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746A -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 - Google Patents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27746A KR20120027746A KR1020100089511A KR20100089511A KR20120027746A KR 20120027746 A KR20120027746 A KR 20120027746A KR 1020100089511 A KR1020100089511 A KR 1020100089511A KR 20100089511 A KR20100089511 A KR 20100089511A KR 20120027746 A KR20120027746 A KR 201200277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fixed
- rod
- contact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61—Balustrades with additional safety means for children, e.g. nets or fillings between balust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은 창호틀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호 대향되게 장착되는 고정유닛과, 전술한 고정유닛에 양단부가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양단 관통의 몸체봉과, 전술한 몸체봉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출입하면서 전술한 몸체봉이 전술한 고정유닛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술한 고정유닛측으로 탄성 반발력을 부여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불필요한 부재의 수를 줄이면서도 창호틀에 장착 또는 분리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에 관한 것이다.
고층의 다세대 주택 또는 학교 등과 같이 청소년이 거주하는 공간이 마련된 건물에서는 부주의로 인한 추락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창호틀에 난간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난간은 화재시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는 시급히 건물 밖으로 탈출하는데 오히려 지장을 주기 때문에 최근에 지어지는 건물에는 창호틀로부터 장착 또는 분리가 용이한 난간이 마련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난간은 창호틀로부터 탈착 결합이 가능하되, 장착된 상태에서는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비상시에는 즉각 창호틀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내구성을 지니면서도 비상시에는 즉각 분리하여 탈출이 가능한 구조를 지닌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추락 사고의 방지가 가능함은 물론 비상시 용이한 탈출이 가능하도록 분리될 수 있는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불필요한 부품의 수를 줄이고 원가 절감의 구현이 가능한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은 창호틀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호 대향되게 장착되는 고정유닛과, 전술한 고정유닛에 양단부가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양단 관통의 몸체봉과, 전술한 몸체봉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출입하면서 전술한 몸체봉이 전술한 고정유닛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술한 고정유닛측으로 탄성 반발력을 부여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우선, 고정유닛에 결합유닛으로 탄성 지지되는 몸체봉의 양단부가 장착되고, 유사시에는 즉각 분리가능한 구조에 따라 장착시에는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비상시에는 고정유닛측에 대하여 몸체봉의 결합유닛에 압력을 가하는 방법으로 즉시 분리시켜 창호틀로부터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정유닛에 의하여 몸체봉의 양단을 고정하는 구조를 채택하였으므로 몸체봉을 고정하기 위하여 창호틀 전체를 개조하거나 교체하고, 또는 별도의 고정용 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이 기존의 창호틀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유닛이 창호틀 뿐만 아니라 창호 주위의 구조물이라든가 건물의 벽체 등과 같은 구조물 사이에도 장착될 수 있으므로, 추락의 위험이 있는 곳이라면 어떤 곳에도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은 나타낸 분해 단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에 포함된 분실방지 어셈블리의 형상을 나타낸 개념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은 나타낸 분해 단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에 포함된 분실방지 어셈블리의 형상을 나타낸 개념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은 나타낸 분해 단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틀(400)에 고정되는 고정유닛(100)에 결합유닛(30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몸체봉(200)의 양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고정유닛(100)은 창호틀(400)의 양측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상호 대향되는 것으로, 각각의 중심부는 가상의 직선상에 일렬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후술할 몸체봉(200)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몸체봉(200)은 고정유닛(100)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와 같은 양단 관통의 부재이며, 실질적으로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창호틀(400)을 따라서 복수로 장착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합유닛(300)은 몸체봉(200)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출입하면서 몸체봉(200)이 고정유닛(1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유닛(100)측으로 탄성 반발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고정유닛(100)은 창호틀(400) 뿐만 아니라 창호 주위의 구조물이라든가 건물의 벽체 등과 같은 구조물 사이에도 추락의 위험이 있는 곳이라면 어떤 곳이든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본 발명의 주요부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고정유닛(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창호틀(400)에 고정되어 후술할 몸체봉(200)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와 같이 제1 고정몸체(110)와, 제1 고정몸체(110)와 결합되는 스터드(120)와, 제2 고정몸체(110')와, 제2 고정몸체(110')와 결합되는 스터드(1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1 고정몸체(110)는 일측이 개방되어 몸체봉(200)의 일단부에 장착된 후술할 결합유닛(300)을 수용하며 창호틀(400)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장착되는 몸체봉(200) 및 결합유닛(300)의 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통과 같은 부재이다.
여기서는 몸체봉(200)과 결합유닛(300)의 단부가 원형이라 가정하고 제1 고정몸체(110) 또한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라 가정하면 원판 형상의 접촉플레이트(112)와, 접촉플레이트(112)의 중앙부에 후술할 결합유닛(300)의 단부가 수용되게 함몰되는 수용홈(112')과, 수용홈(112')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결합유닛(300)의 단부를 감싸는 링 형상의 돌출턱(116)과, 돌출턱(116)이 형성된 접촉플레이트(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결합턱(118)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때, 돌출턱(116)의 외경(D1)은 몸체봉(200)의 외경(D2)과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몸체봉(200)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고정유닛(100)의 결합턱(118)에 안착되어 몸체봉(200)과 고정유닛(100) 상호간을 연결하는 마감관(210)이 더 마련되어 전술한 마감관(210)에 의하여 결합턱(118)과 몸체봉(200)의 외주면을 동시에 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감관(210)은 고정유닛(100)에 후술할 결합유닛(300)의 탄성 반발력으로 몸체봉(20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때 결합유닛(300)의 일부가 노출되며, 노출된 결합유닛(300)의 일부에 청소년들의 부주의로 손가락이나 신체 일부가 끼는 등으로 인하여 발생할 우려가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며, 또한 미관 향상을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제2 고정몸체(110')는 일측이 개방되어 몸체봉(200)의 타단부를 수용하며, 제1 고정몸체(110)와 대향되게 창호틀(400)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장착되는 몸체봉(200)의 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통과 같은 부재이다.
여기서는 몸체봉(200)의 단부가 원형이라 가정하고 제2 고정몸체(110) 또한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라 가정하면 원판 형상의 접촉플레이트(112)와, 접촉플레이트(112)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몸체봉(200)의 단부가 수용되도록 마련된 측벽(114)을 포함하는 구조로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터드(120)는 전술한 제1, 2 고정몸체(110, 110')의 중앙부에 각각 관통되어 창호틀(400)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1, 2 고정몸체(110, 110')를 각각 고정시키는 것으로, 단부에는 제1, 2 고정몸체(110, 11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너트(122)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결합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창호틀(400)측으로 고정유닛(100)에 탄성 반발력을 부여하면서 몸체봉(200)을 고정유닛(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동몸체(310)와 지지몸체(320) 및 스프링(3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동몸체(310)는 창호틀(400)을 향하여 밀착되게 몸체봉(200)으로부터 출입하면서 단부가 상기 고정유닛(100), 더욱 상세히는 수용홈(112')에 수용되는 부분으로, 이동체(312)와 접촉체(314)와 단턱(316)과 고정홈(318)을 포함한다.
지지몸체(320)는 몸체봉(200)의 일단부 내주면에 결합되어 이동몸체(310)가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이동몸체(310)를 수용하는 부분으로, 지지체(322)와 안착턱(324) 및 슬리브(326)를 포함한다.
스프링(330)은 이동몸체(310)에 내장되어 양단부가 이동몸체(310) 및 지지몸체(320)에 접촉되며, 창호틀(400)측을 향하여 밀어내는 방향으로 이동몸체(31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동몸체(310)의 이동체(312)는 지지몸체(320) 내부를 왕복하며 스프링(330)의 일단부와 접촉되며, 접촉체(314)는 이동체(312)의 일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어 수용홈(112')에 단부가 수용되거나 이격되는 부분이다.
이때, 단턱(316)은 이동체(312)와 접촉체(314)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지지몸체(320)의 단부, 즉 슬리브(326)에 걸리며, 고정홈(318)은 접촉체(314)의 단부로부터 이동체(312)측으로ㅍ함돌되어 고정유닛(100), 즉 수용홈(112')의 중앙부에 결합된 스터드(120)의 단부와 대응되게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지지몸체(320)의 지지체(322)는 일측은 밀폐되어 스프링(330)의 타단부가 안착되고, 타측은 개방되어 스프링(330)의 일단부와 접촉하는 이동몸체(310), 즉 이동체(312)가 출입하며, 몸체봉(200)의 내주면에 접촉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안착턱(324)은 지지체(322)의 개방된 타단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몸체봉(200)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부분이며, 슬리브(326)는 지지체(322)의 개방된 타단부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몸체(310), 즉 단턱(316)이 걸리는 부분이다.
이때, 이동몸체(310)와 지지몸체(320)에는 스프링(330)의 탄성 반발력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구조적인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지지몸체(320)는 스프링(330)의 탄성 반발력을 조절 가능하게 지지체(322)의 일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321)과, 지지체(322)의 일단부 내주면을 마감하는 원판 형상의 마감면(328) 외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327)이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2 나사산(321, 327)의 결합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하면서 스프링(330)이 신축하는 범위를 적절히 조절하면서 몸체봉(200)이 고정유닛(100)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분리할 때 용이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몸체봉(200)에는 비상시 몸체봉(200)을 고정유닛(10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탈출하더라도 몸체봉(200)이 고정유닛(10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추후 재사용 또는 수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분실방지 어셈블리(220)가 더 마련되도록 한다.
분실방지 어셈블리(220)는 도 3과 같이 몸체봉(20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제1, 2 고정체(222, 224)에 와이어(226)가 관통되어 고정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제1 고정체(222)는 일측이 밀폐되어 일단부의 가장자리가 몸체봉(200)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되어 타단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제2 고정체(224)는 양단이 관통되고 제1 고정체(222)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단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여기서, 제1 고정체(222)는 제1 고정체(222)의 타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제1 고정체(222)의 일단부측으로 절개되어 제2 고정체(224)의 삽입에 따라 제1 고정체(222) 타단부의 직경(D')이 변화하는 것을 허용하는 안내슬릿(221)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226)는 이러한 제1 고정체(222)의 밀폐된 일측에 관통되어 일단부는 고정유닛(100)의 제2 고정몸체(110')에 관통된 스터드(120') 단부와 결합된 고정너트(122)로써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이탈 방지를 위하여 걸림편(227)이 결합된다.
이때, 제1 고정체(222) 타단부의 직경(D')은 상기 몸체봉(200)의 내경(D)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어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하도록 하여 와이어(226) 단부의 걸림편(227)에 의하여 몸체봉(200)이 고정유닛(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의 설치 과정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7을 참고로 살펴보고자 하며, 분리 과정은 분실방지 어셈블리(220)와 몸체봉(200)의 체결 과정을 제외하고 서술할 설치 과정의 역순으로 실시하면 될 것이다.
참고로, 도 4 내지 도 7에서 표기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한다.
우선, 작업자는 도 4와 같이 창호틀(400) 또는 외벽의 가장자리에 각각 고정유닛(100)을 고정하고, 도 5와 같이 고정유닛(100)에 제1, 2 고정체(222, 224)가 결합된 와이어(226)를 연결한 다음 몸체봉(200)을 제1 고정체(222)와 결합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도 6과 같이 이동몸체(310)를 몸체봉(200)측으로 후퇴시켜 스프링(330)이 최대한 압축되도록 한 상태에서 몸체봉(200)의 타단부를 고정유닛(100)에 고정한다.
이때, 작업자가 몸체봉(200)의 타단부에 후퇴된 상태인 스프링(330)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도 7과 같이 이동몸체(310)는 스프링(330)의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수용홈(112')에 밀착된다.
최종적으로, 작업자는 몸체봉(200)의 일단부 외주면에 장착된 마감관(210)을 이동시켜 제1 고정몸체(110)의 결합턱(118)에 안착 고정시킴으로써 몸체봉(200)의 양단부가 고정유닛(100)에 각각 고정되는 일련의 작업이 마무리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추락 사고의 방지가 가능함은 물론 비상시 용이한 탈출이 가능하도록 분리될 수 있고, 불필요한 부품의 수를 줄이고 원가 절감의 구현이 가능한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고정유닛 110...제1 고정몸체
110'...제2 고정몸체 112...접촉플레이트
114...측벽 112'...수용홈
116...돌출턱 118...결합턱
120...스터드 122...고정너트
200..몸체봉 210...마감관
220...분실방지 어셈블리 221...안내슬릿
222...제1 고정체 224...제2 고정체
226...와이어 227...걸림편
300...결합유닛 310...이동몸체
312...이동체 314...접촉체
314...단턱 318...고정홈
320...지지몸체 321...제1 나사산
322...지지체 324...안착턱
326...슬리브 327...제2 나사산
328...마감면 330...스프링
400...창호틀
110'...제2 고정몸체 112...접촉플레이트
114...측벽 112'...수용홈
116...돌출턱 118...결합턱
120...스터드 122...고정너트
200..몸체봉 210...마감관
220...분실방지 어셈블리 221...안내슬릿
222...제1 고정체 224...제2 고정체
226...와이어 227...걸림편
300...결합유닛 310...이동몸체
312...이동체 314...접촉체
314...단턱 318...고정홈
320...지지몸체 321...제1 나사산
322...지지체 324...안착턱
326...슬리브 327...제2 나사산
328...마감면 330...스프링
400...창호틀
Claims (10)
- 창호틀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호 대향되게 장착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에 양단부가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양단 관통의 몸체봉; 및
상기 몸체봉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출입하면서 상기 몸체봉이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유닛측으로 탄성 반발력을 부여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는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몸체봉의 일단부에 장착된 상기 결합유닛을 수용하며, 상기 창호틀에 접촉되는 제1 고정몸체와,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몸체봉의 타단부를 수용하며, 상기 제1 고정몸체와 대향되게 상기 창호틀에 접촉되는 제2 고정몸체와,
상기 제1, 2 고정몸체의 중앙부에 각각 관통되어 상기 창호틀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1, 2 고정몸체를 각각 고정시키며 단부에 고정너트와 결합되는 스터드를 포함하는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봉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몸체봉 상호간을 연결하는 마감관이 장착되는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창호틀측을 향하여 밀착되게 상기 몸체봉으로부터 출입하면서 단부가 상기 고정유닛에 수용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몸체봉의 일단부 내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몸체가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이동몸체를 수용하는 지지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에 내장되어 양단부가 각각 상기 이동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에 접촉되며, 상기 창호틀측을 향하여 밀어내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몸체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몸체는,
상기 창호틀에 접촉되는 접촉플레이트와,
상기 접촉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상기 결합유닛의 단부가 수용되게 함몰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합유닛의 단부를 감싸는 링 형상의 돌출턱과,
상기 돌출턱이 형성된 상기 접촉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결합턱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턱의 외경은 상기 몸체봉의 외경과 같은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몸체는,
상기 창호틀에 접촉되는 접촉플레이트와,
상기 접촉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몸체봉의 타단부를 수용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몸체는,
상기 지지몸체 내부를 왕복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일단부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어 상기 고정유닛에 단부가 수용되는 접촉체와,
상기 이동체와 상기 접촉체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몸체의 단부에 걸리는 단턱과,
상기 접촉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이동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고정유닛의 중앙부에 대응되게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는,
일측은 밀폐되어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가 안착되고, 타측은 개방되어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와 접촉하는 상기 이동몸체가 출입하며, 상기 몸체봉의 내주면에 접촉되게 결합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개방된 타단부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몸체봉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턱과,
상기 지지체의 개방된 타단부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이동몸체가 걸리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 반발력을 조절 가능하게 상기 지지체의 일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과, 상기 지지체의 일단부 내주면을 마감하는 원판 형상의 마감면 외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산이 상호 결합되는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봉은,
일측이 밀폐되어 일단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몸체봉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되어 타단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제1 고정체와,
양단이 관통되고 상기 제1 고정체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단부로 갈수록 넓어지게 형성되는 제2 고정체와,
상기 제1 고정체의 타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고정체의 일단부측으로 절개되어 상기 제2 고정체의 삽입에 따라 상기 제 고정체 타단부의 직경이 변화하는 것을 허용하는 안내슬릿과,
제1 고정체의 밀폐된 일측에 관통되어 일단부는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되고, 타단부에 걸림편이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9511A KR101240491B1 (ko) | 2010-09-13 | 2010-09-13 |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9511A KR101240491B1 (ko) | 2010-09-13 | 2010-09-13 |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7746A true KR20120027746A (ko) | 2012-03-22 |
KR101240491B1 KR101240491B1 (ko) | 2013-03-11 |
Family
ID=4613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9511A KR101240491B1 (ko) | 2010-09-13 | 2010-09-13 |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049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5250B1 (ko) * | 2013-04-05 | 2013-07-11 | (주)한중기업 | 창호의 안전봉 |
KR101437781B1 (ko) * | 2013-06-18 | 2014-11-03 | 대구광역시 달서구 | 책상에 부설된 발받침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5365B1 (ko) | 2013-12-16 | 2014-06-11 | 경남미성산업(주) | 탈부착이 가능한 안전봉 조립체 |
KR101631566B1 (ko) * | 2015-10-13 | 2016-06-20 | 김재영 |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79351A (en) | 1986-06-16 | 1987-07-14 | Zarlengo Dominic A | Security bar for window opening |
JP3345326B2 (ja) | 1997-11-17 | 2002-11-18 | 曽根湯布院機械株式会社 | パイプ等取付具 |
KR100892496B1 (ko) | 2008-10-10 | 2009-04-10 | 이은옥 | 착탈식 추락방지 안전봉이 내설된 창호 |
KR100924235B1 (ko) * | 2009-03-13 | 2009-11-02 | 이은옥 | 탈착식 안전봉 어셈블리, 탈착식 안전봉 지지유닛, 그리고 안전봉 설치용 3중 창틀유닛 |
-
2010
- 2010-09-13 KR KR1020100089511A patent/KR10124049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5250B1 (ko) * | 2013-04-05 | 2013-07-11 | (주)한중기업 | 창호의 안전봉 |
KR101437781B1 (ko) * | 2013-06-18 | 2014-11-03 | 대구광역시 달서구 | 책상에 부설된 발받침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40491B1 (ko) | 2013-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0491B1 (ko) |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 | |
US10016644B2 (en) | End bracket for sprinkler and fixing apparatus for sprinkler including the same | |
US9068689B2 (en) | Apparatus and system to mount objects in proximity to ceiling structure | |
KR102054031B1 (ko) | 배수구 형성용 지지부재를 구비한 유리난간대 | |
JPWO2015129494A1 (ja) | 引戸クローザーセット | |
KR101880406B1 (ko) |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 |
KR101680968B1 (ko) | 갱폼 하부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 |
EP2522400B1 (en) | Support post assembly for a safety line system | |
KR20160109033A (ko) | 착탈식 안전난간대 | |
KR101885992B1 (ko) |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 |
KR101947751B1 (ko) | 난간용 로프의 텐션 유지장치 | |
KR20150091858A (ko) | 착탈식 안전난간대 | |
KR102105585B1 (ko) | 형틀 체결용 너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형틀 체결 장치 | |
KR20160019717A (ko) | 가설구조물용 수직재와 횡재의 연결구조 | |
KR102055604B1 (ko) | 휴먼 에러 예방을 위한 클라이밍 콘 앵커장치 | |
KR101448916B1 (ko) | 난간용 로프의 텐션 유지장치 | |
JP5576235B2 (ja) | 壁つなぎ取付金具 | |
KR20120001878U (ko) | 분진망 및 안전 네트의 장력조절장치 | |
KR102652961B1 (ko) | 체결 장치 및 체결 어셈블리 | |
KR101097180B1 (ko) | 볼트 체결용 인서트 | |
KR101971688B1 (ko) |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 | |
KR20140142832A (ko) | 분리형 안전난간 | |
KR20150038783A (ko) | 건축용 수직 안전망 | |
KR200489158Y1 (ko) | 창틀용 지지대 | |
KR101486730B1 (ko) | 건축물의 안전사고 방지용 창호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