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540A -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 Google Patents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540A
KR20120029540A KR1020100091385A KR20100091385A KR20120029540A KR 20120029540 A KR20120029540 A KR 20120029540A KR 1020100091385 A KR1020100091385 A KR 1020100091385A KR 20100091385 A KR20100091385 A KR 20100091385A KR 20120029540 A KR20120029540 A KR 20120029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rotation
force
rotating body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만
Original Assignee
김병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만 filed Critical 김병만
Priority to KR1020100091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9540A/ko
Priority to PCT/KR2011/006877 priority patent/WO2012036517A2/ko
Publication of KR20120029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5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F03G3/08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using fly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속기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터빈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에는 복수의 액튜에이터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회전체이 연결되어 회전시 액튜에이터에 연결되는 중력추가 가변수단에 의해 회전축 중심에 대한 거리가 가변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심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는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A producing system for rotary power using eccentricity power}
본 발명은 감속기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터빈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에는 복수의 액튜에이터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회전체이 연결되어 회전시 액튜에이터에 연결되는 중력추가 가변수단에 의해 회전축 중심에 대한 거리가 가변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energy)는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며, 이러한 에너지는 위치 에너지, 운동 에너지, 열 에너지, 화학 에너지, 전기 에너지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에너지는 인간의 생활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며,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에너지인 전기 에너지를 얻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의 발전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주된 발전 방법으로, 석탄이나 석유 등을 연소시키거나, 우라늄 등의 분열을 통하여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 에너지를 얻는 화력 발전 및 원자력 발전 등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심각한 환경 오염의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구상에 매장되어 있는 자원의 양이 한정되어 있어 지속적인 에너지의 생산이 불가능하다.
또한, 높은 곳에 위치한 물이 낙하하면서 발생되는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기의 터빈을 가동시켜 전기를 얻는 수력발전이 사용되고 있으나, 댐 및 발전시설의 건설에 과도한 초기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어야 하지만, 지역이나 계절에 따라 충분한 양의 물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우며, 발전 효율이 낮아 많은 양의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외에도, 풍력이나 태양력, 조력 등과 같은 친환경적인 자원을 이용한 발전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상시성 부족과 입지조건의 한정 등 제한이 많은 실정이다.
이와같은 위치에너지를 이용하는 종래의 기술이 공개특허공보 제2000-1373호의 동력발생장치(1)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a,b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무게중심 변환용 랙기어(6)(6')를 설치하여, 휠(2)의 중심은 프레임(3)에 축(7)으로 연결설치하고, 휠(2) 주연부에 탄성편(11)을 가진 연결봉(5')으로서 중력추(5)를 연결 설치한 작은기어(4)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12?48개정도 회전 가능케 연결 설치하여, 휠(2)의 중심에서 좌측은 작은기어(4) 내측에 중력추(5)가 위치하고 우측은 외측에 중력추(5)가 위치하게 하여 휠 좌우측의 중량차이로 인하여 휠(2)이 시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하되, 작은기어(4) 내외측에 정지핀(9)와 (8)을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는, 회전을 시작하기 직전(즉 최초의 상태)에는 휠 좌측에 위치한 작은기어(4)의 중력추(5)가 작은기어(4)보다 내측에 위치하게 하고 휠 우측에 위치한 작은기어(4)의 중력추(5)는 작은기어(4)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하여 휠 좌.우측의 중량차이로 인하여 최소의 외력으로도 휠(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는, 중력추(5)가 일정한 길이로 정형화 되는 크기의 연결봉(5')을 통해서만 연결되어 발생되는 위치에너지가 한정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중력추(5)가 정지핀(8)이 탄성편(11)에 의해 고정되어 위치에너지 미 발생시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탈을 위한 별도의 동작이 필요하거나 탄성편(11)의 고정상태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액튜에이터를 이용하여 중력추에 의한 위치에너지의 제어가 가능토록 하고, 편심에 의한 회전력을 부가하여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액튜에이터의 노출 및 복원이 정확하게 자동 수행토록 하여 일정한 영역에서만 위치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중력추의 무게변화 및 액튜에이터의 길이변화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속기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터빈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발전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체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는 회전축이 자유회전토록 설치되는 고정블럭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체는 중력추가 단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액튜에이터가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액튜에이터는 회전체이 고정블럭을 중심으로 회전시 그 회전방향을 따라 액튜에이터에 연결되는 중력추가 가변수단에 의해 회전축 중심에 대하여 가변토록 설치되는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변수단은, 고정블럭에 구비되면서 캠형상을 갖는 무한트랙, 상기 무한트랙에 지지되어 무한운동하면서 액튜에이터에 연결되는 캠샤프트, 상기 액튜에이터가 슬라이딩하도록 하면서 회전체에 고정되는 슬라이더, 상기 액튜에이터와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그 길이가 조절토록 되면서 단부에 중력추가 연결되는 신축부재로서 이루어 진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신축부재는, 서로다른 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볼트부재와 이에 대응되어 나사산에 치합되는 너트부재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턴버클타잎의 조절구에 의해 신축정도가 조절토록 되는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캠샤프트는, 일측 끝단은 원통 형상의 캠베어링이 형성되어 무한궤도를 따라 구름운동하도록 설치되는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회전축에는 복수의 회전체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장착되고,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는 액튜에이터는 동일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면서 하나의 회전축상에 방사상의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회전체는, 동심원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슬롯이 구비되는 캠샤프트가 이동토록 하는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액튜에이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중력추에 의한 위치에너지의 제어가 가능하고, 회전축의 회전시 편심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통한 회전력의 부가를 통하여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또한, 액튜에이터의 노출 및 복원이 정확하게 자동 수행토록 하여 일정한 영역에서만 위치에너지를 얻을 수 있어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체의 좌측보다 우측에서 발생하는 중력 및 모멘트의 합이 커져 우측 방향으로 편심이 발생하게 되어 회전체에 큰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발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1a,b는 각각 종래의 동력발생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발생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발생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발생시스템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회전력 발생시스템의 고정블럭에 구비된 무한트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발생시스템의 작동상태도이다.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회전력 발생시스템에 설치되는 신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발생시스템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발생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발생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발생시스템을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회전력 발생시스템의 고정블럭에 구비된 무한트랙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력 발생시스템의 작동상태도이고,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회전력 발생시스템에 설치되는 신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력 발생시스템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감속기(100)가 개재되는 터빈(200)을 구동토록 회전축(300)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3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체(310)가 고정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310)는, 회전축(300)이 키이등을 통하여 고정되어 회전축과 동일하게 회전토록 설치되면서 베이스(미도시)에 고정되는 고정블럭(350)을 중심으로 회전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블럭(350)은 그 중앙부에 회전축이 베어링을 통하여 연결되어 회전축이 자유회전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회전체(310)는, 그 외경측 둘레를 따라 복수의 중력추(315)가 등간격으로 배치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중력추(315)는, 상기 회전체(310)에 등간격이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액튜에이터(400)에 일체로 각각 연결된다.
계속하여, 상기 액튜에이터(400)는, 상기 회전체(310)가 고정블럭(350)을 중심으로 회전시 회전체(310)의 회전방향을 따라 액튜에이터(400)에 연결되는 중력추(315)가 가변수단(500)에 의해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그 중심에서의 거리가 가변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수단(500)은, 고정블럭(350)에 구비되는 무한트랙(510), 상기 무한트랙에 지지되어 무한 운동하면서 액튜에이터(400)에 연결되는 캠샤프트(530), 상기 액튜에이터(400)가 슬라이딩하도록 하면서 회전체(310)에 고정되는 슬라이더(550), 상기 액튜에이터(400)및 슬라이더(550)에 각각 연결되어 그 길이가 조절토록 되면서 단부에 중력추(315)가 연결되는 신축부재(5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회전체(310)는, 회전축(300)이 고정되는 동심원에서 일정간격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슬롯(317)이 구비되어 그 내측에서 캠샤프트(530)가 이동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무한트랙(510)은, 일측이 상기 회전축(300)에 근접하게 위치하면서 이와 마주보는 타측이 고정블럭(350)의 외측면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모서리가 라운드 형태인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무한트랙(510)은, 내측에 회전축(300)이 자유회전토록 연결되면서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서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최소의 반경을 갖는 근접부(510a)와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점차로 증가되는 반경을 갖는 +가변부(510b)및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최대의 반경으로 일정거리 이동하는 최대가변부(510c),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점차로 감소되는 반경을 갖는 -가변부(510d)가 연속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 전체적으로 서로 다른 곡률의 호가 순차로 연결되는 부채꼴 형상이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570)는,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볼트부재(571a)와 이에 대응되어 나사산에 치합되는 너트부재(571b)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턴버클타잎의 조절구(571)가 일측에 연결되어 액튜에이터의 동작시 신축부재의 돌출정도를 조절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신축부재(570)는, 다수개의 링크(570a)가 서로 교차하거나 그 단부가 서로다른 각도를 유지하도록 피봇(570b)으로 연결된 팬터그래프(pantogragh)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신축부재(570)의 단부를 이루는 링크가 피봇을 통하여 슬라이더(550)에 각각 연결될 때 다른 링크를 교차 연결하는 피봇에 액튜에이터(400)의 일단이 연결되어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액튜에이터가 이동할 때 신축부재의 확장 및 수축이 가능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신축부재(570)의 단부에 중력추(315)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중력추(315)는 신축부재에서 분리 및 결합가능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캠샤프트(530)는, 일측 끝단은 원통 형상의 캠베어링(531)이 형성되어 무한트랙을 따라 구름 운동하도록 설치되면서 타측 끝단이 액튜에이터(400)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300)에는 복수의 회전체(310)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는 액튜에이터(400)는 동일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면서 하나의 회전축상에 방사상의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9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회전축(300)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다수의 액츄에이터(400)에는 편심에 의한 회전모멘트를 발생시킨다.
즉, 상기 고정블럭(350)에 구비되면서 내측으로 함몰되거나 외측으로 돌출토록 되는 구성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진 무한트랙(510)을 따라 회전체(300)에 연결되는 액튜에이터(400)의 캠샤프트(530)가 자유롭게 이동토록 지지되어 회전체(310)가 고정블럭(350)을 중심으로 회전시 회전체에 구비되는 캠샤프트(530)가 무한트랙(510)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축의 중심에 대한 반경이 변하도록 된다.
더하여, 상기 회전체(310)에 장착되는 액튜에이터(400)에는 중력추(315)가 각각 연결되어 회전체(310)가 고정블럭(350)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액츄에이터(400)에 연결되는 중력추(315)가 회전체(310)의 외경에 근접되거나 최대로 이탈토록 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310)에서 중력추(315)가 근접될 때에는 별도의 모멘트가 동작되지 않으나 회전체(310)의 외경에서 중력추(315)가 최대로 이탈될 때 편심에 의한 최대의 회전모멘트를 발생시킨다.
즉, 상기 회전축(300)에 연결되는 회전체(310)가 발전 등을 위하여 외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체(310)와 고정블럭(350) 사이의 상호 동작에 의해 중력추(315)가 회전체(310)의 외경에서 최대로 이탈되어 돌출되거나 최소거리로 근접토록 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력이 작용토록 됨으로써 중력에 의한 하향되는 모멘트가 발생되어 회전력을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한트랙(510)은, 내측에 회전축(300)이 자유회전토록 연결되면서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서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최소의 반경을 갖는 근접부(510a)와 점차로 증가되는 반경을 갖는 +가변부(510b)및 최대의 반경으로 일정거리 이동하는 최대가변부(510c), 점차로 감소되는 반경을 갖는 -가변부(510d)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이를 따라 구름운동하는 캠샤프트(530)의 단부가 부채꼴의 라인을 형상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서 회전축(300)의 회전시 회전체(310)의 외경측에서 최대로 이탈되는 중력추(315)의 동작에 의해 중력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회전체(300)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터빈(200)의 구동시 효율적인 에너지 활용으로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회전체(310)는, 그 외경측 둘레를 따라 복수의 중력추(315)가 등간격으로 배치토록 설치될 때 상기 중력추(315)가 교환가능토록 설치되어 서로다른 무게를 갖는 중력추(315)의 무게에 의해 회전체에 가해지는 편심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력추(315)는, 상기 회전체(310)에 등 간격이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액튜에이터(400)에 일체로 각각 연결되는 구성으로 무한트랙(510)을 따라 이동하는 캠샤프트(530)가 회전축에 대하여 그 반경이 변화하면서 가변운동할 때 상기 중력추가 연결되는 액튜에이터(400)를 회전체의 외경을 향하여 가변시켜 중력추를 회전체의 외경에 근접시키거나 이탈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액튜에이터(400)는, 상기 회전체(310)가 고정블럭(350)을 중심으로 회전시 회전체(310)에 구비되는 슬라이더(550)를 중심으로 미끄럼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캠샤프트(530)의 가변시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액튜에이터(400)가 가변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수단(500)은, 고정블럭(350)에 구비되는 무한트랙(510), 상기 무한트랙에 지지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면서 액튜에이터(400)에 연결되는 캠샤프트(530), 상기 액튜에이터(400)가 슬라이딩하도록 하면서 회전체(310)에 고정되는 슬라이더(550), 상기 액튜에이터(400)및 슬라이더(550)에 각각 연결되어 그 길이가 조절토록 되면서 단부에 중력추(315)가 연결되는 신축부재(5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무한트랙을 따라 캠샤프트의 이동시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액튜에이터를 가변시켜 상기 액튜에이터에 연결되는 중력추가 회전체에서 이탈되어 돌출되거나 근접토록 된다.
이때, 상기 캠샤프트(530)는, 회전축(300)이 고정되는 동심원에서 일정간격이격되어 회전체(310)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슬롯(317)을 중심으로 이동토록 된다.
또한, 상기 액튜에이터(400)에는 슬라이더(550)를 중심으로 이동시 그 이동거리를 더욱 증가시키는 신축부재(570)가 더 연결되어 중력추에 의한 편심력을 더욱 증대토록 한다.
이때, 상기 신축부재(570)는, 다수개의 링크(570a)가 서로 교차하거나 그 단부가 서로다른 각도를 유지하도록 피봇(570b)으로 연결된 팬터그래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그 단부에 중력추(315)가 연결되어 중력추의 회전체에 대한 돌출정도를 더욱 크게 하여 편심력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더하여, 상기 신축부재(570)에 연결되는 액츄에이터(400)는 신축부재에 곧바로 연결되어도 좋으나 별도의 조절구(571)를 통하여 연결하면 신축부재의 돌출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조절구(571)가 서로다른 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볼트부재(571a)와 이에 대응되어 나사산에 치합되는 너트부재(571b)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너트부재의 회전시 볼트부재사이의 간격이 증가되거나 축소되어 신축부재의 링크(570a)회전각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300)에 설치되는 회전체(310)는 하나의 회전체의 원주방향에 방사상으로 중력추가 연결되는 액츄에이터를 조밀하게 배치하여도 되나 상기 회전축에 복수의 회전체(310)가 각각 장착한 후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는 액튜에이터(400)는 동일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면서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과 같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로 치환,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감속기 200...터빈
300...회전축 310...회전체
315...중력추 350...고정블럭
400...액투에이터 503...캠샤프트
510...무한트랙 550...슬라이더
570...신축부재

Claims (10)

  1. 회전축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체가 고정될 때 상기 회전축이 자유 회전토록 지지하면서 회전축에 고정되는 회전체가 상대운동하면서 회전되도록 고정블럭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는 그 외경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중력추를 지지하도록 액튜에이터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와 고정블럭 사이에 설치되는 가변수단에 의해 고정블럭을 중심으로 회전체가 회전될 때 그 회전방향을 따라 액튜에이터의 돌출정도가 차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회전축의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일측에서만 중량추의 편심력이 작용토록 설치되는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은, 고정블럭에 구비되는 무한트랙;
    상기 무한트랙에 지지되어 무한 운동하면서 액튜에이터에 연결되는 캠샤프트;
    상기 액튜에이터가 슬라이딩하도록 하면서 회전체에 고정되는 슬라이더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액튜에이터와 슬라이더에 각각 연결되어 그 길이가 조절토록 되면서 단부에 중력추가 연결되는 신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다수개의 링크가 서로 교차하거나 그 단부가 서로 다른 각도를 유지하도록 피봇으로 연결된 팬터그래프 형상이며,
    단부의 링크가 피봇을 통하여 슬라이더에 각각 연결될 때 다른 링크를 교차 연결하는 피봇에 액튜에이터의 일단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슬라이더를 중심으로 액튜에이터가 이동할 때 신축부재의 확장 및 수축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볼트부재와 이에 대응되어 나사산에 치합되는 너트부재의 조립구조로 조절구를 개재하여 액튜에이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는 발전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트랙은, 고정블럭에 함몰 또는 돌출토록 설치되어 내측에 회전축이 자유회전토록 연결되면서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서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최소의 반경을 갖는 근접부;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축의 중심에 대하여 점차로 증가 되는 반경을 갖는 +가변부;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축의 중심에 대하여 최대의 반경으로 일정거리 이동하는 최대가변부;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축의 중심에 대하여 점차로 감소되는 반경을 갖는 -가변부(510d)가 연속하여 형성되면서 전체가 서로 다른 곡률의 호로서 연결되는 부채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샤프트는, 액튜에이터에 연결되어 액튜에이터를 갖변토록 설치되고,
    끝단에 원통 형상의 캠베어링이 형성되어 무한트랙을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복수의 회전체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각각 장착되며,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는 액튜에이터는 동일간격으로 각각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나의 회전축상에서 복수의 회전체에 설치되는 액튜에이터가 방사상의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감속기를 개재하여 터빈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에 각각 연결되는 캠샤프트는 회전체의 동심원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슬롯을 따라 각각 이동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KR1020100091385A 2010-09-17 2010-09-17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KR20120029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385A KR20120029540A (ko) 2010-09-17 2010-09-17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PCT/KR2011/006877 WO2012036517A2 (ko) 2010-09-17 2011-09-16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385A KR20120029540A (ko) 2010-09-17 2010-09-17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540A true KR20120029540A (ko) 2012-03-27

Family

ID=4613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385A KR20120029540A (ko) 2010-09-17 2010-09-17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954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516B1 (ko) * 2012-11-09 2013-02-06 유성준 발전기용 회전장치
KR101423298B1 (ko) * 2013-08-02 2014-08-13 유성준 발전기용 회전장치
KR20150129097A (ko) * 2014-04-21 2015-11-19 최승호 회전날개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장치 및 그 발전방법
CN114076072A (zh) * 2020-08-10 2022-02-22 富贯达有限公司 偏心位移运转动力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516B1 (ko) * 2012-11-09 2013-02-06 유성준 발전기용 회전장치
KR101423298B1 (ko) * 2013-08-02 2014-08-13 유성준 발전기용 회전장치
KR20150129097A (ko) * 2014-04-21 2015-11-19 최승호 회전날개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장치 및 그 발전방법
CN114076072A (zh) * 2020-08-10 2022-02-22 富贯达有限公司 偏心位移运转动力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9540A (ko)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JP2019523366A (ja) 水力発電装置
KR101552808B1 (ko) 에너지 발생장치의 저항판구조
KR20020076851A (ko) 에너지발생장치
US98164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a horizontal axis wind turbine and a vertical axis wind turbine
KR101550040B1 (ko) 수력 발전장치
JP2004124932A (ja) 重力を回転運動に変え発電する装置
KR101249438B1 (ko) 수직축 풍력발전기
KR20130021113A (ko) 풍력발전기용 접이식 날개장치
KR101271510B1 (ko) 중력 편심을 이용한 회전체 구조를 구비한 풍력발전 시스템
JP2008180204A (ja) 風力発電機用ブレード
JP6978426B2 (ja) 羽根の制御を改善した、方向付け可能な羽根を伴う流体ロータ
KR20180138038A (ko) 시소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 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전장치
CN104454306A (zh) 转动导杆式叶片伸缩机构及应用该转动导杆式叶片伸缩机构的潮流发电装置
JP2015117686A (ja) 偏心回転式発電装置(2)
KR101273648B1 (ko) 조류 발전기
WO2012036517A2 (ko)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KR101643960B1 (ko) 가변 하중부를 구비한 풍력발전기
CN204357627U (zh) 转动导杆式叶片伸缩机构及应用该转动导杆式叶片伸缩机构的潮流发电装置
KR20160090407A (ko) 수력발전장치
KR102337988B1 (ko) 피치제어장치를 갖는 소형풍력발전기
KR20160063846A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JP2012137093A (ja) 風力発電装置のピッチ駆動装置および風力発電装置
KR20120035405A (ko) 중력 편심을 이용한 회전체 구조
JP3170852U (ja) フライホイール付きの回転モーメント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