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930A - 리필 용기 - Google Patents

리필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930A
KR20120028930A KR1020117030119A KR20117030119A KR20120028930A KR 20120028930 A KR20120028930 A KR 20120028930A KR 1020117030119 A KR1020117030119 A KR 1020117030119A KR 20117030119 A KR20117030119 A KR 20117030119A KR 20120028930 A KR20120028930 A KR 20120028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fill container
opening
laminat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0988B1 (ko
Inventor
마사유키 니시나
히로유키 오츠카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8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10Handles formed of similar material to that used for the bag
    • B65D33/105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9/00Plugs, sleeves, caps, or like rigid or semi-rigid elements for protecting parts of articles or for bundling articles, e.g. protectors for screw-threads, end caps for tubes or for bundling rod-shaped articles
    • B65D59/04Sleeves, e.g. posta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6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 B65D75/566Hand holes or suspension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65D75/5822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66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리필 용기(1)는 기재(11)와 실란트층(12)을 적어도 갖는 적층체(10)를 포함하는 리필 용기(1)이며, 1장의 상기 적층체(10)를 상기 실란트층(12)을 내측으로 하여 천장부에서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6)와, 상기 절곡한 상기 적층체(10)에 의해 형성된 본체 표면 적층체(2) 및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3)를 갖고,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2) 및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3)는 이들 실란트층(12)끼리를 대향시키고 주위를 시일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부(6)는, 그의 하부에 주출구 시일부(24)가 설치되고, 상기 주출구 시일부(24)와 함께, 주출구(31)에 이르는 내용물의 유출로(33)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리필 용기{REFILL CONTAINER}
본 발명은 액체 세제 및 유연제 등의 세정용품이나, 식용유 및 인스턴트 커피 등의 식품 등을 수납하는 리필 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 세제나 유연 마무리제 등의 세정용품이나, 식용유, 인스턴트 커피 등의 식품은 각각 사용하기 쉬운 형상의 전용 용기에 수납되어 있다. 전용 용기는 구조도 튼튼하게 되어 있고, 따라서 고가이기 때문에, 내용물이 없어진 단계에서 반복 사용할 수 있도록 내용물만을 다시 채워넣는 리필 용기 포함 제품이 별도로 판매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액체 세제의 용기는 세제를 사용할 때에 그때마다 적절한 양을 계량하여 꺼낼 필요가 있기 때문에, 경량 컵에 따르기 쉽도록 주출구(注出口)에 노즐을 구비한 강성이 있는 플라스틱 용기가 반복 사용하는 용기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 용기에 대하여 내용물을 보충하기 위한 리필용 용기로서는 연포장 필름을 포함하는 유연한 용기에 주출구를 형성한 용기나, 입구 마개를 부착한 용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반복 사용하는 강성의 용기는 오로지 따라내기 쉽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반복 사용하는 용기에 대하여 리필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보충하는 리필 조작의 편리성을 고려한 것으로서는 반드시 되는 것은 아니었다.
또 한편, 리필 용기도 오로지 저렴하게 제조하는 데에 중점을 둔 나머지, 반드시 리필 조작의 편리성을 고려한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면, 연포장 필름을 포함하는 유연한 용기에 단순히 주출구를 형성한 용기의 경우, 입구 부근의 형상을 유지하기 어렵고, 주출구가 절곡되어 주출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었다. 엠보싱 가공에 의해 주출구를 보강한 용기의 경우이더라도, 엠보싱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마찬가지로 주출구가 꺾여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리필에 시간이 걸리고, 그동안 본체 용기 노즐로부터 내용물이 흘러 넘치는 불안감이 항상 있어 신중한 작업이 강요되었다.
또한, 주출구에 성형 튜브의 입구 마개를 장착한 리필 용기의 경우, 주출구가 절곡된다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용기 제조 단계에 있어서 성형 튜브를 장착할 때에 튜브의 탈락이나 필름의 파열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충전기에 있어서 미충전된 빈용기를 공급할 때에 평평하게 적재되지 않기 때문에, 빈 용기가 정돈되기 어려워, 충전기 적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 단계에서는 주입구를 개봉할 때에, 튜브 부분을 자르는 데에 칼이나 가위가 필요하게 되는 등의 불편함도 있었다.
반복 사용하는 용기에 설치된 노즐을 이용하여 리필 용기의 개봉을 행할 수 있고, 또한 리필 중에 리필 용기를 자립시키기 위해 손으로 유지하지 않아도 되는 리필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 손을 놓을 수 있는 리필 용기는 반복 사용하는 용기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면서 탈락 불능하게 연결되는 결합 부재와, 리필 용기 본체를 밀봉하는 용기 밀봉 부재를 구비한 리필 용기이다(특허문헌 1 참조).
비용 면에서는, 예를 들면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리 2장의 포장 필름(61)의 둘레 가장자리를 시일하여 이루어지는 리필 용기인 포장 봉지(60)가 유리하다. 이 포장 봉지(60)은 용기의 구경에 걸맞는 임의의 폭의 주출구(62)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표리 2장의 필름(61)의 단연부를 시일하여 주출구부를 형성한 경우, 내용물을 주출할 때에 개구부가 시일된 양단에 인장되어, 표리의 필름이 유사 밀착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주출구가 폐색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주출구가 절곡되기 쉬워, 리필 조작 중에 주출구가 반복 사용하는 용기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문제도 있다.
이 주출구가 폐색되거나 절곡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출구부에 필름과는 별도의 부재의 부품을 삽입하거나(특허문헌 2 참조), 주출구부 부근의 필름을 부풀려 입체 형상으로 함으로써, 개구 면적을 확보하거나 하는 것이 많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그러나, 이들 포장 봉지는 별도의 부재를 부착하는 공정이나, 필름에 깊은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 등이 증가한다는 문제 외에도, 충전시에 포장 봉지의 공급부에 있어서 포장 봉지를 정연하게 적재하여 정돈할 수 없다는 문제나, 표리 2장의 필름을 시일하여 이루어지는 개구부는 양끝에 시일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 분량만큼 개구폭이 좁아져, 충분한 개구 면적을 확보할 수 없다는 기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충분한 개구 면적을 확보할 수 없으면, 리필 시의 주출에 요하는 시간은 길어지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장 봉지를 구성하는 필름을 절곡하여 주출구의 한쪽을 형성하고, 주출구의 시일부를 한쪽만으로 하는 포장 봉지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4, 5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4-9908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5-132069호 공보 일본 특허 제4110940호 일본 특허 공개 (평)11-23605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8991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리필 용기는 반복 사용하는 용기와 리필 용기를 결합하기 위해 입구 마개부에 결합 부재와 용기 밀봉 부재라는 2개의 부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의 비용이 비싸지지 않을 수 없다. 또한 리필 용기를 반복 사용하는 용기의 개구부에 비틀어 넣어 사용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양자의 결합은 확실하지만, 반면 조작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입구 마개의 비용면에서도 불리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4, 5에 나타난 바와 같은, 주출구의 한쪽이 절곡된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포장 봉지의 경우, 주출구가 폐색되는 문제나 주출구부의 개구 면적이 부족하다는 문제는 어느 정도 해소되지만, 주출에 요하는 시간이나 주입 자유도 측면에서는 아직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리필 조작이 용이하면서 신속하고 확실한 리필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리필 용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기재와 실란트층을 적어도 갖는 적층체를 포함하는 리필 용기는, 1장의 상기 적층체를 상기 실란트층을 내측으로 하여 천장부에서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한 상기 적층체에 의해 형성된 본체 표면 적층체와, 상기 절곡한 상기 적층체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를 갖고,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 및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는 이들 실란트층끼리를 대향시키고 주위를 시일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부는, 그의 하부에 주출구 시일부가 설치되고, 상기 주출구 시일부와 함께, 주출구에 이르는 내용물의 유출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기재와 실란트층을 적어도 갖는 적층체를 포함하는 리필 용기는, 1장의 상기 적층체를 상기 실란트층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한 상기 적층체에 의해 형성된 본체 표면 적층체와, 상기 절곡한 상기 적층체에 의해 형성된 본체 이면 적층체를 갖고,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 및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는 이들 실란트층끼리를 대향시키고 주위를 시일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부는, 그의 하부에 주출구 시일부가 설치되고, 상기 주출구 시일부와 함께, 내용물을 따라내기 위한 주출 노즐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주출 노즐의 선단은 그의 선단에 개봉 예정선을 갖고, 이 개봉 예정선을 따라 분리함으로써 주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봉 예정선 길이를 A(mm)로 하고, 상기 주출구의 개구부 폭을 B(mm)로 했을 때에, A-4(mm)≤B(mm)≤A-0.5(mm)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기재와 실란트층을 적어도 갖는 적층체를 포함하는 리필 용기는, 1장의 상기 적층체를 상기 실란트층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한 상기 적층체에 의해 형성된 본체 표면 적층체와, 상기 절곡한 상기 적층체에 의해 형성된 본체 이면 적층체를 갖고,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 및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는 이들 실란트층끼리를 대향시키고 주위를 시일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부는, 그의 하부에 주출구 시일부가 설치되고, 상기 주출구 시일부와 함께, 내용물을 따라내기 위한 주출 노즐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주출 노즐의 선단은 그의 선단에 개봉 예정선을 갖고, 이 개봉 예정선을 따라 분리함으로써 주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주출구의 폭을 C(mm)로 하고, 주출구의 개구부 단면적을 D(mm2)로 했을 때에, 1/10×(C2/π)(mm2)≤D(mm2)≤C2/π(mm2)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기재와 실란트층을 적어도 갖는 적층체를 포함하는 리필 용기는, 1장의 상기 적층체를 상기 실란트층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한 상기 적층체에 의해 형성된 본체 표면 적층체와, 상기 절곡한 상기 적층체에 의해 형성된 본체 이면 적층체를 갖고,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 및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는 이들 실란트층끼리를 대향시키고 주위를 시일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부는, 그의 하부에 주출구 시일부가 설치되고, 상기 주출구 시일부와 함께, 내용물을 따라내기 위한 주출 노즐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주출 노즐의 선단은, 주출 노즐 선단 시일부에 의해 시일되어 있고, 개봉 예정선을 따라 분리함으로써 주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주출 노즐을 형성하는 상기 적층체는 외측에 볼록한 띠 모양 또는 힘줄 모양의 볼록 엠보싱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볼록 엠보싱은 상기 개봉 예정선의 길이를 E로 했을 때, 상기 개봉 예정선 상의 상기 주출 노즐 시일부로부터 E의 3분의 2의 범위에 그의 중심이 존재하고, 상기 개봉 예정선으로부터 상기 천공 가공부 시일부의 연장선 상까지는 적어도 연속하여 존재한다.
본 발명은 입구 마개 등의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리필 조작이 용이하면서 신속하고 확실한 리필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a는 동 리필 용기의 II-II 단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동 리필 용기를 구성하는 적층체의 층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a는 동 리필 용기의 IV-IV 단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동 리필 용기를 벌린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동 리필 용기를 이용한 일련의 리필 조작의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동 리필 용기를 이용한 일련의 리필 조작의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동 리필 용기를 이용한 일련의 리필 조작의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에서의 주출구의 부분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동 리필 용기의 XI-XI 단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는 동 리필 용기의 주출 노즐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2b는 동 주출 노즐의 주출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a는 종래 기술의 리필 용기의 주출 노즐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3b는 동 주출 노즐의 주출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a는 동 리필 용기의 XV-XV 단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b는 동 리필 용기를 벌린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a는 동 리필 용기의 주출구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8b는 동 주출구의 XVII-XVII 단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c는 동 주출구의 면적이 최대가 된 상태를 XVII-XVII 단면에 의해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동 리필 용기의 IIX-IIX 단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동 리필 용기의 주출 노즐의 볼록 엠보싱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22는 동 리필 용기의 주출 노즐의 오목 엠보싱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23은 동 리필 용기의 주출 노즐의 변형예로서, 볼록 엠보싱과 오목 엠보싱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4a는 동 리필 용기의 주출 노즐의 일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b는 동 리필 용기의 주출 노즐의 일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c는 동 리필 용기(1000)의 주출 노즐(1032A)의 일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d는 동 리필 용기(1000A)의 주출 노즐(1032A)의 일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6a는 동 리필 용기의 XXVI-XXVI 단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b는 동 리필 용기의 XXVI-XXVI 단면의 구성으로서, 리필 용기를 벌린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8은 동 리필 용기의 주출 노즐에서의 엠보싱의 유무에 의한, 주출 시간과 주출량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9는 종래의 리필 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에 대하여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a는 리필 용기(1)의 도 1 중의 II-II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리필 용기(1)의 도 1 중의 II-II 단면으로서, 리필 용기(1)의 적층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는 본체 표면 적층체(2)와, 본체 이면 적층체(3)와, 절곡부(6)와, 시일부(20)를 갖는다. 또한, 리필 용기(1)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11) 및 실란트층(12)을 적어도 갖는 적층체(10)에 의해 형성된다.
리필 용기(1)는 1장의 적층체(10)를, 실란트층(12)이 내측이 되도록, 실란트층(12)끼리를 대향시켜 천장부에서 완만하게 절곡한다. 리필 용기(1)는 이 절곡한 적층체(10)의 주위를 시일한다.
이와 같이, 한 장의 적층체(10)를 절곡함으로써, 리필 용기(1)는 천장부에서 절곡한 절곡부(6)와, 절곡부(6)를 경계로 한쪽의 주면인 본체 표면 적층체(2)와, 절곡부(6)를 경계로 다른 쪽의 주면인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3)를 형성한다. 본체 표면 적층체(2)는 본체 표면을 형성하는 필름이다. 또한, 본체 이면 적층체(3)는 본체 표면을 형성하는 필름이다. 또한, 리필 용기(1)는 절곡한 적층체(10)의 주위를 시일함으로써 시일부(20)가 형성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리필 용기(1)에 있어서는, 그의 내부에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한 개구부는 생략한다. 이 개구부는, 예를 들면 시일부(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하고, 내용물 충전 후, 시일부(20)의 해당 개소를 시일할 수도 있다.
본체 표면 적층체(2) 및 본체 이면 적층체(3)는 리필 용기(1)의 표리를 각각 형성한다. 또한, 본체 표면 적층체(2)와 본체 이면 적층체(3)는 시일부(20)에 의해, 그의 측면 가장자리 및 하부 가장자리가 시일됨으로써, 봉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표면 적층체(2)는 적층체(10)의 일부로서, 본체 표면의 필름이다. 또한, 본체 이면 적층체(3)는 적층체(10)의 일부로서, 본체 이면의 필름이다.
시일부(20)는 사이드 시일부(22)와 바텀 시일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사이드 시일부(22)는 본체 표면 적층체(2) 및 본체 이면 적층체(3)의 측면 가장자리를 시일한다. 바텀 시일부(23)는 본체 표면 적층체(2) 및 본체 이면 적층체(3)의 하부 가장자리를 시일한다. 시일부(20)는 본체 표면 적층체(2) 및 본체 이면 적층체(3)의 한쪽의 측면 가장자리의 위쪽 일부로부터 절곡부(6)의 아래쪽의 일부까지를 시일하는 주출구 시일부(24)를 구비하고 있다.
절곡부(6)는 적층체(10)의 절곡한 단부측과, 이 단부측의 아래쪽에 설치된 주출구 시일부(2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6)는 적층체(10)의 단부와 주출구 시일부(24)에 의해 내용물의 주출구(31) 및 유출로(33)가 형성된다.
주출구(31)는 사이드 시일부(22)의 일부를 절제함으로써 개구한다. 유출로(33)는 주출구(31)에 이를 때까지 횡장으로 형성한다.
적층체(10)는, 예를 들면 통상 연포장 봉지에 사용되는 적층 필름이 이용된다. 기재(11)는 기재의 필름층이다. 기재(11)는 1층 내지는 수층을 포함하는 종이나 금속박이나 합성 수지 필름을 사용한다. 일례를 들면, 기재(11)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LDPE),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PEN)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로판,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 수지(EVA), 아이오노머 수지, 폴리부텐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PS), 폴리염화비닐계 수지(PVC),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PVDC),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 불소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의 합성 수지 필름 및 종이, 금속박 등이 단체 또는 복합으로 사용된다. 기재(11)는 필요에 따라 인쇄층이나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종이로서는 상질지, 편면 아트지, 코팅지, 캐스트 코팅지, 모조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 주출구를 안정적으로 개구시키기 위해, 주출 노즐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할 수 있지만, 적층체에 종이를 이용한 경우에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종이에 균열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1장의 적층체(10)를 절곡함으로써, 주출구를 안정적으로 개구시키고 있고, 엠보싱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 배려 면에서도 종이를 사용하는 것은 유효하다.
실란트층(12)은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실란트층(12)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중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수지나,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프로필렌?α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이 사용된다. 또한, 실란트층(12)은 이들 수지를 복합한 다층 필름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적층체(10)의 구체적인 구성예로서는, PET/인쇄층/접착제층/연신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이하 ONY라 약칭함)/접착제층/LLDPE를 포함하는 구성의 필름이나, ONY/접착제층/LLDPE, ONY/접착제층/ONY/접착제층/LLDPE, 종이/LDPE/알루미늄박/LDPE, 종이/LDPE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필 용기(1)는 절곡부(6)가 1장의 적층체(10)를 완만하게 절곡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절곡부(6)는 적층 필름이 되돌아가려고 하는 탄성의 작용이 발생한다. 즉, 절곡부(6)에는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유출로(33)의 단면은 항상 상부가 팽창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주출구(31)의 단면적을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한번에 대량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동시에 유출로(33)의 단면이 팽창한 상태가 됨으로써, 유출로(33)는 리필 조작시에 절곡되기 어려워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00)에 대하여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리필 용기(1)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양태에 따른 리필 용기(100)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a는 동 리필 용기(100)의 IV-IV 단면을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4b는 동 리필 용기(100)인 용기 본체를 벌린 상태에서 IV-IV 단면을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리필 용기(100)는 본체 표면 적층체(2)와 본체 이면 적층체(3)와 바닥 테이프(104)를 갖는다. 리필 용기(100)는 각각의 실란트층(12)끼리를 대향시키고 주위를 시일하여 이루어진다. 바닥 테이프(104)는 적층체(10)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바닥 테이프(104)는 용기의 하부에 있으며 실란트층(12)이 외측이 되도록 절곡되어 있고, 바닥 테이프(104)의 일단은 본체 표면 적층체(2)와 함께 바텀 시일부(123)를 형성하고, 다른 단은 본체 이면 적층체(3)와 함께 바텀 시일부(123)를 형성하여 용기 저면을 구성한다. 이 형상의 포장 봉지는 소위 스탠딩 파우치라 칭해진다. 이 스탠딩 파우치는 저면이 크게 펴지기 때문에 대용량의 용기를 실현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절곡부(6)는 상술한 리필 용기(1)의 절곡부(6)와 마찬가지로, 1장의 적층체(10)를 실란트층을 내측으로 하여 천장부에서 완만하게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곡부(6)는 절곡부(6)의 하부에 설치한 주출구 시일부(124)와 함께, 주출구(31)에 이르는 내용물의 유출로(33)를 횡장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리필 용기(100)는 절곡부(6)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개구부(141)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충전용 개구부(141)는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시일된다. 도 3에서는 충전용 개구부(141)를 시일하여 톱 시일부(121)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필 용기(100)에서는 절곡부(6)에 의해, 특히 내용물이 액체인 경우에, 내용물을 주출할 때 내용물이 직선상의 유출로(33)를 원활하게 흐른다. 이 때문에, 리필 용기(100)는 신속한 주출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스탠딩 파우치라 칭해지는 형상의 리필 용기(100)는 그 용기가 대용량이기 때문에, 신속한 주출이 가능한 절곡부(6)를 이용함으로써 한층 효과적인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용기의 천장부에 충전용 개구부(141)를 설치함으로써, 내용물의 충전조작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200)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리필 용기(1) 및 리필 용기(100)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동 리필 용기(300)를 이용한 일련의 리필 조작의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동 리필 용기(300)를 이용한 일련의 리필 조작의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동 리필 용기(300)를 이용한 일련의 리필 조작의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리필 용기(200)는 주출구 시일부(224)에 천공 가공부(225)를 형성함으로써, 유출로(33)가 돌출한 주출 노즐(232)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필 용기(200)는 주출 노즐(232)을 형성한 측과 반대측에, 천공 가공부(225)에 들어가는 형상의 손잡이(226)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리필 용기(2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리필 용기(200)의 높이에 상당하는 폭의 거의 2배의 폭으로 슬릿한 적층체(10)를, 실란트층(12)면을 내측으로 하여 천장부에서 완만하게 절곡하여 대향시킨다.
다음으로, 절곡부(6)를 경계로 본체 표면 적층체(2)와 본체 이면 적층체(3)로 하여 이것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연속적으로 공급이란, 복수의 리필 용기(200)가 형성되도록, 복수의 리필 용기(200)가 형성되는 크기의 1장의 적층체(10)를 절곡하여 본체 표면 적층체(2)와 본체 이면 적층체(3)를 공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체 표면 적층체(2) 및 본체 이면 적층체(3) 사이에 실란트층(12)면이 외측이 되도록 2번 접기로 한 바닥 테이프(104)를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다음으로, 적층체(10) 및 바닥 테이프(104)에 필요한 시일을 행한 후에, 리필 용기(200)의 외곽, 천공 가공부(225) 및 손잡이(226)를 펀칭하여 용기로 만든다.
또한, 리필 용기(200)는 절곡부(6)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개구부(141)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필 용기(200)에 따르면, 천공 가공부(225)를 설치함으로써, 유출로(33)는 돌출하는 주출 노즐(232)에 형성되게 된다. 이 주출 노즐(232)은, 예를 들면 반복 사용하는 용기의 입구 마개부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돌출하는 주출 노즐(232)을 형성하고, 주출 노즐(232)을 용기의 입구 마개부에 삽입함으로써, 리필 용기(200) 내의 충전물을 용기에 리필 조작할 시의 작업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천공 가공부(225)의 형상은 반복 사용하는 용기의 입구 마개부 주변의 구조에 따라 적당한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천공 가공부(25)는 본래 폐기하는 부분이지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226)를, 제조시에 인접하는 리필 용기(200)의 천공 가공부(225)에 들어가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하면, 특별히 재료의 증가도 없이 손잡이(226)를 부가할 수 있다. 손잡이(226)가 존재함으로써, 이 손잡이(226)를 가지고 리필 조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게 또한 용이하게 리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리필 용기(200)는 사이드 시일부(22)에 천공 가공부(225)나 손잡이(226)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기 때문에, 절곡부(6) 이외에 충분한 폭을 갖는 충전용 개구부(141)를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충전용 개구부(141)의 위치로서는 절곡부(6)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리필 용기(200)를 이용한 일련의 리필 조작을 도 6,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리필 용기(200)를 유지하고, 주출 노즐(32)의 선단을 잘라 주출구(31)를 벌린다. 이 주출구(31)에 비어 있는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의 노즐(52)을 삽입한다. 이 도면에서는 반복 사용하는 용기(51)는 노즐(52)을 갖는 노즐 캡(53)을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이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필 용기(200)의 주출 노즐(232)을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의 노즐 캡(53)에 확실하게 삽입한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와 리필 용기(200)의 위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주출 노즐(232)이 수직이 되도록 전체를 일으켜 세우면, 리필 용기(200) 중의 내용물이 단번에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에 주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필 용기는 절곡부(6)를 설치함으로써, 특별한 플라스틱제 입구 마개 등을 사용하지 않고 대면적의 주출구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주출구의 크기는 목적으로 하는 반복 사용하는 용기의 입구 마개의 형상에 맞춰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리필 조작이 가능한 전용 리필 용기로서 매우 가치가 높은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300)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각 리필 용기(1, 100, 200)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300)의 주출구(31)의 부분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리필 용기(300)는 주출구(31)가 되어야 할 부분의 본체 표면 적층체(2) 및 본체 이면 적층체(3)의 외측면으로서, 주출 노즐(332)에 하프컷선(334)을 설치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프컷선(334)의 부분을 손으로 찢어서 주출구(31)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주출구(31)가 되어야 할 부분은 개봉 예정 부분으로서, 도 6과 같이 주출 노즐(332)이 존재하는 경우이면, 주출 노즐(332)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들어간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출 노즐의 선단을 손으로 들어 찢기 쉽기 때문이다. 하프컷선(334)은 절단 기구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과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레이저 가공에 의한 방법 쪽이 균일하고 안정한 새김눈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하프컷선(334)은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300)의 구체적인 일례를 실시예 1로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본체 표면 적층체(2) 및 본체 이면 적층체(3)로서 이하의 구성을 포함하는 적층체(10)를 사용하였다.
<본체 표면 적층체(2) 및 본체 이면 적층체(3)에 이용하는 적층체(10)의 구성>
PET(도레이사 제조 P60, 12 μm)/인쇄층/접착제층(도요 모톤사 제조 TM272, 3g/m2(dry))/ONY(유니티카사 제조 ONMB, 15 μm)/접착제층(상동)/LLDPE(토셀로사 제조 TUX-FCS, 150 μm)
바닥 테이프(4)로서 이하의 구성을 포함하는 적층체(10)를 사용하였다.
<바닥 테이프(4)에 이용하는 적층체(10)의 구성>
ONY(유니티카사 제조 ONM, 25 μm)/LLDPE(상동, 120 μm)
상기 적층체(10)를 이용하여 리필 용기(300)로서 도 5에 나타내는 형상의 스탠딩 파우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충전용 개구부(141)로서는, 절곡부(6)의 일부를 잘라 충전용 개구부(141)로 하였다. 또한, 주출 노즐(332) 선단부의 주출구(31)가 되어야 할 부분에 레이저 가공에 의한 하프컷선(334)을 설치하여 개구 예정부로 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리필 용기(300)에 가정용 액체 세제를 충전하고, 충전용 개구부(141)를 가열 밀봉하여 리필용 세제로 하였다.
이 리필용 세제의 리필 용기의 주출 노즐(332) 선단의 개구 예정부를 손으로 절취하여 주출구(31)를 개구한 후, 도 7 내지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서 내용물의 세제를 전용의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에 다시 채워넣는 조작을 행하였다. 그 결과, 세제의 흘러내림이나 넘침도 없이 매우 신속하게 리필 조작을 완료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400)에 대하여, 도 10, 도 11, 도 12a, 도 12b, 도 13a, 도 13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각 리필 용기(1, 100, 200, 300)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11은 동 리필 용기(400)의 XI-XI 단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는 동 리필 용기(400)의 주출 노즐(432)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2b는 동 주출 노즐(432)의 주출구(31)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a는 종래 기술의 리필 용기의 주출 노즐(482)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3b는 동 주출 노즐(482)의 주출구(483)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400)는 도 10 및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11)와 실란트층(12)을 적어도 갖는 적층체(10)를 포함한다. 또한, 리필 용기(400)는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표면 적층체(2)와 본체 이면 적층체(3)를 갖고, 각각의 실란트층(12)끼리를 대향시키고 주위를 시일하여 이루어진다. 즉, 리필 용기(400)는 1장의 적층체(10)를 실란트층(12)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하여, 절곡부(6)와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2)와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3)를 형성한다. 상기 절곡부(6)는 주출구 시일부(424)와 함께, 내용물을 따라내기 위한 주출 노즐(43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주출 노즐(432)의 선단은 개봉 예정선(434)을 따라서 분리함으로써 주출구(3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리필 용기(400)는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 노즐(432)의 개봉 예정선의 길이를 A(mm)로 하고, 주출구(31)의 개구부폭을 B(mm)로 했을 때에, A-4(mm)≤B(mm)≤A-0.5(mm)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관계식은 주출구 시일부(424)의 폭이 0.5mm 이상 4mm 이하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개봉 예정선의 길이 A, 즉 주출 노즐(432)의 폭에 대하여 주출구의 개구부폭 B를 넓게 확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반복 사용하는 용기(51) 본체의 노즐 캡부에 삽입하기 쉬워지고, 리필 조작시의 내용물의 유량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필 용기(400)는 원활하면서 신속한 리필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2a에서의 A 치수 및 B 치수는 각각 주출 노즐(432)을 평평하게 가압한 상태에서 측정한 수치이다. 실제의 주출 노즐의 단면은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체(10)의 탄성에 의해 가로로 팽창한 상태가 된다.
A-4(mm)> B(mm)인 경우에는 주출 노즐(432)에서의 주출구 시일부(424)의 폭이 너무 넓어, 반복 사용하는 용기(51) 본체의 노즐 캡부에 삽입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B(mm)> A-0.5(mm)인 경우에는, 주출구 시일부(424)의 폭이 너무 좁아, 리필 용기(400)에 외측으로부터 압력이 걸렸을 경우의 내압 강도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도 13a는 종래 기술의 리필 용기의 주출 노즐(482)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13b는 주출 노즐(482)의 주출구(483)의 단면 모식도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의 주출 노즐(482)은 주출구(483)의 상하에 시일부(484)가 존재하기 때문에, 개구부폭 B에 대하여 개봉 예정선(485)의 길이 A가 넓어진다. 또한, 주출구(483)도 넓게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노즐 캡에 삽입하기 어렵다는 문제에 더하여 주출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도 10에 나타낸 리필 용기(400)에 있어서는, 본체 표면 적층체(2)와 본체 이면 적층체(3)는 사이드 시일부(22)와 바텀 시일부(23)에 있어서 시일되어 봉지 형상이 된다. 또한, 실제 용기에서는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개구부가 필요하지만 도 10 중에서는 충전용 개구부는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리필 용기(400)에 있어서는 바텀 시일부(23) 내지는 사이드 시일부(22)에 충전용 개구부를 설치할 수 있다.
주출 노즐(32)의 선단 부분의 개봉 예정선(434)은 개봉 위치를 나타내는 가상적인 선이지만, 개봉 위치를 분명히 하기 위해 실제로 인쇄 표시 등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개봉 예정선(434)은 상술한 본체 표면 적층체(2) 및/또는 본체 이면 적층체(3)의 외측면에 설치한 하프컷선(334)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프컷선(334)을 개봉 예정선(434)으로 이용함으로써, 개봉 예정선(34)의 부분을 손으로 찢어 주출구(31)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주출구(31)가 되어야 할 부분은 주출 노즐(432)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들어간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출 노즐의 선단을 손으로 들어 찢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개봉 예정선(434)에 상당하는 주출구 시일부(24)에 V자형이나 U자형의 노치나 절입선을 설치하거나, 주출구 시일부의 선단부를 광폭으로 가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노치, 절입선 및 시일부의 선단부를 광폭으로 함으로써, 주출 노즐(432)의 선단의 개봉의 용이함이 더욱 향상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500)에 대하여 도 14, 도 15a, 도 15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각 리필 용기(1, 100, 200, 300, 400)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5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a는 동 리필 용기(500)의 XV-XV 단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b는 동 리필 용기(500)가 벌어진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리필 용기(500)는 본체 표면 적층체(2)와 본체 이면 적층체(3)와 바닥 테이프(4)를 갖고, 각각의 실란트층끼리를 대향시키고 주위를 시일하여 이루어진다. 바닥 테이프(4)는 용기의 하부에 있으며 실란트층이 외측이 되도록 절곡되어 있고, 바닥 테이프(4)의 일단은 본체 표면 적층체(2)와 함께 바텀 시일부(123)를 형성하고, 다른 단은 본체 이면 적층체(3)와 함께 바텀 시일부(123)를 형성하여 용기 저면을 구성한다. 이 형식의 포장 봉지는, 소위 스탠딩 파우치라 칭해지는 것으로서, 저면이 크게 펴지기 때문에 대용량의 용기를 실현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절곡부(6)는 1장의 적층체를 실란트층을 내측으로 하여 천장부에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6)는 주출구 시일부(24) 및 천공 가공부(525)와 함께, 주출구(31)에 이르는 내용물의 유출로(33)를 형성하고 있다. 즉, 리필 용기(500)는 상술한 리필 용기(100)에 천공 가공부(525)를 설치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필 용기(500)는 주출 노즐(432)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리필 용기(500)는 특히 내용물이 액체인 경우에는, 내용물을 주출할 때 내용물이 직선상의 유출로(33)를 원활하게 흐르기 때문에 신속한 주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리필 용기(500)는 스탠딩 파우치라 칭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용기가 대용량이기 때문에 보다 한층 효과적인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600)에 대하여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각 리필 용기(1, 100, 200, 300, 400, 500)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6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리필 용기(600)는 상술한 리필 용기(300)와 마찬가지로, 주출 노즐(32)을 형성하는 주출구 시일부(224)의 천공 가공부(225)와 반대측에, 천공 가공부(25)에 들어가는 형상의 손잡이(226)를 구비한다. 또한, 리필 용기(600)는 리필 용기(300)의 주출 노즐(232)이 아닌 리필 용기(400)의 주출 노즐(432)을 갖는다. 이와 같이, 리필 용기(600)는 주출구 시일부(224)에 천공 가공부(225)를 형성함으로써, 유출로(33)는 돌출한 주출 노즐(432)로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천공 가공부(225)의 형상은 반복 사용하는 용기의 입구 마개부 주변의 구조에 따라 적당한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리필 용기(6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리필 용기(200, 300)와 마찬가지로, 용기의 높이에 상당하는 폭의 거의 2배의 폭으로 슬릿한 적층체(10)를, 실란트층(12)면을 내측으로 하여 천장부에서 절곡하여 대향시켜, 본체 표면 적층체(2)와 본체 이면 적층체(3)로 한다. 이것을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본체 표면 적층체(2) 및 본체 이면 적층체(3) 사이에 실란트층면이 외측이 되도록 2번 접기로 한 바닥 테이프(4)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필요한 시일을 행한 후에 펀칭하여 용기로 만든다.
또한, 이 리필 용기(600)에 있어서는, 절곡부(6)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개구부(141)로 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사이드 시일부(22)에 천공 가공부(25)나 손잡이(26)가 존재하기 때문에, 절곡부(6) 이외에, 충분한 폭을 갖는 충전용 개구부를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충전용 개구부(41)의 위치로서는 절곡부(6)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6,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리필 용기(200, 300)와 마찬가지로, 리필 용기(600)의 일련의 리필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필 용기(600)를 유지하고, 주출 노즐(432)의 선단을 잘라 주출구(31)를 벌린다. 이 주출구(31)에 비어 있는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의 노즐(52)을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필 용기(600)의 주출 노즐(32)을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의 노즐 캡(53)에 확실하게 삽입한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와 리필 용기(600)의 위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주출 노즐(32)이 수직이 되도록 전체를 일으켜 세우면, 리필 용기(600) 중의 내용물이 단번에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에 주입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600)는 특별한 플라스틱제 입구 마개 등을 사용하지 않고 대면적의 주출구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이 주출구의 크기는 목적으로 하는 반복 사용하는 용기의 입구 마개의 형상에 맞춰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리필 조작이 가능한 전용 리필 용기로서 매우 가치가 높은 것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600)에 대하여, 구체적인 일례로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7을 설명함과 동시에, 리필 용기(600)와 비교하는 비교예 1 내지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
본체 표면 적층체(2) 및 본체 이면 적층체(3)로서 이하의 구성을 포함하는 적층체(10)를 사용하였다.
<본체 표면 적층체(2) 및 본체 이면 적층체(3)에 이용하는 적층체(10)의 구성>
PET(도레이사 제조 P60, 12 μm)/인쇄층/접착제층(도요 모톤사 제조 TM272, 3g/m2(dry))/ONY(유니티카사 제조 ONMB, 15 μm)/접착제층(상동)/LLDPE(토셀로사 제조 TUX-FCS, 150 μm)
바닥 테이프로서 이하의 구성을 포함하는 적층체(10)를 사용하였다.
<바닥 테이프(4)에 이용하는 적층체(10)의 구성>
ONY(유니티카사 제조 ONM, 25 μm)/LLDPE(상동, 120 μm)
상기 적층체(10)를 이용하여, 도 16에 나타낸 형상의 스탠딩 파우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충전용 개구부(141)로서는, 절곡부(6)의 일부를 잘라 충전용 개구부(141)로 하였다. 또한, 주출 노즐(432) 선단부의 주출구(31)가 되어야 할 개봉 예정선(334)을 레이저 가공에 의한 하프컷선으로 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리필 용기에 가정용 액체 세제를 충전하고, 충전용 개구부를 가열 밀봉하여 리필용 세제로 하였다. 이 때, 도 12a에 나타낸 개봉 예정선의 길이 A를 18mm로 하였다. 또한 개구부폭 B를 14mm로 하였다.
(실시예 3)
개봉 예정선의 길이 A를 18mm로 하고, 개구부폭 B를 15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실시예 4)
개봉 예정선의 길이 A를 18mm로 하고, 개구부폭 B를 17.5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실시예 5)
개봉 예정선의 길이 A를 30mm로 하고, 개구부폭 B를 26mm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실시예 6)
개봉 예정선의 길이 A를 30mm로 하고, 개구부폭 B를 27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실시예 7)
개봉 예정선의 길이 A를 30mm로 하고, 개구부폭 B를 29.5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비교예 1)
개봉 예정선의 길이 A를 18mm로 하고, 개구부폭 B를 13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비교예 2)
개봉 예정선의 길이 A를 18mm로 하고, 개구부폭 B를 17.7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비교예 3)
개봉 예정선의 길이 A를 30mm로 하고, 개구부폭 B를 25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비교예 4)
개봉 예정선의 길이 A를 30mm로 하고, 개구부폭 B를 29.7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비교예 5)
주출 노즐(482)의 구조를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형상으로 하고, 개봉 예정선의 길이 A를 18mm로 하고, 개구부폭 B를 12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또한, 주출구(483)의 개구부는 주출 노즐(482)의 중앙에 배치하였다.
(비교예 6)
주출 노즐(482)의 구조를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형상으로 하고, 개봉 예정선의 길이 A를 30mm로 하고, 개구부폭 B를 24mm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상기 각 리필용 세제 용기(리필 용기(600))의 주출 노즐 선단의 개봉 예정선을 손으로 절취하여 주출구를 개구시킨다. 그 후,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서 내용물의 세제를 전용의 반복 사용하는 용기(51)(병)에 다시 채워넣는 조작을 행한다. 이때, 병으로의 삽입 용이함(삽입성)과 주출의 신속함(주출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미개봉 리필 용기의 내압성을 평가하였다. 이들 실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2부터 실시예 7까지의 각 실시예는 (← 표나 도면 중에 해칭이나 음영을 이용하고, 그에 기초하여 설명을 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변경했습니다), A, B 치수가 A-4(mm)≤B(mm)≤A-0.5(mm)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 5의 리필 조작시에 이용한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의 노즐 캡의 내경은 15mm였다. 또한,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3, 4, 6의 리필 조작시에 이용한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의 노즐 캡의 내경은 27mm였다.
Figure pct00001
이 결과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A-4(mm)≤B(mm)≤A-0.5(mm)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주출 노즐을 구비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600)는 병으로의 삽입성, 주출성, 내압성에 있어서 균형이 잡힌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A-4(mm)≤B(mm)≤A-0.5(mm)의 관계는 리필 용기(600)뿐만 아니라 리필 용기(400, 500)도 만족시키기 때문에, 주출구(431)를 갖는 리필 용기(400, 500)에 대해서도 리필 용기(600)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700)에 대하여 도 17, 도 18a, 도 18b, 도 18c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각 리필 용기(1, 100, 200, 300, 400, 500, 600)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a는 동 리필 용기의 주출구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8b는 동 주출구의 XVII-XVII 단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c는 동 주출구의 면적이 최대가 된 상태를 XVII-XVII 단면에 의해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700)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10)를 포함하고, 본체 표면 적층체(2)와 본체 이면 적층체(3)를 갖고, 각각의 실란트층끼리를 대향시키고 주위를 시일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리필 용기(700)는 1장의 적층체(10)를 실란트층(12)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하여, 절곡부(6)와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2)와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3)를 형성한다. 절곡부(6)는 주출구 시일부(24)와 함께, 내용물을 따라내기 위한 유출로(33)를 형성한다. 리필 용기(700)는 상기 유출로(33)의 선단은 개봉 예정선(734)을 따라 분리함으로써 주출구(73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리필 용기(700)에 있어서는, 본체 표면 적층체(2)와 본체 이면 적층체(3)는 사이드 시일부(22)와 바텀 시일부(23)에 있어서 시일되어 봉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실제 용기에서는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개구부가 필요하지만 도 17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된 리필 용기(700)에 있어서는 바텀 시일부(23) 내지는 사이드 시일부(22)에 충전용 개구부를 설치할 수 있다.
유출로(33)의 선단 부분의 개봉 예정선(734)은 개봉 위치를 나타내는 가상적인 선이지만, 개봉 위치를 분명히 하기 위해 실제로 인쇄 표시 등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 표면 적층체(2) 및/또는 본체 이면 적층체(3)의 외측면에 설치한 하프컷선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개봉 예정선(734)의 부분을 손으로 찢어 주출구(31)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프컷선은 절단 도구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과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레이저 가공에 의한 방법 쪽이 균일하고 안정한 새김눈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개봉 예정선(734)에 상당하는 주출구 시일부에 V자형이나 U자형의 노치나 절입선을 설치하거나, 주출구 시일부(24)의 선단부를 광폭으로 가공하는 것 등에 의해 개봉의 용이함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리필 용기(700)의 주출구(731)는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구(731)의 폭을 C(mm)로 하고, 주출구(731)의 개구부 단면적을 D(mm2)로 했을 때에, 1/10×(C2/π)(mm2)≤D(mm2)≤C2/π(mm2)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관계식은 주출구의 개구부 단면적 D(mm2)가, 개구부 단면적의 이론상의 최대치인 C2/π(mm2)의 10분의 1보다 큰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필 용기(700)에 따르면, 주출구(731)의 개구부 단면적 B를 넓게 확보하게 된다. 또한, 반복 사용하는 용기(51) 본체의 노즐 캡부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리필 조작시의 내용물의 유량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필 용기(700)는 원활하면서 신속한 리필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8a에서의 C 치수는 주출구(731)를 평평하게 가압한 상태에서 측정한 수치이다. 실제의 주출구(731)의 단면은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체(10)의 탄성에 의해 가로로 팽창한 상태가 된다. 이 때의 주출구(731)의 개구부 단면적이 D(mm2)이다. 또한, C2/π는 주출구(731)가 진원이 되었다고 가정했을 때의 주출구(731)의 개구부 단면적 D이고, 이 값이 주출구(731)의 개구부 단면적 D의 최대치가 된다.
1/10×(C2/π)(mm2)> D(mm2)인 경우에는 주출구(731)의 개구부 단면적 D가 작아서, 반복 사용하는 용기(51) 본체의 노즐 캡부에 삽입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주출시의 유량을 확보할 수 없어 신속한 리필 조작을 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800)에 대하여, 도 14, 도 15a, 도 15b, 도 18a, 도 18b, 도 18c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각 리필 용기(1, 100, 200, 300, 400, 500, 600, 700)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 양태의 리필 용기(800)는 리필 용기(500)와 마찬가지로 본체 표면 적층체(2)와 본체 이면 적층체(3)와 바닥 테이프(4)를 갖고, 각각의 실란트층끼리를 대향시키고 주위를 시일하여 이루어진다. 바닥 테이프(4)는 용기의 하부에 있으며 실란트층이 외측이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바닥 테이프(4)의 일단은 본체 표면 적층체(2)와 함께 바텀 시일부(123)를 형성하고, 다른 단은 본체 이면 적층체(3)와 함께 바텀 시일부(123)를 형성하여 용기 저면을 구성한다. 이 형식의 포장 봉지는 소위 스탠딩 파우치라 칭해지는 것으로서, 저면이 크게 펴지기 때문에 대용량의 용기를 실현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절곡부(6)는 1장의 적층체를 실란트층을 내측으로 하여 천장부에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절곡부(6)는 주출구 시일부(24) 및 천공 가공부(25)와 함께, 주출구(731)에 이르는 내용물의 유출로(33)를 돌출한 주출 노즐(832)로서 형성하고 있다. 즉, 리필 용기(800)는 상술한 리필 용기(500)에 형성된 주출 노즐(432)과는 다른, 주출구(731)를 갖는 주출 노즐(832)을 갖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주출 노즐(832)은 주출구(731)에 의해, 상술한 리필 용기(70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리필 용기(800)에 있어서는, 절곡부(6)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개구부(41)로 하고 있다. 도 14에서는 충전용 개구부(41)를 시일하여 톱 시일부(21)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용기의 천장부에 충전용의 개구부가 존재하면, 내용물의 충전 조작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900)에 대하여 도 6, 도 7, 도 8, 도 16, 도 18a, 도 18b, 도 18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각 리필 용기(1,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900)는 리필 용기(6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리필 용기(600)의 주출 노즐(432)이 아닌 상술한 주출 노즐(832)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리필 용기(900)는 주출 노즐(832)을 형성하는 주출구 시일부(24)의 천공 가공부(25)와 반대측에, 천공 가공부(25)에 들어가는 형상의 손잡이(26)가 설치된다. 주출구 시일부(24)에 천공 가공부(25)를 형성함으로써, 유출로(33)는 돌출한 주출 노즐(832)로서 형성되게 된다. 천공 가공부(25)의 형상은 반복 사용하는 용기의 입구 마개부 주변의 구조에 따라 적당한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리필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용기의 높이에 상당하는 폭의 거의 2배의 폭으로 슬릿한 적층체(10)를, 실란트층(12)면을 내측으로 하여 천장부에서 절곡하여 대향시켜, 본체 표면 적층체(2)와 본체 이면 적층체(3)로 한다. 이 적층체(10)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이 사이에 실란트층(12)면이 외측이 되도록 2번 접기로 한 바닥 테이프(4)를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다음으로, 본체 표면 적층체(2), 본체 이면 적층체(3) 및 바닥 테이프(4)의, 사이드 시일부(22), 바텀 시일부(123), 주출구 시일부(24) 등의 필요한 시일을 행한 후에 펀칭하여 용기로 만든다.
도 6 내지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900)를 이용한 일련의 리필 조작의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900)를 유지하고, 주출 노즐(832)의 선단을 잘라 주출구(731)를 벌린다. 이 주출구(731)에 비어 있는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의 노즐(52)을 삽입한다. 이 도면에서는 반복 사용하는 용기(51)는 노즐(52)을 갖는 노즐 캡(53)을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이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필 용기(900)의 주출 노즐(832)을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의 노즐 캡(53)에 확실하게 삽입한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와 리필 용기(900)의 위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주출 노즐(832)이 수직이 되도록 전체를 일으켜 세우면, 리필 용기(900) 중의 내용물이 단번에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에 주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900)는 특별한 플라스틱제의 입구 마개 등을 사용하지 않고 대면적의 주출구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이 주출구의 크기는 목적으로 하는 반복 사용하는 용기의 입구 마개의 형상에 맞춰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리필 조작이 가능한 전용 리필 용기로서 매우 가치가 높은 것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900)에 대하여, 구체적인 일례로서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5를 설명함과 동시에, 리필 용기(900)의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5와 비교하는 비교예 7 및 비교예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8)
본체 표면 적층체(2) 및 본체 이면 적층체(3)로서 이하의 구성을 포함하는 적층체(10)를 사용하였다.
<본체 표면 적층체(2) 및 본체 이면 적층체(3)에 이용하는 적층체(10)의 구성>
PET(도레이사 제조 P60, 12 μm)/인쇄층/접착제층(도요 모톤사 제조 TM272, 3g/m2(dry))/ONY(유니티카사 제조 ONMB, 15 μm)/접착제층(상동)/LLDPE(토셀로사 제조 TUX-FCS, 150 μm)
바닥 테이프로서 이하의 구성을 포함하는 적층체(10)를 사용하였다.
<바닥 테이프(4)에 이용하는 적층체(10)의 구성>
ONY(유니티카사 제조 ONM, 25 μm)/LLDPE(상동, 120 μm)
상기 적층체(10)를 이용하여, 도 16에 나타낸 형상의 스탠딩 파우치를 제작하였다. 또한, 충전용 개구부(141)로서는 절곡부(6)의 일부를 잘라 충전용 개구부(141)로 하였다. 또한, 주출 노즐(832) 선단부의 주출구(731)가 되어야 할 개봉 예정선(334)을 레이저 가공에 의한 하프컷선으로 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리필 용기에 가정용 액체 세제를 충전하고, 충전용 개구부를 가열 밀봉하여 리필용 세제로 하였다. 이 때, 도 18a에 나타낸 주출구의 폭 C를 20mm로 하였다. 또한, 개구부 단면적 D를 127mm2로 하였다.
(실시예 9)
절곡부를 형성할 때의 절곡의 강도를 조절하여, 개구부 단면적 D가 60mm2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900)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실시예 10)
동일하게 하여 개구부 단면적 D가 40mm2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실시예 11)
동일하게 하여 개구부 단면적 D가 14mm2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900)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비교예 7)
동일하게 하여 개구부 단면적 D가 10mm2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900)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실시예 12)
주출구의 폭 C를 25mm로 하고, 개구부 단면적 D를 199mm2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실시예 13)
절곡부를 형성할 때의 절곡의 강도를 조절하여, 개구부 단면적 D가 120mm2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실시예 14)
동일하게 하여 개구부 단면적 D가 80mm2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실시예 15)
동일하게 하여 개구부 단면적 D가 22mm2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비교예 8>
동일하게 하여 개구부 단면적 D가 18mm2가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하여 리필 용기를 제작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상기 각 리필용 세제 용기(리필 용기(900))의 주출 노즐 선단의 개봉 예정선을 손으로 절취하여 주출구를 개구한 후, 주출의 신속함(주출성)을 평가하였다. 이들 실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8부터 15까지의 각 실시예는 1/10×(C2/π)(mm2)≤D(mm2)≤C2/π(mm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주출의 신속함(주출성)을 평가할 때, 평가를 위한 전용의 반복 사용하는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주출구(731)를 개구한 상태인 채로 리필 용기(900)를 기울였을 때의 주출의 신속함(주출성)을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02
이 결과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1/10×(C2/π)(mm2)≤D(mm2)≤C2/π(mm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주출 노즐(832)을 구비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900)는 병으로의 삽입성도 양호하고, 주출성에 있어서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1/10×(C2/π)(mm2)≤D(mm2)≤C2/π(mm2)의 관계는 리필 용기(900)뿐만 아니라, 리필 용기(700, 800)도 만족시키기 때문에, 주출구(731)를 갖는 리필 용기(700, 800)에 대해서도 리필 용기(900)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000)에 대하여, 도 19, 도 20, 도 21, 도 2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각 리필 용기(1,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0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동 리필 용기(1000)의 XX-XX 단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동 리필 용기(1000)의 주출 노즐(1032)의 볼록 엠보싱(1035)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22는 동 리필 용기(1000)의 주출 노즐(1032)의 오목 엠보싱(1036)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000)는 기재(11)와 실란트층(12)을 적어도 갖는 적층체(10)를 포함한다. 리필 용기(1000)는 도 19,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장의 적층체(10)를 실란트층(12)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하여, 절곡부(6)와 본체 표면 적층체(2)와 본체 이면 적층체(3)를 형성하고, 둘레 가장자리를 시일하여 이루어진다.
절곡부(6)는 주출 노즐 시일부(1024a) 및 천공 가공부 시일부(1025a)와 함께, 내용물을 따라내기 위한 주출 노즐(1032)을 형성하고 있다. 주출 노즐(1032)의 선단은 주출 노즐 선단 시일부(1024b)에 의해 시일되어 있다. 주출 노즐(1032)은 개봉 예정선(1034)을 따라 분리함으로써 주출구(1031)를 형성한다. 주출 노즐(1032)을 형성하는 상기 적층체(10)에는, 외측에 볼록한 띠 모양 또는 힘줄 모양의 볼록 엠보싱(1035)이 설치되어 있다.
볼록 엠보싱(1035)은 개봉 예정선(1034)의 길이를 E로 했을 때, 개봉 예정선(1034) 상의 주출 노즐 시일부(1024a)로부터 3분의 2E의 범위에 엠보싱의 중심선(1035c)이 존재한다. 또한, 볼록 엠보싱(1035)은 개봉 예정선(1034)으로부터 상기 천공 가공부 시일부(1025a)의 연장선(1025b) 상까지는 적어도 연속하여 존재하고 있다.
절곡부(6)는 1장의 적층체(10)를 실란트층(12)을 내측으로 하여 천장부에서 절곡하여 형성한 것이다. 절곡부(6)는 절곡부(6)의 하부에 설치한 주출 노즐 시일부(1024a) 및 천공 가공부 시일부(1025a)와 함께, 주출구(1031)에 이르는 내용물의 유출로(1033)를 형성하고 있다. 절곡부(6)에서의 적층체(10)의 되돌아가려고 하는 탄성의 작용에 의해 유출로(1033)의 단면은 항상 상부가 팽창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주출구(1031)의 단면적을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리필 용기(1000)는 단번에 대량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1에 나타내는 주출 노즐(1032)의 확대도에 있어서, 볼록 엠보싱(1035)은 적층체(10)에 대하여 외측에 볼록 형상으로 설치된 엠보싱으로서, 그의 형상은 띠 모양 또는 힘줄 모양으로 한다. 띠 모양이란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사다리꼴, 반원형, 가마보코형 등인 것을 가리키며, 힘줄 모양이란 단면 형상이 삼각형이 되는 듯한 선상의 엠보싱을 가리킨다. 볼록 엠보싱(1035)은 직선 형상이 아니더라도 연속적이면 좋다.
볼록 엠보싱(1035)의 위치로서는 개봉 예정선(1034)의 길이를 E로 한 경우, 개봉 예정선 상의 주출 노즐 시일부(1024a)로부터 3분의 2E의 범위에 엠보싱의 중심선(1035c)이 존재하는 것과 같은 위치가 바람직한 것이 실험적으로 밝혀져 있다. 이 범위 내에 볼록 엠보싱(1035)을 설치함으로써, 주출구(1031)의 개구가 안정적으로 넓어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볼록 엠보싱(1035)의 길이에 대해서는, 개봉 예정선(1034)으로부터 천공 가공부 시일부(1025a)의 연장선(1025b) 상까지는 적어도 연속하여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가공부 시일부(1025a)의 연장선(1025b)을 대폭 초과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볼록 엠보싱(1035)의 각도에 대해서는, 볼록 엠보싱(1035)의 중심선(1035c)과 절곡부(6)의 능선(7)이 이루는 각도 θ가 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각도 θ가 이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주출구(1031)의 개구를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도 19에 나타낸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본체 표면 적층체(2)와 본체 이면 적층체(3)는 사이드 시일부(22)와 바텀 시일부(23)에 있어서 시일되어 봉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실제 용기에서는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개구부가 필요하지만 도 19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된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바텀 시일부(23) 내지는 사이드 시일부(22)에 충전용 개구부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절곡부(6)의 일부를 절개하여 충전용 개구부로 할 수도 있다.
도 19에 나타낸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절곡부(6)가 리필 용기(1000)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리필 용기(1000)의 측면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리필 용기(1000)는 개봉 예정선(1034)에 상당하는 주출 노즐 시일부(1024a) 및 주출 노즐 선단 시일부(1024b)에 V자형이나 U자형의 노치나 절입선을 설치하거나, 주출 노즐 시일부(1024a) 및 주출 노즐 선단 시일부(1024b)의 선단부를 광폭으로 가공하여 개봉 손잡이(8)를 설치하거나 함으로써, 개봉의 용이함이 향상된다.
또한, 개봉 예정선(1034)은 개봉 위치를 나타내는 가상적인 선이지만, 개봉 위치를 분명히 하기 위해 실제로 인쇄 표시 등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개봉 예정선(1034)은 본체 표면 적층체(2) 및 본체 이면 적층체(3)의 외측면에 연속하여 설치한 하프컷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개봉 예정선(1034)의 부분을 손으로 찢어 주출구(1031)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프컷선은 절단 도구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과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레이저 가공에 의한 방법 쪽이 균일하고 안정한 새김눈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레이저의 종류로서는 탄산 가스 레이저가 보다 바람직하다. 개봉 예정선(1034)은 절곡부의 능선(7)에 대하여 수직일 필요는 없고, 경사질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000)에 사용하는 적층체(10)로서는, 상술한 리필 용기(1,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와 동일한 통상 연포장 봉지에 사용되는 적층체(1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리필 용기(900)의 주출 노즐(1032)에는 오목 엠보싱(1036)이 설치되어 있다.
도 2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000)의 주출 노즐의 확대도이고, 오목 엠보싱(1036)의 설명도이다. 볼록 엠보싱(1035)과 주출 노즐 시일부(1024a) 사이에, 외측에 오목한 띠 모양 또는 힘줄 모양의 오목 엠보싱(1036)을, 특정 각도를 갖고 특정 위치에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는, 주출구(1031) 및 유출로(1033)의 단면적을 더욱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출 노즐(32)이 절곡되거나 반복 사용하는 용기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어, 리필 조작을 용이하면서 신속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안정한 것이 된다. 오목 엠보싱(1036)의 주요한 기능은 주출구(1031)의 주출 노즐 시일부(1024a) 부근이 펴지기 어려운 것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지만, 주출구(1031)의 절곡을 방지하는 효과를 높이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오목 엠보싱(1036)은 개봉 예정선(1034) 상의 주출 노즐 시일부(1024a)로부터 3mm 이내의 범위에 오목 엠보싱의 중심선(1036c)이 존재한다. 또한, 오목 엠보싱(1036)은 개봉 예정선(1034)으로부터 천공 가공부 시일부(1025a)의 연장선(1025b) 상까지는 적어도 연속하여 존재하고 있다. 또한, 오목 엠보싱(1036)은 오목 엠보싱 중심선(1036c)의 각도는 주출 노즐 시일부에 평행한 각도로부터 절곡부(6)의 능선(7)에 수직인 각도까지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에서는 이 각도의 범위를 δ로 표시하고 있다.
오목 엠보싱(1036)의 형상에 대해서는 볼록 엠보싱(1035)과 마찬가지이고, 그의 형상은 띠 모양 또는 힘줄 모양으로 한다. 띠 모양이란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사다리꼴, 반원형, 가마보코형 등인 것을 가리키며, 힘줄 모양이란 단면 형상이 삼각형이 되는 듯한 선상의 엠보싱을 가리킨다. 오목 엠보싱(1036)도 볼록 엠보싱(1035)과 마찬가지로, 연속적이면 직선이 아닌 곡선일 수도 있고, 주출 노즐 시일부(1024a)를 따른 곡선일 수도 있다.
또한, 볼록 엠보싱(1035) 및 오목 엠보싱(1036)은 띠 모양 또는 힘줄 모양이 아닐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000)에 이용되는 볼록 엠보싱(1035) 및 오목 엠보싱(1036)의 변형예인, 볼록 엠보싱(1035A) 및 오목 엠보싱(1036A)을 설명한다.
도 2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000)의 주출 노즐(1032)의 변형예인 주출 노즐(1032A)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로서, 볼록 엠보싱(1035A)과 오목 엠보싱(1036A)의 구성을 나타낸다. 주출 노즐(1032A)은 볼록 엠보싱(1035A), 오목 엠보싱(1036A) 모두 각각 1개의 힘줄 모양의 엠보싱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000)에 있어서는, 이러한 간단한 엠보싱 형상이더라도 충분히 그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리필 용기(1000)를 구성하는 적층체(10)로서 종이를 사용한 경우에는, 종이의 균열을 막는 의미에서도 이러한 힘줄 모양의 엠보싱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주출 노즐(1032, 1032A)의 일례에 대하여 도 24a, 도 24b, 도 24c, 도 24d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4a는 리필 용기(1000)의 주출 노즐(1032)의 일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b는 리필 용기(1000)의 주출 노즐(1032)의 일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c는 리필 용기(1000)의 주출 노즐(1032A)의 일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d는 리필 용기(1000A)의 주출 노즐(1032A)의 일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a에 나타낸 주출 노즐(1032)의 예에 있어서는, 주출 노즐(1032)에,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띠 모양의 볼록 엠보싱(1035)과, 동일하게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띠 모양의 오목 엠보싱(1036)이 설치되어 있다.
도 24b에 나타낸 주출 노즐(1032)의 예에 있어서는,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띠 모양의 볼록 엠보싱(1035)만이 실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출 노즐(1032)은 주출구(1031)의 단면적을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면, 오목 엠보싱(1036)을 갖지 않는 구성일 수도 있다.
도 24c에 나타낸 주출 노즐(1032A)의 예에 있어서는, 단면 형상이 삼각형상인 힘줄 모양의 볼록 엠보싱(1035A)과, 동일하게 단면 형상이 삼각형상인 힘줄 모양의 오목 엠보싱(1036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4d에 나타낸 주출 노즐(1032A)의 예에 있어서는,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띠 모양의 볼록 엠보싱(1035A)만이 실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출 노즐(1032A)은 주출구(1031)의 단면적을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면, 오목 엠보싱(1036A)을 갖지 않는 구성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100)에 대하여 도 25, 도 26a, 도 26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각 리필 용기(1,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6a는 동 리필 용기(1100)의 XXVI-XXVI 단면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b는 동 리필 용기(1100)의 XXVI-XXVI 단면의 구성으로서, 리필 용기(1100)를 벌린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 도 26a, 도 2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100)는 기재(11)와 실란트층(12)을 적어도 갖는 1장의 적층체(10)를, 실란트층(12)을 외측으로 하여 절곡하여 바닥 테이프(4)로 하고, 본체 표면 적층체(2)와 본체 이면 적층체(3) 사이에 삽입하여 둘레 가장자리를 시일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리필 용기(1100)는 스탠딩 파우치 형상으로 한 것이다.
또한, 리필 용기(1100)는 상술한 리필 용기(1000)와 마찬가지로 절곡부(6)를 갖는다. 또한, 절곡부(6)는 주출 노즐 시일부(1024a) 및 천공 가공부 시일부(1025a)와 함께, 내용물을 따라내기 위한 주출 노즐(1032)을 형성한다.
리필 용기(1100)는, 이러한 형상의 경우, 내용물을 충전하는 충전용 개구부를 사이드 시일부에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절곡부(6)의 일부를 절개하여 충전용 개구부(1141)로 하고 있다. 도 25에 나타낸 실시 양태에서는 충전용 개구부(1141)는 시일되어 톱 시일부(1121)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리필 용기(1100)의 천장부에 충전용 개구부(1141)가 존재하면, 내용물의 충전 조작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딩 파우치 형상의 리필 용기(1100)는 바닥 테이프(4)가 펴지기 때문에, 대용량의 용기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100)에서의 주출 시간이 짧게 끝난다는 특징을 충분히 살릴 수 있다.
절곡부(6)는 1장의 적층체(10)를 실란트층(12)을 내측으로 하여 천장부에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6)는 주출 노즐 시일부(1024a) 및 천공 가공부 시일부(1025a)와 함께, 주출구(1031)에 이르는 내용물의 유출로(1033)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특히 내용물이 액체인 경우에는, 내용물을 주출할 때 내용물이 직선상의 유출로(1033)를 원활하게 흐르기 때문에 신속한 주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리필 용기(1100)는 용기가 대용량이기 때문에 보다 한층 효과적인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200)에 대하여 도 2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각 리필 용기(1,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리필 용기(1200)는 주출 노즐(1032)을 형성하는 주출 노즐 시일부(1024a)의 천공 가공부(1225)와 반대측에, 천공 가공부(1225)에 들어가는 형상의 손잡이(1226)를 설치하는 구성이다. 주출 노즐 시일부(1024a)에 천공 가공부(1225)를 형성함으로써, 유출로(1033)는 돌출한 주출 노즐(1032)로서 형성되게 된다. 천공 가공부(1225)의 형상은,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의 입구 마개부 주변의 구조에 따라 적당한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7에 나타낸 리필 용기(12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리필 용기(1200)의 높이에 상당하는 폭의 거의 2배의 폭으로 슬릿한 적층체(10)를, 실란트층(12)면을 내측으로 하여 천장부에서 절곡하여 대향시켜, 본체 표면 적층체(2)와 본체 이면 적층체(3)로 한다. 다음으로, 이것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이 사이에 실란트층(12)면이 외측이 되도록 2번 접기로 한 바닥 테이프(4)를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이 공급 후, 필요한 시일을 행한 후에 펀칭하여 리필 용기(1200)로 만든다.
천공 가공부(1225)는 본래 폐기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1226)를 옆의 리필 용기(1200)의 천공 가공부(1225)에 들어가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하면, 특별히 재료의 증가도 없이 손잡이(1226)를 부가할 수 있다. 손잡이(1226)가 존재함으로써, 이 손잡이(1226)를 가지고 리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리필 용기(1200)를 이용하여 보다 안전하게 또한 용이하게 리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리필 용기(1200)는 절곡부(6)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개구부(1241)로 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사이드 시일부(22)에 천공 가공부(1225)나 손잡이(1226)가 존재하기 때문에, 절곡부(6) 이외에, 충분한 폭을 갖는 충전용 개구부(1241)를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충전용 개구부(1241)의 위치로서는 절곡부(6)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200)를 이용한 일련의 리필 조작의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200)를 유지하고, 주출 노즐(1032)의 선단을 잘라 주출구(1031)를 벌린다. 이 주출구(1031)에 비어 있는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의 노즐(52)을 삽입한다. 이 도면에서는 반복 사용하는 용기(51)는 노즐(52)을 갖는 노즐 캡(53)을 구비한 플라스틱 용기이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필 용기(1200)의 주출 노즐(1032)을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의 노즐 캡(53)에 확실하게 삽입한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와 리필 용기(1200)의 위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주출 노즐(1032)이 수직이 되도록 전체를 일으켜 세우면, 리필 용기(1200) 중의 내용물이 단번에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에 주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200)는 특별한 플라스틱제 입구 마개 등을 사용하지 않고 대면적의 주출구(1031)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주출구(1031)의 크기는 목적으로 하는 반복 사용하는 용기(51)의 입구 마개의 형상에 맞춰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리필 조작이 가능한 전용 리필 용기로서 매우 가치가 높은 것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필 용기(1200)에 대하여, 구체적인 일례로서 실시예 16, 실시예 17을 설명함과 동시에, 리필 용기(1200)의 실시예 16 내지 실시예 17와 비교하는 비교예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6)
본체 표면 적층체(2) 및 본체 이면 적층체(3)로서 이하의 구성을 포함하는 적층체(10)를 사용하였다.
<본체 표면 적층체(2) 및 본체 이면 적층체(3)에 이용하는 적층체(10)의 구성>
PET(도레이사 제조 P60, 12 μm)/인쇄층/접착제층(도요 모톤사 제조 TM272, 3g/m2(dry))/ONY(유니티카사 제조 ONMB, 15 μm)/접착제층(상동)/LLDPE(토셀로사 제조 TUX-FCS, 150 μm)
바닥 테이프로서 이하의 구성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사용하였다.
<바닥 테이프(4)에 이용하는 적층체(10)의 구성>
ONY(유니티카사 제조 ONM, 25 μm)/LLDPE(상동, 120 μm)
상기 적층체(10)를 이용하여, 도 27에 나타낸 형상의 스탠딩 파우치를 제작하였다. 파우치 크기는 폭 150mm, 높이 272mm로 하였다. 주출 노즐(1032)의 엠보싱은 볼록 엠보싱(1035)만으로 하고, 오목 엠보싱(1036)은 실시하지 않았다. 볼록 엠보싱(1035)은, 단면 형상을 사다리꼴로, 높이 1mm, 길이 40mm, 각도 θ를 50°로 하였다.
충전용 개구부(1141)로서는, 절곡부(6)의 일부를 잘라 충전용 개구부(1141)로 하였다. 또한, 주출 노즐(1032) 선단부의 주출구(1031)가 되어야 할 개봉 예정선(1034)을 레이저 가공에 의한 하프컷선으로 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리필 용기(1200)에 액체 세제를 900g 충전하고, 충전용 개구부(1141)를 가열 밀봉하여 평가용 시험체로 하였다.
(실시예 17)
주출 노즐(1032)에 볼록 엠보싱(1035)에 더하여 오목 엠보싱(1036)도 실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 용기를 제조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오목 엠보싱(1036)은, 단면 형상을 사다리꼴로, 높이 1mm, 길이 30mm, 각도 δ를 35°로 하였다.
<비교예 9>
주출 노즐에 엠보싱을 실시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 용기를 제조하고, 동일한 내용물을 충전하였다.
상기 각 평가용 시험체인 리필 용기(1200)의 주출 노즐(1032) 선단을 개봉 예정선(1034)을 따라 손으로 절취하고, 내용물의 주출에 요하는 시간을 평가하였다. 이들 실험 결과를 표 3 및 도 28에 나타낸다. 또한, 표 3에서의 주출 시간은 내용량의 95%의 주출에 요한 시간이다.
Figure pct00003
표 3 및 도 28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출 노즐(1032)에 볼록 엠보싱(1035)을 설치함으로써 주출 시간은 단축된다. 추가로 주출 노즐(1032)에 오목 엠보싱(1036)을 설치한 경우에는 더욱 단축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출 노즐(1032)은 리필 용기(1200)뿐만 아니라, 리필 용기(1000, 1100)도 갖기 때문에, 리필 용기(1000, 1100)에 대해서도 리필 용기(1200)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리필 용기는 기재와 실란트층을 적어도 갖는 적층체를 포함하는 리필 용기로서, 본체 표면 적층체와 본체 이면 적층체를 갖고, 각각의 실란트층끼리를 대향시키고 주위를 시일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플라스틱병이나, 플라스틱제 입구 마개를 사용한 용기 등과 달리 연포장용 적층체만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리필 용기는 1장의 적층체를 실란트층을 내측으로 하여 천장부에서 완만하게 절곡하여, 절곡부와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와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를 형성한다. 상기 절곡부는 절곡부의 하부에 설치한 주출구 시일부와 함께, 주출구에 이르는 내용물의 유출로를 횡장으로 형성하고, 내용물을 따라내기 위한 주출 노즐(유출로)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대면적의 직선상의 유출로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원활하면서 신속한 리필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출구의 형성도 용이하면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상기 주출 노즐의 선단은 개봉 예정선을 따라 분리함으로써 주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봉 예정선의 길이를 A(mm)로 하고, 주출구의 개구부폭을 B(mm)로 했을 때에, A-4(mm)≤B(mm)≤A-0.5(mm)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개봉 예정선의 길이에 대하여 개구부폭이 넓게 확보되어, 반복 사용하는 용기 본체의 노즐 캡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주출시의 유량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리필 조작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추가로 상기 유출로의 선단은 개봉 예정선을 따라 분리함으로써 주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주출구의 폭을 A(mm)로 하고, 주출구의 개구부 단면적을 B(mm2)로 했을 때에, 1/10×(A2/π)(mm2)≤B(mm2)≤A2/π(mm2)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개구부 단면적이 넓게 확보되어, 반복 사용하는 용기 본체의 노즐 캡에 삽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주출시의 유량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리필 조작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필 용기는 외측에 볼록한 띠 모양 또는 힘줄 모양의 볼록 엠보싱을, 주출 노즐을 형성하는 적층체의 특정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주출구 및 유출로의 단면적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출 노즐이 절곡되거나 반복 사용하는 용기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리필 조작을 용이하면서 신속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절곡부의 능선과 상기 볼록 엠보싱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0° 이상 60° 이하인 경우에는 이 특징이 더욱 충분히 발휘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볼록 엠보싱과 상기 주출 노즐 시일부 사이에, 외측에 오목한 띠 모양 또는 힘줄 모양의 오목 엠보싱을, 특정 각도를 갖고 특정 위치에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는, 주출구 및 유출로의 단면적을 더욱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시에, 주출 노즐이 절곡되거나 반복 사용하는 용기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리필 조작을 용이하면서 신속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다는 리필 용기의 효과가 더욱 안정한 것이 된다.
또한, 리필 용기는 본체 표면 적층체와 본체 이면 적층체와 바닥 테이프를 갖고, 각각의 실란트층끼리를 대향시키고 주위를 시일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바닥 테이프는, 기재와 실란트층을 적어도 갖는 1장의 적층체를, 실란트층을 외측으로 하여 용기의 하부에서 절곡한다. 바닥 테이프는 본체 표면 적층체와 본체 이면 적층체 사이에 삽입하여 둘레 가장자리를 시일함으로써, 바닥 테이프의 일단은 본체 표면 적층체와, 타단은 본체 이면 적층체와 각각 바텀 시일부를 형성하여 용기 저면을 구성한 소위 스탠딩 파우치로 한다. 이와 같이, 리필 용기는 스탠딩 파우치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자립성을 갖는 대용량의 리필 용기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본 리필 용기의 효과를 충분히 살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주출구 시일부에 천공 가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유출로를 돌출한 주출 노즐로서 형성한 경우에는, 주출 노즐을 반복 사용하는 용기의 입구 마개 내부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조작이 가능한 용기에 대하여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주출구 시일부에 천공 가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유출로를 돌출한 주출 노즐로서 형성한 경우에는, 반복 사용하는 용기 본체의 노즐 캡에 맞는 주출 노즐 형상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리필 조작을 보다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주출 노즐을 형성하는 주출구 시일부의 천공 가공부와 반대측에, 상기 천공 가공부에 들어가는 형상의 손잡이를 설치한 경우에는, 이 손잡이를 가지고 리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다 안전하게 또한 용이하게 리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는 천공 가공부에 들어가는 형상이기 때문에, 연속한 적층체로부터 펀칭하여 제조하는 경우에 적층체의 낭비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주출구가 되어야 할 부분의 본체 표면 적층체 및 본체 이면 적층체의 외측면에 하프컷선을 설치한 경우에는, 손으로 찢어 용이하게 주출구를 개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개봉 예정선이 본체 표면 적층체 및/또는 본체 이면 적층체의 외측면에 설치한 하프컷선인 경우에는, 손으로 찢어 용이하게 주출구를 개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개봉 예정선 상에 레이저 등에 의한 하프컷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개봉 예정선을 따른 정확한 개봉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절곡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용물 충전용 개구부로 한 경우에는, 다른 시일 부분을 충전용 개구부로 할 수 없는 것과 같은 형상의 용기이더라도 안정한 충전 조작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리필 용기는 노즐 캡을 갖는 반복 사용하는 용기의 노즐을 상기 주출 노즐에 삽입 가능하게 한 경우, 수평으로 유지한 주출 노즐에 상기 반복 사용하는 용기의 노즐을 삽입한 후에, 주출 노즐이 수직이 되도록 용기를 기울인다. 이에 따라, 신속한 리필을 가능하게 한 리필 용기가 되어, 본 발명의 효과가 최대한으로 발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필 용기는 1장의 적층체를 완만하게 절곡한 절곡부의 존재에 의해, 주출구가 자연스럽게 벌어지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용기의 노즐을 삽입하기 쉽다. 또한, 노즐에 맞춰 주출구의 치수를 설계함으로써, 노즐에 딱 맞는 주출구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평으로 유지한 주출 노즐에 반복 사용하는 용기의 노즐을 삽입한 후에, 주출 노즐이 수직이 되도록 기울임으로써, 신속한 리필 조작이 가능해진다.
1,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리필 용기
2: 본체 표면 적층체
3: 본체 이면 적층체
4, 104: 바닥 테이프
10: 적층체
11: 기재
12: 실란트층
21, 121, 1121: 톱 시일부
22, 832: 사이드 시일부
23, 123: 바텀 시일부
24, 124, 224, 424: 주출구 시일부
25, 225, 525, 1225: 천공 가공부
26, 226, 1226: 손잡이
31, 431, 731, 1031: 주출구
32, 232, 332, 432, 1032, 1032A: 주출 노즐
33, 1033: 유출로
34, 334, 434, 734, 1034: 개봉 예정선
41, 141, 1141, 1241: 충전용 개구부
51: 반복 사용하는 용기
52: 노즐
53: 노즐 캡
104: 바닥 테이프
1024a: 주출 노즐 시일부
1024b: 주출 노즐 선단 시일부
1025a: 천공 가공부 시일부
1025b: 연장선
1035, 1035A: 볼록 엠보싱
1036, 1036A: 오목 엠보싱

Claims (24)

  1. 기재와 실란트층을 적어도 갖는 적층체를 포함하는 리필 용기이며,
    1장의 상기 적층체를 상기 실란트층을 내측으로 하여 천장부에서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한 상기 적층체에 의해 형성된 본체 표면 적층체와,
    상기 절곡한 상기 적층체에 의해 형성된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를 갖고,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 및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는 이들 실란트층끼리를 대향시키고 주위를 시일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절곡부는, 그의 하부에 주출구(注出口) 시일부가 설치되고, 상기 주출구 시일부와 함께, 주출구에 이르는 내용물의 유출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로 형성되고, 상기 실란트층을 외측으로 하여 절곡하여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와 본체 이면 적층체 사이에 삽입되는 바닥 테이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 및 상기 바닥 테이프의 둘레 가장자리를 시일함으로써, 상기 바닥 테이프의 일단이 상기 본체 표면 필름과, 상기 바닥 테이프의 타단이 상기 본체 이면 필름과 각각 바텀 시일부를 형성하여 저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 시일부에 설치된 천공 가공부를 더 갖고,
    상기 천공 가공부는 돌출한 주출 노즐로서 상기 유출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 노즐을 형성한 측과 반대측에 설치된, 상기 천공 가공부에 들어가는 형상의 손잡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가 되어야 할 부분의 본체 표면 적층체 및 본체 이면 적층체의 외측면에 하프컷선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그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된, 내용물의 충전용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7. 기재와 실란트층을 적어도 갖는 적층체를 포함하는 리필 용기이며,
    1장의 상기 적층체를 상기 실란트층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한 상기 적층체에 의해 형성된 본체 표면 적층체와,
    상기 절곡한 상기 적층체에 의해 형성된 본체 이면 적층체를 갖고,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 및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는 이들 실란트층끼리를 대향시키고 주위를 시일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부는, 그의 하부에 주출구 시일부가 설치되고, 상기 주출구 시일부와 함께, 내용물을 따라내기 위한 주출 노즐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주출 노즐의 선단은, 그의 선단에 개봉 예정선을 갖고, 이 개봉 예정선을 따라 분리함으로써 주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봉 예정선 길이를 A(mm)로 하고, 상기 주출구의 개구부 폭을 B(mm)로 했을 때에,
    A-4(mm)≤B(mm)≤A-0.5(mm)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로 형성되고, 상기 실란트층을 외측으로 하여 절곡하여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와 본체 이면 적층체 사이에 삽입되는 바닥 테이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 및 상기 바닥 테이프의 둘레 가장자리를 시일함으로써, 상기 바닥 테이프의 일단이 상기 본체 표면 필름과, 상기 바닥 테이프의 타단이 상기 본체 이면 필름과 각각 바텀 시일부를 형성하여 저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 시일부에 설치된 천공 가공부와,
    상기 주출 노즐을 형성하는 주출구 시일부의 상기 천공 가공부와 반대측에 설치된, 상기 천공 가공부에 들어가는 형상의 손잡이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예정선은 본체 표면 적층체 및/또는 본체 이면 적층체의 외측면에 설치한 하프컷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그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된, 내용물의 충전용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12. 기재와 실란트층을 적어도 갖는 적층체를 포함하는 리필 용기이며,
    1장의 상기 적층체를 상기 실란트층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한 상기 적층체에 의해 형성된 본체 표면 적층체와,
    상기 절곡한 상기 적층체에 의해 형성된 본체 이면 적층체를 갖고,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 및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는 이들 실란트층끼리를 대향시키고 주위를 시일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부는, 그의 하부에 주출구 시일부가 설치되고, 상기 주출구 시일부와 함께, 내용물을 따라내기 위한 주출 노즐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주출 노즐의 선단은, 그의 선단에 개봉 예정선을 갖고, 이 개봉 예정선을 따라 분리함으로써 주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주출구의 폭을 C(mm)로 하고, 주출구의 개구부 단면적을 D(mm2)로 했을 때에,
    1/10×(C2/π)(mm2)≤D(mm2)≤C2/π(mm2)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로 형성되고, 상기 실란트층을 외측으로 하여 절곡하여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와 본체 이면 적층체 사이에 삽입되는 바닥 테이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 및 상기 바닥 테이프의 둘레 가장자리를 시일함으로써, 상기 바닥 테이프의 일단이 상기 본체 표면 필름과, 상기 바닥 테이프의 타단이 상기 본체 이면 필름과 각각 바텀 시일부를 형성하여 저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 시일부에 설치된 천공 가공부를 더 갖고,
    상기 천공 가공부는 돌출한 주출 노즐로서 상기 유출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 노즐을 형성하는 주출구 시일부의 천공 가공부와 반대측에 설치된, 상기 천공 가공부에 들어가는 형상의 손잡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예정선은 본체 표면 적층체 및/또는 본체 이면 적층체의 외측면에 설치한 하프컷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그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된, 내용물의 충전용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18. 기재와 실란트층을 적어도 갖는 적층체를 포함하는 리필 용기이며,
    1장의 상기 적층체를 상기 실란트층을 내측으로 하여 절곡하여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한 상기 적층체에 의해 형성된 본체 표면 적층체와,
    상기 절곡한 상기 적층체에 의해 형성된 본체 이면 적층체를 갖고,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 및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는 이들 실란트층끼리를 대향시키고 주위를 시일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부는, 그의 하부에 주출구 시일부가 설치되고, 상기 주출구 시일부와 함께, 내용물을 따라내기 위한 주출 노즐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주출 노즐의 선단은, 주출 노즐 선단 시일부에 의해 시일되어 있고, 개봉 예정선을 따라 분리함으로써 주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주출 노즐을 형성하는 상기 적층체는, 외측에 볼록한 띠 모양 또는 힘줄 모양의 볼록 엠보싱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볼록 엠보싱은 상기 개봉 예정선의 길이를 E로 했을 때, 상기 개봉 예정선 상의 상기 주출 노즐 시일부로부터 E의 3분의 2의 범위에 그의 중심이 존재하고, 상기 개봉 예정선으로부터 상기 천공 가공부 시일부의 연장선 상까지는 적어도 연속하여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로 형성되고, 상기 실란트층을 외측으로 하여 절곡하여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와 본체 이면 적층체 사이에 삽입되는 바닥 테이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 표면 적층체, 상기 본체 이면 적층체 및 상기 바닥 테이프의 둘레 가장자리를 시일함으로써, 그의 형상을 스탠딩 파우치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능선과 상기 볼록 엠보싱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는 0° 이상 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외측에, 상기 볼록 엠보싱과 상기 주출 노즐 시일부 사이에 설치된, 오목한 띠 모양 또는 힘줄 모양의 오목 엠보싱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오목 엠보싱은 상기 개봉 예정선 상의 상기 주출 노즐 시일부로부터 3 mm 이내의 범위에 그의 중심이 존재하고, 상기 개봉 예정선으로부터 상기 천공 가공부 시일부의 연장선 상까지는 적어도 연속하여 존재하고 있고, 그의 각도는 상기 주출 노즐 시일부에 평행한 각도로부터, 상기 절곡부의 능선에 수직인 각도까지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예정선 상에 하프컷선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23. 제1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 노즐을 형성하는 상기 주출구 시일부의 천공 가공부와 반대측에 설치된, 상기 천공 가공부에 들어가는 형상의 손잡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24. 제18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그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된, 내용물의 충전용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
KR1020117030119A 2009-06-19 2010-06-18 리필 용기 KR101700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46137 2009-06-19
JPJP-P-2009-146137 2009-06-19
PCT/JP2010/060373 WO2010147212A1 (ja) 2009-06-19 2010-06-18 詰替え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930A true KR20120028930A (ko) 2012-03-23
KR101700988B1 KR101700988B1 (ko) 2017-01-31

Family

ID=43356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119A KR101700988B1 (ko) 2009-06-19 2010-06-18 리필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2) JP5702056B2 (ko)
KR (1) KR101700988B1 (ko)
CN (1) CN102459017A (ko)
SG (1) SG176917A1 (ko)
TW (1) TWI523799B (ko)
WO (1) WO2010147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7808B2 (ja) * 2011-05-27 2016-07-27 凸版印刷株式会社 詰替え容器
MY177322A (en) * 2012-10-03 2020-09-11 Toppan Printing Co Ltd Refillable container
US20200407120A1 (en) * 2018-10-04 2020-12-31 Kao Corporation Container
GB2589816B (en) * 2019-06-13 2022-04-20 Peter Hadley Stuart Packaging for household liquids
AU2022422273A1 (en) * 2021-12-21 2024-05-23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Flexible packaging for a liqui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packaging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0940A (ja) 1990-08-31 1992-04-13 Konica Corp 自動繰出し装着型写真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
JPH05132069A (ja) 1991-05-16 1993-05-28 Cellpack Ag 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36053A (ja) 1998-02-20 1999-08-31 Kanebo Ltd 詰め替え用袋
JP2004099082A (ja) 2002-09-06 2004-04-02 Toyo Seikan Kaisha Ltd 手放し詰め替え容器
JP2004168333A (ja) * 2002-11-18 2004-06-17 Toppan Printing Co Ltd ノズル付き液体収納容器
JP2007507399A (ja) * 2003-10-02 2007-03-29 エコ、レーン、リサーチ、アンド、デベロップメント、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容器用ブランク及び容器用ブランクから作られる容器
JP2008018991A (ja) 2006-07-14 2008-01-31 Toppan Printing Co Ltd 軟質包装袋の注出口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8232A (en) * 1990-02-12 1990-12-18 Colgate-Palmolive Co. Flexible pouch with folded spout
JP2004018991A (ja) * 2002-06-20 2004-01-22 Jfe Steel Kk 電気めっきにおける金属イオンの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0940A (ja) 1990-08-31 1992-04-13 Konica Corp 自動繰出し装着型写真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
JPH05132069A (ja) 1991-05-16 1993-05-28 Cellpack Ag 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36053A (ja) 1998-02-20 1999-08-31 Kanebo Ltd 詰め替え用袋
JP2004099082A (ja) 2002-09-06 2004-04-02 Toyo Seikan Kaisha Ltd 手放し詰め替え容器
JP2004168333A (ja) * 2002-11-18 2004-06-17 Toppan Printing Co Ltd ノズル付き液体収納容器
JP2007507399A (ja) * 2003-10-02 2007-03-29 エコ、レーン、リサーチ、アンド、デベロップメント、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容器用ブランク及び容器用ブランクから作られる容器
JP2008018991A (ja) 2006-07-14 2008-01-31 Toppan Printing Co Ltd 軟質包装袋の注出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20735A (ja) 2011-02-03
SG176917A1 (en) 2012-01-30
TWI523799B (zh) 2016-03-01
WO2010147212A1 (ja) 2010-12-23
JP5702056B2 (ja) 2015-04-15
JPWO2010147212A1 (ja) 2012-12-06
TW201103826A (en) 2011-02-01
JP5673529B2 (ja) 2015-02-18
CN102459017A (zh) 2012-05-16
KR101700988B1 (ko) 201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6027B2 (ja) 詰替え容器
KR20120028930A (ko) 리필 용기
JP5699458B2 (ja) 詰替え容器
JP5633201B2 (ja) 詰替え容器
JP5573245B2 (ja) 詰替え容器
JP5516121B2 (ja) 詰替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27861B2 (ja) 詰替え容器
JP6586798B2 (ja) 収納容器
JP5573186B2 (ja) 詰替え容器
JP5663877B2 (ja) 詰替え容器
JP5375291B2 (ja) 二つ折りの包装容器
JP2012180112A (ja) 詰替え容器
JP5573165B2 (ja) 詰替え容器
JP6127577B2 (ja) 詰替え容器
JP5573137B2 (ja) 詰替え容器
JP2020158169A (ja) パウチ
JP6596993B2 (ja) 収納容器
JP2014005001A (ja) 詰替え容器
JP2011037462A (ja) 詰替え容器
JP2011020739A (ja) 詰替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