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1858A - 착탈식 안전난간대 - Google Patents

착탈식 안전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1858A
KR20150091858A KR1020140012606A KR20140012606A KR20150091858A KR 20150091858 A KR20150091858 A KR 20150091858A KR 1020140012606 A KR1020140012606 A KR 1020140012606A KR 20140012606 A KR20140012606 A KR 20140012606A KR 20150091858 A KR20150091858 A KR 20150091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support member
bracket
washer
para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택
Original Assignee
홍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택 filed Critical 홍영택
Priority to KR1020140012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1858A/ko
Publication of KR20150091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고층건물, 아파트, 학교, 학원 등)의 베란다 또는 발코니 등에 설치되어 부주의로 인한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착탈식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신체에 장애가 있는 장애인학교 등에서 화재 등으로 베란다 또는 발코니를 통해 신속하게 피난할 경우에는 설치되었던 안전난간대를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분리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간부(31a)를 갖으며 건물의 일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31)와,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탄력 설치되는 탄성부재(35)와,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된 상태로 지지하는 스토퍼수단으로 브라켓(30)을 구성하여 난간봉(36)의 일단을 지지부재(31)의 내부로 밀어 넣어 탄성부재(35)를 압축시킨 후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35)의 복원력에 의해 난간봉(36)이 밀려나오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탈식 안전난간대{Removable Safety Parapet}
본 발명은 건물(고층건물, 아파트, 학교, 학원 등)의 베란다 또는 발코니 등에 설치되어 부주의로 인한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신체에 장애가 있는 장애인학교 등에서 화재 등으로 베란다 또는 발코니를 통해 신속하게 피난할 경우에는 설치되었던 안전난간대를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분리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베란다나 발코니를 통하여 이삿짐등의 물건을 운반하더라도 장애가 되지않는 착탈식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欄干)이란 층계, 다리 또는 건물의 베란다, 발코니 등에 설치하여 낙상(落傷)을 방지하고자 하는 안전용 울타리로써, 통상 금속으로 된 다수개의 봉들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난간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조립상태 종단면도로써, 플랜지(2)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플랜지(2)의 중앙부에 파이프(1) 끝에 삽입되도록 삽입관(2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2)의 가장자리 2∼4곳에 별도의 캡(4)을 용접 등의 방법이나 나사 등의 체결부재 없이 간편하게 압입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돌기(22)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2)의 삽입관(21)에 파이프(1) 끝단부분을 삽입시킨 뒤 파이프(1)와 삽입관(21)이 일치되는 부분에 직결피스 등의 체결부재(3)를 체결시킨 다음 캡(4)을 씌워 체결부재의 머리 부분이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안전바나 난간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파이프(1)의 끝에 직결나사 등의 체결부재(3)로서 플랜지(2)를 조립 고정시킨 것이기에 파이프(1)와 플랜지(2)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변형이나 틀어짐이 없어 조립성이 극대화되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즉, 파이프(1) 끝에 플랜지(2)를 결합시킬 때 플랜지(2)의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관(21)을 도 3과 같이 파이프(1)의 내부에 삽입시킨 뒤 파이프(1) 끝단과 삽입관(21)이 일치되는 부분에 3∼4개의 직결피스를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여 체결 고정시킴으로서 파이프(1) 끝에 플랜지(2)가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구조이다.
한편, 플랜지(2)를 파이프(1)에 결합시키기 전에 미리 파이프(1)에 캡(4)을 끼워 넣은 뒤 파이프(1)를 플랜지(2)에 고정시켜야만 파이프(1) 및 플랜지(2)의 조립부위가 폐쇄되므로 외관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7-0000333(2007.3.20.)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안전난간대는 베란다 또는 발코니에 고정 설치되는 타입이어서, 신속한 분리가 불가능하여 신체에 장애가 있는 장애인학교 등에서 화재 등으로 건물의 외부로 탈출하고자 할 때 고정 설치된 안전난간대로 인해 신속한 탈출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인명피해를 입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또한 아파트의 베란다를 통하여 이삿짐 등을 운반코자 할 때는 베란다에 설치된 안전난간대를 분해하여 다시 고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안전난간대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안전난간대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안전난간대로서의 역할을 하다가 필요에 따라 베란다 또는 발코니를 통해 피난하고자 할때에는 안전난간대를 신속하게 분리하여 베란다 또는 발코니를 통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으며, 이삿짐등을 베란다 또는 발코니를 통하여 운반코자 할 때에 안전난간대를 분리하여 이삿짐등의 물건을 운반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공간부를 갖으며 건물의 일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탄력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된 상태로 지지하는 스토퍼수단으로 브라켓을 구성하여 난간봉의 일단을 지지부재의 내부로 밀어 넣어 탄성부재를 압축시킨 후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난간봉이 밀려나오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안전난간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난간봉이 브라켓에 결합되어 안전난간대의 역할을 하다가 화재 등의 긴급상태가 발생되어 베란다 또는 발코니를 통해 안전하게 탈출하기 위해 탄성부재가 압축되도록 난간봉을 밀어 다른 일단에 위치하는 브라켓으로부터 난간봉의 결합상태를 해제하면 난간봉의 분리가 가능해지므로 난간봉이 제거된 공간을 통해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발명의 안전난간대가 설치된 베란다나 발코니를 통하여 이삿짐등의 물건을 운반하는 경우에도 안전난간대의 난간봉을 쉽게 분리할 수 있어서 물건을 이동시키는데 장애가 되지않는 안전난간대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난간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설치된 상태도로써,
도 8a는 안전난간대가 설치된 상태도
도 8b는 난간봉을 일 측으로 밀어 분리시키는 상태도
도 9는 난간봉의 양단에 본 발명의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조립상태 종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건물의 일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31)에 플랜지(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에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34)에 의해 지지부재(31)를 건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체결공(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재(31)의 내부에는 공간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1)의 내부에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5)가 탄력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탄성부재(35)는 스토퍼수단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지지되어 브라켓(30)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브라켓(30)의 지지부재(31) 내부로 난간봉(36)의 일단을 밀어 넣어 탄성부재(35)를 압축시킨 후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35)의 복원력에 의해 난간봉(36)이 밀려나오면서 난간봉(36)의 다른 일단이 반대편에 설치되는 공지의 브라켓(37)에 끼워져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토퍼수단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나타낸 도 4 및 도 5와 같이 지지부재(31)의 중심에 고정된 볼트(38)와, 상기 볼트에 끼워져 탄성부재(35)를 압축시키는 와셔(39)와, 상기 볼트(38)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40)로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너트(40)를 통상의 너트를 사용하여도 되지만, 상부가 폐쇄된 타입을 적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너트(40)의 상부가 폐쇄됨에 따라 지지부재(31)의 길이(ℓ1)보다 짧은 길이(ℓ2)로 고정된 볼트(38)에 탄성부재(35) 및 와셔(39)를 끼우고 볼트(38)에 너트(40)가 완전히 잠겨지도록 고정시키기만 하면 탄성부재(35)의 압축정도가 결정되므로 안전난간대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스토퍼수단을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 6 및 도 7과 같이 탄성부재(35)의 상부에 설치되어 탄성부재(35)를 압축시키는 와셔(39)와, 상기 지지부재(31)의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부(31b)에 나사 결합되면서 와셔(39)를 눌러주는 링형상의 볼트(41)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31)의 공간부(31a)에 내장되게 설치되는 탄성부재(35)를 와셔(39)에 의해 압축시킨 상태에서 링형상의 볼트(41)로 지지부재(31)의 공간부(31a)에서 탄성부재(35) 및 와셔(39)의 이탈을 방지함에 따라 지지부재(31)에 난간봉(36)의 일단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형상의 볼트(41)에 볼트를 지지부재(31)에 형성된 암나사부(31b)에 용이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공구삽입공(41a)을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부재(31)의 공간부(31a)에 난간봉(36)의 일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만 하여도 본 발명의 구성이 가능하지만, 브라켓(30)으로부터 난간봉(36)을 분리하더라도 브라켓에서 난간봉(36)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매달려 있도록 하기 위해 난간봉(36)의 일단에 걸고리(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고리에는 연결 끈(43)이 감싸져 중첩부위가 고정편(44)의 클립부(44a)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편(44)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45)를 이용하여 와셔(39)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 끈(43)은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면 어떠한 재질이던지 관계가 없으나, 금속재질의 와이어를 적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30)은 도 8a 및 도 8b와 같이 난간봉(36)의 일단에만 설치하고, 난간봉(36)의 다른 일단에는 공지의 브라켓(37)을 설치하여 구성하여도 가능하지만, 도 9와 같이 브라켓(30)을 난간봉(36)의 양단에 각각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a 및 도 8b와 같이 건물(46)의 일 측벽에 본 발명의 브라켓(30)을 고정하고 반대편에는 공지의 브라켓(37)을 고정한 상태에서 브라켓(30)(37)의 사이에 난간봉(36)을 고정하여 사용하다가 탈출 등을 목적으로 브라켓(30)(37)에서 난간봉(36)을 분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난간봉(36)의 길이(L1)는 브라켓(30)(37)의 끝단부 사이의 거리(L2)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어 지지부재(31)의 내부에 설치된 와셔(39)와 연결 끈(43)으로 고정된 난간봉(36)의 일단을 지지부재(31)의 공간부(31a)에 일치시키고 도면상 좌측으로 밀어 탄성부재(35)를 압축시키면 난간봉(36)의 일부가 지지부재(31)의 공간부(31a)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난간봉(36)의 길이(L1)가 브라켓(30)(37)사이의 거리(L2)보다 짧아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난간봉(36)의 다른 일단을 반대편에 설치된 브라켓(37)의 공간부(37a)에 일치시키고 난간봉(36)에 가해지던 외력을 제거하면 난간봉(36)은 압축되었던 탄성부재(35)의 복원력에 의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여 난간봉(36)의 다른 일단(우측)이 브라켓(37)의 공간부(37a)에 수용되므로 난간봉(36)의 설치가 완료된다.
즉, 지지부재(31)에 형성된 공간부(31a)의 깊이가 60mm이고 너트(40)에 의해 탄성부재(35)를 압축시키면서 조립된 와셔(39)의 설치위치(깊이)가 지지부재(31)의 단부로부터 10mm이며, 난간봉(36)에 의해 와셔(39)가 눌림에 따라 변형되는 탄성부재(35)의 압축된 길이가 10mm(40mm 압축)라고 가정하면, 난간봉(36)의 30mm가 다른 일단에 설치된 브라켓(37)에 수용되도록 조립 가능하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브라켓(30)(37)의 단부 사이의 거리(L2)를 2000mm로, 난간봉(36)의 길이(L1)는 2020mm로, 그리고 브라켓(37)의 공간부(37a) 깊이(L3)는 20mm로 설정하였다고 가정한다.
이때, 브라켓(37)의 공간부(37a)에 난간봉(36)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삽입제어관(47)을 설치하면 난간봉(36)의 양측에 설최되는 브라켓(30)(37)의 길이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한 상태에서 난간봉(36)의 일단을 도면상 좌측에 위치하는 지지부재(31)의 공간부(31a)에 일치시키고 도면상 좌측으로 힘을 가하면 탄성부재(35)가 압축되면서 공간부(31a)의 내부로 난간봉(36)의 40mm가 수용되므로 브라켓(30)의 외부로 노출된 난간봉(36)의 길이는 1990mm가 되어 탄성부재(35)에 가했던 힘을 줄이면서 난간봉(36)을 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시켜 브라켓(37)의 공간부(37a)에 끼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2000mm의 간격이 유지되게 설치된 브라켓(30)(37)의 사이에 끼워진후 난간봉(36)에 작용되던 외력을 완전히 제거하면 난간봉(36)은 탄성부재(35)의 복원력에 의해 도면상 우측의 브라켓(37)의 공간부(37a)에 설치된 삽입제어관(47)까지 이동하여 조립되므로 난간봉(36)이 브라켓(30)(37)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건물 내의 화재 등으로 베란다 또는 발코니를 통해 안전하게 탈출하기 위해 브라켓(30)(37)에서 난간봉(36)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난간봉(36)을 도 8a에 나타낸 화살표방향과 같이 도면상 좌측으로 밀면 우측에 위치된 브라켓(37)으로부터 난간봉(36)의 일단이 일점쇄선과 같이 빠져나오게 되므로 난간봉(36)의 분리가 가능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난간봉(36)이 분리된 베란다 또는 발코니를 통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란다 또는 발코니를 통하여 이삿짐의 물건을 나르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난간봉을 분리시켜 놓으면 안전난간대가 물건을 이동시키는데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으며 작업을 종료한 후 안전난간대를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이때, 난간봉(36)의 일단이 브라켓(30)의 내부에 위치된 와셔(39)와 연결 끈(43)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브라켓(30)(37)으로부터 난간봉(36)을 분리하더라도 난간봉(36)이 도 8b와 같이 브라켓(30)에 매달려 있게 되므로 난간봉(36)의 재조립 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난간봉(36)이 분리되어 지상으로 낙하함으로써 위해를 가져오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난간봉(36)의 분리 시 난간봉(36)을 좌측으로 이동하여야만 분리가 가능하지만,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브라켓(30)을 양측에 설치한 경우에는 방향성에 구애받지 않고 난간봉(36)의 분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작업은 설치되는 난간봉(36)의 개수에 따라 동일하게 실시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 : 브라켓 31 : 지지부재
31a : 공간부 35 : 탄성부재
36 : 난간봉 37 : 브라켓
38 : 볼트 39 : 와셔
40 : 너트 43 : 연결 끈
47 : 삽입제어관

Claims (7)

  1. 공간부(31a)를 갖으며 건물의 일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31)와,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탄력 설치되는 탄성부재(35)와,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된 상태로 지지하는 스토퍼수단으로 브라켓(30)을 구성하여 난간봉(36)의 일단을 지지부재(31)의 내부로 밀어 넣어 탄성부재(35)를 압축시킨 후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35)의 복원력에 의해 난간봉(36)이 밀려나오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안전난간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이, 지지부재(31)의 중심에 고정된 볼트(38)와, 상기 볼트에 끼워져 탄성부재(35)를 압축시키는 와셔(39)와, 상기 볼트(38)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안전난간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너트(40)의 상부가 폐쇄된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안전난간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이, 탄성부재(35)의 상부에 설치되어 탄성부재(35)를 압축시키는 와셔(39)와, 상기 지지부재(31)의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부(31b)에 나사 결합되면서 와셔(39)를 눌러주는 링형상의 볼트(4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안전난간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간봉(36)의 일단이 와셔(39)에 연결 끈(43)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안전난간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0)이 난간봉(36)의 일단에만 설치되고, 난간봉(36)의 다른 일단에는 공지의 브라켓(3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안전난간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0)이 난간봉(36)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안전난간대.
KR1020140012606A 2014-02-04 2014-02-04 착탈식 안전난간대 KR20150091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606A KR20150091858A (ko) 2014-02-04 2014-02-04 착탈식 안전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606A KR20150091858A (ko) 2014-02-04 2014-02-04 착탈식 안전난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858A true KR20150091858A (ko) 2015-08-12

Family

ID=5405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606A KR20150091858A (ko) 2014-02-04 2014-02-04 착탈식 안전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185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844B1 (ko) * 2020-08-06 2021-02-18 김율권 견고한 설치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마감용 금속구조물
KR102216840B1 (ko) * 2020-08-06 2021-02-18 김율권 공동주택의 안전난간용 금속구조물
KR102216843B1 (ko) * 2020-08-06 2021-02-18 김율권 내구성 향상 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금속구조물
US11225798B1 (en) 2016-11-03 2022-01-18 David W Moeller Decorative shoe for balusters
US11359380B2 (en) * 2020-08-07 2022-06-14 ARME Solutions, LLC Removable spindle for banist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5798B1 (en) 2016-11-03 2022-01-18 David W Moeller Decorative shoe for balusters
KR102216844B1 (ko) * 2020-08-06 2021-02-18 김율권 견고한 설치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마감용 금속구조물
KR102216840B1 (ko) * 2020-08-06 2021-02-18 김율권 공동주택의 안전난간용 금속구조물
KR102216843B1 (ko) * 2020-08-06 2021-02-18 김율권 내구성 향상 구조를 갖는 공동주택의 금속구조물
US11359380B2 (en) * 2020-08-07 2022-06-14 ARME Solutions, LLC Removable spindle for banis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1858A (ko) 착탈식 안전난간대
KR20160109033A (ko) 착탈식 안전난간대
US9132307B2 (en) Trampoline swingset suspension
US9744387B1 (en) Fixing device
KR101749907B1 (ko) 로프 난간대
KR101240491B1 (ko) 탈착 가능한 창호용 안전난간 모듈
CN209670383U (zh) 建筑洞口临边防护装置
KR20140142832A (ko) 분리형 안전난간
JP5279073B2 (ja) ワイヤを仕切り要素とする防護柵
KR200446583Y1 (ko) 베란다용 착탈식 난간대
CN202810609U (zh) 安全防护栏
KR101559242B1 (ko) 안전난간대
KR200464652Y1 (ko) 그네줄 길이조절용 클립조립체
KR200489405Y1 (ko) 맞춤형 낙하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KR101308269B1 (ko) 엘리베이터의 핸드레일 지지기구
KR20160003751U (ko) 생명선 설치용 지주
KR200451612Y1 (ko) 케이블 연결 커넥터
KR101678655B1 (ko) 난간 조립체
KR200486003Y1 (ko) 사다리 발판 모서리 안전커버
CN205712465U (zh) 一种阳台隔墙外挑自由端构造柱简易安全架
KR101623955B1 (ko) 메시 난간
KR200384090Y1 (ko) 베란다용 난간대
KR200378350Y1 (ko) 난간 설치용 수직바 연결부재
KR200426328Y1 (ko) 거푸집 작업발판의 고정부재 보호캡
KR101610320B1 (ko) 공동주택 발코니용 목재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