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550A - 시분해 형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시분해 형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550A
KR20120028550A KR1020100090468A KR20100090468A KR20120028550A KR 20120028550 A KR20120028550 A KR 20120028550A KR 1020100090468 A KR1020100090468 A KR 1020100090468A KR 20100090468 A KR20100090468 A KR 20100090468A KR 20120028550 A KR20120028550 A KR 20120028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fluidic chip
light
fluorescent
detector
bio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178B1 (ko
Inventor
이진근
김희준
김성준
Original Assignee
테라웨이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라웨이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라웨이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0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17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1Production of immunochemical test materials
    • G01N33/532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 G01N33/533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with fluorescent lab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01L2200/027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for microfluidic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58Elements containing microarrays, i.e. "bioch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Abstract

시분해 형광 모듈이 제공된다. 이 모듈은 생체시료의 검출을 위해, 생체시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형광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를 갖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칩, 미세유체 칩에 광을 제공하여 형광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로부터 형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광원,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생하는 형광을 감지하는 검출기, 및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이 검출기로 직접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광 차단부를 포함한다. 미세유체 칩은 일 방향으로 이동 운동을 하고, 미세유체 칩의 이동 운동과 광 차단부에 의해 광원 및 검출기가 교차적으로 온/오프 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분해 형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Time Resolved Fluorescence Module and Immunoassay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분해 형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자동 시분해 형광(auto Time Resolved Fluorescence : auto TRF) 모듈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질병 진단에 사용되는 검사 방법은 주로 효소 반응에 의한 발색, 형광 등에 기반을 두고 있으나, 최근 항원과 항체 사이의 면역 반응을 이용한 면역검사(Immunoassay)를 이용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면역검사 방법은 주로 항체에 방사성 동위 원소나 형광 물질 등으로 표지를 해서 항원의 유무를 판별하고, 방사선이나 형광 등의세기에 의해 정량화할 수 있는 표지식 바이오센서(biosensor)이다.
기존의 면역분석법은 항원이나 항체에 방사선 물질, 발광 물질 또는 형광 물질을 표지하여 얻어지는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과, 효소의 촉매 반응에 광 표지를 결합한 엘리사(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 ELISA),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 등과 같은 광학적 측정 방법이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이러한 방법들은 주로 실험실 위주의 숙련된 연구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복잡한 절차가 필요하고, 분석을 위한 장치가 고가의 대형 장치이며, 분석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면역 센서의 목적 물질인 항체 등은 전혈(whole blood), 혈청(serum), 소변(urine) 등과 같은 생체시료에서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면역 센서는 여타 물질을 검출하는 바이오센서 기술보다 센서의 검출 한도 면에서 훨씬 뛰어난 고감도의 신호화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항체나 단백항원 등과 단백질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 의해 쉽게 구조가 변화되기 때문에, 항원이나 항체의 인식 부위가 변질하여 고유의 생체 인식 기능을 잃어버리기 쉽다. 고체 형태에서 분석을 해야하는 면역 센서의 여건상 이러한 생체물질들의 활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생체 물질에 적합한 센서 표면의 제작, 검출 한계를 높일 수 있는 생체물질의 고정화 기술, 그리고 생체 인식반응을 정량화된 신호로 전환하는 측정 방법의 확보가 필요하다.
면역분석용 신속 진단 검사 키트(rapid diagnostic test kit for immunoassay, 이하 '신속 진단 검사 키트'라 한다.)는 혈액, 소변, 타액 등과 같은 생체시료를 이용하여 진단검사가 가능한 현장검사(point-of-care)를 위한 검사 도구이다. 이러한 신속 진단 검사 키트의 예로서 임신 진단 키트, 에이즈 진단 키트 등이 있다.
이러한 진단 장치는 진단을 위해 소정의 생체물질(단백질 또는 DNA 등)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해야 한다. 종래의 생체물질의 검출 방법으로 유기 염료 등을 이용하는 형광 표지 방법이 알려져 왔다. 형광 표지는 종류에 따라 다양한 색을 발광하여 목적 생체물질에 대한 검출 수단을 제공한다.
한편, 복수의 생체물질들을 동시에 검출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형광 표지들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복수의 색상들이 동시에 발광하는 경우, 포토블리칭(photobleach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형광 표지는 광학적으로 협소한 여기(excitation)와 방출(emission) 밴드 폭(band width)을 갖는 단점이 있고, 생체물질과 결합하는 경우, 생체물질의 활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는 등의 많은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의 감염 여부 및 감염 정도를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시분해 형광 모듈에서 광원 및 검출기에 대한 조정없이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 시분해 형광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의 감염 여부 및 감염 정도를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자동 시분해 형광 모듈을 이용한 면역분석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분해 형광 모듈을 제공한다. 이 모듈은 생체시료의 검출을 위해, 생체시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형광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를 갖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칩, 미세유체 칩에 광을 제공하여 형광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로부터 형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광원,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생하는 형광을 감지하는 검출기, 및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이 검출기로 직접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광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은 일 방향으로 이동 운동을 하고, 미세유체 칩의 이동 운동과 광 차단부에 의해 광원 및 검출기가 교차적으로 온/오프 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광 차단부는 광원과 미세유체 칩 사이에 배치되어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핀홀들을 갖는 제 1 광 차단판 및 미세유체 칩과 검출기 사이에 배치되어 형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핀홀들을 갖는 제 2 광 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광 차단판은 미세유체 칩의 감지부와 일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제 2 광 차단판은 미세유체 칩의 감지부와 일 방향으로 제 1 광 차단판과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및 제 2 광 차단판들의 핀홀들은 일 방향으로 1~50 μm 범위를 갖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및 제 2 광 차단판들의 폭은 1~50 mm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광 차단판들의 핀홀들은 15~150 μm 범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광 차단판들은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100 μm 정도 떨어져 있을 수 있다.
광원은 광을 상기 미세유체 칩에 대해 경사지게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광 차단부는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미세유체 칩의 일측에 배치되고, 그리고 검출기는 광원에 대해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생하는 형광을 감지할 수 있다. 광 차단부는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100 μm 정도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미세유체 칩의 감지부는 두 종류 이상의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가질 수 있다.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는 기상 응축법, 고주파 플라즈마 화학적 합성법, 화학 침전법, 수열 합성법, 전기적 분산 반응법, 연소 합성법, 졸-겔 합성법, 열화학 합성법, 마이크로플루다이저 공정, 마이크로에멀션 기술 및 고에너지 기계적 밀링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생체물질은 DNA 또는 RNA를 포함하는 핵산, 아미노산, 지방, 당단백질 및 항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생체시료가 항원인 경우, 생체물질은 항체일 수 있다.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미세유세 칩으로 광을 집속하기 위해 광원와 미세유체 칩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출기는 실리콘 검출기, 시시디 감광 소자 또는 시모스 감광 소자일 수 있다.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생하는 형광을 집속 또는 발산하기 위해 미세유체 칩과 검출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출기는 실리콘 검출기이고, 제 2 렌즈는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생하는 형광을 집속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의 이동 운동은 일 방향으로의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것이고, 속도는 0.5~2 m/s 범위를 가질 수 있다.
검출기는 시시디 감광 소자 또는 시모스 감광 소자이고, 제 2 렌즈는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생하는 형광을 발산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의 이동 운동은 일 방향으로의 왕복 진동 운동이고, 왕복 진동 운동은 50~200 μm 범위의 진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면역분석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를 갖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칩에 생체시료를 주입하여 감지부에서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에 생체시료를 특이적으로 결합시켜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을 형성하는 단계, 미세유체 칩에 광을 제공하여 형광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로부터 형광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생하는 형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이 일 방향으로 이동 운동을 하고, 광은 미세유체 칩의 이동 운동에 의해 미세유체 칩의 감지부에 주기적으로 제공되고, 그리고 형광은 미세유체 칩의 이동 운동에 의해 주기적으로 검출되어 광이 직접적으로 검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의 이동 운동은 일 방향으로의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것이고, 속도는 0.5~2 m/s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미세유체 칩의 이동 운동은 일 방향으로의 왕복 진동 운동이고, 왕복 진동 운동은 50~200 μm 범위의 진폭을 가질 수 있다.
미세유체 칩의 감지부는 두 종류 이상의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가질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생체물질은 DNA 또는 RNA를 포함하는 핵산, 아미노산, 지방, 당단백질 및 항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생체시료가 항원인 경우, 생체물질은 항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미세유체 칩의 이동 운동 및 광 차단부가 이용됨으로써,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을 검출하기 위한 광원 및 검출기에 대한 조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복잡한 회로적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은 시분해 형광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미세유체 칩의 이동 운동 및 광 차단부를 이용함으로써.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을 검출하기 위한 광원 및 검출기에 대한 조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을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복잡한 분석 조건을 생략할 수 있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분해 형광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분해 형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 요소들의 크기 및/또는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구성 요소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구성 요소들의 모양은 장치의 구성 요소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분해 형광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그리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시분해 형광 모듈(100)은 미세유체 칩(microfluidic chip, 130), 광원(110), 검출기(140) 및 광 차단부(120a, 120b)를 포함한다.
미세유체 칩(130)은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을 검출하기 위한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갖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과 특이적으로 결합되어 형광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30)은 일 방향으로 이동 운동(양쪽 화살표)을 할 수 있다.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생체물질은 DNA 또는 RNA를 포함하는 핵산(nucleic acid), 아미노산(amino acid), 지방(fat), 당단백질(glycoprotein) 및 항체(antibody)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는 기상 응축법(gas phase condensation method), 고주파 플라즈마 화학적 합성법(high frequency plasma chemical synthesis method), 화학 침전법(conventional chemical precipitation), 수열 합성법(hydrothermal synthesis method), 전기적 분산 반응법(electric dispersion re-action method), 연소 합성법(combustive synthesis method), 졸-겔 합성법(sol-gel synthesis method), 열화학 합성법(thermochemical synthesis method), 마이크로플루다이저 공정(microfludizer process), 마이크로에멀션 기술(microemulson technology) 및 고에너지 기계적 밀링(high energy mechanical milling)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이 항원(antigen)일 경우,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생체물질은 항체일 수 있다.
미세유체 칩(130)의 감지부는 두 종류 이상의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세유체 칩(130)은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을 동시에 검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30)은 유체 형태의 생체시료, 즉, 혈액 등과 같은 생체시료의 이동, 정지, 속도 변화, 시험 용액 등과 같은 다른 유체와의 혼합, 분리 및 교체 등과 같은 다양한 동작들이 가능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30)은 유체의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인 유체 채널(channel)의 폭, 깊이, 길이 등, 재료로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의 종류, 검출에 사용되는 유체의 종류, 접촉 각도 등을 고려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미세유체 칩(130)은 유체의 능률적인 수송을 위한 펌프(pump) 및 밸브(valve)의 종류와 방식, 그리고 설치되어 있는 위치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구현될 수 있다.
진단하고자 하는 감염 환자로부터 채취한 생체시료는 전처리 과정 없이 미세유체 칩(130)에 주입되고, 생체시료와 반응용액 혼합물은 유체 채널을 이동하면서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과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물리적 결합(conjugation)이 형성된다.
광원(110)은 미세유체 칩(130)으로 지속적으로 광을 제공할 수 있다. 광원(110)에 의해 제공된 광은 미세유체 칩(130)의 형광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의 형광 입자를 여기시켜 형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광원(110)은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0)과 미세유체 칩(13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렌즈(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렌즈(115)는 미세유체 칩(130)으로 광을 집속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미세유체 칩(130)이 두 종류 이상의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가질 경우, 두 종류 이상의 형광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의 형광 입자들의 여기에 의해 서로 다른 형광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에 대한 형광이 발생할 수 있다.
검출기(140)는, 앞서 설명되어진 것과 같이, 미세유체 칩(130)의 형광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의 형광 입자의 여기에 의해 발생하는 형광을 계속해서 감지할 수 있다. 검출기(140)는 실리콘(silicon) 검출기, 시시디(CCD) 감광 소자 또는 시모스(CMOS) 감광 소자일 수 있다.
검출기(140)와 미세유체 칩(130)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렌즈(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렌즈(115)는 미세유체 칩(130)으로부터 발생하는 형광을 집속 또는 발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광 차단부(120a, 120b)는 광원(110)과 미세유체 칩(130) 사이에 배치되어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핀홀(pinhole)들을 갖는 제 1 광 차단판(120a) 및 미세유체 칩(130)과 검출기(140) 사이에 배치되어 형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핀홀들을 갖는 제 2 광 차단판(12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광 차단판들(120a, 120b)은 복수의 핀홀들에 의해 그 단면이 빗살(the teeth of a comb)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광 차단판들(120a, 120b)은 1~50 mm 범위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는 검출기(140)로 사용되는, 실리콘 검출기는 약 1 mm 정도의 검출 영역을 갖고, 시시디 감광 소자 또는 시모스 감광 소자는 약 10~50 mm 범위의 검출 영역을 갖기 때문이다.
제 1 광 차단판(120a)의 복수의 핀홀들은 미세유체 칩(130)의 감지부와 일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그리고 제 2 광 차단판(120b)의 복수의 핀홀들은 미세유체 칩(130)의 감지부와 일 방향으로 제 1 광 차단판(120a)의 복수의 핀홀들과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및 제 2 광 차단판들(120a, 120b)의 핀홀들은 일 방향으로 약 1~50 μm 범위로 서로 이격(c)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11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이 광 차단부(120a, 120b)에 의해 검출기(140)로 직접 들어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광 차단판들(120a, 120b)은 미세유체 칩(130)으로부터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약 100 μm 내외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d, e). 이는 미세유체 칩(130)의 이동 운동에 의해 미세유체 칩(130)과 광 차단부(120a, 120b)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없애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광 차단판들(120a, 120b)의 핀홀들은 약 15~150 μm 범위의 직경(a, b)을 가질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광 차단판들(120a, 120b)는 일 방향으로 약 10~1,000 개 범위의 핀홀들을 가질 수 있다.
검출기(140)로 실리콘 검출기가 사용될 경우, 미세유체 칩(130)의 이동 운동은 일 방향으로의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것(G)일 수 있다. 이는 실리콘 검출기는 점 검출기(point detector)이기 때문이다. 미세유체 칩(130)의 이동 운동의 속도는 약 0.5~2 m/s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 2 렌즈(135)는 미세유체 칩(130)으로부터 발생하는 형광을 집속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검출기(140)로 시시디 감광 소자 또는 시모스 감광 소자가 사용될 경우, 미세유체 칩(130)의 이동 운동은 일 방향으로의 왕복 진동 운동(G)일 수 있다. 이는 시시디 감광 소자 및 시모스 감광 소자는 영역 검출기(area detector)이기 때문이다. 미세유체 칩(130)의 왕복 진동 운동(G)은 약 10 kHz 정도의 진동수 및 약 50~200 μm 범위의 진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 2 렌즈(135)는 미세유체 칩(130)으로부터 발생하는 형광을 발산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30)의 이동 운동과 광 차단부(120a, 120b)에 의해 광원(110) 및 검출기(140)가 교차적으로 온/오프(on/off) 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즉, 미세유체 칩(130)의 이동 운동과 광 차단부(120a, 120b)에 의해 시분해 형광법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분해 형광 모듈(100)은 투과형 자동 시분해 형광 모듈일 수 있다.
미세유체 칩(130)이 두 종류 이상의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가질 경우, 두 종류 이상의 형광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 각각의 형광 입자들의 여기에 의해 서로 다른 형광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형광들 각각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갖기 때문에, 검출기(140)에서 각각 따로 검출될 수 있다.
검출기(140)는 형광의 파장을 해석하여 각각의 형광의 파장들에 대응하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들의 종류 및 감염성 질환들의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에 대한 정성적 및 정량적 분석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또한,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을 동시에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의 감염 여부 및 감염 정도를 동시에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분해 형광 모듈(100)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분해 형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시분해 형광 모듈을 통해 설명한 구성 요소들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시분해 형광 모듈(200)은 미세유체 칩(230), 광원(210), 검출기(240) 및 광 차단부(220)를 포함한다.
미세유체 칩(230)은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을 검출하기 위한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갖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과 특이적으로 결합되어 형광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230)은 일 방향으로 이동 운동(양쪽 화살표)을 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230)의 감지부는 두 종류 이상의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세유체 칩(230)은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을 동시에 검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광원(210)은 미세유체 칩(130)으로 지속적으로 광을 제공할 수 있다. 광원(210)에 의해 제공된 광은 미세유체 칩(230)의 형광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의 형광 입자를 여기시켜 형광을 발생시킬 수 있다.
광원(210)과 미세유체 칩(23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렌즈(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렌즈(215)는 미세유체 칩(230)으로 광을 집속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미세유체 칩(230)이 두 종류 이상의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가질 경우, 두 종류 이상의 형광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의 형광 입자들의 여기에 의해 서로 다른 형광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에 대한 형광이 발생할 수 있다.
검출기(240)는, 앞서 설명되어진 것과 같이, 미세유체 칩(230)의 형광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의 형광 입자의 여기에 의해 발생하는 형광을 계속해서 감지할 수 있다. 검출기(240)는 실리콘 검출기, 시시디 감광 소자 또는 시모스 감광 소자일 수 있다.
검출기(240)와 미세유체 칩(230)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렌즈(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렌즈(215)는 미세유체 칩(230)으로부터 발생하는 형광을 집속 또는 발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광 차단부(220)는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미세유체 칩(2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210)은 광을 미세유체 칩(230)에 대해 경사지게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그리고 검출기(240)는 광원(210)에 대해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21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이 광 차단부(220)에 의해 검출기(240)로 직접 들어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광 차단부(220)는 미세유체 칩(230)으로부터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약 100 μm 내외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도 2의 d 참조). 이는 미세유체 칩(230)의 이동 운동에 의해 미세유체 칩(230)과 광 차단부(220)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없애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검출기(240)로 실리콘 검출기가 사용될 경우, 미세유체 칩(230)의 이동 운동은 일 방향으로의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것(도 2의 G 참조)일 수 있다. 이는 실리콘 검출기는 점 검출기이기 때문이다. 미세유체 칩(230)의 이동 운동의 속도는 약 0.5~2 m/s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 2 렌즈(235)는 미세유체 칩(230)으로부터 발생하는 형광을 집속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검출기(240)로 시시디 감광 소자 또는 시모스 감광 소자가 사용될 경우, 미세유체 칩(230)의 이동 운동은 일 방향으로의 왕복 진동 운동(도 2의 G 참조)일 수 있다. 이는 시시디 감광 소자 및 시모스 감광 소자는 영역 검출기이기 때문이다. 미세유체 칩(230)의 왕복 진동 운동은 약 10 kHz 정도의 진동수 및 약 50~200 μm 범위의 진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 2 렌즈(235)는 미세유체 칩(230)으로부터 발생하는 형광을 발산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230)의 이동 운동과 광 차단부(220)에 의해 광원(210) 및 검출기(240)가 교차적으로 온/오프 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즉, 미세유체 칩(230)의 이동 운동과 광 차단부(220)에 의해 시분해 형광법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분해 형광 모듈(100)은 반사형 자동 시분해 형광 모듈일 수 있다.
미세유체 칩(230)이 두 종류 이상의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가질 경우, 두 종류 이상의 형광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 각각의 형광 입자들의 여기에 의해 서로 다른 형광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형광들 각각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갖기 때문에, 검출기(240)에서 각각 따로 검출될 수 있다.
검출기(240)는 형광의 파장을 해석하여 각각의 형광의 파장들에 대응하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들의 종류 및 감염성 질환들의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에 대한 정성적 및 정량적 분석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또한,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을 동시에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의 감염 여부 및 감염 정도를 동시에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분해 형광 모듈(20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분해 형광 모듈은 미세유체 칩의 이동 운동 및 광 차단부를 이용함으로써,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을 검출하기 위한 광원 및 검출기에 대한 조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분해 형광 모듈은 복잡한 회로적 구성을 갖지 않고도 감염성 질환에 대한 검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분해 형광 모듈은 미세유체 칩의 이동 운동 및 광 차단부를 이용함으로써,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의 감염 여부 및 감염 정도를 동시에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분해 형광 모듈은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을 동시에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 시분해 형광 모듈
110, 210 : 광원
115, 215 : 제 1 렌즈
120a, 120b, 220 : 광 차단부
130, 230 : 미세유체 칩
135, 235 : 제 2 렌즈
140, 240 : 검출기

Claims (26)

  1. 생체시료의 검출을 위해, 상기 생체시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형광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를 갖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칩;
    상기 미세유체 칩에 광을 제공하여 상기 형광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로부터 형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광원;
    상기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형광을 감지하는 검출기;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광이 상기 검출기로 직접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광 차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미세유체 칩은 일 방향으로 이동 운동을 하고, 상기 미세유체 칩의 상기 이동 운동과 상기 광 차단부에 의해 상기 광원 및 상기 검출기가 교차적으로 온/오프 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부는:
    상기 광원과 상기 미세유체 칩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핀홀들을 갖는 제 1 광 차단판; 및
    상기 미세유체 칩과 상기 검출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형광을 통과시키기 위한 복수의 핀홀들을 갖는 제 2 광 차단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광 차단판은 상기 미세유체 칩의 상기 감지부와 상기 일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 2 광 차단판은 상기 미세유체 칩의 상기 감지부와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 1 광 차단판과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 차단판들의 상기 핀홀들은 상기 일 방향으로 1~50 μm 범위를 갖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 차단판들의 폭은 1~50 mm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 차단판들의 상기 핀홀들은 15~150 μm 범위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 차단판들은 상기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100 μm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광을 상기 미세유체 칩에 대해 경사지게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광 차단부는 상기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미세유체 칩의 일측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검출기는 상기 광원에 대해 상기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형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부는 상기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100 μm 정도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 칩의 상기 감지부는 두 종류 이상의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는 기상 응축법, 고주파 플라즈마 화학적 합성법, 화학 침전법, 수열 합성법, 전기적 분산 반응법, 연소 합성법, 졸-겔 합성법, 열화학 합성법, 마이크로플루다이저 공정, 마이크로에멀션 기술 및 고에너지 기계적 밀링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생체물질은 DNA 또는 RNA를 포함하는 핵산, 아미노산, 지방, 당단백질 및 항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상기 생체시료가 항원인 경우, 상기 생체물질은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세 칩으로 상기 광을 집속하기 위해 상기 광원와 상기 미세유체 칩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실리콘 검출기, 시시디 감광 소자 또는 시모스 감광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시분해 형광 모듈.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형광을 집속 또는 발산하기 위해 상기 미세유체 칩과 상기 검출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실리콘 검출기이고,
    상기 제 2 렌즈는 상기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형광을 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 칩의 상기 이동 운동은 상기 일 방향으로의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것이고,
    상기 속도는 0.5~2 m/s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시시디 감광 소자 또는 시모스 감광 소자이고,
    상기 제 2 렌즈는 상기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형광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 칩의 상기 이동 운동은 상기 일 방향으로의 왕복 진동 운동이고,
    상기 왕복 진동 운동은 50~200 μm 범위의 진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해 형광 모듈.
  21. 적어도 하나의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를 갖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칩에 생체시료를 주입하여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에 상기 생체시료를 특이적으로 결합시켜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미세유체 칩에 광을 제공하여 상기 형광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로부터 형광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형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세유체 칩이 일 방향으로 이동 운동을 하고,
    상기 광은 상기 미세유체 칩의 상기 이동 운동에 의해 상기 미세유체 칩의 상기 감지부에 주기적으로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형광은 상기 미세유체 칩의 상기 이동 운동에 의해 주기적으로 검출되어,
    상기 광이 직접적으로 검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 칩의 상기 이동 운동은 상기 일 방향으로의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것이고,
    상기 속도는 0.5~2 m/s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 칩의 상기 이동 운동은 상기 일 방향으로의 왕복 진동 운동이고,
    상기 왕복 진동 운동은 50~200 μm 범위의 진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 칩의 상기 감지부는 두 종류 이상의 형광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생체물질은 DNA 또는 RNA를 포함하는 핵산, 아미노산, 지방, 당단백질 및 항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상기 생체시료가 항원인 경우, 상기 생체물질은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
KR1020100090468A 2010-09-15 2010-09-15 시분해 형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 KR101218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468A KR101218178B1 (ko) 2010-09-15 2010-09-15 시분해 형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468A KR101218178B1 (ko) 2010-09-15 2010-09-15 시분해 형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550A true KR20120028550A (ko) 2012-03-23
KR101218178B1 KR101218178B1 (ko) 2013-01-04

Family

ID=4613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468A KR101218178B1 (ko) 2010-09-15 2010-09-15 시분해 형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1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5845A (zh) * 2012-06-12 2012-10-17 上海沪晶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同步检测游离kappa轻链和游离lambda轻链浓度的新型检测方法及试剂盒
KR20210117600A (ko) * 2020-03-19 2021-09-29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회사 시분해 형광분석을 이용한 노로바이러스 측방 유동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095B1 (ko) 2022-10-01 2023-03-24 엘아이에스 주식회사 진단 스트립의 형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스트립 삽입형 시간분해능을 가진 형광(trf) 리더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9157A (en) * 1996-07-16 1997-12-16 Caliper Technologies Corp. Fourier detection of species migrating in a microchannel
JPH11230901A (ja) * 1998-02-09 1999-08-27 Shimadzu Corp 光反射計測装置
KR200263137Y1 (ko) * 2001-11-08 2002-02-02 세호로보트산업 주식회사 바이오칩 자동분석기
JP2005274355A (ja) * 2004-03-25 2005-10-06 Fuji Photo Film Co Ltd 蛍光画像取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5845A (zh) * 2012-06-12 2012-10-17 上海沪晶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同步检测游离kappa轻链和游离lambda轻链浓度的新型检测方法及试剂盒
KR20210117600A (ko) * 2020-03-19 2021-09-29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회사 시분해 형광분석을 이용한 노로바이러스 측방 유동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178B1 (ko)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8742B2 (ja) アッセイシステム
CN111413138B (zh) 基于双重图像的生物成像装置和技术
US9274056B2 (en) Use of non-chelated fluorochromes in rapid test systems
CN104081210A (zh) 具有气动式样本致动的光学测定装置
CA2829178C (en) Rapid quantification of biomolecules in a selectively functionalized nanofluidic biosensor and method thereof
CN104081207A (zh) 用于光学和电化学测定的检验装置
EP3394597B1 (en) Optical detection of a substance in fluid
CN101151531A (zh) 采用内部校正系统的诊断性试验试剂盒
CN102165305A (zh) 检测系统与方法
AU2009335612A1 (en) Methods for multiplex analyt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JP2011038922A (ja) 光検出用チップおよび該光検出用チップを用いた光検出装置
EP3087370B1 (en) Detection apparatus for detecting particles on a surface
US201203160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And Analysis Of A Molecule In A Sample
CN1768267A (zh) 多通道测试装置、其生产方法及其用途
JP2013511713A (ja) 向上した蛍光検出及び方法
JP2007101221A (ja) 超高速で生体分子反応を測定する方法
KR101184322B1 (ko)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
KR101218178B1 (ko) 시분해 형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
WO2011154918A2 (en) Diagnostic apparatus for immunoassay and diagnostic method for immunoassay using the same
KR20140137487A (ko) 검체 내 분석물을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US20210356460A1 (en) Method for Analyzing Immunoglobulins and Other Analytes in an Immunoassay
KR102347135B1 (ko) 시분해 형광분석을 이용한 노로바이러스 측방 유동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KR101254617B1 (ko) 면역분석 진단 장치
KR102273587B1 (ko) 이동식 슬릿을 이용한 면역 분석 진단 장치
US10928305B2 (en) Modulation of luminescent dy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