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322B1 -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322B1
KR101184322B1 KR20100035885A KR20100035885A KR101184322B1 KR 101184322 B1 KR101184322 B1 KR 101184322B1 KR 20100035885 A KR20100035885 A KR 20100035885A KR 20100035885 A KR20100035885 A KR 20100035885A KR 101184322 B1 KR101184322 B1 KR 101184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aterial
fluorescent
microfluidic chip
fluorescent nanopartic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35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6461A (ko
Inventor
이진근
김성준
Original Assignee
테라웨이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라웨이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라웨이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35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32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6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32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Abstract

면역분석 진단 장치가 제공된다. 이 진단 장치는 생체시료를 검출하기 위해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갖는 미세유체 칩, 미세유체 칩에 평면 균일 광을 제공하여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 사이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에 의한 형광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광원부,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산되는 형광 에너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형광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는 측정부, 측정부에 의해 전환된 전기적 신호를 영상으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광원부, 센서부, 측정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태양광 저전력 회로를 이용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는 생체시료와 특이적으로 결합되어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Diagnostic Apparatus for Immunoassay and Immunoassay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휴대용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질병 진단에 사용되는 검사 방법은 주로 효소 반응에 의한 발색, 형광 등에 기반을 두고 있으나, 최근 항원과 항체 사이의 면역 반응을 이용한 면역검사(Immunoassay)를 이용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면역검사 방법은 주로 항체에 방사성 동위 원소나 형광 물질 등으로 표지를 해서 항원의 유무를 판별하고, 방사선이나 형광 등의 세기에 의해 정량화할 수 있는 표지식 바이오센서(biosensor)이다.
기존의 면역분석법은 항원이나 항체에 방사선 물질, 발광 물질 또는 형광 물질을 표지하여 얻어지는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과, 효소의 촉매 반응에 광 표지를 결합한 엘리사(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 ELISA),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 등과 같은 광학적 측정 방법이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이러한 방법들은 주로 실험실 위주의 숙련된 연구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복잡한 절차가 필요하고, 분석을 위한 장치가 고가의 대형 장치이며, 분석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면역 센서의 목적 물질인 항체 등은 전혈(whole blood), 혈청(serum), 소변(urine) 등과 같은 생체시료에서 매우 낮은 농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면역 센서는 여타 물질을 검출하는 바이오센서 기술보다 센서의 검출 한도 면에서 훨씬 뛰어난 고감도의 신호화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항체나 단백항원 등과 단백질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 의해 쉽게 구조가 변화되기 때문에, 항원이나 항체의 인식 부위가 변질하여 고유의 생체 인식 기능을 잃어버리기 쉽다. 고체 형태에서 분석을 해야하는 면역 센서의 여건상 이러한 생체물질들의 활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생체 물질에 적합한 센서 표면의 제작, 검출 한계를 높일 수 있는 생체물질의 고정화 기술, 그리고 생체 인식반응을 정량화된 신호로 전환하는 측정 방법의 확보가 필요하다.
면역분석용 신속 진단 검사 키트(rapid diagnostic test kit for immunoassay, 이하 '신속 진단 검사 키트'라 한다.)는 혈액, 소변, 타액 등과 같은 생체시료를 이용하여 진단검사가 가능한 현장검사(point-of-care)를 위한 검사 도구이다. 이러한 신속 진단 검사 키트의 예로서 임신 진단 키트, 에이즈 진단 키트 등이 있다.
이러한 진단 장치는 진단을 위해 소정의 생체물질(단백질 또는 DNA 등)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해야 한다. 종래의 생체물질의 검출 방법으로 유기 염료 등을 이용하는 형광 표지 방법이 알려져 왔다. 형광 표지는 종류에 따라 다양한 색을 발광하여 목적 생체물질에 대한 검출 수단을 제공한다.
한편, 복수의 생체물질들을 동시에 검출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복수의 형광 표지들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복수의 색상들이 동시에 발광하는 경우, 포토블리칭(photobleach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형광 표지는 광학적으로 협소한 여기(excitation)와 방출(emission) 밴드 폭(band width)을 갖는 단점이 있고, 생체물질과 결합하는 경우, 생체물질의 활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는 등의 많은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표지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물리적으로 보다 안정하고 기능적인 표지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동시에 복수의 생체물질들을 검출하는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요구에 따라 최근 반도체 퀀텀 닷(semiconductor Quantum Dot : QD) 나노 입자들을 이용한 표지 방법이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퀀텀 닷 나노 입자들은 형광 표지 물질에 비해 물리적으로는 안정적이지만, 표지하고자 하는 생체물질과의 결합성이 낮고, 그리고 퀀텀 닷 나노 금속 입자의 표면 가공에 있어서의 제약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퀀텀 닷 나노 입자들은 광학 분석법을 위한 표지원으로만 사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생체물질과 성공적인 결합이 가능하고, 그리고 생체물질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나노 입자를 이용한 새로운 표지 방법이 요구된다.
기존의 신속 진단 검사 키트에 사용되는 화학 발색은 시료 내 분석 대상물의 양에 따라 발색량이 정해지고, 일정 수준 이상의 농도에 대해서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화학 발색 반응으로 확인 가능한 분석 대상물의 농도의 한계는 10-6~10-9mol 정도의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의 감염 여부 및 감염 정도를 영상을 통해 동시에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 각각의 감염 여부 및 감염 정도를 영상을 통해 동시에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면역분석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이 진단 장치는 생체시료를 검출하기 위해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갖는 미세유체 칩, 미세유체 칩에 평면 광을 제공하여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 사이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에 의한 형광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광원부,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산되는 형광 에너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형광 에너지를 전류 피크로 전환하는 측정부, 측정부에 의해 전환된 전류 피크를 영상으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광원부, 센서부, 측정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태양광 저전력 회로를 이용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는 생체시료와 특이적으로 결합되어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은 두 종류 이상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가질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는 기상 응축법, 고주파 플라즈마 화학적 합성법, 화학 침전법, 수열 합성법, 전기적 분산 반응법, 연소 합성법, 졸-겔 합성법, 열화학 합성법, 마이크로플루다이저 공정, 마이크로에멀션 기술 및 고에너지 기계적 밀링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형광 나노 입자는 금속 나노 입자, 퀀텀 닷, 유기 나노 입자 및 란탄족 형광 나노 입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 나노 입자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니켈, 코발트, 철, 아연 및 망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생체물질은 DNA 또는 RNA를 포함하는 핵산, 아미노산, 지방, 당단백질 및 항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생체시료가 항원인 경우, 생체물질은 항체일 수 있다.
광원부는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및 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는 다파장 평면 균일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미세유세 칩에 단일파장 평면 균일 광을 제공하기 위해 광원부와 미세유체 칩 사이에 배치되는 광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는 미세유체 칩에 평면 균일 광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센서부에서 감지된 2차원 형태의 형광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측정부는 센서부에서 감지된 2차원 형태의 형광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축적할 수 있다.
측정부는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여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들의 종류 및 감염성 질환의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면역분석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갖는 미세유체 칩에 생체시료를 주입하여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에 생체시료를 특이적으로 결합시켜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을 형성하는 단계, 미세유체 칩에 평면 균일 광을 제공하여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 사이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에 의한 형광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단계,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산되는 형광 에너지를 포집하는 단계, 포집된 형광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는 단계 및 전기적 신호를 영상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은 두 종류 이상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가질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는 기상 응축법, 고주파 플라즈마 화학적 합성법, 화학 침전법, 수열 합성법, 전기적 분산 반응법, 연소 합성법, 졸-겔 합성법, 열화학 합성법, 마이크로플루다이저 공정, 마이크로에멀션 기술 및 고에너지 기계적 밀링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형광 나노 입자는 금속 나노 입자, 퀀텀 닷, 유기 나노 입자 및 란탄족 형광 나노 입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 나노 입자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니켈, 코발트, 철, 아연 및 망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생체물질은 DNA 또는 RNA를 포함하는 핵산, 아미노산, 지방, 당단백질 및 항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생체시료가 항원인 경우, 생체물질은 항체일 수 있다.
평면 균일 광은 단일파장 평면 균일 광일 수 있다.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산되는 형광 에너지를 포집하는 단계는 미세유체 칩에 평면 균일 광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2차원 형태의 형광 에너지를 포집하는 것일 수 있다.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산되는 형광 에너지를 포집하는 단계는 2차원 형태의 형광 에너지를 포집하여 축적하는 것일 수 있다.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여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들의 종류 및 감염성 질환의 정도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 사이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가 이용됨으로써,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에 대한 검출 한도 및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 한도 및 감도가 우수한 면역분석 진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복수의 종류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 사이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가 이용됨으로써,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의 감염 여부 및 감염 정도를 영상을 통해 동시에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을 동시에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평면 균일 광으로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 사이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가 발생함으로써, 2차원 형태의 형광 에너지에 대한 전기적 신호가 포집 및 축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 한도 및 감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암실 조건을 필요로 하지 않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전원으로 태양광 저전력 회로가 이용됨으로써, 별도의 외부 전원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동이 용이한 휴대용 면역분석 진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 요소들의 크기 및/또는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구성 요소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구성 요소들의 모양은 장치의 구성 요소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면역분석 진단 장치(100)는 미세유체 칩(microfluidic chip, 110), 광원부(120), 센서부(sensing unit, 130), 측정부(140),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150) 및 전원 공급부(power supply unit, 160)를 포함한다.
미세유체 칩(110)은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을 검출하기 위한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가질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과 특이적으로 결합되어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형광 나노 입자는 금속 나노 입자, 퀀텀 닷, 유기 나노 입자 및 란탄족(lanthanide) 형광 나노 입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가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할 경우, 형광 나노 입자는 형광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형광체는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 FRET) 효과가 유발할 수 있는 형광체이다. 이러한 형광체는 나노 입자 내에서 서로 근접하게 되어,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를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적색이나 근적외선(near InfraRed ray : near IR ray)의 형광을 발광할 수 있다. 형광체는 양자 효율이 높은 형광체가 사용될 수 있다. 금속 나노 입자는 금(Au),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니켈(Ni), 코발트(Co), 철(Fe), 아연(Zn) 및 망간(Mn)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퀀텀 닷은 Ⅱ-Ⅳ 반도체 나노 입자 또는 AgInZnS 반도체 나오 입자일 수 있다. Ⅱ-Ⅳ 반도체 나노 입자는 카드뮴 셀레나이드(CdSe), 카드뮴 텔루라이드(CdTe) 또는 카드뮴 설파이드(CdS) 등일 수 있다. 유기 나노 입자는 비독성 유기 나노 입자인 DBO(oligomeric benzoxazole 또는 2-(2'-deuteriooxyphenyl)benzoxzole)를 포함할 수 있다. 란탄족 형광 나노 입자는 시분해(time resolved) 형광 특성을 갖는 킬레이트(chelate) 결합한 란탄족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생체물질은 DNA 또는 RNA를 포함하는 핵산(nucleic acid), 아미노산(amino acid), 지방(fat), 당단백질(glycoprotein) 및 항체(antibody)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는 기상 응축법(gas phase condensation method), 고주파 플라즈마 화학적 합성법(high frequency plasma chemical synthesis method), 화학 침전법(conventional chemical precipitation), 수열 합성법(hydrothermal synthesis method), 전기적 분산 반응법(electric dispersion re-action method), 연소 합성법(combustive synthesis method), 졸-겔 합성법(sol-gel synthesis method), 열화학 합성법(thermochemical synthesis method), 마이크로플루다이저 공정(microfludizer process), 마이크로에멀션 기술(microemulson technology) 및 고에너지 기계적 밀링(high energy mechanical milling)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이 항원(antigen)일 경우,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생체물질은 항체일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은 두 종류 이상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세유체 칩(110)은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은 유체 형태의 생체시료, 즉, 혈액 등과 같은 생체시료의 이동, 정지, 속도 변화, 시험 용액 등과 같은 다른 유체와의 혼합, 분리 및 교체 등과 같은 다양한 동작들이 가능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은 유체의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인 유체 채널(channel)의 폭, 깊이, 길이 등, 재료로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의 종류, 검출에 사용되는 유체의 종류, 접촉 각도 등을 고려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미세유체 칩(110)은 유체의 능률적인 수송을 위한 펌프(pump) 및 밸브(valve)의 종류와 방식, 그리고 설치되어 있는 위치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구현될 수 있다.
진단하고자 하는 감염 환자로부터 채취한 생체시료는 전처리 과정 없이 미세유체 칩(110)에 주입되고, 생체시료와 반응용액 혼합물은 유체 채널을 이동하면서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과 형광 나오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물리적 결합(conjugation)이 형성된다.
광원부(120)는 미세유체 칩(110)에 평면 균일 광을 제공할 수 있다. 광원부(120)에 의해 제공된 평면 균일 광은 미세유체 칩(110)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 쌍 사이들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에 의한 형광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 쌍 사이들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에 의한 형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체시료의 감염성 질환을 측정하기 때문에, 검출 한도 및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극미량(10-9~10-12ℓ)의 생체시료 내에 아주 낮은 농도(<10-17mol)로 존재하는 감염성 질환에 대한 검출이 가능할 수 있다.
광원부(120)로부터 미세유체 칩(110)에 평면 균일 광이 제공되기 때문에,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 쌍 사이들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형광 에너지는 2차원 형태로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광원부(120)는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 및 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및 도광판에 의해 다파장 평면 균일 광이 생성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에 단일파장 평면 균일 광을 제공하기 위해 광원부(120)와 미세유체 칩(110) 사이에 광 필터(125)가 제공될 수 있다. 광원부(120)로부터 생성된 다파장 평면 균일 광은 광 필터(125)를 통과하면서 특정의 단일파장 평면 균일 광으로 바뀔 수 있다. 광 필터(125)는 초퍼(chopper) 형태일 수 있다. 즉, 여러 종류의 광 필터들(125)이 하나의 초퍼에 구비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세유체 칩(110)에 여러 가지 특정의 단일파장 평면 균일 광이 제공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이 두 종류 이상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가질 경우, 두 종류 이상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 각각의 쌍 사이의 서로 다른 형광 에너지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에 대한 형광 에너지가 발생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앞서 설명되어진 것과 같이, 미세유체 칩(110)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 쌍 사이들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형광 에너지를 2차원 형태로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특정한 방향성 없이 방사상으로 발산되는 형광 에너지를 감지하기 위해 미세유체 칩(110)과의 거리를 가깝게 유지하고, 삼면을 둘러싼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센서부(130)는 고감도 검출기(도 2의 137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40)는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된 형광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기적 신호는 전류 피크(peak) 형태일 수 있다. 측정부(140)은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된 형광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를 전환하여 축적할 수 있다. 측정부(140)는 전류 피크 형태의 전기적 신호를 축적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미세유체 칩(110)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 쌍 사이들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형광 에너지에 대한 검출 감도가 높아질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이 두 종류 이상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가질 경우, 두 종류 이상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 각각의 쌍 사이의 서로 다른 형광 에너지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형광 에너지들 각각은 서로 다른 전류 피크 형태의 전기적 신호들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에 대한 전류 피크들을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가 측정될 수 있다.
측정부(150)는 전류 피크 형태의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여 각각의 전류 피크들에 대응하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들의 종류 및 감염성 질환들의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에 대한 정성적 및 정량적 분석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또한,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을 동시에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측정부(140)에 의해 전환된 전기적 신호를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측정부(140)에 의해 전환된 전기적 신호를 영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의 감염 여부 및 감염 정도가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의 감염 여부 및 감염 정도를 영상을 통해 동시에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100)가 제공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60)는 광원부(120), 센서부(130), 측정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60)는 태양광 저전력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60)는 태양광 저전력 회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외부 전원 장치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이 용이한 휴대용 면역분석 진단 장치(100)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구성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미세유체 칩(110)은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과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이 특이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을 포함한다. 미세유체 칩(110)은 두 종류 이상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20)로부터 평면 균일 광이 제공된다. 광원부(120)로부터 제공되는 평면 균일 광은 센서부(130)의 빔 스플리터(beam spilitter, 132)를 통해 미세유체 칩(110)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로 입사된다. 미세유체 칩(110)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로 입사된 평면 균일 광은 미세유체 칩(110)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 쌍 사이들에서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 쌍 사이들에서 유발된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에 의해 형광 에너지가 방사상으로 발산된다. 방사상으로 발산된 형광 에너지는 대물 렌즈(131)를 통과하여 형광 빔 형태로 거울(133)로 전달된다. 거울(133)에 의해 반사된 형광 빔은 필터(134)를 통과하면서 특정의 단일파장 형광 빔이 집속 렌즈(135)로 전달된다. 특정의 단일파장 형광 빔은 집속 렌즈(135)에 의해 수렴되고, 공초점 조리개(confocal pinhole, 136)을 통과하면서발산하여 센서부(130)의 검출기(137)에 의해 감지된다.
센서부(130)는 광원부(120)로부터 제공된 평면 균일 광에 의한 에너지 교란을 피하기 위해 시간차 검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30)는 감지된 형광 빔에 대한 산란광 처리, 잡음 제거 및 패턴 인식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 쌍 사이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에 의한 형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생체시료의 감염성 질환을 측정하기 때문에, 검출 한도 및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극미량(10-9~10-12ℓ)의 생체시료 내에 아주 낮은 농도(<10-17mol)로 존재하는 감염성 질환에 대한 검출이 가능할 수 있다.
광원부(120)로부터 미세유체 칩(110)에 평면 균일 광이 제공되기 때문에,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 쌍 사이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형광 에너지는 2차원 형태로 센서부(130)의 검출기(137)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필터(134)는 초퍼 형태일 수 있다. 즉, 여러 종류의 필터들(134)이 하나의 초퍼에 구비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특정의 단일파장 형광 빔이 센서부(130)의 검출기(137)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이 두 종류 이상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가질 경우, 두 종류 이상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 각각의 쌍 사이의 서로 다른 형광 에너지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에 대한 형광 에너지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는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 사이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를 이용함으로써,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에 대한 검출 한도 및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는 극미량(10-9~10-12ℓ)의 생체시료 내에 아주 낮은 농도(<10-17mol)로 존재하는 감염성 질환에 대한 검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는 복수의 종류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 사이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를 이용함으로써,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의 감염 여부 및 감염 정도를 영상을 통해 동시에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을 동시에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는 평면 균일 광으로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 사이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2차원 형태의 형광 에너지에 대한 전기적 신호가 포집 및 축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는 검출 한도 및 감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암실 조건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는 전원으로 태양광 저전력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외부 전원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는 이동이 용이한 휴대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면역분석 진단 장치
110 : 미세유체 칩
120 : 광원부
125 : 광 필터
130 : 센서부
131 : 대물 렌즈
132 : 빔 스플리터
133 : 거울
134 : 필터
135 : 집속 렌즈
136 : 공초점 조리개
137 : 검출기
140 : 측정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전원 공급부

Claims (24)

  1. 생체시료를 검출하기 위해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갖는 미세유체 칩;
    상기 미세유체 칩에 평면 균일 광을 제공하여 상기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 사이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에 의한 형광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광원부;
    상기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산되는 상기 형광 에너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형광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 의해 전환된 상기 전기적 신호를 영상으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광원부, 상기 센서부, 상기 측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태양광 저전력 회로를 이용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는 상기 생체시료와 특이적으로 결합되어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광원부는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및 도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 칩은 두 종류 이상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는 기상 응축법, 고주파 플라즈마 화학적 합성법, 화학 침전법, 수열 합성법, 전기적 분산 반응법, 연소 합성법, 졸-겔 합성법, 열화학 합성법, 마이크로플루다이저 공정, 마이크로에멀션 기술 및 고에너지 기계적 밀링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형광 나노 입자는 금속 나노 입자, 퀀텀 닷, 유기 나노 입자 및 란탄족 형광 나노 입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니켈, 코발트, 철, 아연 및 망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생체물질은 DNA 또는 RNA를 포함하는 핵산, 아미노산, 지방, 당단백질 및 항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상기 생체시료가 항원인 경우, 상기 생체물질은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다파장 평면 균일 광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세 칩에 단일파장 평면 균일 광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광원부와 상기 미세유체 칩 사이에 배치되는 광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미세유체 칩에 상기 평면 균일 광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2차원 형태의 상기 형광 에너지를 상기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2차원 형태의 상기 형광 에너지를 상기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들의 종류 및 감염성 질환의 정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14.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갖는 미세유체 칩에 생체시료를 주입하여 상기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에 상기 생체시료를 특이적으로 결합시켜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미세유체 칩에 평면 균일 광을 제공하여 상기 형광 나노 입자-생체결합물질 복합체들 사이의 형광 공명 에너지 전이 효과에 의한 형광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산되는 상기 형광 에너지를 포집하는 단계;
    포집된 상기 형광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적 신호를 영상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평면 균일 광은 단일파장 평면 균일 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 칩은 두 종류 이상의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는 기상 응축법, 고주파 플라즈마 화학적 합성법, 화학 침전법, 수열 합성법, 전기적 분산 반응법, 연소 합성법, 졸-겔 합성법, 열화학 합성법, 마이크로플루다이저 공정, 마이크로에멀션 기술 및 고에너지 기계적 밀링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형광 나노 입자는 금속 나노 입자, 퀀텀 닷, 유기 나노 입자 및 란탄족 형광 나노 입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 입자는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니켈, 코발트, 철, 아연 및 망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의 생체물질은 DNA 또는 RNA를 포함하는 핵산, 아미노산, 지방, 당단백질 및 항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나노 입자-생체물질 복합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상기 생체시료가 항원인 경우, 상기 생체물질은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방법.
  21. 삭제
  22.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산되는 상기 형광 에너지를 포집하는 단계는 상기 미세유체 칩에 상기 평면 균일 광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2차원 형태의 상기 형광 에너지를 포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발산되는 상기 형광 에너지를 포집하는 단계는 상기 2차원 형태의 상기 형광 에너지를 포집하여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방법.
  24.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들의 종류 및 감염성 질환의 정도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분석 방법.
KR20100035885A 2010-04-19 2010-04-19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 KR101184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5885A KR101184322B1 (ko) 2010-04-19 2010-04-19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5885A KR101184322B1 (ko) 2010-04-19 2010-04-19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461A KR20110116461A (ko) 2011-10-26
KR101184322B1 true KR101184322B1 (ko) 2012-09-20

Family

ID=45030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35885A KR101184322B1 (ko) 2010-04-19 2010-04-19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721B1 (ko) * 2011-11-23 2014-02-21 주식회사 메디센서 G6pd의 유전적 다형성 다중 동시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101872484B1 (ko) 2016-03-31 2018-06-28 주식회사 엔디디 바이오 감지 장치
KR102003031B1 (ko) 2017-12-21 2019-07-25 주식회사 엔디디 바이오 감지 장치
KR102204591B1 (ko) 2019-08-30 2021-01-19 권현화 나노바이오 감지 장치
WO2021125921A1 (ko) * 2019-12-19 2021-06-24 ㈜앰젠바이오 양자점을 이용한 다중 체액분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461A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72141A1 (en) Radiation Carrier and Use Thereof in an Optical Sensor
US11112338B2 (en) Dual-image based bioimaging devices and techniques
US8618508B2 (e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9274056B2 (en) Use of non-chelated fluorochromes in rapid test systems
US20130034863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cting Inflammation Using Quantum Dots
EP3394597B1 (en) Optical detection of a substance in fluid
JP5643825B2 (ja) 物質決定装置
US20140170674A1 (en) Membraine-Based Assay Devices Utilizing Time-Resolved Up-Converting Luminescence
CN104081207A (zh) 用于光学和电化学测定的检验装置
KR101184322B1 (ko)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
US20180372634A1 (en) Optical detection of particles in a fluid
US20150233907A1 (en) Microfluidic chip for multi-analyte detection
KR101718485B1 (ko) 면역크로마토그래피의 형광반응 또는 유색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JP2013511713A (ja) 向上した蛍光検出及び方法
WO2011154918A2 (en) Diagnostic apparatus for immunoassay and diagnostic method for immunoassay using the same
KR101514694B1 (ko) 검체 내 분석물을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218178B1 (ko) 시분해 형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
Race et al. An automated microfluidic assay for photonic crystal enhanced detection and analysis of an antiviral antibody cancer biomarker in serum
US20210356460A1 (en) Method for Analyzing Immunoglobulins and Other Analytes in an Immunoassay
KR101254617B1 (ko) 면역분석 진단 장치
JP2009031097A (ja) 微粒子を用いた測定対象物質の定量・検出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測定装置
KR101519872B1 (ko) 면역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00131531A (ko) 다중 면역 분석용 검사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다중 면역 분석 장치
US20200278348A1 (en) Microchip and device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antigen, and 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antigen using same
KR20140042143A (ko)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