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811A -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 - Google Patents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811A
KR20120027811A KR1020100089601A KR20100089601A KR20120027811A KR 20120027811 A KR20120027811 A KR 20120027811A KR 1020100089601 A KR1020100089601 A KR 1020100089601A KR 20100089601 A KR20100089601 A KR 20100089601A KR 20120027811 A KR20120027811 A KR 20120027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uilding exterior
polyurea
exterior unit
scul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숙
Original Assignee
강산이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산이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산이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9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7811A/ko
Publication of KR20120027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는, 구조물의 벽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으로써 외형을 이루는 조형물 본체; 상기 조형물 본체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표면마감층; 및 상기 조형물 본체와 표면마감층 사이에 배치되고, 폴리우레아 재질로 이루어진 폴리우레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Building exterior unit}
본 발명은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임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고, 제품의 기계적 물성 및 화학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건물 내부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어 왔다. 최근에는 건물 내부의 인테리어와는 별개로 건물 외부를 익스테리어하여 그 건물이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갖게 하는 시도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Ⅱ-Ⅱ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A)는, 건물(C) 외벽에 설치되어 익스테리어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조형물의 외형을 형성하고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지는 조형물 본체(1)와, 그 조형물 본체(1)의 표면에 마련되는 철판 재질의 보강부재(2)와, 그 보강부재(2)의 표면에 형성되는 폴리우레탄층(3)과 상기 폴리우레탄층(3)에 코팅되는 표면마감층(4)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는, 스티로폼 재질의 조형물 본체(1)의 강도 보강을 위해 철판 재질의 보강부재(2)가 채용되었으나, 상기 보강부재(2)와 표면 마감층(4) 간의 접착의 용도 또는 투수율의 억제 등의 용도로 채용된 폴리우레탄층(3)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상기 보강부재(2)로부터 폴리우레탄층(3)이 쉽게 이탈되고 상기 보강부재(2)의 부식을 초래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왔다.
한편,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의 다른 일례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종래기술은, 조형물의 외형을 형성하는 조형물 본체(10)가 시멘트 몰탈로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비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시멘트 몰탈(10)의 무게로 인하여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일으킬 염려가 있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기계적 및 화학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조물의 벽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으로써 외형을 이루는 조형물 본체; 상기 조형물 본체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표면마감층; 및 상기 조형물 본체와 표면마감층 사이에 배치되고, 폴리우레아 재질로 이루어진 폴리우레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형물 본체는 발포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형물 본체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목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조형물 본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조형물 본체와 폴리우레아층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형물 본체는 시멘트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형물 본체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조형물 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발포체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 익스테리어용 유니트는, 폴리우레아층의 채용에 따른 내구성 향상으로 철판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제품의 경량화는 물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과, 폴리우레아층의 채용에 따른 방수성 향상으로 고가의 스텐레스 재질의 보강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조형물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조형물 본체가 시멘트 몰탈과 같은 시멘트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 시멘트 몰탈에 폴리우레아층이 형성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폴리우레아층으로 인한 내구성 향상으로 상대적으로 시멘트 몰탈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서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과, 폴리우레아층의 방수성으로 인하여 시멘트 몰탈의 부식 또는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의 설치상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Ⅱ-Ⅱ 단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의 다른 일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표.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장점을 도출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의 물성 비교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표.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표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장점을 도출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의 물성 비교표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는, 조형물 본체(110)와 표면마감층(140)과 폴리우레아층(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형물 본체(110)는, 구조물의 벽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으로써 외형을 이루게 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스티로폼 또는 우레탄폼과 같은 발포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발포체로 이루어진 조형물 본체(110)는 경량이기는 하나 기계적 물성 및 화학적 물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그 물성을 보강하기 위한 물성 보강재가 추가로 요구된다.
이러한 물성 보강재로서 본 발명에는 폴리우레아층(13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폴리우레아층(130)은 폴리우레아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충격저항과 물성강도가 우수하게 됨에 따라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의 기계적 물성을 보강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물과 산(acids)에 대한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예컨대 철판과 같은 부식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의 부식을 억제시킬 수 있는 등의 화학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고가의 스테인레스 재질의 보강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형물 본체(110)와 폴리우레아층(130) 사이에 철판 재질로 이루어진 보강부재(1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재(120)는 상기 폴리우레아층(130)의 방수성 때문에 부식이 방지됨에 따라 스테인레스가 아닌 철판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저가의 제품의 양산이 가능하게 되고, 나아가 상기 폴리우레아층(130)에 의한 기계적 물성의 향상으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철판 사용이 가능하게 됨에 제품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표면마감층(140)은 상기 폴리우레아층(130)의 표면에 코팅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폴리우레아층(130)은 우수한 접착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보강부재(120)와 표면마감층(140) 간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즉, 종래기술에 채용된 폴리우레탄층의 경우, 접착력이 약하여 보강부재(120)로부터 쉽게 탈거되고, 접착력 보완을 위해 표면처리 또는 프라이머 등을 도포하는 경우에는 그 폴리우레탄층의 방수능력이 우수하지 못함에 따라 우수시 물에 노출되어 기존의 프라이머 내구성을 격감시켜 결국 보강부재(120)로부터 쉽게 탈거됨으로써 제품 품질의 하락의 결과를 초래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성능 및 방수성이 우수한 폴리우레아층(130)이 마련됨으로써 종래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장점을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익스테리어용 유니트는, 폴리우레아층(130)의 채용에 따른 내구성 향상으로 철판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제품의 경량화는 물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과, 폴리우레아층(130)의 채용에 따른 방수성 향상으로 고가의 스텐레스 재질의 보강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형물 본체로는 발포체가 채용되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 또는 합성목재와 같은 목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는 방수성, 접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우레아층이 마련됨으로써, 종래기술에 의해 기대할 수 없는 구성, 즉 상기 조형물 본체를 플라스틱 재지로 또는 합성목재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종래기술에 의하면 폴리우레탄층의 우수하지 못한 방수성 때문에 조형물 본체를 합성목재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 우수로 인한 목재썩음 현상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으로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를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B는 상기 조형물 본체(110)를 건물의 외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표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조형물 본체(210)는 시멘트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량체인 시멘트 몰탈이 채용되었다.
이와 같이 시멘트 몰탈이 채용되는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는, 일반적으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기는 하나 그 하중이 무거워 추락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단점과, 상기 시멘트 몰탈의 빗물에 의한 부식과 계절변화에 따라 동파로 인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폴리우레아층(220))의 물성 보강층이 형성됨으로써, 도 8의 비교표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시멘트 몰탈로 이루어지는 조형물 본체(21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제품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고 제품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과 시멘트 몰탈의 부식 및 동파를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형물 본체로 시멘트 몰탈이 채용되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철판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230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표면마감층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표면마감층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발포체인 조형물 본체(310)와,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조형물 본체(310)를 감싸는 형태로 그 조형물 본체(310)에 결합되는 시멘트 몰탈(320)과, 상기 시멘트 몰탈(320)의 외면에 마련되는 폴리우레아층(330)과, 상기 폴리우레아층(330)의 외면에 코팅되는 표면마감층(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폴리우라아층(330)의 우수한 방수성으로 인하여 상기 시멘트 몰탈(320)의 부식 또는 동파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폴리우레아층(330)의 우수한 접착성으로 인하여 상기 표면마감층(340)과 폴리우레아층(330)이 상기 시멘토 몰탈(32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폴리우레아층(330)의 우수한 내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시멘트 몰탈(320)의 경량화가 가능하여 제품의 전체적인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10,210:조형물 본체 120:보강부재
130,220:폴리우레아층 140:표면마감층

Claims (7)

  1. 구조물의 벽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으로써 외형을 이루는 조형물 본체;
    상기 조형물 본체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표면마감층; 및
    상기 조형물 본체와 표면마감층 사이에 배치되고, 폴리우레아 재질로 이루어진 폴리우레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 본체는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 본체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 본체는 목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 본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조형물 본체와 폴리우레아층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 본체는 시멘트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 본체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조형물 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발포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
KR1020100089601A 2010-09-13 2010-09-13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 KR20120027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601A KR20120027811A (ko) 2010-09-13 2010-09-13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601A KR20120027811A (ko) 2010-09-13 2010-09-13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811A true KR20120027811A (ko) 2012-03-22

Family

ID=4613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601A KR20120027811A (ko) 2010-09-13 2010-09-13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78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824B1 (ko) * 2012-10-04 2014-07-08 서경찬 건축용 외장 몰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64209B1 (ko) * 2020-07-21 2020-10-12 (주)제이엠멀티 데크로드용 난간 구조물
US11421429B1 (en) 2018-07-16 2022-08-23 Robert Dean Elzner Method of attaching molding, trim or panels to structur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824B1 (ko) * 2012-10-04 2014-07-08 서경찬 건축용 외장 몰딩재 및 그 제조방법
US11421429B1 (en) 2018-07-16 2022-08-23 Robert Dean Elzner Method of attaching molding, trim or panels to structures
US11866946B2 (en) 2018-07-16 2024-01-09 Robert Dean Elzner Method of attaching molding, trip, or panels to structures
KR102164209B1 (ko) * 2020-07-21 2020-10-12 (주)제이엠멀티 데크로드용 난간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6579Y1 (ko) 고강도 초경량 패널
CN100443679C (zh) 现场浇注硬泡聚氨酯复合聚苯板外保温系统及其施工工艺
KR101420487B1 (ko) 조립식 욕실용 하이브리드 벽판넬 구조
KR20120027811A (ko)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
KR200430548Y1 (ko) 건축물의 외벽장식용 조형물
KR200397710Y1 (ko) 실내 벽면마감용 판넬구조
KR100817912B1 (ko)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GB2475366A (en) Overcill
KR102047113B1 (ko) 연질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비노출형 3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20130027857A (ko) 건물외장용 콘크리트 패널
CN210263685U (zh) 一种装配式瓷砖墙板组件
CN208280672U (zh) 一种卫浴连接结构
JP5930860B2 (ja) スタータ兼シール受け部材
KR100934415B1 (ko) 유연성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 방법
KR100934413B1 (ko) 유연성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 방법
CN208415550U (zh) 一种环保中空隔热透气拼接式保温板
KR20200087498A (ko)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CN214575299U (zh) 一种外墙保温装饰成品板的防渗透结构
KR102177471B1 (ko) 습기 방지용 발코니 콘크리트 구조
JP3182566B2 (ja) 耐火パネル
KR101045503B1 (ko)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 및 그 마감캡이 구비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KR100934412B1 (ko) 유연성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 방법
WO2013015615A2 (ko) 조립식 욕실용 하이브리드 벽판넬 구조
KR101851445B1 (ko) 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의 외부 마감재
KR20070121495A (ko) 건축용 시멘트계 복합재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