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303A - 하이브리드 슈퍼캐퍼시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슈퍼캐퍼시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303A
KR20120026303A KR1020100088451A KR20100088451A KR20120026303A KR 20120026303 A KR20120026303 A KR 20120026303A KR 1020100088451 A KR1020100088451 A KR 1020100088451A KR 20100088451 A KR20100088451 A KR 20100088451A KR 20120026303 A KR20120026303 A KR 20120026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hybrid supercapacitor
current collector
active material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8521B1 (ko
Inventor
나승현
정영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8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521B1/ko
Priority to US13/227,024 priority patent/US20120063059A1/en
Priority to CN2011102682020A priority patent/CN102403127A/zh
Publication of KR20120026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4Hybrid capacitors
    • H01G11/06Hybrid capacitors with one of the electrodes allowing ions to be reversibly doped thereinto, e.g. lithium ion capacitors [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5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lithium-ion capacitors, e.g. for lithium-doping or for interca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2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G11/86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3Electric condenser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리튬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튬 박막을 음극의 활물질층과 서로 마주 시키는 단계, 상기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며 서로 교대로 상기 음극 및 양극을 배치시켜 전극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셀 및 전해액을 하우징에 수용하여, 상기 음극에 상기 리튬 박막으로부터 리튬 이온을 프리 도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슈퍼캐퍼시터 및 그 제조방법{Hybrid super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슈퍼캐퍼시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양극과 음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세퍼레이터의 각 일면에 리튬 박막을 구비하여 음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공정을 수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장치는 모든 휴대용 정보통신기기, 전자기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완제품 기기의 핵심부품이다. 또한,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장치는 미래형 전기자동차 및 휴대용 전자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신재생 에너지 분야의 고품질 에너지원으로써 확실하게 사용될 것이다.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장치 중 전기화학 커패시터는 전기이중층 원리를 이용하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al double layer)와 전기화학적 산환-환원 반응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Hybrid supercapacitor)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고출력 에너지 특성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작은 용량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하여, 하이브리드 슈퍼 커패시터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용량 특성을 개선할 새로운 대안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슈퍼 커패시터 중 리튬 이온 커패시터(Lithium ion capacitor; LIC)는 음극에 리튬 이온을 도핑함으로써,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에 비해 3 내지 4배 정도의 충전용량을 가질 수 있어, 큰 에너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음극에 리튬이온을 프리 도핑하기 위한 공정은 전극셀의 최상단층과 최하단층에 각각 리튬 금속막을 구비시킨 후, 전해질 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이때, 리튬 금속막은 전극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므로, 적층된 음극 전체에 리튬이온이 불균일하게 도핑될 뿐만 아니라, 프리 도핑 공정 완료후에 리튬 금속막이 잔존할 수 있어,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작동시에 리튬 금속이 석출되어,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리튬 이온이 전극셀의 내부에 구비된 음극에 균일하게 도핑되기 까지의 시간이 20일 정도가 소요되어, 양산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즉,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용량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음극에 프리 도핑공정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지만, 음극의 프리 도핑공정으로 인해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신뢰성이 저하되거나 양산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고용량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를 양산에 적용하기 위해, 음극에 리튬이온을 균일하게 그리고 빠르게 도핑할 수 있는 새로운 음극 프리 도핑 공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브리드 슈퍼캐퍼시터 및 그 제조방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양극과 음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세퍼레이터의 각 일면에 리튬 박막을 구비하여, 음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공정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슈퍼캐퍼시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해결수단으로 하이브리드 슈퍼캐퍼시터 및 그 제조방법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조 방법은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리튬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튬 박막을 음극의 활물질층과 서로 마주 시키는 단계; 상기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며 서로 교대로 상기 음극 및 양극을 배치시켜 전극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셀 및 전해액을 하우징에 수용하여, 상기 음극에 상기 리튬 박막으로부터 리튬 이온을 프리 도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는 음극과 양극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음극과 양극을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에 일면에 형성된 리튬 박막은 음극의 활물질층을 바라보며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튬 박막은 1 내지 10㎛의 두께 범위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의 활물질층은 음극 집전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의 활물질층은 상기 리튬 박막과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집전체는 무공(無孔)의 시트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집전체는 무공(無孔)의 시트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리튬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리튬 박막의 형성은 진공증착법, 화학기상층작법, 스퍼터링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해결수단으로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교대로 배치된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무공(無孔)의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은 무공(無孔)의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는 일면에 리튬 박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천연 흑연, 인조 흑연, 흑연화 탄소섬유, 난흑연성 카본, 및 카본나노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활물질층은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슈퍼캐퍼시터 및 그 제조방법은 세퍼레이터에 형성된 리튬박막을 이용하여 음극에 직접적으로 리튬 이온을 프리도핑함으로써, 프리 도핑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음극에 균일하게 리튬 이온을 도핑시킬 수 있다.
또한, 음극에 균일하게 그리고 빠르게 리튬 이온을 도핑할 수 있어, 고용량의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가 가능하며, 이와 더불어 신뢰성 및 양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의 프리 도핑 공정은 외부에서 따로 음극에 리튬 이온을 도핑할 필요없이 하우징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면 바로 리튬 이온과 음극과의 포텐셜(potential) 차이로 인하여 도핑이 될 수 있어, 전극의 프리 도핑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별도로 글로브 박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공정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양극과 음극은 무공의 형태를 갖는 집전체를 구비하여,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내부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슈퍼캐퍼시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100)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세퍼레이터(113)의 일면에 리튬 박막(114)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세퍼레이터(113)는 후술될 음극(112)과 양극(111)을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113)를 형성하는 재질의 예로서는 종이, 부직포 및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세퍼레이터(113)의 종류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퍼레이터(13)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리튬 박막(114)은 후술될 음극(112)으로 리튬 이온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튬 박막(114)은 진공증착법, 화학기상층작법, 스퍼터링법 중 어느하는를 통해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리튬 박막(114) 형성방법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리튬 박막(114)은 1 내지 10㎛의 두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튬 박막(114)이 1㎛미만일 경우, 상기 음극(112)에 도핑되기 위한 리튬의 양이 너무 적을 뿐만 아니라 음극 활물질층(112b)과 상기 리튬 박막(114)간의 접촉저항이 증대될 수 있어 프리 도핑공정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반면 10㎛를 초과할 경우, 상기 음극(112)에 프리 도핑공정을 진행한 후 상기 세퍼레이터(113)상에 남겨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튬 박막(114)의 두께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음극 재료의 재질이나 두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한편, 상기 세퍼레이터(113)상에 상기 리튬 박막(114)을 형성하는 것과 별도로 상기 음극(112)을 제공한다. 상기 음극(112)은 음극 집전체(112a)와 음극 집전체(112a)의 양면에 배치된 음극 활물질층(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112a)는 금속, 예컨대 구리, 니켈 및 스테인레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극은 무공(無孔)의 음극 집전체는 무공(無孔)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층(112b)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도핑 및 탈도핑할 수 있는 탄소재질, 예컨대 상기 음극 활물질층(112b)은 천연 흑연, 인조 흑연, MCF(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MCMB(MesoCarbon MicroBead, 흑연 휘스커(whisker), 흑연화 탄소섬유, 난흑연성 카본, 폴리아센(polyacene)계 유기반도체, 카본나노튜브, 탄소재질 재료와 흑연재질의 복합 탄소재료, 퍼프릴 알코올(furfuryl alcohol)수지의 열분해물, 노볼락(novolac) 수지의 열분해물, 피치(pitch) 및 코크스등의 축합 다환 탄화수소화물의 열분해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음극 활물질층(112b)은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인더를 형성하는 재질의 예로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및 폴리불화비닐리덴(PVdF)등의 불소계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등의 열가소성 수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스틸렌부타디엔고무(SBR)등의 고무계 수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PVP)등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층(112b)은 카본 블랙과 같은 도전재와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극(112)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음극 단자(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음극 단자(130)는 음극 집전체(112a)로부터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음극 단자(130)는 각각의 음극 집전체(112a)로부터 연장되어 다수개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외부전원과 용이하게 접촉되기 위해 적층된 음극 단자(130)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음극 단자(130)는 별도의 외부단자를 구비하여, 음극 단자(130)는 외부단자와 융착 또는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집전체(112a)로부터 연장되는 음극 단자(130)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음극 집전체(112a)로 부터 어느 방향으로도 연장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세퍼리이터(113)에 형성된 리튬 박막(114)은 음극과 마주보게 위치함으로써, 상기 리튬 박막(112)의 리튬 이온들이 음극으로 도핑 될 수 있으며, 후술될 양극(111)으로는 리튬 이온이 전달되지 않게 되며, 상기 음극을 제공하는 것과 별도로 상기 양극(111)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양극(111)은 양극 집전체(111a)와 양극 집전체(111a)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양극 활물질층(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111a)는 알루미늄, 스텐레스, 동, 니켈, 티탄, 탄탈 및 니오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111a)는 무공(無孔)의 시트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후속 공정에서 음극에 상기 리튬 박막을 직접 접촉하여 프리 도핑공정을 진행하므로, 상기 양극 집전체(111a)에 리튬 이온의 이동을 위해 관통홀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상기 양극 집전체(111a)는 무공(無孔)의 시트형태를 가짐에 따라,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내부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층(111b)은 이온을 가역적으로 도핑 및 탈도핑할 수 있는 탄소재료, 즉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양극 활물질층(111b)은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인더를 형성하는 재질의 예로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및 폴리불화비닐리덴(PVdF)등의 불소계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등의 열가소성 수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스틸렌부타디엔고무(SBR)등의 고무계 수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PVP)등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활물질층(222)은 도전재, 예컨대 카본 블랙 및 용매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극(111)은 외부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양극 단자(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양극 단자(120)는 별도의 단자를 융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양극 집전체(111a)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양극 단자(120)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양극 집전체(111a)로부터 어느 방향으로도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리튬 박막(114)이 형성된 세퍼레이터(113), 양극(111) 및 음극(112)을 제공한 후, 상기 세퍼레이터(113)를 사이에 두고 상기 양극(111) 및 음극(112)을 순차적으로 배치시켜 전극셀(11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음극(112)으로 리튬이온을 프리 도핑시키기 위해, 상기 세퍼레이터(113)의 리튬 박막(114)과 음극(112)의 음극 활물질층(112b)과 접촉시킨다.
도5 내지 도6을 참조하며,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극셀(110)은 파우치 타입인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극셀(110)은 양극(111), 음극(112) 및 세퍼레이터(113)가 롤 형태로 권취된 권취 타입일 수도 있다. 다수로 적층된 음극 단자(130)들 및 다수로 적층된 양극 단자(120)들을 융착하여 각각 일체화시킨다. 여기서, 융착공정 방법의 예로서는 초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및 스폿 용접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더하여, 융착된 음극 단자(130)와 양극단자(120) 각각에 별도로 외부단자와 연결시킬 수도 있다.
전극셀(110)을 형성한 후, 전극셀(110) 및 전해액을 하우징(150)으로 밀봉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슈퍼캐퍼시터(100)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셀(110)의 밀봉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전극셀(110)을 사이에 두고 두장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제공한다. 이후, 두 라미네이트 필름을 열융착함으로써, 전극셀(110)은 하우징(15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융착된 양극 단자(120)들 및 음극 단자(130)들은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하우징(15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열 융착 공정은 두 라미네이트 필름의 에지를 따라 진행하되, 두 라미네이트 필름 사이에 개재된 전극셀(110)에 전해액을 투입하기 위한 틈새를 남겨두도록 진행된다. 틈새를 통해, 하우징(150) 내부로 전해액을 충진할 경우, 전해액을 하우징 내부로 충진할 경우, 전해액은 전극셀(110), 즉 세퍼레이터(113), 음극 활물질층(112b) 및 양극 활물질층(111b)에 함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50)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하면 상기 세퍼레이터(113)에 형성된 리튬 박막(114)은 음극(112)과의 포텐셜(potential)차이로 인하여 음극에 프리 도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해액은 전해질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염의 상태로, 예컨대 리튬염 또는 암모늄염등일 수 있다. 용매는 비프로톤성 유기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전해질의 용해성, 전극과의 반응성, 점성 및 사용온도범위를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예로서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술포란, 아세톤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에틸메틸카보네이트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매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용매는 에틸렌 카본과 에틸메틸카보네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에틸렌 카본과 에틸메틸카보네이트의 혼합비는 1:1 내지 1:2일 수 있다.
전해액의 충진을 완료한 후, 틈새를 진공 밀봉시킴으로써, 하이브리드 슈퍼 커패시터(10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50)은 상기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캔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세퍼레이터(113)를 통해 적층된 음극(112)들에 각각 리튬 박막을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리튬 이온을 프리 도핑시킴으로써, 프리 도핑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양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음극(112)의 프리 도핑 공정은 하우징(150)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어, 음극(112)의 프리 도핑 공정을 위한 글로브 박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설비 투자를 축소할 수 있어, 결국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온 커패시터는 전극 셀(110) 및 전해액에 함침된 전극셀(110)을 밀봉하는 하우징(도 6의 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극셀(110)은 세퍼레이터(110)를 사이에 두고 교대로 배치된 양극(111)과 음극(11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110)의 일면에 상기 리튬 박막(114)이 형성되며, 상기 리튬 박막은 상기 음극(112)의 상기 음극 활물질층(112b)와 마주보게 위치한다.
상기 양극(111)은 상기 양극 집전체(111a)와 상기 양극 집전체(111a)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상기 양극 활물질층(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극(112)의 프리 도핑공정이 상기 음극(112)에 상기 리튬 박막(114)을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수행되므로, 리튬 이온이 상기 양극 집전체(111a)를 통과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양극 집전체(111a)는 무공(無孔)의 시트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슈퍼캐퍼시터(100)의 내부 저항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층(111b)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도핑 및 탈도핑할 수 있는 탄소재질, 예컨대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111)은 상기 양극 집전체(111a)의 일측에 배치된 양극 단자(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음극(112)은 음극 집전체(112a)와 음극 집전체(112a)의 양면에 배치된 음극 활물질층(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극 집전체(112a)로 사용되는 재질의 예로서는 구리 및 니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포일일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도핑 및 탈도핑할 수 있는 탄소재질, 예컨대 천연 흑연, 인조 흑연, 흑연화 탄소섬유, 난흑연성 카본, 및 카본나노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극 활물질층(112b)에 리튬이온이 프리도핑 될 수 있다. 상기 음극(112)은 상기 음극 집전체(112a)의 일측에 배치된 음극 단자(130)를 구비할 수 있다.
100 :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 110 : 전극셀
111 : 양극 111a : 양극 집전체
111b : 양극 활물질층 112 : 음극
112a : 음극 집전체 112b : 음극 활물질층
113 : 세퍼레이터 114 : 리튬 박막
120 : 양극 단자 130 : 음극 단자
150 : 하우징

Claims (14)

  1.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리튬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튬 박막을 음극의 활물질층과 서로 마주 시키는 단계;
    상기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며 서로 교대로 상기 음극 및 양극을 배치시켜 전극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셀 및 전해액을 하우징에 수용하여, 상기 음극에 상기 리튬 박막으로부터 리튬 이온을 프리 도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음극과 양극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음극과 양극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에 일면에 형성된 리튬 박막은 음극의 활물질층을 바라보며 위치하는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박막은 1 내지 10㎛의 두께 범위를 갖는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의 활물질층은 음극 집전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위치하는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의 활물질층은 상기 리튬 박막과 서로 접촉하는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집전체는 무공(無孔)의 시트형태로 형성된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집전체는 무공(無孔)의 시트형태로 형성된 리튬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일면에 리튬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리튬 박막의 형성은 진공증착법, 화학기상층작법, 스퍼터링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통해 형성하는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의 제조방법.
  11.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서로 교대로 배치된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무공(無孔)의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음극은 무공(無孔)의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양면에 각각 배치된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일면에 리튬 박막이 형성된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천연 흑연, 인조 흑연, 흑연화 탄소섬유, 난흑연성 카본, 및 카본나노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층은 활성탄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
KR1020100088451A 2010-09-09 2010-09-09 하이브리드 슈퍼캐퍼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138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451A KR101138521B1 (ko) 2010-09-09 2010-09-09 하이브리드 슈퍼캐퍼시터 및 그 제조방법
US13/227,024 US20120063059A1 (en) 2010-09-09 2011-09-07 Hybrid super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1102682020A CN102403127A (zh) 2010-09-09 2011-09-09 混合型超级电容器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451A KR101138521B1 (ko) 2010-09-09 2010-09-09 하이브리드 슈퍼캐퍼시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303A true KR20120026303A (ko) 2012-03-19
KR101138521B1 KR101138521B1 (ko) 2012-04-25

Family

ID=4580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451A KR101138521B1 (ko) 2010-09-09 2010-09-09 하이브리드 슈퍼캐퍼시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063059A1 (ko)
KR (1) KR101138521B1 (ko)
CN (1) CN1024031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9362A1 (en) * 2013-04-30 2014-11-06 Ultora, Inc. Rechargeable power source for mobile devices which includes an ultracapacitor
KR20160000557A (ko) * 2014-06-24 2016-01-05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복합 전극 구조를 갖는 에너지 저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9885B2 (en) * 2012-11-09 2017-10-03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pre-doping a lithium ion capacitor
US9183994B2 (en) * 2012-11-28 2015-11-10 Corning Incorporated Lithium ion capacitors and methods of production
US9129756B2 (en) * 2013-03-28 2015-09-08 Corning Incorporated Composite electrode for lithium ion capacitor
CN104599848A (zh) * 2013-10-30 2015-05-06 张彩欣 混合型电容器及其制作方法
CN104599866A (zh) * 2013-10-30 2015-05-06 张彩欣 混合型电解电容器及其制作方法
CN104599849A (zh) * 2013-10-30 2015-05-06 张彩欣 一种混合型电容器及其制作方法
JP6871676B2 (ja) * 2015-11-26 2021-05-1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CN110706948A (zh) * 2019-10-31 2020-01-17 湖南艾华集团股份有限公司 电容器样品制作模具及使用模具制作电容器样品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0971A (ja) * 1994-08-12 2002-09-13 Asahi Glass Co Ltd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2002231221A (ja) * 2001-02-01 2002-08-16 Mitsubishi Heavy Ind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又はセパレータ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4994205B2 (ja) * 2007-12-06 2012-08-0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9362A1 (en) * 2013-04-30 2014-11-06 Ultora, Inc. Rechargeable power source for mobile devices which includes an ultracapacitor
US11244791B2 (en) 2013-04-30 2022-02-08 Oxcion Limited Rechargeable power source for mobile devices which includes an ultracapacitor
KR20160000557A (ko) * 2014-06-24 2016-01-05 삼화콘덴서공업주식회사 복합 전극 구조를 갖는 에너지 저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03127A (zh) 2012-04-04
US20120063059A1 (en) 2012-03-15
KR101138521B1 (ko)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521B1 (ko) 하이브리드 슈퍼캐퍼시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138474B1 (ko)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리튬 이온 커패시터
KR101128654B1 (ko) 전극의 리튬 이온 프리 도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기 화학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JP4751199B2 (ja) 有機電解質キャパシタ
KR101946658B1 (ko) 전극 박, 집전체,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축전 소자
JP4535334B2 (ja) 有機電解質キャパシタ
JP7461877B2 (ja) 多層電極膜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US8526166B2 (en) Lithium ion capacitor
KR101138502B1 (ko)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1138594B1 (ko) 리튬 이온 커패시터
JPWO2004059672A1 (ja) 蓄電装置および蓄電装置の製造方法
JP4616005B2 (ja) 蓄電装置
KR20150117261A (ko) 그래핀 리튬 이온 커패시터
JP2004266091A (ja) フィルム型蓄電装置
KR101138477B1 (ko) 리튬 이온 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06054747A1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2010141065A (ja) 蓄電デバイス
JP2011205016A (ja) 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リチウムイオンキャパシタ用の正極および負極の製造方法、並びに負極に対するリチウムイオンの吸蔵方法
KR101108811B1 (ko) 리튬 이온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리튬 이온 캐패시터
KR101138572B1 (ko) 리튬 이온 커패시터
JP5868158B2 (ja) 蓄電デバイス
US20120327551A1 (en) Energy storag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unit cell for energy storage device
KR20150004614A (ko) 에너지 저장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050947A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