren Hochspannungsdurchführung
US10818434B2 (en) 2018-04-11 2020-10-27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Adaptor for a capacitor
DE102018215274A1 (de) * 2018-09-07 2020-03-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und Verfahren zur Potentialabsteuerung in der Hochspannungstechnik
CN109557354B (zh) * 2018-10-17 2023-11-07 全球能源互联网研究院有限公司 一种含有阻容混联拓扑单元的宽频电压互感器
EP3667684A1 (en) * 2018-12-12 2020-06-17 ABB Schweiz AG Electrical bushing
CN114709788A (zh) * 2019-06-26 2022-07-05 安徽伊法拉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冷缩电缆户外终端
EP3826035A1 (en) * 2019-11-20 2021-05-26 ABB Power Grids Switzerland AG Draw-rod bushing with sealed bottom contact
CN220232869U (zh) * 2019-12-04 2023-12-22 西门子能源全球有限公司 具有可插接的高压套管和用于容纳高压套管的设备连接件的电气设备
EP4024635A1 (en) * 2020-12-29 2022-07-06 Schneider Electric USA, Inc. Switching device with reduced partial discharge and improved triple point characteristics
US11855421B2 (en) * 2022-04-21 2023-12-26 Jst Power Equipment, Inc. Circuit breaker with indicator of breaker 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89560A (en) * 1952-01-28 1953-04-01 British Thomson Houston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erminal bushings for electric transformers and the like
DE1189600B (de) * 1961-04-27 1965-03-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ktrische Hochspannungsdurchfuehrung mit zentralem Durchfuehrungsleiter
DE2946172A1 (de) * 1979-11-15 1981-05-2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Hochspannungsdurchfuehrung
DE3001810A1 (de) * 1980-01-18 1981-07-2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Folienisolierte hochspannungsdurchfuehrung mit potentialsteuereinlagen
DD161044A3 (de) * 1980-11-04 1984-08-29 Liebknecht Transformat Sicherungseinrichtung fuer hochspannungs-kondensator-durchfuehrung
US4500745A (en) * 1983-03-03 1985-02-19 Interpace Corporation Hybrid electrical insulator bushing
JPS612312A (ja) * 1984-06-15 1986-01-08 Hitachi Ltd コンデンサ形ブツシングpd
FR2581791B1 (fr) * 1985-05-13 1988-11-04 Merlin Gerin Mecanisme de fermeture manuelle brusque d'un appareil de coupure de courant
CN2129450Y (zh) * 1992-07-16 1993-04-07 沈阳变压器厂 一种固体套管
WO1999045550A1 (de) * 1998-03-05 1999-09-10 HSP Hochspannungsgeräte Porz GmbH Durchführung für eine hohe elektrische spannung
DE19856123C2 (de) * 1998-12-04 2000-12-07 Siemens Ag Hohlisolator
SE526713C2 (sv) * 2003-07-11 2005-10-25 Abb Research Ltd Genomföring samt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genomföringen
EP1577904B1 (de) * 2004-03-15 2012-02-22 ABB Research Ltd. Hochspannungsdurchführung mit Feldsteuermaterial
EP1622173A1 (en) * 2004-07-28 2006-02-01 Abb Research Ltd. High-voltage bushing
DE102004046134A1 (de) * 2004-08-06 2006-03-16 Südkabel GmbH Freiluftendverschluss
CN101253582B (zh) * 2005-06-07 2011-06-29 Abb研究有限公司 套管、使用该套管的高压/中压设备及制造该套管的方法
ATE522912T1 (de) * 2005-12-14 2011-09-15 Abb Research Ltd Hochspannungsdurchführung
US8049108B2 (en) * 2005-12-30 2011-11-01 Abb Technology Ltd. High voltage bushing and high voltage device comprising such bushing
EP1811626B1 (de) * 2006-01-24 2016-04-13 Nexans Elektrische Durchführung
CN101136280A (zh) * 2006-08-31 2008-03-05 Abb技术有限公司 高压设备、高压套管以及装配所述设备的方法
EP1939897A1 (en) * 2006-12-28 2008-07-02 ABB Research Ltd. An insulating structure with screens shaping an electric field
RU64823U1 (ru) * 2007-04-12 2007-07-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Группа "А.Д.Д." Мобильная трансформаторная подстанция
DE102007022641A1 (de) 2007-05-15 2008-11-20 Areva Energietechnik Gmbh Elektrischer Transformator
EP2053616A1 (en) * 2007-10-26 2009-04-29 ABB Research Ltd. High-voltage outdoor bushing
EP2117015A1 (en) * 2008-05-06 2009-11-11 ABB Technology AG High voltage bushing and high voltage device comprising such bush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686A1 (ko) * 2015-05-26 2016-12-01 주식회사 효성 콘덴서 부싱 및 그 제조방법
US10297371B2 (en) 2015-05-26 2019-05-21 Hyosung Heavy Industries Corporation Capacitor bush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00114712A (ko) 2019-03-29 2020-10-07 대한전선 주식회사 건식 플러그-인 부싱, 그 제조방법 및 이와 같은 부싱을 포함하는 고전압 설비
KR20200114713A (ko) 2019-03-29 2020-10-07 대한전선 주식회사 고전압 설비용 건식 플러그-인 부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1105755A2 (pt) 2013-05-28
US20120071014A1 (en) 2012-03-22
KR101249785B1 (ko) 2013-04-03
CN102568757A (zh) 2012-07-11
US8455763B2 (en) 2013-06-04
EP2431982A1 (de) 2012-03-21
CN102568757B (zh) 2014-11-26
EP2431982B1 (de) 2014-11-26
BRPI1105755B1 (pt) 2021-01-19
RU2475877C1 (ru)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785B1 (ko) 플러그-인 부싱, 및 이와 같은 부싱을 갖는 고전압 설비
US10355470B2 (en) Cable fitting for connecting a high-voltage cable to a high-voltage component
KR101182745B1 (ko) 옥외 케이블 밀봉 단부
AU772233B2 (en) Cable sealing end
US7495172B2 (en) Outdoor sealing end
US8525025B2 (en) High voltage direct current cable termination apparatus
EP1010226B1 (en) Cable termination
US11605501B2 (en) HV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pparatus
KR101151989B1 (ko) 고체절연 부하개폐기의 모선 접속장치
US8609987B2 (en) High voltage direct current cable termination apparatus
CN1224153C (zh) 母线连接装置
US20210035713A1 (en) High-voltage feed-through, electrical device having a high-voltage feed-through,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electrical device
JP7089687B1 (ja) 鉄道車両用の碍管ユニット及び鉄道車両用の電力ケーブル接続構造体
US2006015726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lectric bushing fabrication
CN103137278A (zh) 过压放电器
KR101497068B1 (ko) 지상 및 지중 겸용 에폭시몰딩 절연형 다회로 부하개폐기 및 차단기
JP3432407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と変圧器の接続装置
US3523157A (en) Cast insulating bushing with axially disposed electrical cable
CN1171254C (zh) 单件式多功能高压电连接器及包括该连接器的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