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846A -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846A
KR20160063846A KR1020140167636A KR20140167636A KR20160063846A KR 20160063846 A KR20160063846 A KR 20160063846A KR 1020140167636 A KR1020140167636 A KR 1020140167636A KR 20140167636 A KR20140167636 A KR 20140167636A KR 20160063846 A KR20160063846 A KR 20160063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flange
wind power
power generator
mai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9354B1 (ko
Inventor
이택우
김상석
김성조
Original Assignee
삼원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원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원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7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3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3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4Automatic control; Reg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4Automatic control; Regulation
    • F03D7/041Automatic control; Regulation by means of a mechanical govern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는 풍력발전기의 메인 샤프트의 일측 종단에 결합되는 허브, 상기 허브와 이격되어 상기 허브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복수 구비되어 상기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가 결합되는 플랜지 및 상기 허브와 상기 플랜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의 길이 방향 직진 운동에 따라 상기 플랜지를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를 조절하는 피치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치 조절부는, 상기 플랜지와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허브와 회전축을 연결하여 상기 허브의 직진운동 길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소정각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의 편심에 연결되는 링크 및 상기 링크를 허브 및 회전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구면 베어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Wind Turbine Blade Pitch Control Device and Wind Turbin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람의 풍속에 따라 블레이드의 피치를 제어하여 블레이드에 발생하는 부담을 감소하고, 블레이드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발전기의 부하 등과 같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풍력발전이랑 공기의 유동이 가진 운동에너지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회전자를 회전시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얻는 기술이다.
또한, 풍력발전은 어느 곳에나 산재되어 있는 무공해, 무한정의 바람을 이용하므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고,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대규모 발전 단지의 경우에는 발전 단가도 기존의 발전 방식과 경쟁 가능한 수준의 신 에너지 발전 기술이다.
이와 같은 풍력발전기는 일반적으로 소정 높이를 갖는 타워 상부에 회전 가능한 동체를 구비하고, 동체에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블레이드를 등 간격으로 구비하며, 블레이드의 회전력이 전기에너지를 얻기 위한 회전 속도를 갖추게 하는 증속기를 포함하고, 증속기를 통한 회전력을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발전기로 구성된다.
그러나 풍력발전기는 자연의 풍속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강풍 시 블레이드의 회전속도가 일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증속기를 통해 그 회전력이 가증되고, 이로 인해 발전기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풍력발전기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심하게는 발전기의 과열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거나, 블레이드가 파손되는 등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KR2007-0054331 1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의 풍속에 따라 블레이드의 피치를 제어하여 블레이드에 발생하는 부담을 감소하고, 블레이드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발전기의 부하 등과 같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는 풍력발전기의 메인 샤프트의 일측 종단에 결합되는 허브, 상기 허브와 이격되어 상기 허브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복수 구비되어 상기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가 결합되는 플랜지 및 상기 허브와 상기 플랜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의 길이 방향 직진 운동에 따라 상기 플랜지를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를 조절하는 피치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치 조절부는, 상기 플랜지와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허브와 회전축을 연결하여 상기 허브의 직진운동 길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소정각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의 편심에 연결되는 링크 및 상기 링크를 허브 및 회전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구면 베어링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허브,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풍력발전기의 크기 및 용량에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축 및 상기 플랜지를 연결하는 연결축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샤프트의 타단에는 상기 메인 샤프트를 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샤프트의 타단에는 상기 메인 샤프트를 직진 운동시키는 액추에이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풍력계와 연결되어 풍력계에서 측정되는 풍속에 따라 직진 운동의 거리를 제어하여 상기 플랜지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상기 플랜지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제1베어링 홀더 및 상기 제1베어링 홀더 내부에 삽입되는 제1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구비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일측에 상기 연결축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제2베어링 홀더 및 상기 제2베어링 홀더 내부에 삽입되는 제2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카테고리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풍력발전기는 전술한 구성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풍속에 대응되도록 자동으로 블레이드의 피치를 조절하여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즉, 풍속에 대해 블레이드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정격 풍속 이하일 때 최대 출력을 내도록 제어하고, 정격 풍속 이상일 때 일정 출력을 낼 수 있도록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기준치 이상의 풍속이 발생하는 경우 블레이드의 피치 조절을 통해 블레이드가 과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발전기의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강풍이 발생하는 경우에 블레이드의 피치가 조절되어 블레이드의 부담이 감소하여 블레이드 및 풍력발전기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블레이드와 연결되는 링크를 구면 베어링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고하중에 견딜 수 있으며, 블레이드의 원활한 운동이 가능하고, 백래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의 블레이드 조작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링크 및 구면 베어링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치 조절부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피치 조절장치를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의 블레이드 조작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메인 샤프트(500), 허브(100), 하우징(200), 플랜지(300), 피치 조절부(400), 커버(800) 및 액추에이터(600) 등으로 구성된다.
허브(100)는 풍력발전기(1000)의 메인 샤프트(500)의 블레이드(1100)가 결합되는 일측 종단에 구비되어 플랜지(300)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블레이드(1100)의 피치를 조절하기 위한 피치 조절부(400)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허브(100)는 원기둥 또는 블레이드(1100)의 개수에 대응되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중심 일측에는 메인 샤프트(500)가 관통 또는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허브(100)는 메인 샤프트(500)의 종단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허브(100)의 외주면에는 피치 조절부(400)의 링크(420)와 결합되는 구면 베어링(43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삽입홈은 플랜지(3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중심에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하우징(200)은 원형 링형상 또는 블레이드(1100)의 개수에 대응되는 다각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허브(100)와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갖되, 허브(10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허브(100)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하우징(200)은 외주면에 블레이드(1100)와 결합되는 플랜지(300)가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플랜지(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2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만약, 하우징(200)이 원형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플랜지(300)지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플랜지(300)가 구비되는 일측에 평탄면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플랜지(300)는 허브(100) 및 블레이드(1100)를 연결하여, 메인 샤프트(500)의 직전운동을 전달받아 블레이드(1100)를 회전시키는 장치로서, 일단은 하우징(200)의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타측은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되어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된 일측 종단에 블레이드(1100)가 결합된다. 이러한 플랜지(300)의 형상은 블레이드(1100)의 크기 및 종류 등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예로, 플랜지(30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일측 종단부는 블레이드(1100)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플랜지(300)와 블레이드(1100)가 면접촉이 가능하도록 확장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피치 조절부(400)는 허브(100) 및 플랜지(300)를 연결하여 메인 샤프트(500)가 길이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직진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경하여 플랜지(300)에 전달함으로써, 플랜지(300)를 회전시켜 블레이드(1100)의 피치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피치 조절부(400)는 회전축(410), 링크(420), 구면 베어링(430) 및 연결축(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410)은 하우징(200)의 내부로 삽입된 플랜지(300)의 종단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도록 결합되어 링크(420)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플랜지(300)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때, 링크(420)와 연결되는 회전축(410)의 일단면에는 확장면(411)이 형성되고, 확장면(411) 일측에 회전축(410)의 중심에서 벗어난 편심에 구면 베어링(430)을 통해 결합한다. 이와 같이, 링크(420)의 편심으로 연결됨으로써 메인 샤프트(500)가 직진 운동을 하는 경우, 그에 따라 회전축(410)의 회전이 용이해 진다. 이러한 회전축(410)의 회전 방법은 후술하는 피치 조절부(400)의 조작상태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링크 및 구면 베어링의 분해 사시도이다. 링크(420)는 양단이 각각 허브(100)와 회전축(4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메인 샤프트(500)의 길이방향 직진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경하여 회전축(410)으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링크(4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 종단은 허브(100)와 구면 베어링(430)을 통해 연결되고, 타측은 회전축(410)의 편심과 결합핀 등을 통해 결합된다.
구면 베어링(430)은 링크(420)의 양단부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링크(420)를 허브(100) 및 회전축(4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구면 베어링(4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420)의 일측에 삽입되는 볼 하우징(431), 볼 하우징(431)의 내부에 삽입되는 볼(432), 볼(432)을 고정하는 고정핀(433)으로 구성된다.
볼 하우징(431)은 구면 베어링(430)이 허브(100) 및 회전축(410)과 결합하기 위한 위치에 허브(100) 내부로 삽입되어 볼(432)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볼 하우징(431)은 볼(432)이 삽입되어 원활하게 회전 운동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볼(432)은 볼 하우징(431) 내부에 삽입되어 링크(4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볼 베어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고정핀(433)은 볼(432)을 관통하여 허브(100) 또는 회전축(410)에 고정하는 장치이다.
전술한 구면 베어링(430)의 구성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링크(420)의 양단을 구면 베어링(430)을 통해 고정함으로써 링크(420)의 회전운동이 원활하게 수행되며, 백래쉬(Backlash)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치 조절부(400)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100)가 결합된 메인 샤프트(500)가 길이 방향으로 직진 운동하게 되면 메인 샤프트(500)의 종단에 결합된 허브(100)가 메인 샤프트(500)의 직진운동에 대응되도록 함께 구동된다. 이때, 링크(420) 역시 함께 구동되고, 이때, 링크(420)의 일단은 회전축(410)의 편심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링크(420)의 구동에 따라 회전축(410)이 회전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600)의 구동에 의해 메인 샤프트(500)가 직진하게 되면 허브(100)가 함께 직진하게 되고, 이와 연결된 링크(420)가 회전축(410)의 편심을 일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회전축(410)을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회전축(410)과 연결된 플랜지(300)가 회전하게 되며 블레이드(1100)의 피치가 소정각도 조절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600)의 구동에 의해 메인 샤프트(500)가 후진하게 되면 허브(100)가 함께 후진하게 되고, 이와 연결된 링크(420)가 회전축(410)의 편심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회전축(410)을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회전축(410)과 연결된 플랜지(300)가 회전하게 되며, 블레이드(1100)의 피치가 조절된다.
연결축(미도시)은 풍력발전기(1000)의 크기, 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하우징(200), 허브(100), 블레이드(1100) 등의 크기를 고려하여 회전축(41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 회전축(410) 및 플랜지(300)를 연결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피치 조절부(400)는 다른 실시예로 직진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경하여 전달하는 너클 조인트 또는 유니버셜 조인트 등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치 조절부(400)는 풍력발전기(1000)의 크기, 용량 및 설치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600)는 메인 샤프트(500)를 진진 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추에이터(600)는 허브(100)와 연결되는 메인 샤프트(500)의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에 구비되어 풍속을 고려하여 메인 샤프트(500)를 소정 길이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직진 시킨다. 이러한 액추에이터(600)는 풍력발전기(1000) 또는 주변에 설치된 풍속계와 연결되어 풍속에 따라 이에 대응되도록 메인 샤프트(500)의 직진 운동 방향 및 운동 길이를 조절하여 블레이드(1100)의 피치 조절 각도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액추에이터(600)는 메인 샤프트(500)를 직진 운동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추에이터(600)와 연결되는 메인 샤프트(500)의 종단부에는 메인 샤프트(500)를 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메인 샤프트(500)를 후방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액추에이터(600)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 또는 액추에이터(600)가 고장 등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블레이드(1100)가 기본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메인 샤프트(500)를 후방으로 탄성 지지한다.
플랜지(300) 및 회전축(41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소음 및 진동 발생 등을 억제하기 위한 복수의 베어링 및 베어링이 삽입되는 베어링 홀더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베어링 홀더(710)는 하우징(200)의 외주면에 플랜지(300)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플랜지(300)를 감싸 플랜지(300)의 회전 시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억제하는 제1베어링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2베어링 홀더(720)는 연결축의 회전 시 회전축(4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억제하는 제2베어링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2베어링 홀더(720)는 후술하는 커버(8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회전축(410)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회전축(410)의 회전을 지지하고,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을 억제한다.
커버(800)는 하우징(200)의 배면에 구비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커버(800)는 하우징(200)과 대응되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일측에는 제2베어링 홀더(720)가 구비될 수 있도록 제2베어링 홀더(7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삽입홈(810)이 형성된다.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하우징(200)의 정면에 구비되는 전면 커버(850)를 더 구비할 수 도 있다.
풍력발전기의 구성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피치 조절장치를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1000)는 풍력발전기(1000)의 용량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10)를 제조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1300)의 상부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풍력발전기(1000)는 일반적인 풍력발전기와 마찬가지로 발전기(1200) 및 블레이드(1100)가 결합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100 : 허브
200 : 하우징
300 : 플랜지
400 : 피치 조절부
410 : 회전축
411 : 확장면
420 : 링크
430 : 구면 베어링
431 : 볼 하우징
432 : 볼
433 : 고정핀
500 : 메인 샤프트
600 : 액추에이터
710 : 제1베어링 홀더
720 : 제2베어링 홀더
800 : 커버
810 : 삽입홈
850 : 전면 커버
1000 : 풍력발전기
1100 : 블레이드
1200 : 발전기
1300 : 타워

Claims (9)

  1. 풍력발전기의 메인 샤프트의 일측 종단에 결합되는 허브;
    상기 허브와 이격되어 상기 허브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복수 구비되어 상기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가 결합되는 플랜지; 및
    상기 허브와 상기 플랜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메인 샤프트의 길이 방향 직진 운동에 따라 상기 플랜지를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를 조절하는 피치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피치 조절부는,
    상기 플랜지와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허브와 회전축을 연결하여 상기 허브의 직진운동 길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소정각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의 편심에 연결되는 링크; 및
    상기 링크를 허브 및 회전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구면 베어링;
    을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풍력발전기의 크기 및 용량에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축 및 상기 플랜지를 연결하는 연결축이 더 구비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샤프트의 타단에는 상기 메인 샤프트를 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샤프트의 타단에는 상기 메인 샤프트를 직진 운동시키는 액추에이터가 더 구비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풍력계와 연결되어 풍력계에서 측정되는 풍속에 따라 직진 운동의 거리를 제어하여 상기 플랜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상기 플랜지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제1베어링 홀더; 및
    상기 제1베어링 홀더 내부에 삽입되는 제1베어링;
    을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구비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측에 상기 연결축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제2베어링 홀더; 및
    상기 제2베어링 홀더 내부에 삽입되는 제2베어링;
    을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9. 제 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KR1020140167636A 2014-11-27 2014-11-27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KR101629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636A KR101629354B1 (ko) 2014-11-27 2014-11-27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636A KR101629354B1 (ko) 2014-11-27 2014-11-27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846A true KR20160063846A (ko) 2016-06-07
KR101629354B1 KR101629354B1 (ko) 2016-06-10

Family

ID=56190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636A KR101629354B1 (ko) 2014-11-27 2014-11-27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200B1 (ko) * 2021-12-23 2022-04-08 (주)삼원밀레니어 풍력발전기 블레이드의 피치제어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0075A (ja) * 1981-12-10 1983-09-06 ヨス・ハイヤン ウインドミルのベ−ン設定装置
JP2000034971A (ja) * 1998-07-15 2000-02-02 Umeo Saho 風車の羽根角度の自動調整法
KR20070054331A (ko) 2005-11-23 2007-05-29 (주) 썬에어로시스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조절장치
KR200443245Y1 (ko) * 2007-09-05 2009-02-02 이훈재 후퇴날개식 풍차허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0075A (ja) * 1981-12-10 1983-09-06 ヨス・ハイヤン ウインドミルのベ−ン設定装置
JP2000034971A (ja) * 1998-07-15 2000-02-02 Umeo Saho 風車の羽根角度の自動調整法
KR20070054331A (ko) 2005-11-23 2007-05-29 (주) 썬에어로시스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조절장치
KR200443245Y1 (ko) * 2007-09-05 2009-02-02 이훈재 후퇴날개식 풍차허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200B1 (ko) * 2021-12-23 2022-04-08 (주)삼원밀레니어 풍력발전기 블레이드의 피치제어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354B1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4313B2 (en) Independent variable blade pitch and geometry wind turbine
US9657716B2 (en) Rotational support of a wind turbine blade
KR101004343B1 (ko) 풍력 발전기용 날개 경사각 조절 장치
US10774807B2 (en) Omni multi axes-vertical axis wind turbine (M-VAWT)
KR20110071110A (ko) 역회전 블레이드를 갖춘 풍력 발전장치
KR20110063475A (ko) 폴딩 블레이드 터빈
KR101849052B1 (ko) 방향키 풍력을 이용한 환풍기와 무동력 선풍기 발전 시스템
KR100996130B1 (ko) 풍력 발전기용 날개 경사각 조절 장치
CN106164509A (zh) 双向轴承、传动系、行星齿轮和风力发电机
CN102996346B (zh) 主动变桨风力发电机
US20110038726A1 (en) Independent variable blade pitch and geometry wind turbine
US11480152B2 (en) Rotor arrest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and method
KR101508649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KR101629354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피치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KR102353102B1 (ko) 풍속 연동 블레이드형 풍력발전기
US20130300124A1 (en) Profiled Air Cap on Direct Drive Wind Turbine Generator
CN111133192A (zh) 风力涡轮机
KR20120029540A (ko) 편심력을 이용하는 회전력 발생시스템
KR101478575B1 (ko) 수동형 블레이드 피치 제어 모듈
JPH05149237A (ja) 風車のピツチ可変装置
KR20110080946A (ko) 풍력발전기
KR101587737B1 (ko) 수직축형 풍력 발전 장치
CN220505237U (zh) 一种风力发电机组变桨装置
KR101668594B1 (ko) 저항판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발생장치
KR101403704B1 (ko) 풍력발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