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148A - 1-부텐 중합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1-부텐 중합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148A
KR20120027148A KR1020117024262A KR20117024262A KR20120027148A KR 20120027148 A KR20120027148 A KR 20120027148A KR 1020117024262 A KR1020117024262 A KR 1020117024262A KR 20117024262 A KR20117024262 A KR 20117024262A KR 20120027148 A KR20120027148 A KR 20120027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ene
formula
alkyl
donor
comp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7310B1 (ko
Inventor
잔니 비탈레
파브리치오 피에몬테시
이네스 밍고치
이사벨라 마리아 비토리아 카무라티
잠파올로 펠레가티
Original Assignee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20027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0/08But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0/00Hom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10/08But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8But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02Carriers therefor
    • C08F4/022Magnesium halide as support anhydrous or hydrated or complexed by means of a Lewis base for Ziegler-type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06Metallic compounds other than hydrides and other than metallo-organic compounds; Boron halide or aluminium halide complexes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F4/16Metallic compounds other than hydrides and other than metallo-organic compounds; Boron halide or aluminium halide complexes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f silicon, germanium, tin, lead,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5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selected from boron, aluminium, gallium, indium, thallium or rare earth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하기를 포함하는 촉매계가 존재하는 중합 조건 하에 1-부텐 또는 1-부텐 및 하나 이상의 알파 올레핀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1-부텐 단일중합체 또는 1-부텐/알파 올레핀 공중합체 {상기 알파 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화학식 CH2=CHZ (상기 Z 는 C3-C20 알킬 라디칼임) 의 알파 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됨} 의 제조 방법:
(a) MgCl2 에 지지된 Ti 화합물 및 내부 전자-공여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성분;
(b) 알킬알루미늄 조촉매; 및
(c) 외부 공여체로서 하기 화학식 (I) 의 화합물:
Figure pct00013

[식 중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R1, R2, R3 및 R4 는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17 족에 속하는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20 탄화수소 라디칼이거나; 두 개의 R1, R2, R3 및 R4 가 결합하여 C5-C20 포화 또는 불포화 고리를 형성할 수 있음].

Description

1-부텐 중합체의 제조 방법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 OF 1-BUTENE}
본 발명은 티탄 마그네슘 및 특정 부류의 외부 공여체를 함유하는 촉매계를 사용함으로써 탄성을 갖는 1-부텐계 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낮은 동일배열성 (isotacticity) 및 탄성 거동을 갖는 특정한 부텐-1 (공)중합체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부텐-1 (공)중합체는, 플라스틱 물질의 밀봉 강도, 가요성 및 유연성과 같은 특정 성질을 조절하기 위해서, 다른 폴리올레핀, 또는 중합체 생성물과의 배합물의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부텐-1 (공)중합체는 지붕판, 노면 물질, 및 밀봉 조성물의 제조시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오일 점도 향상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에 사용되기 위해서, 중요한 특징은 플라스틱 특성 및 탄성 간의 적합한 절충 및 양호한 가공성이고, 이는 결국 중합체의 결정질 및 비결정질 부분 간의 양호한 균형으로부터 유래한다.
낮은 동일배열성 (isotacticity) 및 탄성 거동을 갖는 특정한 부텐-1 (공)중합체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부텐-1 (공)중합체는, 플라스틱 물질의 밀봉 강도, 가요성 및 유연성과 같은 특정 성질을 조절하기 위해서, 다른 폴리올레핀, 또는 중합체 생성물과의 배합물의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부텐-1 (공)중합체는 지붕판, 노면 물질, 및 밀봉 조성물의 제조시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오일 점도 향상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에 사용되기 위해서, 중요한 특징은 플라스틱 특성 및 탄성 간의 적합한 절충 및 양호한 가공성이고, 이는 결국 중합체의 결정질 및 비결정질 부분 간의 양호한 균형으로부터 유래한다.
WO 2006/042815 에는 MgCl2 에 지지된 Ti 화합물 및 내부 전자-공여체 화합물; (B) 촉매의 입체규칙 능력을 증가시키지 않기 위해 외부 전자 공여체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알킬알루미늄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계를 사용함으로써 1-부텐계 중합체의 특징을 향상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은 특정 부류의 외부 공여체를 사용함으로써, WO 2006/042815 에서 수득되는 것보다 낮은 입체규칙성을 갖는 1-부텐계 중합체를 얻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공여체를 사용함으로써 입체규칙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반면, 티탄계 촉매계 내의 외부 공여체가 중합체의 입체규칙성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완전히 뜻밖이었다.
WO 91/00875 는 내부 공여체로서 베라트롤 또는 이의 유도체가 프로필렌 및 1-부텐을 중합하기 위해 외부 공여체 없이 사용된 4가 티탄 할라이드 기재 촉매계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촉매의 활성은 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출원인은 유사한 화합물이 외부 공여체로서 사용되는 경우, 1-부텐의 탄성 중합체가 양호한 수율로 수득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화합물을 내부 공여체 대신에 외부 공여체로서 사용함으로써 상이한 내부 공여체를 사용하는 촉매의 특성을 미세하게 조정하면서, 외부 공여체를 제어함으로써 동일배열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목적은 하기를 포함하는 촉매계가 존재하는 중합 조건 하에 1-부텐 또는 1-부텐 및 하나 이상의 알파 올레핀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1-부텐 단일중합체 또는 1-부텐/알파 올레핀 공중합체 {상기 알파 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화학식 CH2=CHZ (상기 Z 는 C3-C20 알킬 라디칼임) 의 알파 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됨} 의 제조 방법이다:
(a) MgCl2 에 지지된 Ti 화합물 및 내부 전자-공여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성분;
(b) 알킬알루미늄 조촉매; 및
(c) 외부 공여체로서 하기 화학식 (I) 의 화합물:
Figure pct00001
[식 중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R1, R2, R3 및 R4 는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17 족에 속하는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20 탄화수소 라디칼이거나; 두 개의 R1, R2, R3 및 R4 가 결합하여 C5-C20, 바람직하게는 C5-C10 포화 또는 불포화 고리, 예컨대 페닐 또는 나프틸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고리는 C1-C10 탄화수소 라디칼로 치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R1, R2, R3 및 R4 는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17 족에 속하는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20-알킬, C6-C20-아릴, C7-C20-알킬아릴 또는 C7-C20-아릴알킬 라디칼이거나; 두 개의 R1, R2, R3 및 R4 가 결합하여 C5-C10 포화 또는 불포화 고리를 형성할 수 있음].
활성 형태의 염화 마그네슘은 바람직하게는 지지체로서 사용된다. 활성 형태의 염화 마그네슘이 특히 지글러-나타 촉매를 위한 지지체로서 적합하다는 것은 특허 문헌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특히, USP 4,298,718 및 USP 4,495,338 에는 첫번째로 지글러-나타 촉매 작용에서의 상기 화합물의 용도가 기술되어 있다. 올레핀 중합을 위한 촉매 성분에서 지지체 또는 보조-지지체로서 사용되는 활성 형태의 이할로겐화 마그네슘이, 비활성 할라이드의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가장 강한 회절선의 강도가 약화되고, 최대 강도가 더욱 강한 선의 각도에 비해 낮은 각도를 향해 옮겨진 할로에 의해 대체되는 X-선 스펙트럼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이 상기 특허들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촉매 성분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티탄 화합물은 TiCl4 및 TiCl3 이다; 게다가, 또한 화학식 Ti(OR)n- yXy [식 중, n 은 티탄의 원자가이고, X 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이고, y 는 1 내지 n 의 수이고, R 은 탄소수 1-18 의 탄화수소 라디칼임] 의 Ti-할로알코올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내부 전자-공여체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노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벤조산, 또는 폴리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프탈산 또는 숙신산의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 에스테르 (상기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기는 1 내지 18 의 탄소 원자를 가짐) 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내부 공여체는 가능하게는 치환된 프탈산의 C1-C20 알킬 에스테르이다. C1-C6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정 예는 디에틸 프탈레이트, 디-n-프로필 프탈레이트, 디-n-부틸 프탈레이트, 디-n-펜틸 프탈레이트, 디-i-펜틸 프탈레이트, 비스(2-에틸헥실) 프탈레이트, 에틸-이소부틸 프탈레이트, 에틸-n-부틸 프탈레이트, 디-n-헥실 프탈레이트,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이다. 일반적으로, 내부 전자 공여체 화합물은 MgCl2 에 대한 몰비 0.01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로 사용된다.
고체 촉매 성분은 여러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고체 촉매 성분은 화학식 Ti(OR)n- yXy [식 중, n 은 티탄의 원자가이고, y 는 1 내지 n 의 수임] 의 티탄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TiCl4 를 화학식 MgCl2?pROH [식 중, p 는 0.1 내지 6,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5 의 수이고, R 은 탄소수 1-18 의 탄화수소 라디칼임] 의 부가물로부터 유래하는 염화마그네슘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부가물은 부가물의 용융 온도 (100-130℃) 의 교반 조건 하에 작동시키면서, 상기 부가물과 혼화되지 않는 비활성 탄화수소의 존재 하에 알코올 및 염화마그네슘을 혼합함으로써 구체 형태로 적합하게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에멀전을 신속히 켄치함으로써, 구체 입자 형태로 부가물을 고체화시킨다. 상기 절차에 따라 제조되는 구체 부가물의 예는 USP 4,399,054 및 USP 4,469,648 에 기술되어 있다. 이렇게 산출되는 부가물은 Ti 화합물과 직접 반응될 수 있거나, 알코올의 몰수가 일반적으로 3 미만,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 인 부가물을 산출하도록 미리 열 제어 탈알코올화 (80-130℃) 시킬 수 있다. Ti 화합물과의 반응은 저온 TiCl4 (일반적으로 0℃) 중에 부가물 (탈알코올화된 것 또는 그러한 것) 을 현탁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혼합물을 80-130℃ 까지 가열하고, 상기 온도에서 0.5-2 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TiCl4 를 사용하는 처리는 1 회 이상 수행될 수 있다. TiCl4 를 사용한 처리 동안 내부 전자 공여체 화합물이 첨가될 수 있다. 전자 공여체 화합물을 사용하는 처리는 1 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촉매 성분을 구체 형태로 제조하는 것은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출원 EP-A-395083, EP-A-553805, EP-A-553806, EPA-601525 및 WO 98/44001 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수득되는 고체 촉매 성분은 (B.E.T. 방법에 의한) 표면적이 일반적으로 20 내지 500 ㎡/g,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400 ㎡/g 이고, (B.E.T. 방법에 의한) 전체 공극율이 0.2 ㎤/g 초과,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6 ㎤/g 이다. 10,000 Å 이하의 반지름을 갖는 기공으로 인한 공극율 (Hg 방법) 은 일반적으로 0.3 내지 1.5 ㎤/g, 바람직하게는 0.45 내지 1 ㎤/g 의 범위이다.
알킬-Al 화합물 (b) 은 바람직하게는 트리알킬 알루미늄 화합물, 예를 들어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n-부틸알루미늄, 트리-n-헥실알루미늄, 트리-n-옥틸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된다. 또한 알킬알루미늄 할라이드, 알킬알루미늄 수소화물 또는 알킬알루미늄 세스퀴클로라이드를 갖는 트리알킬알루미늄, 예컨대 AlEt2Cl 및 Al2Et3Cl3 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부 공여체 (C) 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a) 및 (Ib) 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02
[식 중에서, R1 및 R2 는 수소 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20-알킬 라디칼임],
Figure pct00003
[식 중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R1, R4, R5, R6, R7 및 R8 은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17 족에 속하는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10 탄화수소 라디칼임]. 바람직하게는 R1, R4, R5, R6, R7 및 R8 은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17 족에 속하는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10-알킬, C6-C12-아릴, C7-C12-알킬아릴 또는 C7-C12-아릴알킬 라디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 R4, R5, R6, R7 및 R8 은 수소 원자이다.
외부 전자 공여체 화합물 (C) 은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및 상기 전자 공여체 화합물 사이의 몰비 (Al/ED) 가 2 초과가 되는 양으로 공급되고,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 에 포함된다.
예비중합 단계에서 상기 촉매를 예비-중합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기 예비중합은 액체 (슬러리 또는 용액) 또는 기상에서, 일반적으로 10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비중합 단계는 필요한 시간 동안 소량의 단량체와 함께 실행되어 고체 촉매 성분 g 당 0.5 내지 2000 g, 바람직하게는 고체 촉매 성분 g 당 5 내지 50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g 의 양으로 중합체를 산출한다.
중합 공정은 공지된 기술, 예를 들어 희석액으로서 액체 비활성 탄화수소를 사용하는 슬러리 중합, 또는 예를 들어 반응 매질로서 액체 부텐-1 을 사용하는 용액 중합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게다가, 중합 공정을 하나 이상의 유동화 또는 기계적 교반층 반응기에서 작동시키면서, 기상에서 실행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반응 매질로서 액체 부텐-1 에서 수행되는 중합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은 일반적으로 2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상기 중합은 분자량 조절제의 농도, 공단량체 농도, 외부 전자 공여체 농도, 온도, 압력 등과 같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반응 조건 하에서 작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반응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둘 이상이 사용되는 경우, 설정은 제 1 반응기로부터 발생하는 단량체/촉매/중합체 반응 혼합물이 연속적인 방식으로 공급되는 캐스캐이드 방식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평행 설정시, 자체적인 공급 시스템이 장착된 둘 이상의 반응기는 독립적으로 작동하고, 이들 반응기들로부터 발생하는 단량체/촉매/중합체 반응 혼합물은 함께 수집되고 마무리 섹션으로 향한다. 상이한 조건 하에 둘 이상의 반응기에서의 작동은 두 개의 반응기에서의 상이한 평균 분자량 및/또는 상이한 입체규칙성을 갖는 부텐-1 (공)중합체의 제조를 유도할 수 있다. 게다가, 상이한 조건 하의 하나 초과의 반응기에서의 작동은 최종 중합체의 특성을 적절하게 조정하도록 여러 중합 단계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기술은, 매우 높은 함량의 자일렌 가용성 부분을 갖는 생성물이 생성되는 경우 채택될 수 있다. 사실, 상기 생성물은 펠렛화와 같은 특정 작동 동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일련의 두 개의 별개의 반응기에서의 상이한 함량의 자일렌 불용성 부분을 갖는 두 개의 중합체의 생성이 동일한 양의 최종 자일렌 불용성 부분을 갖는 오로지 하나의 중합 단계로부터 유래하는 생성물보다 가공성이 더 나은 최종 생성물을 유도한다는 것을 주목하였다. 이는 예를 들어 오로지 하나 이상의 선택된 반응기에서만, 촉매를 더욱 입체특이적이 되게 하는 소량의 외부 공여체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2-단계 중합으로부터 수득되는 (공)중합체는 단일 세트의 중합 조건을 통해 수득되는 공중합체로서의 동일한 용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매우 낮은 동일배열성, 즉 mmmm 펜타드가 10 %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27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24 % 에 포함되고, 양호한 탄성을 가지면서 25℃ 에서의 낮은 값의 자일렌 불용물을 갖는 중합체를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수득되는 중합체는 4,1 삽입된 부텐 단위를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1-부텐 단일중합체 및 1-부텐/알파 올레핀 공중합체를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알파 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화학식 CH2=CHZ [식 중, Z 는 C3-C20 알킬 라디칼임] 의 알파 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되며, 화학식 CH2=CHZ 의 알파 올레핀의 예는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4,6-디메틸-1-헵텐, 1-데센, 1-도데센이다. 바람직하게는 1-부텐 단일중합체, 1-부텐/에틸렌, 1-부텐/프로필렌 또는 1-부텐/헥산이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어 공중합체는 공단량체 함량이 50 mol%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되는 1-부텐 공중합체에서의 공단량체의 양은 0.1 내지 20 mol%;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mol%;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mol% 의 범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많은 응용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이러한 응용 각각을 위해서, 관련 전문가들은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남 없이, 특정 성질을 부여할 수 있는 추가의 중합체 성분, 첨가제 (예컨대,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방식제, 조핵제, 가공 보조제, 오일 등) 및 유기 및 무기 충전제를 추가할 수 있다.
실시예
중합체 특징
13 C NMR 분석
120℃ 에서 이중수소화된 1,1,2,2-테트라클로로-에탄 중의 중합체 용액 (8-12 중량%) 에 대해 13C-NMR 스펙트럼을 수행하였다. 1H-13C 커플링을 제거하기 위해 펄스 및 CPD (WALTZ65_64pl) 사이의 15 초의 지연, 90° 펄스를 사용하는 120℃ 에서의 푸리에 (Fourier) 변환 방식으로 100.61 MHz 에서 작동하는 Bruker DPX-400 분광계에서 13C-NMR 스펙트럼을 수득하였다. 60 ppm (0-60 ppm) 의 스펙트럼 창을 사용하는 32K 데이타 지점에서 약 1500-2000 개의 트랜션트 (transient) 가 저장되었다.
부텐 /프로필렌 공중합체에서의 공단량체 함량
하기와 같이 계산되는 디아드 (diad) 분포 ([P] = [PP]+0.5[PB]) 로부터 프로필렌 함량을 수득하였다:
PP = A/Σ
BP = B/Σ
BB = C/Σ
[식 중에서, A, B, C 는 13C-NMR 스펙트럼에서 연관된 피크 구역의 적분 (동일배열 BBBBB 펜타드의 분지에서 CH2 탄소로 인한 27.73 ppm 에서의 피크가 내부 기준으로서 사용됨) 이고, Σ = A + B + C 임]. 스펙트럼 구역은 [H. N. Cheng, Journal of Polymer Science , Polymer Physics Edition , 21, 573 (1983)] 에 따라 할당되고, 하기 표 A 에 기록하였다.
[표 A]
Figure pct00004
13 C NMR 에 의한 mmmm % 의 측정
분지 메틸렌 탄소 구역에서의 펜타드 신호는 [Carbon-13 NMR Spectral Assignment of Five Polyolefins Determined from the Chemical Shift Calculation and the Polymerization Mechanism, T. Asakura and others, Macromolecules 1991, 24 2334-2340] 에 따라 할당되었다.
표 1 에 기록된 mmmm% 를 100(Immmm)/(Itot) 로서 계산하였다.
4,1 삽입 부텐 단위의 측정
부텐 단일중합체 또는 부텐/프로필렌 공중합체에서의 4,1 부텐 단위의 부재는, [V. Busico, R. Cipullo, A. Borriello, Macromol. Rapid. Commun. 16, 269, (1995)] 에 따른 할당, 배열 - C H(CH2CH3)-(CH2)5- C H(CH2CH3)- 에서의 CH 탄소로 인한 37.3 ppm 에서의 피크를 찾는 상술된 실험 조건을 사용하는 13C-NMR 분광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 GPC ) 에 의한 MWD 측정
4 개의 PLgel Olexis 혼합-겔의 컬럼 세트 (Polymer Laboratories) 및 IR4 적외선 검출기 (PolymerChar) 가 장착된 Waters GPCV 2000 장치를 사용하여 모든 샘플에 대한 분자량 파라미터 및 분자량 분포를 측정하였다. 컬럼 치수는 300×7.5 mm 였고, 입자 크기는 13 ㎛ 였다. 사용된 이동상은 1-2-4-트리클로로벤젠 (TCB) 이었고, 이의 흐름 속도를 1.0 ㎖/분으로 유지시켰다. 모든 측정은 150℃ 에서 수행하였다. 용액 농도는 TCB 중에서 0.1 g/dL 였고, 0.1 g/ℓ 의 2,6-디터부틸-p-크레졸을 첨가하여 분해를 방지하였다. GPC 계산을 위해서, Polymer Laboratories 에 의해 공급된 10 개의 폴리스티렌 (PS) 표준 샘플을 이용하여 만능 보정 곡선을 수득하였다 (580 내지 8500000 범위의 피크 분자량). 실험 데이타를 보간하고 연관 보정 곡선을 수득하기 위해서 3 차 다항식 피트를 사용하였다. Empower (Waters) 를 이용하여 데이타 취득 및 과정을 수행하였다. 마크-호우윙크 (Mark-Houwink) 관계식을 이용하여 분자량 분포 및 관련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PS 및 PB 에 대한 각각의 K 값은 K PS = 1.21×10-4 dL/g 및 K PB = 1.78×10-4 dL/g 였고, PS 에 대한 마크-호우윙크 지수 α = 0.706, PB 대한 지수 α = 0.725 를 사용하였다.
부텐/에틸렌 공중합체의 경우, 데이타 평가가 관련되는 한, 각 샘플에 대해 분자량의 전체 범위에서 조성이 일정한 것을 추정하였고, 마크-호우윙크 관계식의 K 값은 하기 기록한 바와 같은 일차 결합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pct00005
[식 중에서, K EB 는 공중합체의 상수이고, K PE (4.06×10-4 dL/g) 및 K PB (1.78×10-4 dL/g) 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부텐의 상수이고, x E x B 는 에틸렌 및 부텐 중량% 함량임]. 조성에 대한 부텐/에틸렌 공중합체 각각 모두에 대해 마크-호우윙크 지수 α = 0.725 를 사용하였다.
부텐 프로펜 공중합체의 경우, PP 및 PB 는 매우 유사한 K 를 갖기 때문에, 교정을 적용하지 않았고, PB 의 K 및 α 값을 사용하여 공중합체를 통합하였다.
열 특성
표준 방법에 따라 Perkin Elmer DSC-7 기기에서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로 중합체 (Tm) 의 융점 및 용융 엔탈피 (ΔHm) 를 측정하였다. 상기 중합으로부터 수득한 칭량된 샘플 (5-7 mg) 을 알루미늄 팬에 밀봉하고, 10℃/분으로 180℃ 까지 가열하였다. 샘플을 180℃ 에서 5 분 동안 유지시켜 모든 미소결정을 완전히 용융시키고, 10℃/분으로 20℃ 까지 냉각시켰다. 20℃ 에서 2 분을 지속한 후, 샘플을 10℃/분으로 180℃ 까지 두번째 가열하였다.
샘플의 낮은 결정도로 인해, 하기 표 4 에 기록한 값은 제 1 가열 운전 곡선으로부터 취득하였다: 용융 온도 (Tm) 는 피크의 온도로부터 수득하였고, 용융 엔탈피 (ΔHm) 는 피크의 면적으로부터 측정하였다.
자일렌 불용성 부분의 측정
0℃ 에서 자일렌 중에 불용성인 부분 (X.I.%) 을 측정하기 위해서, 2.5 g 의 중합체를 135℃ 에서 250 ㎖ 의 자일렌 중에 교반하면서 용해시키고, 20 분 후 용액을 0℃ 까지 냉각시켰다. 30 분 후, 침전된 중합체를 여과하고, 일정한 중량에 도달할 때까지 80℃ 에서 감압하에 건조시켰다.
고유 점도 [η]
135℃ 에서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에서 측정하였다 (ASTM 2857-70).
물리적, 기계적 시험을 위한 샘플 제조
중합 후, 중합체를 건조시킨 다음, 0.1 % 의 Irganox B215 산화방지제를 첨가한 혼합기에서 안정화시켰다. 냉각 후, 200℃ 에서 압축 성형에 의해 여러 플라크 (plaque) 를 제조하였다. 냉각 후, 플라크를 오토클레이브에서 10 분 동안 2000 bar 하에 처리한 다음, 24 시간 에이징 후 결정화시켰다.
영구 신장 ( Tension Set ) (100 % 의 변형)
2 mm 두께의 플라크를 사용하여 ISO2285 (방법 A) 를 이행하였다.
인장 곡선
2 mm 두께의 플라크를 사용하여 ISO527-2 를 이행하였다. 특히 시편 유형 5A 를 사용하여 500 mm/분의 속도를 적용하였다.
쇼어 A
4 mm 두께의 플라크를 사용하여 ASTM D2240 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였다.
고체 촉매 성분의 제조
질소로 퍼지된 500 ㎖ 의 4 구 둥근 플라스크에 225 ㎖ 의 TiCl4 를 0℃ 에서 도입하였다. 교반하면서, 6.8 g 의 미소구 MgCl2?2.7C2H5OH (10,000 rpm 대신에 3,000 rpm 에서 작동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USP 4,399,054 의 실시예 2 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함) 를 첨가하였다.
플라스크를 40℃ 까지 가열하고, 여기에 4.4 mmol 의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를 첨가하였다. 온도를 100℃ 까지 상승시키고, 2 시간 동안 유지한 다음, 교반을 중단하고, 고체 생성물을 침전시키고, 상청액을 사이펀으로 뽑아내었다.
200 ㎖ 의 새로운 TiCl4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20℃ 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상청액을 사이펀으로 뽑아내었다.
200 ㎖ 의 새로운 TiCl4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20℃ 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상청액을 사이펀으로 제거하고, 수득된 고체를 60℃ 의 무수 헥산 (6 × 100 ㎖) 으로 6 회 세척한 후,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촉매 성분은 2.8 중량% 의 Ti 및 12.3 중량% 의 프탈레이트를 함유하였다.
실시예 1-7 및 비교예 1: 1- 부텐 중합
4 ℓ 의 스테인레스 강 오토클레이브를 70℃ 에서 1 시간 동안 질소 흐름으로 퍼지하고, 3.5 mmol 의 AliBu3 (TIBA, 헥산 중의 10 중량% 용액) 을 공급한 다음 오토클레이브를 밀폐시켰다. 실온에서, 1.35 ㎏ 의 액체 부텐-1 을 공급하고, 필요한 경우, 원하는 양의 수소 (표 1 참조) 를 오토클레이브에 채웠다. 마지막으로, 내부 온도를 74℃ 까지 상승시켰다.
동시에, 상기 기록한 바와 같이 제조한 20 mg 의 고체 촉매 성분을 표 1 에 기록된 3.5 mmol 의 TIBA 및 0.35 mmol 의 외부 공여체 (ED) 를 함유하는 75 ㎖ 의 무수 헥산 중에 현탁시켰다.
질소 초과압력을 갖는 오토클레이브에 활성화 촉매 현탁액을 채우고, 오토클레이브 내부 온도를 75℃ 로 설정하였다.
중합을 상기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킨 후, 미반응된 1-부텐을 방출시키고, 중합체를 회수하여 6 시간 동안 진공 하에 70℃ 에서 건조시켰다.
중합 데이타 및 중합체 특징을 표 1 에 기록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실시예 8-9: 1- 부텐 /에틸렌 공중합
4 ℓ 의 스테인레스 강 오토클레이브를 70℃ 에서 1 시간 동안 질소 흐름으로 퍼지하고, 3.5 mmol 의 AliBu3 (TIBA, 헥산 중의 10 중량% 용액) 을 공급한 후, 오토클레이브를 밀폐시켰다. 실온에서, 1.35 ㎏ 의 액체 부텐-1 을 4 g 의 에틸렌과 함께 공급하였다. 마지막으로, 내부 온도를 74℃ 로 상승시켰다.
동시에, 상기 기록한 바와 같이 제조한 20 mg 의 고체 촉매 성분을 3.5 mmol 의 TIBA 및 0.35 mmol 의 3,4-디메톡시-톨루엔을 함유하는 75 ㎖ 의 무수 헥산 중에 현탁시켰다.
활성화 촉매 현탁액을 질소 초과압력을 갖는 오토클레이브에 채우고, 오토클레이브 내부 온도를 75℃ 로 설정하였다.
상기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중합을 수행하고, 에틸렌 (표 2 에 기록한 양) 을 연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그리고 나서 반응을 중단시키고, 미반응된 단량체를 방출시키고, 중합체를 회수하여 6 시간 동안 진공 하에 70℃ 에서 건조시켰다.
중합 데이타 및 중합체 특징을 하기 표 2 에 기록하였다.
[표 2]
실시예 10: 1- 부텐 /프로필렌 공중합
4 ℓ 의 스테인레스 강 오토클레이브를 70℃ 에서 1 시간 동안 질소 흐름으로 퍼지하고, 3.5 mmol 의 AliBu3 (TIBA, 헥산 중의 10 중량% 용액) 을 공급한 후, 오토클레이브를 밀폐시켰다. 실온에서, 1.35 ㎏ 의 액체 부텐-1 을 20 g 의 프로필렌과 함께 공급하고, 필요한 경우 원하는 양의 수소 (표 1 참조) 를 오토클레이브에 채웠다. 마지막으로, 내부 온도를 74℃ 로 상승시켰다.
동시에, 상기 기록한 바와 같이 제조한 20 mg 의 고체 촉매 성분을 3.5 mmol 의 TIBA 및 0.35 mmol 의 3,4-디메톡시-톨루엔을 함유하는 75 ㎖ 의 무수 헥산 중에 현탁시켰다.
활성화 촉매 현탁액을 질소 초과압력을 갖는 오토클레이브에 채우고, 오토클레이브 내부 온도를 75℃ 로 설정하였다.
상기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중합을 수행하고, 프로필렌 (표 3 에 기록한 양) 을 연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그리고 나서 반응을 중단시키고, 미반응된 단량체를 방출시키고, 중합체를 회수하여 6 시간 동안 진공 하에 70℃ 에서 건조시켰다.
중합 데이타 및 중합체 특징을 하기 표 3 에 기록하였다.
[표 3]
Figure pct00009

Claims (8)

  1. 하기를 포함하는 촉매계가 존재하는 중합 조건 하에 1-부텐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알파 올레핀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1-부텐 단일중합체 또는 1-부텐/알파 올레핀 공중합체 {상기 알파 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화학식 CH2=CHZ (상기 Z 는 C3-C20 알킬 라디칼임) 의 알파 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됨} 의 제조 방법:
    (a) MgCl2 에 지지된 Ti 화합물 및 내부 전자-공여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성분;
    (b) 알킬알루미늄 조촉매; 및
    (c) 외부 공여체로서 하기 화학식 (I) 의 화합물:
    Figure pct00010

    [식 중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R1, R2, R3 및 R4 는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17 족에 속하는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20 탄화수소 라디칼이거나; 두 개의 R1, R2, R3 및 R4 가 결합하여 C5-C20 포화 또는 불포화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고리는 원소 주기율표의 13-17 족에 속하는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10 탄화수소 라디칼로 치환될 수 있음].
  2.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I) 의 화합물에서, R1, R2, R3 및 R4 가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17 족에 속하는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20-알킬, C6-C20-아릴, C7-C20-알킬아릴 또는 C7-C20-아릴알킬 라디칼이고; 또는 두 개의 R1, R2, R3 및 R4 가 결합하여 C5-C10 포화 또는 불포화 고리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공여체가 하기 화학식 (Ia) 을 갖는 방법:
    Figure pct00011

    [식 중에서, R1 및 R2 는 수소 원자 또는 선형 또는 분지형 C1-C20-알킬 라디칼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공여체가 하기 화학식 (Ib) 을 갖는 방법:
    Figure pct00012

    [식 중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R1, R4, R5, R6, R7 및 R8 은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17 족에 속하는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C1-C20 탄화수소 라디칼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공여체가 모노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벤조산, 또는 폴리카르복실산의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 에스테르 (상기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기는 1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짐) 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내부 공여체가 가능하게는 치환된 프탈산의 C1-C20 알킬 에스테르인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전자 공여체 화합물 (C) 이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및 전자 공여체 화합물의 몰비 (Al/ED) 가 2 초과가 되는 양으로 공급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및 전자 공여체 화합물 C 의 몰비 (Al/ED) 가 4 내지 1000 에 포함되는 방법.
KR1020117024262A 2009-04-16 2010-03-31 1-부텐 중합체의 제조 방법 KR101717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58021.7 2009-04-16
EP09158021 2009-04-16
US21400109P 2009-04-17 2009-04-17
US61/214,001 2009-09-09
PCT/EP2010/054356 WO2010118962A1 (en) 2009-04-16 2010-03-31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 of 1-bute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148A true KR20120027148A (ko) 2012-03-21
KR101717310B1 KR101717310B1 (ko) 2017-03-16

Family

ID=4219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262A KR101717310B1 (ko) 2009-04-16 2010-03-31 1-부텐 중합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27563B2 (ko)
EP (1) EP2419461A1 (ko)
JP (1) JP5627670B2 (ko)
KR (1) KR101717310B1 (ko)
WO (1) WO20101189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8285B2 (en) * 2009-07-14 2013-12-03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 of 1-butene
JP6124648B2 (ja) 2013-03-28 2017-05-10 住友化学株式会社 共役ジエ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
KR102380041B1 (ko) * 2017-08-04 2022-03-29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높은 용융 유량을 갖는 부텐-1 중합체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5810A (ja) * 1988-09-30 1990-10-16 Himont Inc オレフィン重合用触媒
EP0585796A1 (en) * 1992-08-26 1994-03-09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Deactivator reagent for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s
KR0165560B1 (ko) * 1989-07-10 1999-03-20 잭 비이 에빙튼 주로 이소택틱인 고무탄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부텐의 제조를 위한 촉매 성분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63977B (ko) 1968-11-21 1974-02-11 Montedison Spa
YU35844B (en) 1968-11-25 1981-08-31 Montedison Spa Process for obtaining catalyst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es
NL160286C (ko) * 1971-06-25
IT1096661B (it) 1978-06-13 1985-08-26 Montedison Sp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prodotti in forma sferoidale solidi a temperatura ambiente
DE2830039A1 (de) * 1978-07-07 1980-01-17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schkatalysators
IT1098272B (it) 1978-08-22 1985-09-07 Montedison Spa Componenti,di catalizzatori e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elle alfa-olefine
JPH07103173B2 (ja) * 1987-03-31 1995-11-08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アタクチックポリプロピレンの製造方法
IT1230134B (it) 1989-04-28 1991-10-14 Himont Inc Componenti e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i olefine.
JP2681701B2 (ja) * 1989-10-11 1997-11-26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
US5556820A (en) * 1989-12-28 1996-09-17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Catalyst component for olefin polymeriza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yolefins
JP2509767B2 (ja) * 1991-06-28 1996-06-26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オレフィン重合体の製造法
JP2926361B2 (ja) * 1990-10-04 1999-07-28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ゴム状プロピレン共重合体
IT1262934B (it) 1992-01-31 1996-07-22 Montecatini Tecnologie Srl Componenti e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i olefine
IT1262935B (it) 1992-01-31 1996-07-22 Montecatini Tecnologie Srl Componenti e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i olefine
IT1256648B (it) 1992-12-11 1995-12-12 Montecatini Tecnologie Srl Componenti e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elle olefine
AUPO591797A0 (en) 1997-03-27 1997-04-24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High avidity polyvalent and polyspecific reagents
RU2007118505A (ru) 2004-10-18 2008-11-27 Базелль Полиолефин Италия С.Р.Л. (It) (со)полимеры бутена-1 с низкой изотактичностью
JP2008144009A (ja) * 2006-12-08 2008-06-26 Sumitomo Chemical Co Ltd オレフィン共重合用触媒およびオレフィ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5810A (ja) * 1988-09-30 1990-10-16 Himont Inc オレフィン重合用触媒
US4978648A (en) * 1988-09-30 1990-12-18 Himont Incorporated Catalyst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KR0165560B1 (ko) * 1989-07-10 1999-03-20 잭 비이 에빙튼 주로 이소택틱인 고무탄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부텐의 제조를 위한 촉매 성분
EP0585796A1 (en) * 1992-08-26 1994-03-09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Deactivator reagent for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27563B2 (en) 2012-07-24
JP5627670B2 (ja) 2014-11-19
EP2419461A1 (en) 2012-02-22
JP2012524134A (ja) 2012-10-11
US20120041161A1 (en) 2012-02-16
KR101717310B1 (ko) 2017-03-16
WO2010118962A1 (en)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4137B2 (en) Butene-1 terpolymer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6306996B1 (en) Polybutene-1 (co)polymer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JP5670495B2 (ja) 新規なブテン−1(コ)ポリマ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27138A (ko) 부텐-1 중합용 촉매성분
KR101717310B1 (ko) 1-부텐 중합체의 제조 방법
EP2029277B1 (en) Catalyst component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EP2454293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 of 1-butene
JP5567764B2 (ja) 低アイソタクチシティを有するブテン−1(コ)ポリマー
EP1483302B1 (en) Proces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WO2014111381A1 (en) Catalyst component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