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503B1 -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 및 그 마감캡이 구비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 및 그 마감캡이 구비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503B1
KR101045503B1 KR1020100072423A KR20100072423A KR101045503B1 KR 101045503 B1 KR101045503 B1 KR 101045503B1 KR 1020100072423 A KR1020100072423 A KR 1020100072423A KR 20100072423 A KR20100072423 A KR 20100072423A KR 101045503 B1 KR101045503 B1 KR 101045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exterior assembly
manufacturing
building exterio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숙
Original Assignee
강산이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산이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산이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2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03Discharging moulded articles from the mould
    • B29C37/0017Discharging moulded articles from the mould by stripping articles from mould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은, 구조물의 벽면에 간격을 두고 인접하게 설치되는 외부 몰딩재들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마감캡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외부 몰딩재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형틀의 외면에 마감재를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경화된 마감재를 상기 형틀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마감재를 상기 외부 몰딩재들 사이의 틈새를 메울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절단하여 복수의 마감캡들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 및 그 마감캡이 구비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Finishing cap manufacturing method for building exterior assembly and Building exterior assembly having finishing cap}
본 발명은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조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짐에 반하여 휨강도가 향상된 마감캡의 제조방법 및 그 마감캡이 구비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건물 내부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어 왔다. 최근에는 건물 내부의 인테리어는 별개로 건물 외부를 익스테리어하여 그 건물이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갖게 하는 시도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100)는,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브라켓(110)과, 상기 브라켓(110)에 결합되어 상기 외벽에 지지되는 내부 몰딩재(120)와 상기 내부 몰딩재(120)를 감싸는 형태로 그 내부 몰딩재(120)에 결합되는 외부 몰딩재(130)를 구비한다.
상기 브라켓(110)은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11)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111)로부터 그 고정부(11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 몰딩재(120)에 삽입되는 연장부(112)를 가진다. 상기 내부 몰딩재(120)는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는 발포체이며, 상기 외부 몰딩재(130)는 철판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발포체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100)는 원하는 길이에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것이 요구되는데, 도 1 내지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100)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마감캡(140)의 설치가 추가로 요구된다.
이러한 마감캡(140)은, 스티로폼을 상기 외부 몰딩재(130)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절단물을 일정크기로 절단함으로써 복수개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마감캡(140)의 제조방법은 절단과정에 필요한 설비로 인하여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고 절단을 포함한 가공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의 증대로 제품의 양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티로폼에 의해 형성된 마감캡(140)은, 상대적으로 내구성 및 휨강도가 약하여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져야 하기 때문에,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불필요한 돌출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100)와 부조화를 초래하게 되고, 인접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100)가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지 못하고 약간 서로 엇갈리게 위치된 경우에, 상하방향의 인장력을 지속적으로 받기 때문에 내구성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캡(240)이 철판 또는 금속류와 같은 경질 제품인 경우에는, 사출성형시 요구되는 금형 또는 절곡 및 절단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마감캡(240)와 외부 몰딩재(130)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게 되고, 그 공극에 실리콘과 같은 접착제가 채워짐에 따라 마감캡(240)의 두께가 일정치 못하고 단차지게 형성된 미관을 초래하게 됨으로써 건물외장용 어셈블리(100)와 부조화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품의 제조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슬림화된 규격에 의하여도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은, 구조물의 벽면에 간격을 두고 인접하게 설치되는 외부 몰딩재들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마감캡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외부 몰딩재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형틀의 외면에 마감재를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경화된 마감재를 상기 형틀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마감재를 상기 외부 몰딩재들 사이의 틈새를 메울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절단하여 복수의 마감캡들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형틀의 외면에 상기 마감재를 도포하기 이전에 그 형틀의 외면에 이형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재는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는, 각각 일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개방된 부분이 구조물의 벽면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서로 간격을 두고 인접하게 배치되는 외부 몰딩재들; 및 상기 외부 몰딩재들 사이의 틈새의 외부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몰딩재들의 인접한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크랙발생이 없이 휘어질 수 있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마감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캡은,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은, 첫째 신축성 및 탄성력이 우수한 마감재를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품의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둘째,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으면서도 내구성, 내마모성 및 인장력이 우수하여 제품의 슬림화가 가능하여 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마감재가 채용되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의 최초 디자인 컨셉이 영향받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제품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으면서도 내구성, 내마모성 및 인장력이 우수하여 제품의 슬림화를 가능하게 하고, 최초 디자인 컨셉이 마감캡에 의해 영향받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제품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종래기술의 다른 일례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대응되는 도면.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의 설치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감캡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공정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의 설치상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감캡 제조방법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감캡의 제조방법은 구조물의 벽면에 간격을 두고 인접하게 설치되는 외부 몰딩재(3)들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마감캡(21)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틀(1)의 외면에 마감재(2)를 도포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채용되는 형틀(1)은, 그 재질에 관계없이 상기 외부 몰딩재(3)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족하다. 예컨대, 상기 형틀로 구조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외부 몰딩재(3)를 그대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형틀 제작을 위한 별도로 금형설계가 요구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캡(21) 제조방법의 공정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채용되는 마감재(2)는, 크랙발생이 없이 휘어질 수 있는 연질의 재질 즉,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은 신축성이 자유롭고 탄성회복이 우수하며 내구성 및 내습성이 좋으며 자외선에 강한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재질의 마감재(2)를 이용한 본 실시예의 장점을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상기 폴리우레탄은 신축성과 탄성회복이 우수하기 때문에 [배경기술]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물외장용 어셈블리가 동일한 선상에 위치되지 못하고 엇갈리게 배치되는 경우에 종래기술에 의한 스티로폼이 지속적인 인장력을 받아 결국 파손되는 것과는 달리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하게 된다.
둘째, 상기 폴리우레탄의 신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특성으로 인하여 상기 마감재(2)는 두께가 3mm 이하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설명하면, 상기 폴리우레탄은 종래기술에 의한 스티로폼보다 얇은 두께로 더 우수한 강도를 가지는 마감재(2)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여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마감재로 인하여 건물 외관의 이미지가 단절되는 느낌을 주는 것과 같이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의 최초 디자인 컨셉이 영향받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내구성, 내습성 및 내마모성이 향상으로 제품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폴리우레아는 접착력, 내구성, 빠른 경화특성 및 방수성 등의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각종 금속재 코팅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우레아는, 상기 형틀(1)에 도포 후 1시간이면 제품이동이 가능할 정도로 경화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시공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과, 상기 외부 몰딩재(3)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과, 상기 폴리우레탄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두꺼운 마감재(2)로 인하여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의 최초 디자인 컨셉이 영향받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내구성, 내습성 및 내마모성이 향상으로 제품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또한, 상기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는 가볍고, 내구성ㆍ내충격성ㆍ내마모승 등이 우수하며, 녹슬지 않고 가공하기 쉬운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제품의 대량생산을 가능하며 하며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형틀(1)의 외면에 마감재(2)를 도 4와 같이 도포하고 도 5와 같이 그 마감재(2)를 경화시킨 이후에 도 6과 같이 그 경화된 마감재(2)를 상기 형틀(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형틀(1)은 상기 외부 몰딩재(3)와 동일한 스펙을 가지는 것으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마감재(2)와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마감재(2)를 형틀(1)으로부터 더욱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형틀(1)의 외면에 상기 마감재(2)를 도포하기 이전에 그 형틀(1)의 외면에 이형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한다. 이러한 이형층의 형성은 예컨대 공지의 이형필름을 상기 형틀(1)과 마감재(2) 사이에 배치시키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8과 같이 상기 분리된 마감재(2)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복수개의 마감캡(21)들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여기서, 일정 크기라 함은 상기 외부 몰딩재(3)들 사이의 틈새를 메울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첫째 신축성 및 탄성력이 우수한 마감재(2)를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품의 제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둘째,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으면서도 내구성, 내마모성 및 인장력이 우수하여 제품의 슬림화가 가능하여 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마감재(2)가 채용되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의 최초 디자인 컨셉이 영향받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제품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마감캡(21)은,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몰딩재들의 인접한 부분에 덧대어 고정된다.
즉, 상기 마감캡(21)의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마감캡(21)을 상기 외부 몰딩재(3)들의 인접한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외부몰딩재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설치된 마감캡(21)은, 상기 외부 몰딩재(3)들 사이의 틈새를 폐쇄시킴으로써 그 틈새의 노출로 건물 외관의 이미지가 단절되고 조잡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나아가 종래의 스티로폼 재질의 마감캡에 비해 제품의 슬림화를 가능하게 하고 내구성 및 내수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는, 외부 몰딩재(3)들과 마감캡(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 몰딩재(3)들은, 각각 일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개방된 부분이 구조물의 벽면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서로 간격을 두고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마감캡(21)은, 상기 외부 몰딩재(3)들 사이의 틈새의 외부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몰딩재(3)들의 인접한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고, 크랙발생이 없이 휘어질 수 있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감캡(21)은,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마감캡(21)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으면서도 내구성, 내마모성 및 인장력이 우수하여 제품의 슬림화를 가능하게 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의 최초 디자인 컨셉이 영향받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제품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몰딩재(3)의 내부에는 내부 몰딩재(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내부 몰딩재(4)로는, 폴리스티렌을 발포제의 작용으로 팽창시킨 스티로폼이 채용되었으나, 우레탄폼 또는 시멘트 몰탈 등이 채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외장용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 몰딩재(4)에 브라켓(5)이 삽입된 상태에서 그 브라켓(5)의 일측이 건물의 벽면에 고정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외부 몰딩재(3)를 관통하는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외부 몰딩재(3)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건물의 외벽에 견고히 지지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형틀 2:마감재
21:마감캡 3:외부 몰딩재
4:내부 몰딩재 5:브라켓

Claims (5)

  1. 구조물의 벽면에 간격을 두고 인접하게 설치되는 외부 몰딩재(3)들 사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마감캡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외부 몰딩재(3)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형틀(1)의 외면에 마감재(2)를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경화된 마감재(2)를 상기 형틀(1)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몰딩재(3)들 사이의 틈새를 커버하기 위한 복수의 마감캡(21)들을, 상기 분리된 마감재(2)를 절단함으로써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1)의 외면에 상기 마감재(2)를 도포하기 이전에 그 형틀(1)의 외면에 이형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2)는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00072423A 2010-07-27 2010-07-27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 및 그 마감캡이 구비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KR101045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423A KR101045503B1 (ko) 2010-07-27 2010-07-27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 및 그 마감캡이 구비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423A KR101045503B1 (ko) 2010-07-27 2010-07-27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 및 그 마감캡이 구비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5503B1 true KR101045503B1 (ko) 2011-06-30

Family

ID=44406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423A KR101045503B1 (ko) 2010-07-27 2010-07-27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 및 그 마감캡이 구비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5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019B1 (ko) 2011-08-18 2013-03-20 문병대 플라스틱 보강 외벽몰딩재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5087A (ko) * 2001-05-04 2002-11-16 방형철 천장몰딩의 신축 연결부재
JP2005068879A (ja) * 2003-08-26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外装材の接続構造
KR20070091757A (ko) * 2006-03-07 2007-09-12 주식회사 이레텍 건물장식용 장식몰딩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5087A (ko) * 2001-05-04 2002-11-16 방형철 천장몰딩의 신축 연결부재
JP2005068879A (ja) * 2003-08-26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外装材の接続構造
KR20070091757A (ko) * 2006-03-07 2007-09-12 주식회사 이레텍 건물장식용 장식몰딩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019B1 (ko) 2011-08-18 2013-03-20 문병대 플라스틱 보강 외벽몰딩재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6579Y1 (ko) 고강도 초경량 패널
US8499509B2 (en) Jamb assembly for door
KR101045503B1 (ko) 건물외장용 어셈블리에 채용되는 마감캡의 제조방법 및 그 마감캡이 구비된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KR20120008764A (ko) 마감용 판재
KR100752399B1 (ko) 조형물 및 그 조형물을 구비하는 구조물
KR100812642B1 (ko) 건물 장식용 인조석 몰딩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
KR102551702B1 (ko) 곡면 시공이 가능한 샌드위치 패널
US20080141608A1 (en) Foam core cement and urethane shutters
KR20210007206A (ko) 보드 및 석재 패널 복합체가 장착된 도어
KR20120027811A (ko) 건물 익스테리어 유니트
KR101532690B1 (ko) 내진보강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공법
JP2007190758A (ja) レジン被覆コンクリー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3418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패널
KR100882022B1 (ko) 노출콘크리트용 체결부재 및 체결부재 세트
KR102010629B1 (ko) 허니컴 구조를 이용한 플라스틱 거푸집
KR101197604B1 (ko) 강판의 엔드마크 방지용 슬리브
JP2008163605A (ja) ユニットバスの床パネル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4921957B2 (ja) ユニットバスの床パネル構造の製造方法
KR100771716B1 (ko) 건축물의 벽면부착형 조형물
JP2000017743A (ja) 目地充填部材および壁面構造
RU148338U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защитно-декоративная панель
KR200492720Y1 (ko) 인조석 블럭 제조용 금형
KR100711604B1 (ko) 하수맨홀 제작용 틀
KR20180097830A (ko) 섬유 보강 스페이서 및 그 제조 장치
KR100880662B1 (ko)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