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280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280A
KR20120029280A KR1020100091276A KR20100091276A KR20120029280A KR 20120029280 A KR20120029280 A KR 20120029280A KR 1020100091276 A KR1020100091276 A KR 1020100091276A KR 20100091276 A KR20100091276 A KR 20100091276A KR 20120029280 A KR20120029280 A KR 20120029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uide
developing
develo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3484B1 (ko
Inventor
임대혁
안병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1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484B1/ko
Priority to US13/210,534 priority patent/US8744306B2/en
Publication of KR20120029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0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colo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89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 G03G2215/013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vertical medium transport path at the secondary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현상기를 수용하는 현상기 수용부재가 본체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에 있어서, 가이드부재는 현상기 수용부재가 본체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현상기 수용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현상기의 착탈 구조를 개선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컬러 화상 형성 방식은 전사 드럼(drum) 방식과 중간 전사 방식, 이미지 온 이미지(image on imgae) 방식, 탠덤(tandem)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전사 드럼 방식은 유전체 필름으로 되는 전사 드럼 표면에 전사지를 휘감고, 감광체와 대향 시키고, 엘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 색에 대하여 정전 잠상의 형성, 현상, 전사라는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되풀이하는 것으로 전사지 상에 순차적으로 각 색의 토너를 중합시키는 것에 따라 풀 컬러 화상을 얻는 방식이다.
중간 전사 방식은 전사 드럼 방식으로 이용하는 전사지 대신에 중간 전사체라고 불리는 드럼 또는 벨트 상에 각 색의 토너를 순차적으로 전사하는 것에 따라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하고, 이 것을 일시에 전사지 상에 재전사하는 방식이다.
이미지 온 이미지 방식은 감광체 상에서 직접적으로 엘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색에 대한 정전 잠상의 형성, 현상, 전사라는 전사 사진 프로세스를 되풀이하는 것으로 전사지 상에 전사하는 방식이다.
탠덤 방식은 화상 형성 유닛에 따라서 형성되는 화상을 전사 벨트에 반송되는 단일의 전사지 상에 순차적으로 중합시키고 전사하는 것에 따라 전사지 상에 풀 컬러 화상을 얻는 방식이다.
특히 탠덤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 가능한 전사지의 종류가 풍부하고, 풀 컬러 화상의 품질도 높고, 고속으로 풀 컬러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일측은, 현상기 착탈유닛의 구조를 개선하여 용이하게 현상기를 교체 또는 장착, 분리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측은, 현상기 착탈 시 현상기의 감광체와 전사벨트의 향상된 이격 구조를 개시할 수 있다.
일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복수의 현상기를 수용하는 현상기 수용부재;와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회전이 제한되도록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는 제1가이드돌기와 제2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홈 형상의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할 때 상기 제1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가이드부에서 이탈되고 상기 제2가이드돌기는 상기 제2가이드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는 제1가이드돌기와 제2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홈 형상의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본체의 외부에 위치할 때 상기 제1가이드돌기와 제2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돌기와 제2가이드돌기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의 후단은 상기 제1가이드부의 후단보다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제2가이드돌기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는 제1가이드돌기와 제2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 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할 때 상기 제1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가이드부에서 이탈되고 상기 스톱퍼에 지지되고, 상기 제2가이드돌기는 상기 제2가이드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톱퍼는 상기 제1가이드부의 단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현상기와 대향되게 마련되는 전사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전사벨트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하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전사벨트에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주사유닛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에 마련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복수의 현상기와 대향되게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전사 벨트;와 상기 복수의 현상기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현상기 수용부재;와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이 제한되도록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상기 전사벨트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기술적 사상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현상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와 외부로 이동시키는 현상기 착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본체의 내부 위치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본체의 외부 위치에서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유닛과 대면하는 전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현상유닛과 상기 전사유닛은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컴팩트화하여 설치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현상기를 장착, 분리하기 위해 이동하는 현상기 수용부재의 동작 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사벨트와 현상기의 감광체의 간섭을 불필요한 고장 또는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기를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착탈유닛의 현상기 수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착탈유닛의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수용부재가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수용부재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기를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착탈유닛의 현상기 수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착탈유닛의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는 본체(10)와 인쇄매체 공급유닛(20), 광주사유닛(30), 현상유닛(40), 현상기 착탈유닛(50), 전사유닛(60), 정착유닛(70), 인쇄매체 배출유닛(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할 수 있다.
본체(10)의 전방에는 개구부(10a)를 개폐하는 도어(11)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11)는 본체(10)의 상면 일부분과 전면 일부분에 걸쳐서 형성되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인쇄매체 공급유닛(20)은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를 전사유닛(6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주사유닛(30)은 옐로우(Yellow,Y), 마젠타(Magenta,M), 시안(Cyan,C), 블랙(Black,K)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인쇄 신호에 따라 후술되는 현상기(40Y, 40M, 40C, 40K)들의 각 감광체(44Y, 44M, 44C, 44K)에 주사하는 4개의 광주사기(30Y, 30M, 30C, 30K)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광주사기(30Y, 30M, 30C, 30K)에 의해 주사된 광에 따라 각 감광체(44Y, 44M, 44C, 44K)들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주사유닛(30)은 도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11)가 열릴 때 광주사유닛(30)은 도어(11)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도어(11)가 닫힐 때 광주사유닛(30)은 도어(11)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현상유닛(4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면,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블랙(Blac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는 본체(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 중 옐로우(Yellow) 색상의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기(40Y)가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블랙(Black) 색상의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기(40K)가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옐로우(Y) 색상의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기(40Y)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마젠타(M), 시안(C), 블랙(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다른 3개의 현상기(40M, 40C, 40K)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현상기(40Y)는 하우징(41Y)과 현상제수용실(100), 현상제 공급부재(42Y), 현상부재(43Y), 감광체(44Y)를 구비할 수 있다.
현상제수용실(100)은 감광체(44Y)로 공급될 현상제가 저장된다. 현상제 공급부재(42Y)는 현상제수용실(100)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부재(43Y)에 공급한다. 현상부재(43Y)는 광주사기(30Y)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44Y)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다. 감광체(44Y)는 구동원(미도시)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현상부재(43Y)로부터 현상제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44Y)가 현상기(40Y)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감광체(44Y)는 현상기(40Y)와 별도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대전롤러(45Y)는 광주사유닛(30Y)으로부터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각 감광체(44Y)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킬 수 있다.
현상기 착탈유닛(50)은 현상기 수용부재(51)와 가이드부재(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현상기 수용부재(51)는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를 수용하며, 본체(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52)에 의해서 본체(10)의 외부 위치와 내부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현상기 수용부재(51)를 본체(10)의 외부 위치로 이동시켜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 각가을 교체할 수 있다. 교체 작업 후 현상기 수용부재(51)를 본체(10)의 내부 위치로 이동시켜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의 장착을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의 외부 위치(또는 제1위치)는 현상기 수용부재(51)의 적어도 일 부분이 본체(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고, 본체(10)의 내부 위치(또는 제2위치)는 현상기 수용부재(51)가 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현상기 수용부재(51)가 본체(10)의 외부 위치(또는 제1위치)에 놓여 있는 경우 현상기 수용부재(51)의 적어도 일 부분이 본체(10)의 개구부(10a)를 통과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현상기 수용부재(51)는 프레임(51c)과 제1가이드돌기(51a), 제2가이드돌기(5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51c)은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 각각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51c)의 전방에는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손잡이를 잡고 프레임(51c)을 본체(10) 외부로 잡아당기거나 본체(10)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다.
프레임(51c)의 후방에는 제1가이드돌기(51a)와 제2가이드돌기(51b)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돌기(51a)는 프레임(51c)의 양 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제2가이드돌기(51b)도 프레임(51c)의 양 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52)는 현상기 수용부재(51)가 본체(10)의 외부 위치와 내부 위치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52)는 현상기 수용부재(51)가 본체(10)의 외부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현상기 수용부재(51)가 본체(10)의 외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복수의 현상기(40Y, 40M, 40C, 40K)는 쉽게 교체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52)는 현상기 수용부재(51)가 본체(10)의 내부 위치에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현상기 수용부재(51)가 본체(10)의 외부 위치 또는 내부 위치로 이동할 때 복수의 현상기(40Y, 40M, 40C, 40K)의 감광체(44Y, 44M, 44C, 44K)와 전사벨트(61)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52)는 제1가이드부(52a)와 제2가이드부(52b), 스톱퍼(5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52a)는 본체(1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홈 형상의 경로가 형성될 수 있고, 제1가이드부(52a)의 후단에는 스톱퍼(52c)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52b)는 제1가이드부(52a)와 동일하게 본체(1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2가이드부(52b)의 후단은 제1가이드부(52a)의 후단보다 본체(10)의 후방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52a)와 제2가이드부(52b)는 본체(10)가 높여 있는 지면과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직선 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제1가이드부(52a)와 제2가이드부(52)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사유닛(60)은 감광체(44Y)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인쇄매체로 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사벨트(61)와 구동롤러(62), 피동롤러(63), 전사롤러(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사벨트(61)는 구동롤러(62)와 피동롤러(63)에 의해서 무한궤도로 회전할 수 있다. 전사벨트(61)는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와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본체(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구동롤러(62)가 마련되는 전사벨트(61)의 일단이 가장 높은 위치에 마련되고, 피동롤러(63)가 마련되는 전사벨트(61)의 타단이 가장 낮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전사벨트(61)는 감광체(44Y, 44M, 44C, 44K)들과 마주하며, 감광체(44Y, 44M, 44C, 44K)들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전사벨트(61)에 1차적으로 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전사롤러(64)는 구동롤러(62)와 마주하여 닙을 형성하고, 전사벨트(61)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전사롤러(64)와 구동롤러(62) 사이로 이송되는 인쇄매체에 2차적으로 전사되도록 한다.
정착유닛(70)은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71)와, 가열롤러(7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압롤러(72)를 구비한다. 인쇄매체가 가열롤러(71)와 가압롤러(7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7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71)와 가압롤러(7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전사된 화상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인쇄매체 배출유닛(80)은 배지롤러(81)와 배지백업롤러(82)를 구비하여 정착유닛(70)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수용부재가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 수용부재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기의 착탈 동작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에서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와, 이를 지지하는 현상기 수용부재(51)는 본체(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상측에는 광주사유닛(30)이 배치되기 때문에 현상기 수용부재(51)를 본체(10)의 외부 위치로 꺼내기 위해서는 광주사유닛(3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사용자는 먼저 도 6과 같이 도어(11)를 개방할 수 있다. 광주사유닛(30)은 도어(11)와 함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본체(10)의 개구부(10a)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도 7과 같이 현상기 수용부재(51)를 제2가이드돌기(51b)를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현상기 수용부재(51)의 선단이 본체(10)의 개구부(10a)를 향하도록 현상기 수용부재(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돌기(51a)는 스톱퍼(52c)에서 이탈되며, 제1가이드부(52a)에 삽입되기 전 상태일 수 있다.
이후 도 8과 같이 현상기 수용부재(51)를 잡아당기면 제1가이드돌기(51a)는 제1가이드부(52a)에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고, 제2가이드돌기(51b)는 제2가이드부(52b)에 의해서 안내될 수 있다. 이후 현상기 수용부재(51)는 도 3과 같이 본체(10)의 외부 위치로 이동되며,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도 본체(10)의 외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 각각을 교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도 8과 같이 현상기 수용부재(51)를 본체(10)의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돌기(51a)는 제1가이드부(52a)에 의해서 안내될 수 있고, 제2가이드돌기(51b)는 제2가이드부(52b)에 의해서 안내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도 7과 같이 현상기 수용부재(51)를 본체(10)의 내부 위치까지 완전히 밀어 넣을 수 있고, 이때 제1가이드돌기(51a)는 제1가이드부(52a)에서 이탈되고, 제2가이드돌기(51b)는 제2가이드부(52b)에 의해서 조금 더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현상기 수용부재(51)를 제2가이드돌기(51b)를 회전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현상기 수용부재(51)는 제1가이드돌기(51a)가 스톱퍼(52c)에 지지되면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 및 이를 지지하는 현상기 수용부재(51)는 본체(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며, 전사벨트(61)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후 도 1과 같이 도어(11)를 닫아서 광주사유닛(30)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로써 4개의 현상기(40Y, 40M, 40C, 40K)를 본체(10)에 동시에 장착할 수 있다.
1: 화상 형성 장치 10: 본체
10a: 개구부 11: 도어
20: 인쇄매체 공급유닛 30: 광주사유닛
40: 현상유닛 50: 현상기 착탈유닛
60: 전사유닛 70: 정착유닛
80: 인쇄매체 배출유닛

Claims (22)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복수의 현상기를 수용하는 현상기 수용부재;와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회전이 제한되도록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는 제1가이드돌기와 제2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홈 형상의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할 때 상기 제1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가이드부에서 이탈되고 상기 제2가이드돌기는 상기 제2가이드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는 제1가이드돌기와 제2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홈 형상의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본체의 외부에 위치할 때 상기 제1가이드돌기와 제2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돌기와 제2가이드돌기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의 후단은 상기 제1가이드부의 후단보다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제2가이드돌기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는 제1가이드돌기와 제2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 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할 때 상기 제1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가이드부에서 이탈되고 상기 스톱퍼에 지지되고, 상기 제2가이드돌기는 상기 제2가이드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제1가이드부의 단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기와 대향되게 마련되는 전사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전사벨트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하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전사벨트에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유닛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에 마련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의 현상기;와
    상기 복수의 현상기와 대향되게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전사 벨트;와
    상기 복수의 현상기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현상기 수용부재;와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회전이 제한되도록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수용부재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현상기는 상기 전사벨트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현상유닛;과
    상기 현상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와 외부로 이동시키는 현상기 착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본체의 내부 위치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착탈유닛은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본체의 외부 위치에서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과 대면하는 전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현상유닛과 상기 전사유닛은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00091276A 2010-09-16 2010-09-16 화상 형성 장치 KR101743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276A KR101743484B1 (ko) 2010-09-16 2010-09-16 화상 형성 장치
US13/210,534 US8744306B2 (en) 2010-09-16 2011-08-16 Development device attachment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276A KR101743484B1 (ko) 2010-09-16 2010-09-16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280A true KR20120029280A (ko) 2012-03-26
KR101743484B1 KR101743484B1 (ko) 2017-06-07

Family

ID=45817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276A KR101743484B1 (ko) 2010-09-16 2010-09-16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44306B2 (ko)
KR (1) KR1017434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3148B2 (ja) * 2008-06-24 2011-02-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65650B2 (ja) 2013-02-28 2017-01-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3537A (ja) 2003-07-25 2005-02-1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5114872A (ja) * 2003-10-03 2005-04-2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562206B2 (ja) * 2008-09-29 2010-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787612B2 (ja) 2010-06-22 2015-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484B1 (ko) 2017-06-07
US8744306B2 (en) 2014-06-03
US20120070191A1 (en)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3360B2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8824919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otation-regulated process cartridge
US8606143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tacting and spacing member
US9429900B2 (en) Cartridge supporting member having different moving direction guide portions
JP4717455B2 (ja) 画像形成装置
US7272341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5220084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938958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KR100601681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20100202797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109629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ountable unit for discharging developer
JP2012163987A (ja) 画像形成装置
RU2398256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US85382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constituent component and holding part
KR20120029280A (ko) 화상 형성 장치
JP2017167523A (ja) 画像形成装置
JP201804919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装置本体
JP2002318480A (ja) 画像形成装置
JP4107574B2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カバー部材
JP2007323005A (ja) 画像形成装置
US8699915B2 (en) Photosensitive body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060078350A1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31194B1 (ko) 화상 형성 장치
JP3421825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906946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