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0515A - Znf281을 발현하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의 대량 배양방법 - Google Patents

Znf281을 발현하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의 대량 배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0515A
KR20120030515A KR1020120023657A KR20120023657A KR20120030515A KR 20120030515 A KR20120030515 A KR 20120030515A KR 1020120023657 A KR1020120023657 A KR 1020120023657A KR 20120023657 A KR20120023657 A KR 20120023657A KR 20120030515 A KR20120030515 A KR 20120030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s
cells
cord blood
cell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선
노경환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23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0515A/ko
Publication of KR2012003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C12N5/0665Blood-borne mesenchymal stem cells, e.g. from umbilical cord bloo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62General methods for three-dimensional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3/003D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50Proteins
    • C12N2533/52Fibronectin; Lamin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대혈로부터 분리된 단핵세포를 피브로넥틴이 포함된 배양 용기내에서 배양한 후 배양물로부터 줄기세포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의 분리방법, 본 발명에 의해 분리된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 상기 줄기세포 또는 이로부터 분화된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한 줄기세포 배양용 배지, 이 배지에서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증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의 배양방법 및 줄기세포를 구 배양(sphere culture) 또는 삼차원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의 줄기성(stemness) 증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ZNF281을 발현하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의 대량 배양방법{Method for Robust Expansion of Umbilical Cord Blood derived-Pluripotent Stem Cell Expressing ZNF281}
본 발명은 제대혈로부터 분리된 단핵세포를 피브로넥틴이 포함된 배양 용기내에서 배양한 후 배양물로부터 줄기세포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의 분리방법, 본 발명에 의해 분리된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 상기 줄기세포 또는 이로부터 분화된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한 줄기세포 배양용 배지, 이 배지에서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증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의 배양방법 및 줄기세포를 구 배양(sphere culture) 또는 삼차원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의 줄기성(stemness) 증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줄기 세포들은 자기 재생(self-renewing), 분화, 영구성(immortal)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독특한 성질을 이용하여 재생의학의 관점에서 다양한 퇴행성 질병의 치료를 위한 해결방법으로 제시될 뿐만 아니라 세포들의 biology에 대한 깊은 통찰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조직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성체 줄기 세포는 일반적으로 배아 줄기 세포에 비해 무제한적인 소스와 연구자들이 직면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피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더 매력적이다. 더욱이, 제대혈로부터 분리한 줄기세포는 골수나 지방조직과 달리 기증자가 추가적인 해를 입을 염려가 없기 때문에 다른 성체 줄기세포들보다 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시험관내(in vitro)에서 제대혈유래 중간엽줄기세포는 성공적으로 신경세포, 간세포, 골세포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세포에 성공적으로 도입되었다(Sun, W. et al., Stem cells, 23:931, 2005; Hong SH. et al ., Biochem. Biophys. Res. Commun., 30:1153, 2005; Hutson EL. et al ., Tissue Engineering, 11:1407, 2005). 또한, 생체내(in vivo)에서, 제대혈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상처, 당뇨병, 심장 경색(heart infraction) 등에 성공적인 이식이 여러 논문들을 통해 보고되어 왔다(Nonome, K. et al .,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89:1091, 2005; Yoshida, S. et al ., Stem cells, 23:1409, 2005; Kim Bo. et al., Circulation, 112:96, 2005). 전염병의 전달 위험이 적고, 이식 대 숙주 병(graft-versus-host disease)에 걸릴 위험이 낮아, 제대혈 중간엽줄기세포 이식은 소아, 성인 환자 모두에게 급속히 시술되고 있다(Claudio G. B. et al ., Annual Review of Medicine, 57:403, 2006). 제대혈 이식이 몇몇 질병, 특히 조혈모 결함(hematopoietic defection)과 관련된 병들에 시술할 수 있는 접근으로써 받아들여졌다 할지라도(Grewal, SS. et al ., Blood, 103:1147, 2004; Knutsen, AP. et al., Journal pediatrics, 142:519, 2003; Ooi, J. et al ., Blood, 103:489, 2004; Sanz GF. et al ., Blood, 103:489, 2004), 제대혈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임상적 적용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제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척수 손상된 여성 및 버거병(buerger's disease) 환자에서 완전한 회복은 아니지만, 부분적으로 성공한 보고들이 있다 (Kim, SW. et al ., Stem Cells, 2006; Kang, KS. et al ., Cytotherapy, 7:368, 2005). 그러나, 이러한 세포들의 발달 메커니즘 뿐만 아니라, 이 세포들을 어떻게 잘 배양하고 증식하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제대혈에서 중간엽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은 골수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분리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세포의 분리율이 20% 내외이며, 5시간 이내의 신선한 혈액을 사용하였을 때는 50%이지만, 그 이후가 되면 20% 이하로 떨어지고 분리 후에도 세포의 증식이 잘 되지 않는 한계를 보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간 제대혈 유래 혈액에서 분리한 단핵 세포를 피브로넥틴이 포함된 배양 용기에서 배양하여, 선형태(spindle-shape)의 세포가 대량으로 증식되며, 집락을 이루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배양하였을 때, 세포의 특성이 일정정도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기존의 방법에서 문제시 되는 제대혈 유래 비조혈계 만능줄기세포 및 중간엽줄기세포의 효율적 분리 및 대량증식이 가능한 배양 방법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제대혈로부터 분리된 단핵세포를 피브로넥틴이 포함된 배양 용기내에서 배양한 후 배양물로부터 줄기세포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의 분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분리방법에 의해 분리된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 또는 이로부터 분화된 세포를 함유하는 세포치료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줄기세포 배양용 배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줄기세포를 상기 배지에서 배양하여 증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의 배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줄기세포를 구 배양 또는 삼차원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의 줄기성을 증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관점은 제대혈로부터 분리된 단핵세포를 피브로넥틴이 포함된 배양 용기내에서 배양한 후 배양물로부터 줄기세포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제대혈로부터 단핵세포의 분리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제대혈과 Hetasep을 혼합하여 적혈구를 제거한 후 피콜상(Ficoll-plaque)을 이용하여 단핵세포를 분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제대혈과 Hetasep의 혼합비는 제대혈 5ml 당 0.5~2ml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대혈로부터 단핵세포의 분리 수율을 높이기 위해, 분만 직후 회수한 제대혈, 분만 직후 회수하여 실온에서 12~48시간 동안 보관한 제대혈 또는 3~5℃에서 6~72시간 동안 보관한 제대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대혈에서 분리된 단핵세포로부터 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브로넥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피브로넥틴을 포함하는 배양 용기'란, 단핵세포와 피브로넥틴이 접촉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피브로넥틴은 배양 용기에 코팅되거나, 입자 형태 또는 3차원 구조물 형태로 배지에 포함될 수 있다. 한 양태로서, 피브로넥틴이 배양 용기에 코팅된 경우, 피브로넥틴은 0.1?1m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브로넥틴은 특별한 제한 없이 동물로부터 유래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사람으로부터 유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브로넥틴은 인공 합성 (예, 화학적 합성법, 단백질 합성 장치를 이용한 합성 등) 또는 생합성 (예, 재조합 DNA 기술, 섬유아세포 배양 등)을 통해 제조하거나,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혈장 또는 세포외기질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입수할 수도 있다. 상기 피브로넥틴은 피브로넥틴의 단편(fragment) 또는 펩타이드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단핵세포를 피브로넥틴이 포함된 배양 용기내에서 배양할 때, 이용 가능한 배지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기본 배지로는 SNU-1 또는 EGM-2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NU-1 배지'의 조성은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본 배지에 FGF-B(Fibroblast Growth Factor),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EGF(Epodermal Growth Factor),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IGF-1(Insulin-like Growth Factor-1) 또는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헤파린(heparin)을 첨가하고, 필요에 따라 GA-1000(Gentamycin Sulfate, Amphotericin-B)을 추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본 배지에, 우태아혈청(FBS) 20%, bFGF(Fibroblast Growth Factor) 1~40ng/ml, 아스코르브산 0.1~5.0㎍/ml, EGF(Epidermal Growth Factor) 1~40ng/ml, 하이드로코르티손 0.1~1㎍/ml, IGF-I(Insulin-like Growth Factor-1) 1~40ng/ml 또는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1~5ng/ml 및 헤파린 20~25㎍/ml를 첨가하고, 필요에 따라 GA-1000(Gentamycin Sulfate, Amphotericin-B)을 추가로 첨가하는 것이다.
한편, 단핵세포를 배양하고 3일 후, 부착되지 못한 단핵세포는 제거하고 부착된 단핵세포만을 계속 배양한다. 이로써, 부착된 단핵세포 중 줄기세포만 선택적으로 증식하게 되며, 분리 후 12~20일 사이에 빠르게 증식하는 줄기세포를 관찰할 수 있다. 여기서, 배지는 2~3일 간격으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양물로부터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를 수득하는 방법으로는 소팅 기능을 가진 플로우 사이토미터를 사용한 FACS 법(Int . Immunol ., 10(3):275, 1998), 자기 비즈를 사용하는 방법, 중간엽줄기세포를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를 사용한 패닝법(J. Immunol ., 141(8):2797, 1998) 등이 있다. 또한, 대량의 배양물 등으로부터 다분화능 줄기세포를 수득하는 방법으로는, 세포의 표면에 발현되어 분자(이하, 표면 항원이라 칭함)를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이를 칼럼으로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플로우 사이토미터 소팅 방식으로는, 수적하전 방식, 셀캡쳐 방식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어떠한 방법도 세포의 표면항원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를 형광으로 표지하고, 표지된 항체와 항원의 결합체에 대한 형광을 측정하여 형광 강도를 전기 신호로 변환함으로서 세포의 항원 발현량을 정량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형광물질의 종류를 조합함으로써, 복수의 표면 항원을 발현하고 있는 세포를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 사용가능한 형광물질로는,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 PE(phycoerythrin), APC(allo-phycocyanin), TR(TexasRed), Cy3, CyChrome, Red613, Red670, TRI-Color, QuantumRed 등이 있다.
플로우 사이토미터를 사용한 FACS 법으로는, 상기에서 수득한 줄기세포용액을 수집하고, 원심분리 등의 방법으로 세포를 분리한 후, 직접 항체로 염색하는 방법과 한번 적당한 배지 중에서 배양, 증식을 실시한 후에 항체를 염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세포의 염색은 우선, 표면 항원을 인식하는 일차항체와 목적 세포샘플을 혼합하고, 얼음 위에서 30분 내지 1시간 인큐베이션한다. 일차 항체가 형광으로 표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세정 후 플로우 사이토미터로 분리를 실시한다. 일차 항체가 형광 표지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세정 후 일차 항체에 대해서 결합 활성을 갖는 형광 표지된 이차 항체와 일차 항체가 반응한 세포를 혼합하고, 다시 얼음에서 30분 내지 1시간 인큐베이션한다. 세정 후, 일차 항체와 이차 항체에서 염색된 세포를 플로우 사이토미터로 분리를 실시한다.
본 발명에 의해 분리된,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는 하기 특성 중 적어도 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a) 전사조절인자인 c-myc, ZNF281에 대하여 양성의 면역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b) 세포외기질이 코팅된 바닥에 부착되어 부착 후 5 내지 30일 사이에 선 형태 또는 구 형태의 세포 집락을 이루면서 증식한다.
(c) 30 내지 45의 CPDL(cumulative population doubling level)을 보인다.
(d) CD14, CD31, CD34, CD45 및 HLA-DR에 대하여 음성의 면역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e) 중배엽, 내배엽 및 외배엽의 세포로 분화 가능하다.
(f) TIMP-2, TGF-β, RANTES CINC-3, EOTAXIN, GM-CSF, IFN-γ, IL-1b, IL-3, IL-6, IL-8, IL-10, IL12p40, IL13, IL-16, IP-10, Leptin, MCP-2, MIG, MIP-3a, b-NGFm, sTNFRI, PFGF-bb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이토카인 또는 케모카인을 분비한다.
본 발명의 제대혈유래 줄기세포가 Oct-4, Sox-2, Rex-1, c-myc, ZNF281을 발현한다는 것은 미분화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줄기세포는 30~45의 CPDL(cumulative population doubling level)을 보여, 증식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핵형 분석에 의해, 본 발명의 세포는 빠르게 증식하지만, 정상 염색체의 구조를 가지고 있음이 확증되었다.
본 발명의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는 조혈모 줄기세포 마커 또는 면역거부반응 관련 마커로 알려진 CD14, CD31, CD34, CD45 및 HLA-DR에 대하여 음성의 면역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는 조혈 및 면역거부반응 관련 마커가 결여되어 이식시 혈관형성과 거부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어 동종간 이식(allogenic transplantation)에 유용한 세포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는 중배엽의 골형성세포, 연골세포, 지방세포로의 분화뿐만 아니라 내배엽의 간세포 및 외배엽의 신경세포와 망막관련세포로도 분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줄기세포는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는 TIMP-2, TGF-β, RANTES CINC-3, EOTAXIN, GM-CSF, IFN-γ, IL-1b, IL-3, IL-6, IL-8, IL-10, IL12p40, IL13, IL-16, IP-10, Leptin, MCP-2, MIG, MIP-3a, b-NGFm, sTNFRI, PFGF-bb 등 다양한 사이토카인 또는 케모카인을 분비한다. 이러한 사이토카인 또는 케모카인을 분비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는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줄기세포는 신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줄기세포는 골형성세포, 연골세포, 지방세포, 간세포, 신경세포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어 그에 대응되게 다양한 질병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줄기세포 또는 이로부터 분화된 세포를 함유하는 세포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포 치료제는 예를 들면, 신경질환(예, 퇴행성 신경질환), 골관절염(예, 퇴행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골결실(예, 골다공증), 간질환(예, 간경화), 심혈관계 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포 치료제는 세포를 보호 및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희석제는 생리식염수,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 등의 완충용액, 혈장 또는 혈액성분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신규한 줄기세포 배양용 배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배지는, 우태아혈청(FBS) 20%, bFGF(Fibroblast Growth Factor) 1~40ng/ml, 아스코르브산 0.1~5.0㎍/ml, EGF(Epidermal Growth Factor) 1~40ng/ml, 하이드로코르티손 0.1~1㎍/ml, IGF-I(Insulin-like Growth Factor-1) 1~40ng/ml 또는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1~5ng/ml 및 헤파린 20~25㎍/ml가 첨가되고, 필요에 따라 GA-1000(Gentamycin Sulfate, Amphotericin-B)이 추가로 첨가된 EGM-2 또는 SNU-1 배지를 포함한다.
상기 줄기세포 배양용 배지는 신규한 것으로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의 분리방법에서도 이용되었다. 본 발명의 배지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를 비롯한 모든 성체 줄기세포의 증식에 유용하므로 성체 줄기세포를 배양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줄기세포를 본 발명의 배지에서 배양하여 증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의 배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줄기세포는 바람직하게는 성체 줄기세포일 수 있다.
한 양태로서, 본 발명의 줄기세포 배양용 배지는 본 발명의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 배양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를 본 발명의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선 형태(spindle-shape) 세포의 집락이 확인된 지 3~5일 후에 계대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양은 5% CO2 조건에서 실시하는 것이 적합하고, 배양은 5~30일 동안 지속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줄기세포를 구 배양(sphere culture) 또는 삼차원 배양함으로써 줄기세포의 줄기성(stemness)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실시예 11 참조). 상기 줄기세포는 바람직하게는 성체 줄기세포일 수 있다. 상기 삼차원 배양시에는 MEF(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줄기성 증가'란, 배아 줄기세포양 집락(Embryonic Stem Cell-like colony)을 형성하거나, Oct4, Sox2 등과 같은 전사조절인자를 더 강하게 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만능줄기세포는 인간 제대혈 유래로, 피브로넥틴을 포함하는 배양 용기내에서 배양하면, 기존의 성체 줄기세포에 비해 미분화 단계에서 오랜 기간 동안 왕성한 세포 성장을 하며, 불치병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연골세포, 골형성세포 및 지방세포 등 여러 종류의 세포로 분화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신경계 질환, 심혈관계, 골격계 질환 등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도 1은 인간 제대혈 유래 세포를 분리한 후, 각각 14일째, 15일째, 16일째, 17일째, 18일째 세포 성장 형태를 나타낸 사진(A, B, C, D 및 E) 및 새로운 용기에 옮긴 후 Passage 3에서 세포 성장을 나타낸 사진이다(F).
도 2는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의 시간에 따른 세포 증식을 누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를 장기간 배양한 후 핵형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에 여러 가지 마커를 부착시켜 유세포분석을 한 결과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가 미분화상태 줄기 세포 마커의 발현을 유세포분석기와 세포면역염색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이다(A: Oct4 유세포 분석 결과 그래프, B: 면역염색에서 Oct4 발현 사진 C: Oct4 발현 사진의 핵염색 사진, D: Oct4 발현사진과 핵염색 사진의 합성).
도 5b는 terra-1, hUCB-MSC, AD-MSC 및 AM에서 ZNF281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상)와 3 내지 9회 계대 배양된 hUCB-MSC에서 ZNF281의 발현을 FACS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하)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간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가 ZNF281, Oct4, Sox2, c-myc 및 Rex-1과 같은 미분화상태를 유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유전자를 발현하고 있음을 RT-PCR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인간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가 각각 골형성세포, 지방 세포, 연골세포 및 신경세포로 분화되었음을 나타내는 사진이다(A: 골형성 세포로 분화 유도하지 않은 대조군을 Alizarin Red S로 염색한 사진, B: 골형성 세포로 분화를 유도한 세포의 Alizarin Red S 염색 사진, C: 지방 세포로 분화를 유도하지 않은 대조군의 Oil Red O 염색 사진, D: 지방 세포로 분화를 유도한 세포의 Oil Red O 염색 사진, E: 연골세포로 분화 유도한 세포의 Toluidine Blue 염색 사진, F: 연골세포로 분화 유도 후 촬영한 세포 pellet의 사진, G: 신경세포로 분화 유도 후 신경세포의 마커인 Tuj-1 및 MAP2로 면역형광염색한 사진).
도 8은 인간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를 골형성 세포 및 지방 세포로 분화를 유도한 후, RNA를 추출한 후 RT-PCR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PPAR-γ와 FABP-4는 지방 세포 분화의 마커이고, Collagen Type 1은 골형성세포 분화의 마커이다.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FABP-4: Fatty Acid Binding Protein-4, GAPDH: Glyceraldehyde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의 망막 관련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인간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를 배양한 배양액을 수집하여 세포가 분비한 여러 사이토카인을 antibody array를 이용하여 분석한 사진이다(A: hUCB-MSC1, B: hUCB-MSC2, C: hUCB-MSC3, D: 배열된 항체의 순서 POS: Positive control, NEG: Negative control, GCSF: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Granulocyte Mon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ICAM-1: 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 IFN-γ: Interferon-γ, IL: Interleukin, MCP: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M-CSF: Monocyte-Golony Stimulating Factor, MIG: Monokine induced by Interferon Gamma, MIP: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RANTES: Regulated upon Activation, Normal T-cell Expressed and Secreted, TGF-β: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NF: Tumour Necrosis Factor, sTNFR: soluble Tumour Necrosis Factor Receptor, PDGF-BB: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BB, TIMP2: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2).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해 분리한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를 구배양(sphere culture) 및 mouse fibroblast cell인 STO cell을 이용하여 삼차원적으로 배양한 사진 및 전사조절인자인 Oct4, Sox2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RT-PCR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도 11a : 구배양을 통한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의 삼차원배양, 도 11b: STO 세포를 이용한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의 삼차원배양).
이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의 배양, 증식능 조사 및 핵형 분석
Full term UCB 샘플(n=20)은 산모 동의하에 수집하였다. 우선 Full term UCB를 HetaSep (Stem cells Technologies INC, Vancouver, BC)을 이용하여 적혈구를 우선적으로 분리를 하였다. 그 다음은 기존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피콜상(ficoll gradient)에서 분리하였다. 분리한 단핵세포를 20% FBS를 함유한 EGM-2 SingleQuots을 첨가한 SNU-1 배지 또는 EGM-2 (Lonza)를 이용하여 피브로넥틴을 0.1mg/ml - 1 mg/ml의 농도로 코팅한 6 well plate에 1 x 105~8 세포로 배양하였다. EGM-2 SingQouts의 구성은 heparin, Ascorbic acid, rhEGF, hydrocortisone, VEGF, rhFGF-B, R3-IGF-1, GA-10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를 배양한지 3일 후 부착되지 못한 단핵세포를 제거하고 배지는 2 내지 3일 간격으로 교체해주었다.
상기 분리 후, CO2 5% 조건에서 배양한 지 5~30일째에, 일정한 선형태의 세포들이 집락을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A). 생성된 집락은 빠른 속도로 증식을 하였고, 집락이 관찰된 지 3일에서 7일 후, 0.125% Trypsin-EDTA로 부유시킨 후, 새로운 용기로 이동시켜, 세포를 계속 유지하였다(도 1B, 도 1C, 도 1D, 도 1E 및 도 1F). 도 1은 이와 같은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세포 집락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또한 계대배양 후에도 세포의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도 1. 본 실시예에 의해서 분리한 제대혈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형성과 증식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A: 단핵 세포 배양 14일 후 초기 집락의 형태, B: 15일, C: 16일, D: 17일, E: 18일, F: 계대배양 후 passage 3에서 관찰한 세포의 사진).
지속적으로 세포를 배양하면서, 분리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증식력이 어느 정도 되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CPDL(cumulative population doubling level)을 측정하였다(Cristofalo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5, 1998). 세포는 이분법을 이용하여 증식을 한다. 따라서 세포의 성장속도는 한 개의 세포가 두 개의 세포로 되는 시간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것을 Doubling time이라 하며 세포의 증식력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 만약 CDPL값이 10이라면 하나의 세포가 10번의 분열을 함을 의미하며 이를 수치상으로 계산하면 하나의 세포가 약 1000개의 세포까지 증식함을 의미한다. 기존의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의 가장 큰 문제점은 지방 조직이나 골수 유래의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하여 현저히 떨어지는 증식력이었고 세포의 대량 증식인 임상적용 측면에서도 증식력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우선 다른 제대혈 샘플에서 분리한 세 종류의 제대혈유래 만능 줄기세포를 100디쉬에 2x105개씩 배양을 하고, 3일 또는 4일 간격으로 계대를 하며 세포계산기를 이용하여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세포의 증식이 멈출 때까지 계속적으로 세포를 배양하며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이렇게 구한 세포 수를 다음과 같은 수학식을 이용하여 CPDL값을 구한다.
NH/NI = 2X or [log(NH) - log(NI)]/log(2) = X
여기서 NI 최초 배양을 시작할 때의 세포 수, NH는 계대를 할 당시 포화상태에서의 세포 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지속적으로 세포를 유지하며 값을 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역시 제대혈에서 유래한 내피전구세포(hUCB-EPC; human Umbilical cord blood derived endothelial progenitor cells)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의 그래프와 같이 제대혈 유래 내피전구세포가 두 달 정도의 배양 시간 동안 약 20 CPDL을 보인 반면,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의 경우 세 가지 다른 샘플 모두 40~45 CPDL을 보였다. 이러한 수치는 이론상으로 하나의 세포집락에서 1012까지 증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왕성한 증식력을 보이는 세포는 암세포화되어 빠르게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암세포화된 세포는 인체 내에서 여러 조절 신호들을 무시하고 크게 증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세포치료제로 이용할 수 없으며 연구의 목적도 없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분리한 제대혈 유래 만능줄기세포가 정상적인 염색체를 가진 세포인지 확인을 반드시 해야 하며, 그 방법으로서 핵형분석을 통하여 세포의 염색체 이상을 확인해 보았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passage 10의 세포에서도 정상 염색체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의 표면 항원 분석
배지내에 현탁한 세포들을 특성을 분석하는 flow cytometry 실험을 하였다. 세포 표면 항원 phenotyping을 위해, 3-4 계대 세포들을 수득하여 fluorescein isothiocyanate(FITC) 또는 phycoerythrin(PE)가 결합된 항체로 염색하고, FACS Aria (Becton Dickinson, NY)으로 분석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분리한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partially pluripotent stem cell)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표지 항원으로는 CD10(T세포 마커), CD14(단핵세포 마커), CD24(상피 세포 마커), CD29(단핵 세포 마커), CD31(내피 세포 마커), CD34 (조혈모 줄기세포 마커), CD44 (중간엽 줄기 세포 마커), CD45 (비조혈모 줄기세포 마커), CD51/61 (파골 세포 마커), CD73 (중간엽 줄기 세포 마커), CD90 (중간엽 줄기 세포 마커), CD105 (중간엽 줄기 세포 마커), CD133 (조혈모 줄기세포 마커), HLA-DR(면역거부반응 관련 마커)를 사용하였고, 이를 Flow cytomet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시 결과는 표 1과 같다. 도 4는 아래의 결과를 그래프로 표시한 것이다.
Figure pat00002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의 ZNF281 발현 및 Core transcription factor 발현 양상 분석
ZNF281(Zinc finger protein 281)은 ESC에서 핵심 전사 인자 중 하나이다(Wang J et al. (2006) Nature 444, 364-368). 초기에 ZBP-99로 명명된, ZNF281은 ZBP-89와 91% 아미노산 서열 유사성 및 79% 서열 동일성을 공유하는 4개의 Krㆌppel형 징크 핑거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두 유전자의 카르복시 말단 절편에는 잘 보존된 아미노산 서열이 존재한다. ZNF281 cDNA의 예상되는 오픈 리딩 프레임은 99kDa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EMSA(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결과로는 GASTRIN 및 ORNITHINE DECARBOXYLASE 유전자의 GC-리치(rich) 프로모터 부위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Law DJ et al. (1999) Biochem Biophys Res Commun 262, 113-120; Lisowsky T et al. (1999) FEBS Lett 453, 369-374). ZNF281은 mass spectral multidimensional protein identification technology와 조합된 탠덤 친화도 정제(tandem affinity purification)에 의해 c-MYC 연관 단백질 중 하나로 동정되었다(Koch HB et al. (2007) Cell Cycle 6, 205-217.).
POU family transcription factors와 같은 Oct3/4 유전자들은 분화된 조직에서는 존재하지 않고, 높은 증식능을 함유하는 미분화된 줄기 세포들에서 특별히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ai M-H. et al ., Carcinogenesis 26:495, 2005; Tondreau T. et al ., Stem cells, 23:1105, 2005). 일반적으로 배아 줄기세포의 마커로서 쓰이지만, 위와 같은 특성으로 미분화상태를 의미하는 마커로서 쓰이기도 한다. 그리하여 stemness의 마커로서 Oct4를 사용하여 세포 콜로니를 염색한 결과, 많은 세포들이 핵 부위에 Oct4가 염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Flow cytometry를 통한 분석에 있어서도 많은 세포에서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내 단백질(intracellular proteins)의 염색을 위해, 세포들은 4℃에서 4% 포름알데히드로 하룻밤동안 고정하고, 0.1% Triton X-100(Sigma-Aldrich)으로 10분 동안 permeabilize하였다. 슬라이드와 접시는 인간 Oct4(1:200)에 대한 마우스 1차 항체로 1시간동안 인큐베이션한 다음,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Gibco)로 세척하고, 적색형광염료인 Alexa594가 결합된 goat 항마우스 IgG 2차 항체(Invitrogen)로 1시간동안 인큐베이션 하여 면역염색을 실시하고, 대조염색으로 DAPI를 이용하여 핵을 염색하였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Oct4 염색 결과, 많은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에서 Oct4를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5A: Oct4 유세포 분석 결과 그래프, B: 면역염색에서 Oct4 발현 사진 C: Oct4 발현 사진의 핵염색 사진, D: Oct4 발현사진과 핵염색 사진의 합성 사진).
이러한 Oct4와 같은 유전자는 줄기세포의 stemness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실제로 Oct4, Sox2등과 같은 유전자를 과발현시켜 성체줄기세포에서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구조의 전능성을 지닌 세포를 유도하는 기술 또한 최근에 연구되었다(Takahashi et al, Cell, 131(5), 861-872, 2007). 따라서 줄기세포에서 이러한 유전자의 발현은 줄기세포의 stemness를 잃지 않으면서 미분화상태를 유지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분리한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에서 기존의 논문에 의해 알려진 ZNF281, Oct-4, Sox2와 같은 유전자의 발현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을 통하여 확인해 보기로 하였다.
본 실시예를 위해 작제된 프라이머는 다음 표 2와 같다.
Figure pat00003
도 6에서 실험 결과를 보면, Oct-4, Sox2, c-myc, ZNF281, REX-1등의 유전자가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의 만능줄기세포로서의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른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의 골형성 세포로의 분화
골형성 세포로 분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세포를 부착시키고, 세포가 부착되고 나서 약 70-80% confluency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70-80% confluency에 도달했을 경우 골분화 유도 배지로 교환하였다. 골분화 유도 배지는 DMEM low glucose에 10% FBS를 첨가하고, 10 mM beta-glycerophosphate (Sigma-Aldrich), 0.1 μM Dexamethasone (Sigma-Aldrich), 50 μM ascorbate (Sigma-Aldrich)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배지는 3일마다 교환해주고, 분화유도는 약 2주간 실시하였다.
2주후 골분화로 인한 calcium mineralization을 확인하기 위해 Alizarin red s staining을 실시하였다. 염색방법은 다음과 같다. 배지를 제거한 다음 증류수를 이용해 2번 세척 후, 차가운 70% EtOH를 사용하여 4℃에서 1시간 고정하였다. 다시 증류수로 2회 세척 후 40mM Alizarin red s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10분간 염색하였다. 그리고 나서 증류수를 이용하여 5회 세척하였다.
염색을 실시한 결과, 도 7A,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화를 유도하지 않은 도 7A는 Alizarin red s에 염색된 칼슘이 거의 보이지 않지만, 분화를 유도한 도 7B에서는 적색으로 염색이 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것은 제대혈유래 만능 줄기세포가 골형성세포로 분화하며 칼슘을 분비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실시예 5: 본 발명에 따른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의 지방 세포로의 분화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서 세포가 부착되고 나서 약 70-80% confluency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70-80% confluency에 도달했을 경우 지방분화 유도 배지로 교환하였다. 지방분화 유도 배지는 DMEM low glucose에 10% FBS를 첨가하였다. 1μM Dexamethasone, 10㎍/ml insulin (Sigma-Aldrich),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Sigma-Aldrich), 0.2 mM indomethacin(Sigma-Aldrich)을 첨가하여 분화배지를 제조하였다. 분화유도 배지는 3일마다 교환해주고, 분화유도는 약 2-3주간 실시하였다.
2-3 주후 Oil red O 염색을 실시하여 지방분화가 유도된 것을 확인한다. 배지를 제거하고 PBS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10% formalin을 넣고 상온에서 5분간 두었다. 포르말린을 제거하고, 다시 새로운 포르말린을 동량 넣고 상온에서 최소 1시간 이상 고정하였다. 포르말린을 제거한 후에, 60% isopropanol을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완전히 마를 때까지 기다린 후, Oil Red O 염색약을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염색하였다. 염색약을 제거한 후, 곧바로 증류수를 넣고 세척하였다.
지방 줄기세포로의 분화를 거치는 세포들은 oil red O에 의해 염색되었을 때 붉은 색을 나타내는데, oil red O는 지방세포의 lipid droplet을 붉은 색으로 염색하기 때문이다. 도 7C 및 7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화를 유도하지 않은 도 7C는 lipid droplet이 많이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염색도 거의 되지 않지만, 분화를 유도한 도 7D는 lipid droplet이 많이 보이고 붉은 색으로 염색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른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의 연골 세포로의 분화
연골 세포로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Lonza에서 나온 rTGF-beta 3을 함유한 연골세포 형성 배지(PT-3003)에 3주 동안 처리하였다. 배지는 일주일에 두 번씩 갈아주고, 연골세포 형성(osteogenesis)은 1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연골세포로 분화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toluidine blue staining을 실시하였다. 세포들을 10시간동안 4% 포름알데하이드로 고정하고, 그 후 다시 10시간 동안 picric acid로 고정하였다. 그 후 cryosection 하여 3분동안 toluidine blue staining을 하였고, hematoxilin으로 3초 동안 counterstaining을 하였다.
연골 세포로의 분화를 거치는 세포들은 pellet이 무너지지 않고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며 toluidine blue에 의해 염색되었을 때 푸른 색을 나타내는데, 도 7E 및 도 7F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푸른 색으로 염색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형태도 잘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7: 본 발명에 따른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의 골형성세포 및 지방세포로 분화 유도 후 유전자 발현 레벨의 변화
줄기세포는 분화 과정을 거치면서 유전자 발현의 양상이 현저하게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를 하게 되면 PPAR-γ(Peroxisome Proloferator-activated Receptor-γ)나 FABP4(Fatty Acid Binding Protein 4)와 같은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고, 골형성세포로 분화하게 되면 Collagen Type 1등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한다.(Mathews et al., J Am Acad Dermatol, 56(3), 472-492, 2007; Cho et al., J. Cell. Biochem., 96, 533-542, 2005). 따라서 분화를 유도한 후 특정 세포에서 발현하는 유전자의 발현 레벨을 봄으로써 간접적으로 분화를 확인할 수 있다.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골형성세포와 지방세포를 각각 유도 2-3주 후에 Trizol (Invitrogen)을 이용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AccuPower RT Premix(Bioneer)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고, Maxime PCRPreMix Kit(Intronbio)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하기 위해 작제한 프라이머는 다음 표 3과 같다.
Figure pat00004
실험을 실시한 결과,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지방세포 분화 마커인 PPAR-γ와 FABP4는 분화를 유도한 세포에서 발현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골형성세포의 분화 마커인 Collagen Type 1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분화 유도한 세포에서 크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한편, loading control인 GAPDH의 경우 분화 유도한 세포와 하지 않은 세포 모두 동일하게 나왔으며, 따라서 실험결과의 정당성을 뒷밤침하였다.
실시예 8: 본 발명에 따른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의 신경 세포로의 분화
신경 세포로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일단 5% FBS, 10ng/ml bFGF(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를 함유한 DMEM으로 구성된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전처리(preincubation)하였다. 본격적인 신경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서 1% DMSO, 100uM BHA, 0.5mM VPA, 10mM KCl, 10ng/ml NGF, B27를 함유한 DMEM으로 구성된 신경세포 형성 배지에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신경세포로 분화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세포를 4% paraformaldehyde에 고정한 후 Tuj-1, MAP-2, GFAP, Neurofilament-160의 신경 세포 마커로 면역염색을 하였을 경우 네 가지 마커를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G).
실시예 9: 본 발명에 따른 제대혈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망막( retina ) 관련 특성 단백질 발현 분석
본 실시예는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에서 망막(retina) 관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면역형광염색법을 이용하여 발현정도 및 패턴에 관해 확인하였다.
망막(retina)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도 9는 망막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단백질을 면역형광염색을 통하여 발현 양상을 확인한 사진이다. A)에서는 PAX6 및 Hu protein의 발현양상을 관찰하였다. PAX6는 retina progenitor marker로 알려져 있으며, Hu protein은 망막을 구성하는 세포 중 하나인 ganglion cell 및 amacrine cell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단백질이다. 일반적인 세포 배양 상태에서는 발현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B)에서는 Opsin과 Rhodopsin의 발현양상을 확인하였다. Opsin의 경우는 Cone cell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단백질이며, Rhodopsin의 경우는 rod cell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단백질이다. 일반적인 세포 배양 상태에서 Opsin은 발현하지 않았지만 Rhodopsin은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에서는 CRX 및 Recoverin의 발현양상을 확인하였다. CRX는 pan-photoreceptor marker로 알려져 있으며, Recoverin은 photoreceptor marker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세포 배양 상태에서는 발현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율 400배, scale bar = 50um)
실시예 10: 본 발명에 따른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에서 분비된 사이토카인 분석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의 가능성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첫 번째는 손상된 세포로의 직접적인 분화를 통한 치료효과이며, 두 번째는 생체내에서 기존의 세포들에게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킬 여러 사이토카인이나 성장인자를 분비하는 능력이다. 일반적으로 줄기세포는 여러 사이토카인 또는 성장인자를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Cytokine. 2005). 이러한 효과를 paracrine effect라 부른다. 본 발명에 의하여 분리, 증식한 제대혈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 양상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human Cytokine antibody array(RaybioTech. Norcross, USA)를 이용하여 조사해 보았다.
우선 FBS와 Supplement를 제거한 배양액을 이용하여 세포를 24시간 안정화시킨 후, 2시간 간격으로 배지를 1ml씩 수집하였다. 수집한 배지를 100㎕씩 합쳐 단백질 정량법을 이용하여 정량한 후, array를 실시하였다.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세 개의 다른 샘플로부터 분리한 제대혈 유래 만능줄기세포에서 공통적으로 IL-8, TIMP-2 등이 분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외 TGF-β, RANTES, CINC-3, EOTAXIN, GM-CSF, IFN-γ, IL-1b, IL-3, IL-6, IL-10, IL12p40, IL13, IL-16, IP-10, Leptin, MCP-2, MIG, MIP-3a, b-NGFm, sTNFRI, PFGF-bb와 같은 사이토카인들도 분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0A: hUCB-MSC1의 array 분석 사진, 도 10B: hUCB-MSC2, 도 10C: hUCB-MSC3, 도 10D: antibody 배열 순서).
실시예 11: 본 발명에 따른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의 삼차원 배양
성체줄기세포는 일반적으로 culture dish에서 monolayer로 증식한다. 하지만 2D가 아닌 3D상태의 sphere로 증식시키면 더욱 stemness가 높은 세포를 선별하고 증식시킬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sphere의 형성을 위하여 culture dish를 0.7% agarose로 coating을 시키는데 세포가 dish 바닥으로 침투하지 못하게 coating은 5mm 이상 되도록 한다. 세포를 seeding할 때에, single cell간의 부착을 최소화하기 위해 cm2당 2000개미만의 세포를 뿌렸다. 이렇게 얻어진 sphere는 40㎛ strainer를 이용하여 sphere를 형성하지 못한 single cell과 구분하였다. 그 결과 도 1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sphere culture 시에 세포사하지 않고 sphere를 형성하여 줄기세포의 특징을 유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도 11a-D와 같이sphere culture를 통해 배양한 세포는 monolayer에서 배양한 줄기세포에 비해 상대적으로 OCT4, SOX2 등의 embryonic marker의 발현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Embryonic stem cell의 배양은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 상에서 이루어진다.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이 내놓는 LIF 등 여러 가지 chemokine이 ES cell의 형태를 유지하고 분화하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해주기 때문이다.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를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 line 상에서 배양한 결과 일반적인 성체줄기세포의 형태처럼 편평한 것이 아니라 삼차원적인 형태로 colony를 이루는 것을 관찰하였다. STO cell은 mitomycin C를 0.1 mg/ml로 처리하여 증식을 억제한 후에 0.1% gelatin이 coating된 dish에 2 x 105 cell/ml로 seeding한 후 24시간 배양한 후 제대혈유래 만능줄기세포를 seedign하였다. 그 결과, 도 1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포가 STO cell위에서 Embryonic stem cell과 유사하게 증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Claims (9)

  1. IGF-I 또는 VEGF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우태아혈청(FBS), bFGF, 아스코르브산, EGF, 하이드로코르티손, 및 헤파린이 추가된 EGM-2 또는 SNU-1 배지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배양용 배지.
  2. 제1항에 있어서, IGF-I는 1~40ng/ml, VEGF는 1~5ng/ml, bFGF는 1~40ng/ml, 아스코르브산은 0.1~5.0㎍/ml, EGF는 1~40ng/ml, 하이드로코르티손은 0.1~1㎍/ml, 및 헤파린은 20~25㎍/ml이 추가된 것인 배지.
  3. 제1항에 있어서, 우태아혈청(FBS)은 20%인 배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성체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ZNF281 발현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인 배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하기 특징 중 적어도 한 특성을 갖는 줄기세포인 배지.
    (a) 전사조절인자인 c-myc에 대하여 양성의 면역학적 특성을 나타냄;
    (b) 세포외기질이 코팅된 바닥에 부착되어 부착 후 5 내지 30일 사이에 선 형태 또는 구 형태의 세포 집락을 이루면서 증식함;
    (c) 30 내지 45의 CPDL(cumulative population doubling level)을 보임;
    (d) CD14, CD31, CD34, CD45 및 HLA-DR에 대하여 음성의 면역학적 특성을 나타냄;
    (e) 중배엽, 내배엽 및 외배엽의 세포로 분화 가능함; 및
    (f) TIMP-2, TGF-β, RANTES CINC-3, EOTAXIN, GM-CSF, IFN-γ, IL-1b, IL-3, IL-6, IL-8, IL-10, IL12p40, IL13, IL-16, IP-10, Leptin, MCP-2, MIG, MIP-3a, b-NGFm, sTNFRI, PFGF-bb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사이토카인 또는 케모카인을 분비함.
  7. 줄기세포를 구 배양(sphere culture) 또는 삼차원 배양하여 줄기성(stemness)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증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ZNF281 발현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인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삼차원 배양시에 MEF(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0023657A 2012-03-07 2012-03-07 Znf281을 발현하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의 대량 배양방법 KR20120030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657A KR20120030515A (ko) 2012-03-07 2012-03-07 Znf281을 발현하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의 대량 배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657A KR20120030515A (ko) 2012-03-07 2012-03-07 Znf281을 발현하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의 대량 배양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315A Division KR101158664B1 (ko) 2009-09-14 2009-09-14 Znf281을 발현하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의 대량 배양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487A Division KR101627907B1 (ko) 2014-04-14 2014-04-14 Znf281을 발현하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의 대량 배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515A true KR20120030515A (ko) 2012-03-28

Family

ID=46134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657A KR20120030515A (ko) 2012-03-07 2012-03-07 Znf281을 발현하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의 대량 배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05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195B1 (ko) Znf281을 발현하는 제대혈 유래 만능 줄기세포의 분리방법
EP2374871B1 (en) Pluripotent stem cells,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and uses thereof
Harichandan et al. Prospective isolation of human MSC
US7534606B2 (en) Placental stem cell and methods thereof
US20100105132A1 (en)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and preparation thereof
KR100697326B1 (ko) Oct4 발현능을 가지는 제대혈 유래 다분화능 성체줄기세포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468099B (zh) 一种骨髓间充质干细胞培养基及其应用
KR20210044749A (ko) 무혈청 배지 조성물
TW201441369A (zh) 多向分化壓力耐受(muse)細胞分離及擴增
JP2011529340A (ja) ヒト幹細胞から高活性の幹細胞を分離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分離された高活性の幹細胞
KR101896803B1 (ko) 인간 만능줄기세포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로의 분화 유도 생산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생성된 중간엽 줄기세포
KR101627907B1 (ko) Znf281을 발현하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의 대량 배양방법
KR102142254B1 (ko) 3,4''-다이하이드록시플라본을 이용한 소변줄기세포의 분리 효율 향상 및 소변줄기세포유래 만능줄기세포의 조혈줄기세포 분화 효율을 촉진시키는 방법
KR101985095B1 (ko) 에티오나마이드를 이용한 줄기세포 증식능 향상 방법
JP7198524B2 (ja) スフェロイドの製造方法および多能性幹細胞マーカーを発現させる方法
KR101158664B1 (ko) Znf281을 발현하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의 대량 배양방법
KR20120030515A (ko) Znf281을 발현하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의 대량 배양방법
KR100851040B1 (ko) 췌장 베타세포로의 분화능을 가지는 성체 줄기세포
US20230146610A1 (en) Method for enhancing proliferation capability of stem cells using ethionamide
KR100818216B1 (ko) Cripto-1 및 Oct4를 동시 발현하는 인간 지방조직 유래 다분화능 줄기세포 또는 종양 줄기세포 및 그 확인방법
KR100818213B1 (ko) 파골세포 기반 적소 유사 구조에 의해 증식능이 증가된인간 제대혈 유래 다분화능 줄기 세포 및 그 제조방법
TWI307717B (en) Placental stem cell and methods thereof
Adamiak et al. Cord Blood Stem Cells
KR20180123794A (ko) 분화된 심실 근육세포의 성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