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200A - 전자기기의 접속잭부의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접속잭부의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200A
KR20120028200A KR1020110011784A KR20110011784A KR20120028200A KR 20120028200 A KR20120028200 A KR 20120028200A KR 1020110011784 A KR1020110011784 A KR 1020110011784A KR 20110011784 A KR20110011784 A KR 20110011784A KR 20120028200 A KR20120028200 A KR 20120028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main body
body case
jack
pivo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미쓰 다케다
가쓰요시 다나카
시게노리 다무라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8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11U-shaped sliding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본체 케이스로부터 외측으로 선회돌출하는 잭부 구조로서, 종래보다 작은 선회각도로 플러그 핀의 삽입이 가능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의 잭부 수납 스페이스의 절약화가 가능한 전자기기의 접속잭부의 부착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전자기기의 본체 케이스의 일부로부터 외측으로 선회개폐하는 커버체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는 다른 외부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잭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커버체의 일단측에 설치된 선회축부를 본체 케이스측에 형성된 선회축받이에서 축지하고, 타단측은 본체 케이스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 선회하는 것이고, 상기 타단측이 외측을 향하여 선회함에 따라 상기 선회축부가 소정량 전진이동하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접속잭부의 부착구조{MOUNTING STRUCTURE OF CONNECTOR JACK FOR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등의 전자기기(電子機器)에 있어서의 접속잭부(接續 jack部)의 부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른 외부기기와 핀 잭 접속(pin jack 接續)하는 경우에 접속잭부가 전자기기의 본체 케이스(本體 case)로부터 선회돌출(旋回突出)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기기는 어댑터(adapter) 등과 접속하기 위한 DC 잭 등의 접속잭부를 구비하고,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음성출력장치(音聲出力裝置) 등의 외부기기를 핀 잭 접속하기 위한 AV 잭 등의 접속잭부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접속잭부의 구조는, 특허문헌1에 있어서의 종래의 도면, 도5?도7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어폰(earphone) 등을 접속하는 잭부의 결합면을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노출하여 고정하고, 이 결합면을 변형 가능한 고무 재질 등의 캡(cap)으로 덮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나중에 캡을 부착하는 경우에 이어폰의 접속 시 등에 있어서 캡의 제거 및 부착이 번거롭고, 변형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본체 케이스와는 다른 재질을 사용하게 되어 본체 케이스와의 일체감(一體感)이 없어진다.
또한 캡이 본체 케이스로부터 탈락할 우려도 있었다.
여기에서 특허문헌1에서는 본체 케이스의 일부를 덮는 커버를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출납 가능하게 축지(軸支)한 이어폰 잭(earphone jack)의 부착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동(同) 공보에 개시하는 잭부의 부착구조는, 커버의 개폐축(開閉軸)이 본체 케이스측에 축지되어 있지만 선회 중심이 일정하기 때문에 잭부의 결합면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선회각도를 크게 하여야만 하고, 또 잭부를 외측으로 돌출선회시킨 상태에서는 잭부 선단측과 본체 케이스의 개구부와의 사이에 큰 간극이 발생하여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336293호 공보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로부터 외측으로 선회돌출하는 잭부 구조로서, 종래보다 작은 선회각도로 플러그 핀(plug pin)의 삽입이 가능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의 잭부 수납 스페이스의 절약화가 가능한 전자기기의 접속잭부의 부착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기의 접속잭부의 부착구조는, 전자기기의 본체 케이스(本體 case)의 일부로부터 외측으로 선회개폐(旋回開閉)하는 커버체(cover體)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는 다른 외부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잭부(jack部)를 일체적으로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커버체의 일단측(一端側)에 설치된 선회축부(旋回軸部)를 본체 케이스측에 형성된 선회축받이에서 축지(軸支)하고, 타단측(他端側)은 본체 케이스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 선회하는 것이고, 상기 타단측이 외측을 향하여 선회함에 따라 상기 선회축부가 소정량 전진이동하는 이동수단(移動手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커버체에 잭부가 일체적으로 구비된다는 것은, 커버체의 선회에 따라 잭부가 동시에 선회하도록 커버체측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물리적으로 일체(一體) 또는 별체(別體)인지는 관계없다는 취지이다.
또한 커버체가 외측으로 선회함에 따라 선회축이 전진이동한다는 것은, 커버체의 선회돌출하는 선단이 전진이동하는 방향으로 선회축이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체는 본체 케이스의 코너부(corner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일단측은 측면부(側面部)에 위치하고, 타단측이 코너R부의 R면 도중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회축부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은, 상기 축부와 다른 위치이며, 커버체측과 본체 케이스측과의 일방(一方)에 가이드 핀(guide pin)을 설치하고, 타방(他方)에 가이드 홈부(guide groove部)를 형성한 것이나, 상기 선회축부에 캠(cam)을 연결하고 있고, 본체 케이스측에 상기 선회축부의 회전에 의하여 캠이 슬라이드(slide) 접촉하여 상기 선회축부를 이동시키는 경사면부(傾斜面部)를 구비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기기에 특별하게 제한은 없지만, 휴대전화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버체는, 본체 케이스의 외측으로 선회돌출할 때에 선회축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선회하기 때문에, 종래보다 작은 선회각도로 플러그 핀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어 커버체의 선단측과 본체 케이스와의 간극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잭부의 수납 스페이스의 절약화도 가능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접속잭부를 구비한 커버체의 선회돌출기구의 예를 나타낸다. 도1(a)는 본체 케이스에 접속잭부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1(b)는 화살표(S)로 나타내는 방향인 전방으로 d만큼 이동하면서 선회돌출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1(c)는 커버체와 함께 접속잭부가 돌출된 상태의 요부도를 나타낸다.
도2(a)는 접속잭부의 부품구성도를 나타내고, 도2(b)는 조립한 상태의 이면측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3은 접속잭부(커버체)를 본체 케이스에 수납한 상태(a)와 돌출시킨 상태(b)의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4(a)는 본체 케이스에 커버체를 부착하기 전, 도4(b)는 그 부착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5는 플러그 핀의 삽입의 흐름을 도5(a), 도5(b), 도5(c)에 나타내고, 도5(d)는 가령 선회축이 이동하지 않았을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6은 본체 케이스의 평면부에 커버체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6(a), 도6(b), 도6(c)는 플러그 핀의 삽입을 나타내고, 도6(d)는 가령 선회축이 이동하지 않았을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7은 휴대전화기에 본 발명에 관한 잭부 부착구조를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7(a)는 돌출 전, 도7(b)는 돌출 후를 나타낸다.
도8은 선회축에 캠기구를 채용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8(a)는 수납상태, 도8(b)는 돌출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한 접속잭부(接續 jack部)의 부착구조를 이하 휴대전화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전원 어댑터(電源 adapter)의 플러그 핀(plug pin)을 접속하는 것 등 각종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도7에 휴대전화기의 본체 케이스(本體 case)(1)의 코너부에 접속잭부를 선회돌출(旋回突出)시키기 위한 커버체(cover體)(10)를 설치한 예를 나타낸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접속잭부의 부착위치는 평면적인 측면부에 설치하여도 좋지만, 코너부에 설치하면 효과적이다.
커버체(10)가 선회개폐(旋回開閉)되는 움직임을 도1에 나타내고, 도2는 부품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도3은 내부의 투시도를 나타내고, 도4는 커버체(10)를 본체 케이스(1)에 부착하는 구조의 예를 나타낸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버체(10)는 내측에 잭부(jack部)(20)를 일체적으로 수용하고 있고, 커버체(10)에 형성된 플러그 핀의 삽입구(揷入口)(13)와 잭부(20)의 접속구(接續口)(21)가 일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잭부(20)의 내부에 형성된 플러그 핀과의 접점부(接點部)(22)를 구비하는 콘택트(contact)는 플렉시블 인쇄기판(FPC)(2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전자기기의 본체측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인쇄기판(FPC)(23)을 사용함으로써, 커버체(10)의 선회개폐에 따라 잭부(20)가 본체측 기판에 대하여 변위(變位)하는 것이 허용된다.
내측에 잭부(20)를 수용한 커버체(10)는 본체 케이스에 부착하기 위한 베이스부(base部)(30)에 조립함으로써 유닛화 되어 있다.
이 유닛화 된 커버체 일체형 접속잭부는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의 내측에 형성되고 단면이 ㄷ자 모양의 부착결합부(附着結合部)(1d)에, 베이스부(30)에 형성된 결합볼록부(33)를 결합하여 부착한다.
또 본체 케이스에 대한 부착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에 커버체(10)는 본체 케이스(1)의 개구부(開口部)(1c)로부터 외부로 선회개폐하도록 되어 있어, 커버체(10)를 본체 케이스(1)와 동일한 재료인 수지 재료 등으로 성형하면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코너부에 부착하였을 때에 본체 케이스와의 디자인적인 일체감이 있다.
다음에 커버체(10)의 선회기구(旋回機構)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버체(10)의 후방 일단측(一端側)에는 양측의 측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선회축(旋回軸)(11)을 구비하고, 이 선회축(11)을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ㄷ자 모양의 베이스부(30)의 후부에 형성된, 측면에서 볼 때에 대략 U자 모양으로 오목하게 변형시킨 선회축받이(31)에 축지(軸支)시키고 있다.
커버체(10)의 양측의 측면이며, 상기 선회축(11)보다는 선단측 도중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핀(guide pin)(12)을 구비하고, 이 가이드 핀(12)은 베이스부(30)의 양쪽 사이드 내측에 형성된 한 쌍의 리브(rib)(32a, 32b)에 의하여 형성된 가이드 홈(guide groove)(32)을 따라 슬라이드(slide) 한다.
이 가이드 홈(32)은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버체(10)의 선단측이 본체 케이스(1)의 외측으로 선회함에 따라, 이 선단측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리브(32)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에 걸쳐서 커버체(10)의 선단측으로 경사진 경사면(傾斜面)(D)을 형성한 예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버체(10)가 본체 케이스(1)에 수납된 도1(a)의 상태에서는, 선회축(11)은 선회축받이(31)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버체(10)의 선단이 외측으로 선회돌출함에 따라 선회축(11)의 축중심(軸中心)(O)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 이동량은 d1 - d0 = d의 값이다.
따라서 선회축받이(31)에 있어서 전후방향의 오목부 폭 치수는 선회축(11)의 이동량(d)을 허용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커버체(잭부)의 선단측이 본체 케이스(1)의 외측으로 선회함에 따라, 이 선회축(11)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한 효과를 도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커버체(10)에 있어서 후방의 일단측이 본체 케이스(1)의 측면(평면부)(1a)에 위치되고, 전방의 타단측이 본체 케이스(1)의 코너R부의 R면(1b)의 도중에 위치된 경우에, 도5(a)의 커버체(10)(잭부(20))의 수납상태로부터 도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선회돌출상태로 될 때에, 선회 축중심(O)이 치수(d)만큼 화살표(S)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체(10)의 수납상태[도5(a)]와 선회돌출상태[도5(b)]를 각각 유지할 수 있도록 커버체(10)측에 판 스프링(板 spring)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彈性部材)(40)를 부착하고, 이 탄성부재(40)의 후방볼록부(40a)가 베이스부(30)측에 형성된 결합리브(34)의 상단(上端)(34a)(수납상태)과 하측 오목부(34b)(돌출상태)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예로 되어 있다.
도5(d)에 커버체(10)가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았을 경우를 도면에 나타내고, 이것과 도5(c)를 비교한다.
커버체(10)에 부착된 잭부(20)에 플러그(plug)(2)를 삽입하는 경우에, 플러그(2)에는 선단에 플러그 핀(plug pin)(2a)을 구비하고, 그 후방에 절연피복부(絶緣皮覆部)(2b)를 구비한다.
따라서 도5(c)와 도5(d)에서 커버체(10)의 선회각도가 동일하면, 커버체(10)의 선단부와 본체 케이스(1)와의 사이의 간극은, 도5(d)의 간극(a1)보다 커버체(10)가 화살표(S)의 방향으로 치수(d)만큼 전방으로 이동한 도5(c)의 간극(a)이 적어지게 되어 미관상 좋다.
또한 도5(d)의 상태에서는 플러그(2)의 절연피복부(2b)가 본체 케이스(1)의 선단부(先端部)(b)와 간섭한다.
따라서 커버체(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플러그(2)를 삽입할 때의 선회각도를 도5(d)의 경우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6에는, 커버체(10)를 본체 케이스(1)의 평면의 측면부에 설치한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도6(c)에 나타나 있는 커버체(10)를 화살표(S)의 방향으로 치수(d)만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본체 케이스와의 간극(a)이 도6(d)에 나타나 있는 이동하지 않았을 경우의 간극(a1)보다 치수(d)만큼 작게 할 수 있다.
도8은 커버체(10)에 있어서 선회축(11)의 전방이동수단(前方移動手段)으로서 캠기구(cam機構)를 채용한 예를 나타낸다.
선회축(11)에는 후방을 향하여 대략 반원 모양으로 돌출된 캠(14)을 연결하고 있고, 베이스부(30) 혹은 본체 케이스(1)측에 하방을 향하여 커버체의 선단측으로 경사지게 한 경사 슬라이드면(傾斜 slide面)(경사면부)(1e)을 형성한 예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버체(10)의 선단이 소정의 각도만큼 외측으로 선회돌출되면, 선회축(11)의 축중심(O)이 치수(d)만큼 전방으로 이동한다.
1 : 본체 케이스
10 : 커버체
11 : 선회축
12 : 가이드 핀
20 : 잭부
21 : 접속구
22 : 접점부
23 : FPC
30 : 베이스부
31 : 선회축받이
32 : 가이드 홈
40 : 탄성부재

Claims (5)

  1. 전자기기의 본체 케이스(本體 case)의 일부로부터 외측으로 선회개폐(旋回開閉)하는 커버체(cover體)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는 다른 외부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잭부(jack部)를 일체적으로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커버체의 일단측(一端側)에 설치된 선회축부(旋回軸部)를 본체 케이스측에 형성된 선회축받이에서 축지(軸支)하고, 타단측(他端側)은 본체 케이스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 선회하는 것이고,
    상기 타단측이 외측을 향하여 선회함에 따라 상기 선회축부가 소정량 전진이동하는 이동수단(移動手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접속잭부(接續 jack部)의 부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본체 케이스의 코너부(corner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일단측은 측면부(側面部)에 위치하고, 타단측이 코너R부의 R면 도중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접속잭부의 부착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축부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은, 상기 축부와 다른 위치이며, 커버체측과 본체 케이스측과의 일방(一方)에 가이드 핀(guide pin)을 설치하고, 타방(他方)에 가이드 홈부(guide groove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접속잭부의 부착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축부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은, 상기 선회축부에 캠(cam)을 연결하고 있고, 본체 케이스측에 상기 선회축부의 회전에 의하여 캠이 슬라이드(slide) 접촉하여 상기 선회축부를 이동시키는 경사면부(傾斜面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접속잭부의 부착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자기기는 휴대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접속잭부의 부착구조.
KR1020110011784A 2010-09-14 2011-02-10 전자기기의 접속잭부의 부착구조 KR201200282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05443 2010-09-14
JP2010205443A JP2012065009A (ja) 2010-09-14 2010-09-14 電子機器の接続ジャック部の取付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200A true KR20120028200A (ko) 2012-03-22

Family

ID=4588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784A KR20120028200A (ko) 2010-09-14 2011-02-10 전자기기의 접속잭부의 부착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2065009A (ko)
KR (1) KR20120028200A (ko)
CN (1) CN1024044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3339A (ko) * 2012-06-21 201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각도조절 이어잭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695809U (zh) * 2012-03-12 2013-01-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接口转换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3339A (ko) * 2012-06-21 201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각도조절 이어잭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65009A (ja) 2012-03-29
CN102404425A (zh) 201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3141B2 (en) Transfer plug for a variety of sockets
US20130130524A1 (en) Electrical device with a clamshell electrical connector
JP2004071400A (ja) シャッター付きコネクタ
TWI523351B (zh) 插座連接器
EP2239928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30143339A (ko) 각도조절 이어잭 모듈
EP1439685A1 (en) Flip-phone cover
US20110256744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ust-proof device with self-driven arrangement
KR20050120383A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부 회로 연결장치
KR20120028200A (ko) 전자기기의 접속잭부의 부착구조
JP2007318904A (ja) 電気機器の充電装置
KR100675731B1 (ko) 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개폐장치
JP2007330041A (ja) 携帯電話機用充電器
TWI559629B (zh) 掀蓋式插座連接器
KR200403684Y1 (ko) 휴대폰용 로터리 힌지 모듈
JP2008146981A (ja) 導通ヒンジ
US10498071B2 (en) Port for electronic device
JP3961242B2 (ja) ヒンジ装置
CN210866585U (zh) 电源插头
JP2002344156A (ja) コネクタカバー構造
AU2016100830A4 (en) Multifunctional Connecting Device
JP2006147294A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5884023B2 (ja) 蓋開閉機構
KR200379274Y1 (ko) 휴대폰용 로터리 힌지 모듈
KR20140117171A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