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143A -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143A
KR20140042143A KR1020120108492A KR20120108492A KR20140042143A KR 20140042143 A KR20140042143 A KR 20140042143A KR 1020120108492 A KR1020120108492 A KR 1020120108492A KR 20120108492 A KR20120108492 A KR 20120108492A KR 20140042143 A KR20140042143 A KR 20140042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fluidic chip
tray
internal reference
reflected
reflecte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7836B1 (ko
Inventor
이진근
김희준
김성준
Original Assignee
테라웨이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라웨이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라웨이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108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836B1/ko
Publication of KR20140042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mmunological test proced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2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 B01L9/527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for microfluidic devices, e.g. used for lab-on-a-chi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01L2200/027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for microfluidic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58Elements containing microarrays, i.e. "bioch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면역분석 진단가 제공된다. 이 진단 장치는 생체시료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부를 갖는 미세유체 칩, 미세유체 칩이 장착되되, 미세유체 칩에 인접하는 내부 기준부를 갖는 트레이, 미세유체 칩이 장착된 트레이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및 미세유체 칩의 감지부 및 트레이의 내부 기준부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들 동시에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내부 기준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기준으로 감지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값이 보정된다.

Description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Diagnostic Apparatus for Immunoassay and Diagnostic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분석값의 보정을 위한 내부 기준부를 갖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생명공학 기술과 많은 다양한 학문의 기술이 융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그 영향력을 가지고 발전해 가고 있다. 그 중 많은 부분이 진단 시장 쪽으로 흘러가고 있다. 진단 시장 분야에서 필요한 것은 진단에 필요한 기술을 현재 속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흘러 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 입각하여 개발되고 있는 분야로 랩온어칩(lab on a chip), 시스템온칩(system on chip) 등으로 불리는 어레이(array) 분석을 할 수 있는 칩의 개발이다. 이들은 소규모로 많은 양의 데이터(data)를 빠르고 쉽게 얻어낼 수 있게끔 해준다. 하지만, 많은 양의 데이터를 얻기 때문에, 데이터의 분석 정도의 세밀함은 요구할 수 없을 때가 많다. 거대 실험실에서 행해지는 모든 단계를 소규모 칩 위로 올리는 것부터가 많은 기술력을 요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는 소규모로 분석 장치와 방법을 집적(integrate)하는 것에는 성공하였으나, 이를 좀 더 정량적이고 세밀하게 결과값을 얻어내려고 하는데 초점이 맞춰지고 있으며, 그 필요성이 많이 대두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례로 기존의 진단 키트(kit) 시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스트립(strip)을 이용한 양성 반응 여부 판정 방법은 이제 그 한계점에 다다른 추세이다. 병의 유무만을 알고 싶어하는 시대는 저물어 가고, 병의 발생 가능성 유무 그리고 병이 발생하였다면 향후 병의 진행 방향과 그 병의 깊이 정도를 알고 싶어한다. 이를 위해 진단 시장 쪽에서는 양성 반응 여부만을 판정하는 것이 아니라, 병의 정도를 정량적인 수치의 등급으로 기준을 정하여 결과값을 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많은 분야에서 진단을 위한 분석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기적인 보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기적인 보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면역분석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이 진단 장치는 생체시료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부를 갖는 미세유체 칩, 미세유체 칩이 장착되되, 미세유체 칩에 인접하는 내부 기준부를 갖는 트레이, 미세유체 칩이 장착된 트레이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및 미세유체 칩의 감지부 및 트레이의 내부 기준부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들 동시에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기준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기준으로 감지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값이 보정될 수 있다.
내부 기준부는 트레이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 무늬일 수 있다.
내부 기준부는 패턴 무늬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칩 형태를 가지되, 미세유체 칩에 인접하도록 트레이에 장착될 수 있다.
표준 시료를 갖는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기준으로 내부 기준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값이 보정될 수 있다.
미세유체 칩은 복수의 감지부들을 가질 수 있다.
감지부는 생체시료와 특이적으로 결합되어 생체시료-나노 입자 결합체를 형성하는 나노 입자들을 가질 수 있다. 감지부는 두 종류 이상의 나노 입자들을 가질 수 있다. 나노 입자는 금속 나노 입자일 수 있다.
광원부는 발광 다이오드, 할로겐등, 수은등 또는 형광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는 미세유체 칩이 장착된 트레이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광원들로 구성될 수 있다.
미세유체 칩이 장착된 트레이로 광을 제공하기 위해 광원부와 트레이 사이에 배치되는 광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반사광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는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여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들의 종류 및 감염성 질환들의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면역분석 진단 방법을 감지부를 갖는 미세유체 칩에 생체시료를 주입하는 단계, 미세유체 칩이 장착되는 부위에 인접하는 내부 기준부를 갖는 트레이에 미세유체 칩을 장착하는 단계, 미세유체 칩이 장착된 트레이에 광을 제공하여 미세유체 칩의 감지부 및 트레이의 내부 기준부로부터 반사광들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미세유체 칩의 감지부 및 트레이의 내부 기준부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들 동시에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기준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기준으로 감지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값이 보정될 수 있다.
내부 기준부는 트레이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 무늬일 수 있다.
내부 기준부는 패턴 무늬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칩 형태를 가지되, 미세유체 칩에 인접하도록 트레이에 장착될 수 있다.
미세유체 칩을 트레이에 장착하기 전에, 트레이에 장착된 표준 시료를 갖는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기준으로 내부 기준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은 복수의 감지부들을 가질 수 있다.
감지부는 생체시료와 특이적으로 결합되어 생체시료-나노 입자 결합체를 형성하는 나노 입자들을 가질 수 있다. 감지부는 두 종류 이상의 나노 입자들을 가질 수 있다. 나노 입자는 금속 나노 입자일 수 있다.
포집된 반사광들을 전기적 신호들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여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들의 종류 및 감염성 질환들의 정도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면역분석 감지 장치가 미세유체 칩이 장착되는 트레이가 미세유체 칩에 인접하는 부위에 내부 기준부를 가짐으로써, 외부 환경 및 장치 내부 환경에 따른 실시간 변화에 따른 분석값들에 대한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기적인 보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동시에,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에 대한 분석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미세유체 칩이 장착되는 부위에 인접하는 내부 기준부를 갖는 트레이를 이용함으로써, 외부 환경 및 장치 내부 환경에 따른 실시간 변화에 따른 분석값들에 대한 편차가 보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기적인 보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동시에,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에 대한 분석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구성들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구성들에 대한 구성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 요소들의 크기 및/또는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구성 요소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구성 요소들의 모양은 장치의 구성 요소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면역분석 진단 장치(100)는 미세유체 칩(microfluidic chip, 110), 트레이(tray, 115), 광원부(120), 센서부(sensing unit, 130) 및 측정부(140)를 포함한다.
미세유체 칩(110)은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을 검출하기 위한 감지부를 가질 수 있다. 감지부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과 특이적으로 결합되어 생체시료-나노 입자 결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나노 입자를 가질 수 있다. 감지부는 두 종류 이상의 나노 입자들을 가질 수 있다. 나노 입자는 금속 나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 나노 입자는 금(Au),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니켈(Ni), 코발트(Co), 철(Fe), 아연(Zn) 및 망간(Mn)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은 복수의 감지부들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세유체 칩(110)은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은 유체 형태의 생체시료, 즉, 혈액 등과 같은 생체시료의 이동, 정지, 속도 변화, 시험 용액 등과 같은 다른 유체와의 혼합, 분리 및 교체 등과 같은 다양한 동작들이 가능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은 유체의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인 유체 채널(channel)의 폭, 깊이, 길이 등, 재료로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의 종류, 검출에 사용되는 유체의 종류, 접촉 각도 등을 고려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미세유체 칩(110)은 유체의 능률적인 수송을 위한 펌프(pump) 및 밸브(valve)의 종류와 방식, 그리고 설치되어 있는 위치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구현될 수 있다.
진단하고자 하는 감염 환자로부터 채취한 생체시료는 전처리 과정 없이 미세유체 칩(110)에 주입되고, 생체시료와 반응용액 혼합물은 유체 채널을 이동하면서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과 나노 입자의 물리적 결합(conjugation)이 형성된다.
트레이(115)는 미세유체 칩(110)이 장착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트레이(115)는 장착된 미세유체 칩(110)에 인접하는 내부 기준부(117)를 가질 수 있다. 내부 기준부(117)는 트레이(115)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pattern) 무늬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내부 기준부(117)는 패턴 무늬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칩 형태를 가지되, 미세유체 칩(110)에 인접하도록 트레이(115)에 장착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이 트레이(115)에 장착되기 전에, 내부 기준부(117)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값은 표준 시료를 갖는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기준으로 보정될 수 있다. 즉, 내부 기준부(117)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110)의 실질적인 사용 전인 제조 과정에서 표준 시료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값을 기준으로 보정될 수 있다.
내부 기준부(117)는 회색, 또는 흰색 또는 흑색을 포함하는 특정 색을 포함하는 패턴 무늬일 수 있다. 패턴 무늬는 띠 형태일 수 있다. 띠 형태는 적어도 2가지 색이 농담(gradation)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내부 기준부(117)는 잉크(ink) 인쇄 또는 형광 물질 도포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부(120)는 미세유체 칩(110)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광원부(120)에 의해 제공된 광은 미세유체 칩(110)의 감지부 및 트레이(115)의 내부 기준부(117)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광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의 감지부에 의한 반사광을 이용하여 생체시료의 감염성 질환을 측정하기 때문에, 검출 한도 및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115)의 내부 기준부(117)에 의한 반사광을 이용하여 미세유체 칩(110)의 감지부에 의한 반사광의 값을 보정하기 때문에, 외부 환경 및 장치 내부 환경에 따른 실시간 변화에 따른 분석값들에 대한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에 대한 분석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광원부(120)는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 할로겐등(halogen lamp), 수은등(mercury lamp) 또는 형광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이 장착된 트레이(115)에 광을 제공하기 위해 광원부(120)와 트레이(115) 사이에 광 필터(125)가 제공될 수 있다. 광원부(120)로부터 생성된 광은 광 필터(125)를 통과하면서 특정의 단일파장 광으로 바뀔 수 있다. 광 필터(125)는 초퍼(chopper) 형태일 수 있다. 즉, 여러 종류의 광 필터들(125)이 하나의 초퍼에 구비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세유체 칩(110)이 장착된 트레이(115)에 여러 가지 특정의 단일파장 광이 제공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이 복수의 감지부들을 가질 경우, 복수의 감지부들로부터 각각의 반사광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에 대한 반사광이 발생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앞서 설명되어진 것과 같이, 미세유체 칩(110)의 감지부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특정한 방향성 없이 방사상으로 반사되는 반사광을 감지하기 위해 미세유체 칩(110)이 장착된 트레이(115)와의 거리를 가깝게 유지하고, 삼면을 둘러싼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센서부(130)는 고감도 검출기(도 3의 137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30)는 시시디(Charge Coupled Device : CCD), 시모스(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 CMOS), 포토다이오드(photodiode), 전자사태 포토다이오드(Avalanche PhotoDiode : APD) 또는 광전자 증배관(PhotoMultiplier Tube : PMT)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40)는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된 반사광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기적 신호는 전류 피크(peak) 형태일 수 있다. 측정부(140)는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된 반사광을 전기적 신호를 전환하여 축적할 수 있다. 측정부(140)는 전류 피크 형태의 전기적 신호를 축적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미세유체 칩(110)의 감지부 및 트레이(115)의 내부 기준부(117)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들에 대한 검출 감도가 높아질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이 복수의 감지부들을 가질 경우, 복수의 감지부들 각각의 서로 다른 반사광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반사광들 각각은 서로 다른 전류 피크 형태의 전기적 신호들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에 대한 전류 피크들을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가 측정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115)의 내부 기준부(117)에 의한 반사광도 전류 피크 형태의 전기적 신호들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기준부(117)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전류 피크 형태의 전기적 신호를 기준으로 감지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전류 피크 형태의 전기적 신호가 보정될 수 있다.
측정부(150)는 전류 피크 형태의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여 각각의 전류 피크들에 대응하는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들의 종류 및 감염성 질환들의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에 대한 정성적 및 정량적 분석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또한,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을 동시에 분석하는 것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가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구성들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면역분석 진단 장치에서 미세유체 칩, 광원부 및 센서부를 중심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의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100)와 다른 점은, 광원부(120)의 배치 구조 및 개수가 다르다는 점이다.
광원부들(120)은 미세유체 칩(110)이 장착된 트레이(115)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광원부들(120)은 한 쌍의 광원들일 수 있다. 광원부들(120)은 미세유체 칩(110)이 장착된 트레이(115)로 각각 광을 제공하고, 미세유체 칩(110)이 장착된 트레이(115)로 각각 제공된 광은 미세유체 칩(110)의 감지부 및 트레이(115)의 내부 기준부(117)에 의해 반사되고, 그리고 미세유체 칩(110)의 감지부 및 트레이(115)의 내부 기준부(117)에 의해 반사된 각각의 반사광은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한 쌍의 광원부들(120)이 면역분석 진단 장치에 사용됨으로써, 광의 광량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 정밀도가 보다 향상될 수 있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일부 구성들에 대한 구성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미세유체 칩(110)은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을 검출하기 위한 감지부를 포함한다. 미세유체 칩(110)은 복수의 감지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5)은 내부 기준부(117)를 갖는 트레이(115)에 장착될 수 있다.
광원부(120)로부터 광이 제공된다. 광원부(120)로부터 제공되는 광은 미세유체 칩(110)의 감지부 및 트레이(115)의 내부 기준부(117)로 입사되어 반사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의 감지부 및 트레이(115)의 내부 기준부(117)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들이 방사상으로 발산된다. 방사상으로 발산된 반사광들은 센서부(130)의 대물 렌즈(131)를 통과하여 빔 형태로 거울(133)로 전달된다. 거울(133)에 의해 반사된 빔은 필터(134)를 통과하면서 특정의 단일파장 빔이 집속 렌즈(135)로 전달된다. 특정의 단일파장 빔은 집속 렌즈(135)에 의해 수렴되고, 공초점 조리개(confocal pinhole, 136)를 통과하면서 발산하여 센서부(130)의 검출기(137)에 의해 감지된다.
센서부(130)는 광원부(120)로부터 제공된 광에 의한 에너지 교란을 피하기 위해 시간차 검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30)는 감지된 빔에 대한 산란광 처리, 잡음 제거 및 패턴 인식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의 감지부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을 이용하여 생체시료의 감염성 질환을 측정하기 때문에, 검출 한도 및 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115)의 내부 기준부(117)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을 이용하여 미세유체 칩(110)의 감지부에 의한 반사광의 값을 보정하기 때문에, 외부 환경 및 장치 내부 환경에 따른 실시간 변화에 따른 분석값들에 대한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에 대한 분석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필터(134)는 초퍼 형태일 수 있다. 즉, 여러 종류의 필터들(134)이 하나의 초퍼에 구비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특정의 단일파장 빔이 센서부(130)의 검출기(137)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미세유체 칩(110)이 복수의 감지부들을 가질 경우, 복수의 감지부들에 의해 서로 다른 반사광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체시료에 포함된 복수의 감염성 질환들 각각에 대한 반사광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는 미세유체 칩이 장착되는 트레이가 미세유체 칩에 인접하는 부위에 내부 기준부를 가짐으로써, 외부 환경 및 장치 내부 환경에 따른 실시간 변화에 따른 분석값들에 대한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기적인 보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동시에,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에 대한 분석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는 미세유체 칩이 장착되는 트레이가 미세유체 칩에 인접하는 부위에 내부 기준부를 가짐으로써, 분석값들이 내부 기준부의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상 유무를 바로 판단할 수 있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면역분석 진단 장치를 이용한 면역분석 진단 방법은 미세유체 칩이 장착되는 부위에 인접하는 내부 기준부를 갖는 트레이를 이용함으로써, 외부 환경 및 장치 내부 환경에 따른 실시간 변화에 따른 분석값들에 대한 편차가 보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기적인 보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동시에,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에 대한 분석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면역분석 진단 장치
110 : 미세유체 칩
115 : 트레이
117 : 내부 기준부
120 : 광원부
125 : 광 필터
130 : 센서부
131 : 대물 렌즈
133 : 거울
134 : 필터
135 : 집속 렌즈
136 : 공초점 조리개
137 : 검출기
140 : 측정부

Claims (23)

  1. 생체시료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부를 갖는 미세유체 칩;
    상기 미세유체 칩이 장착되되, 상기 미세유체 칩에 인접하는 내부 기준부를 갖는 트레이;
    상기 미세유체 칩이 장착된 상기 트레이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 및
    상기 미세유체 칩의 상기 감지부 및 상기 트레이의 상기 내부 기준부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들 동시에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기준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값이 보정되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기준부는 상기 트레이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 무늬인 면역분석 진단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기준부는 패턴 무늬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칩 형태를 가지되, 상기 미세유체 칩에 인접하도록 상기 트레이에 장착되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표준 시료를 갖는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 기준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값이 보정된 면역분석 진단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 칩은 복수의 감지부들을 갖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생체시료와 특이적으로 결합되어 생체시료-나노 입자 결합체를 형성하는 나노 입자들을 갖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두 종류 이상의 나노 입자들을 갖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는 금속 나노 입자인 면역분석 진단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발광 다이오드, 할로겐등, 수은등 또는 형광등을 포함하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미세유체 칩이 장착된 상기 트레이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광원들로 구성되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 칩이 장착된 상기 트레이로 광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광원부와 상기 트레이 사이에 배치되는 광 필터를 더 포함하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반사광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들의 종류 및 감염성 질환들의 정도를 분석하는 면역분석 진단 장치.
  14. 감지부를 갖는 미세유체 칩에 생체시료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미세유체 칩이 장착되는 부위에 인접하는 내부 기준부를 갖는 트레이에 상기 미세유체 칩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미세유체 칩이 장착된 상기 트레이에 광을 제공하여 상기 미세유체 칩의 상기 감지부 및 상기 트레이의 상기 내부 기준부로부터 반사광들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미세유체 칩의 상기 감지부 및 상기 트레이의 상기 내부 기준부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반사광들 동시에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기준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기준으로 상기 감지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값이 보정되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기준부는 상기 트레이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 무늬인 면역분석 진단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기준부는 패턴 무늬를 포함하는 미세유체 칩 형태를 가지되, 상기 미세유체 칩에 인접하도록 상기 트레이에 장착되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 칩을 상기 트레이에 장착하기 전에, 상기 트레이에 장착된 표준 시료를 갖는 미세유체 칩으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 기준부로부터 반사된 반사광의 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유체 칩은 복수의 감지부들을 갖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생체시료와 특이적으로 결합되어 생체시료-나노 입자 결합체를 형성하는 나노 입자들을 갖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두 종류 이상의 나노 입자들을 갖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는 금속 나노 입자인 면역분석 진단 방법.
  22. 제 14항에 있어서,
    포집된 상기 반사광들을 전기적 신호들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생체시료에 포함된 감염성 질환들의 종류 및 감염성 질환들의 정도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면역분석 진단 방법.
KR20120108492A 2012-09-28 2012-09-28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101487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8492A KR101487836B1 (ko) 2012-09-28 2012-09-28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8492A KR101487836B1 (ko) 2012-09-28 2012-09-28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143A true KR20140042143A (ko) 2014-04-07
KR101487836B1 KR101487836B1 (ko) 2015-02-02

Family

ID=5065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08492A KR101487836B1 (ko) 2012-09-28 2012-09-28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8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986B1 (ko) * 2015-04-22 2016-10-11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회사 진단 장치
KR20210058473A (ko) * 2019-11-14 2021-05-24 한국기계연구원 다위치 반응영역을 가지는 센서의 신호보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호보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9828B2 (en) 2001-01-25 2004-10-26 Texas Tech University Universal detector for biological and chemical separations or assays using plastic microfluidic devices
KR100865755B1 (ko) * 2007-06-29 2008-10-28 삼성전기주식회사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한 다채널 바이오 센서
US20090325211A1 (en) 2007-10-06 2009-12-31 Ye Fang System and method for dual-detection of a cellular response
KR100927655B1 (ko) 2007-12-17 2009-1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바이오 감지 센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986B1 (ko) * 2015-04-22 2016-10-11 프리시젼바이오 주식회사 진단 장치
KR20210058473A (ko) * 2019-11-14 2021-05-24 한국기계연구원 다위치 반응영역을 가지는 센서의 신호보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호보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836B1 (ko) 201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9347B2 (ja) 液体試料中の粒子を分析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3529006B (zh) 一种基于微流控芯片的便携式荧光检测装置
CN105051538A (zh) 用于检测生物状况的系统和方法
US10324020B2 (en) Fluidic optical cartridge
Martini et al. Time encoded multicolor fluorescence detection in a microfluidic flow cytometer
CN102272574B (zh) 光信息解析装置及光信息解析方法
CN104977278A (zh) 一种基于多光谱的荧光免疫层析定量分析及检测系统
KR101184322B1 (ko)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
KR101487836B1 (ko)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WO2011154918A2 (en) Diagnostic apparatus for immunoassay and diagnostic method for immunoassay using the same
EP42446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ow-based, single-particle and/or single-molecule analysis
JPS63298137A (ja) イメ−ジファイバを用いた検体分析装置
CN107525926B (zh) 一种免疫层析检测方法以及检测系统
CN102095712A (zh) 一种蓝藻检测光电传感器
CN201984016U (zh) 一种蓝藻检测光电传感器
KR101218178B1 (ko) 시분해 형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면역분석 방법
US20210356460A1 (en) Method for Analyzing Immunoglobulins and Other Analytes in an Immunoassay
TW201619591A (zh) 微流式生物感測系統
KR20150029290A (ko) 진단 스트립 리더기
US8441637B2 (en) Method and device of compensating scattering light signals generated by light interaction with particles or biological cells moving in fluid currents, such as in flow cytometry
KR20190005054A (ko) 미세 분할 영역을 가진 진단키트 및 진단키트를 이용한 진단방법
KR102117232B1 (ko) 항원의 정량 분석용 마이크로 칩 및 항원의 정량 분석용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항원의 정량 분석 방법
KR101333310B1 (ko) 면역분석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CN204008657U (zh) 一种基于多光谱的荧光免疫层析定量分析系统
CN109238965A (zh) 一种干化学血细胞成分分析光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