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4672A - 선박에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및 본 발명의 수단이 제공되는 한 선박과 다른 선박 간에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에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및 본 발명의 수단이 제공되는 한 선박과 다른 선박 간에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4672A
KR20120024672A KR20117028468A KR20117028468A KR20120024672A KR 20120024672 A KR20120024672 A KR 20120024672A KR 20117028468 A KR20117028468 A KR 20117028468A KR 20117028468 A KR20117028468 A KR 20117028468A KR 20120024672 A KR20120024672 A KR 20120024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fluid
vessel
transfer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702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파케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유로피엔느 딘게니에르 메카니끄-유로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유로피엔느 딘게니에르 메카니끄-유로딤 filed Critical 소시에떼 유로피엔느 딘게니에르 메카니끄-유로딤
Publication of KR20120024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6855Vehicle
    • Y10T137/6906Aerial or water-supported [e.g., airplane or ship,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유체를 선박으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선박에 제공되며 매니로펄드와 적어도 선박의 가장자리 너머로 매니폴드 커넥터를 오프세트시키기는 디바이스(19)를 포함하고, 매니폴드에 연결된 고정 관부(20)와 외부단부가 유체이송도관에 연결된 이송위치와 선박 안쪽에 있는 적재 휴지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이동 관부(23)를 포함한다. 장치는 이동 관부(23)가 휴지 및 이송 위치 사이에서 선회 장착되고, 이동 관부(23)의 이송위치에서 고정부에 연결되나 휴지이치에서는 고정 관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정 관부(20)의 커넥터(21)는 2개 커넥터(21,26)의 개방 개구가 이동 관부(23)의 이송위치에 일치하도록 위치된다. 본 발명은 나란히 위치된 두 선박들 사이의 유체를 이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에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및 본 발명의 수단이 제공되는 한 선박과 다른 선박 간에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Arrangement for transferring a fluid to a ship and system for transferring fluid between two ships, one of which is provided with the arrangemen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유체를 선박으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선박에 제공되고 선박의 탱크에 연결된 매니폴드와 적어도 선박의 외부 가장자리까지 이점적으로는 그 너머로 매니폴드 커넥터를 오프세트시키는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오프세트 디바이스는 선박의 구조물에 고정 장착되고 매니폴드에 연결된 관부와 매니폴드의 오프세트 커넥터를 지지하는 외부단부가 유체이송도관에 연결되는 이송위치와 외부 가장자리에 대해 배 안쪽에 있는 적재 휴지위치 사이로 움직이는 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나란히 놓인 두 선박 사이에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한 선박은 유체 저장용 선박이고 다른 선박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가 탑재된 선박이다.
이런 타입의 이송장치는 이미 국제특허출원 WO2008/132417에 공지되어 있다. 이 장치는 이동 관부가 이들 휴지 및 이송위치들 사이에서 회전하게 하는 스윙 조인트에 의해 이동 관부의 내부단부가 고정 관부의 외부단부에 연결되므로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런 스윙 조인트를 방지함으로써 간단한 이동구조를 제안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이동 관부가 휴지위치와 이송위치 사이에서 선박의 구조물상에 선회장착되고, 고정 관부 및 이동 관부의 외부단부와 내부단부에는 이동 관부의 이송위치에서는 서로 연결되나 휴지위치에서는 이격되어 있는 커넥터가 제공되며, 고정 관부의 커넥터는 이동 관부의 내부 커넥터의 선회운동의 원호에 위치해 있어 2개 커넥터의 외부를 향한 개방 오리피스의 축들이 이동 관부의 이송위치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적인 특징에 따르면, 이동 관부는 실질적으로 수직축 주위로 선회되고, 고정 관부와 이동 관부의 커넥터의 개방 오리피스의 축들이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지향된다.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제 1 선박과 이송동안 나란히 배치된 제 2 선박 사이에 이송 시스템은 제 2 선박에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가 설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지 예로써 첨부도면을 참조로 행해진 하기의 설명을 위한 명세서로 더 잘 이해되며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도 더 명확해진다.
도 1은 제 1 저장선과 제 2 저장선 간의 유체를 이송하는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저장선에 제공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이송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선박과 상기 제 2 선박에 제공된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제 2 선박에 제공된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며 유체이송 및 휴지위치에 있는 제 2 선박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두 선박에 제공된 이송장치들과 두 선박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의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이송위치에서 제 2 선박의 이송장치의 2개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9는 휴지위치에서 제 2 선박을 나타낸 제 2 선박의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제 2 선박의 장치에 호스를 연결하는 4가지 다른 공정단계들로 저장선에 제공된 이송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예컨대 4.5 내지 5미터 사이로 이루어진 거리로 나란히 배치된 두 선박, 즉, 제 1 선박은 가령 저장선이고 제 2 선박은 가령 셔틀을 도시한 것으로, 각 선박에는 액화천연가스(LNG)와 같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각 선박의 설비는 2개의 이송장치를 포함하며, 제 1 선박(1)의 이송장치는 참조번호 4로 표시되고 제 2 선박(2)의 이송장치는 참조번호 5로 표시된다.
두 협동 장치부(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를 구성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저장선(1)에 제공된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4)는 기본적으로 1차 가요성 이송도관(6)을 포함하며, 상기 도관의 일단은 타워구조물(8)의 정점에서 선박의 고정 파이프라인(9)에 연결된다. 타워구조물(8)은 선박의 중심부의 일측에 비교적 상당히 떨어져 선박에 장착되며, 선박은 낮은 유속으로 액화천연가스 및/또는 냉매회수가스(cold return gas)와 같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소정 개수의 더 짧은 호스들에 대한 경사진 랙(11) 형태의 저장장치를 포함한다. 예로서, 도관은 액화천연가스를 이송하도록 설계된 극저온 호스로 형성된다. 이들 호스는 길이방향 축에 수직한 이송위치로 두 선박 간에 뻗어 있게 되어 있다. 장치(11)는 본 발명의 일부가 아니므로 하기에 설명하지 않는다.
높은 유속으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 더 큰 직경을 갖는 2개의 메인 호스들(6)은 중심부에서 제 2 선박(2)에 제공된 이송장치(5)에 각각 연결될 수 있게 상대적으로 길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인해, 호스(6)는 지지 타워구조물(8)의 정점으로부터 선박의 데크(13)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뻗어 있고, 그런 후 호수의 단부(14)는 적절한 보유장치(15)에서 차단되는 중앙부까지 가장자리를 따라 놓여 있다. 커넥터 팁에 형성된 단부(14)를 조작하고 상기 단부를 제 2 선박(2)의 장치(5)로 이송하기 위해, 각 호스(6)에 결합된 장치(4)는 보유장치로부터 소정의 적절한 위치에 있는 크레인(16)을 포함하며, 크레인은 지지 타워(8)와 보유장치(15)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크레인은 수직축 주위로 회전하며 크레인의 암(17)은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평 축 주위로 선회할 수 있다. 팁(14)은 크레인의 케이블(18)로부터 현가되어 있다.
셔틀일 수 있는 제 2 선박(2)에 제공된 이송장치(5)는 각 호스(6)를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가장자리까지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에서처럼 가장자리 너머로 상기 제 2 선박의 매니폴드의 연결 클립을 오프세트하기 위한 디바이스(19)를 포함한다. 각 오프세트 디바이스(19)는 고정 관부(20)를 구비하며, 상기 관부의 일단은 매니폴드의 클립에 연결되는 반면 타단은 연결 클립(21) 및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휴지 위치와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이송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관부(23)를 지지한다. 고정 관부(20)는 연결 클립(21)의 형태로 자유단부가 선박의 중앙부에 있는 플랫폼(24)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다수의 굴절부를 구비하는 튜브로 형성된다. 각 연결 클립(21)은 선박(2)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뻗어 있는 관부의 일단에 위치해 있어, 클립의 축은 상기 방향에 수평 및 수직으로 지향되어 있다.
이동 관부(23)는 튜브 세그먼트로 형성되며, 상기 튜브 세그먼트의 일단은 고정 관부(20)의 연결 클립(21)에 연결하기 위한 클립(26)을 지지하고 타단은 호스(6)의 연결팁(14)을 수용하기 위한 팁(28)을 지지한다. 고정 관부(20)에 연결된 이동 관부(23)의 이송위치에서, 연결팁(28)은 특히 도 6 및 도 8에서 명확히 나타난 바와 같이 선박의 가장자리(30) 너머로 배열되어 있다. 팁(28)은 기본적으로 호스에 연결하고 상기 클립의 축에 나란히 지향된 클립(32)과, 콘(33)이라고 하는 센터링 로드(centering rod)를 구비한다. 고정 관부(20)에 연결된 위치에서, 이동 관부(21), 호스를 연결하거나 호스를 수용하기 위한 클립(32)의 축, 및 이에 따른 콘(33)은 두 선박들의 가장자리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면으로 하방으로, 플랫폼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상보적인 방식으로, 각 호스(6)의 제 2 선박(2)으로의 연결팁(14)은 커넥터(32)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35), 상기 커넥터(35)를 수용하기 위해 클립(32)에 연결된 위치에서 팁(36)을 가이드하기 위한 트럼펫형 부재, 및 호스의 팁(35)을 수용 클립(32)에 감아올리기 위해 케이블(38)이 주위로 감겨지는 윈치(37)를 포함한다. 이송 연결이 확립되면, 호이스팅 케이블이 콘(33)의 팁에 고정된다.
이동 관부(23)의 지지 디바이스는 터렛(turret)(40) 형태로 만들어지며, 터렛의 상부(41)는 선박의 데크(44)에 고정된 하부(42)에 실질적으로 수직축 주위로 회전하게 장착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로터리 씰(rotary seal)(45)을 이용해 회전이 행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세그먼트(23)는 클립(32)을 지지하며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뻗어 있는 세그먼트(46)와 내부 연결클립(26)을 지지하고 또한 수평으로 뻗어 있는 세그먼트 사이에 경사진 중간부(48)를 포함된다.
도시된 예에서, 외부 세그먼트(46)는 실린더형 중심부로부터 수평으로 직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2개의 외부 러그(51)를 포함하는 슬리브 형태의 피스(50)에 의해 둘러싸여 유지된다. 튜브 세그먼트(23)는 피스(50)를 통해 일단이 상기 피스(50)의 중심부 상의 상부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터렛(40)의 회전부(41)의 상부(54)에 고정된 상부 바(53)에 의해, 일단이 러그(51) 중 하나의 내부면에 그리고 타단이 회전부(41)의 실린더형 하부(59)에 제공된 체결 펙(59)에 고정된 2개 스트립(56 및 57)에 의해 보유되며, 상부(60)는 위쪽으로 협소해지는 원추형을 갖는다. 두 부분들의 연결시, 터렛(40)은 소정 거리로 고정 관부(20) 및 이동 관부(23)의 커넥터들(21 및 26)이 각각 위치되는 작은 수평 플랫폼(62)을 지지한다. 지지 스트립(56 및 57)은 플랫폼(62)을 관통한다.
3개 지지 스트립(53, 56 및 57)을 통한 이동 관부(23)와 상기 관부의 터렛(40)으로의 고정 구성으로 인해, 터렛(40)의 회전부(41)의 회전 동안 상기 세그먼트는 회전부(41)의 수직축 주위로 선회하여 내부 커넥터(26)가 관부(20)의 커넥터가 위치되는 원호 형태의 경로 상으로 이동하여, 유체의 이송상태의 확립 동안 만날 때, 2개 커넥터(21 및 26)의 축들이 결합되어 커넥터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로터리 씰의 개입 없이 휴지 및 이동위치 사이에서 이동 관부의 이동이 행해진다. 이런 로터리 씰이 없음으로써, 제 1 저장선에서 나온 유체의 흐름 경로에 임의의 로터리 씰 없이 매우 간단한 구조 형태의 제 2 선박의 이송장치가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하기에 2개 선박(1 및 2) 사이에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연결을 확립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저장선(1)의 휴지위치에서, 각 호스(6)는 선박의 데크(13)상에 길의 대부분이 놓여 있다. 연결팁(14)을 제 2 선박의 해당 연결팁(28)에 연결함으로써 유체용 이송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특히,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가 케이블(18)을 이용해 핸들링 크레인(16)을 이용한 연결팁(14)을 먼저 들어올리고, 호이스트 케이블(38)이 윈치(37)로부터 부분적으로 풀린다. 콘(32)의 팁에 호이스팅 케이블의 자유단부를 체결한 후, 연결팁(14)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연결팁(28)으로 당겨지고, 그런 후 연결팁(14)의 트럼펫(36)은 연결의 마지막 단계에서 콘(33)에 맞물려 팁의 커넥터(35)가 수용팁(28)의 클립(32)을 향해 올바르게 가이드된다. 도 12 및 도 13에서 이송연결을 확립하는 공정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지 수용팁(28)만이 도시되어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송 위치에서 제 2 선박(2)에 연결된 호스(6)는 두 선박의 수직면에서 2개 선박들 사이에 체인으로 뻗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호스를 제 2 선박에 연결하는 전체 공정 내내, 두 단부들 사이에 자유롭게 뻗어 있으며, 이는 호스에 가해질 수 있는 기계적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물론, 상술하였고 도면에 도시된 선박의 가장자리 너머로 이점적으로 매니폴드를 오프세트하기 위한 장치의 이동 관부의 선회 운동의 실행은 단지 예로써 주어져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동 관부의 지지 터렛의 구성 및 상기 지지 터렛에 대한 이동 관부의 체결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Claims (9)

  1. 선박에 제공되고, 상기 선박의 탱크에 연결된 매니폴드와 적어도 상기 선박의 외부 가장자리까지 그리고 이점적으로는 그 너머로 매니폴드 커넥터를 오프세트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오프세트 디바이스는 선박 구조물에 고정 장착되고 메니폴드에 연결된 관부와 매니폴드의 오프세트 커넥터를 지지하는 외부단부가 유체이송도관에 연결되는 이송위치와 외부 가장자리에 대해 선박 내부에 있는 적재 휴지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관부를 구비하는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유체를 선박에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동 관부(23)가 휴지 및 이송위치 사이에서 선박 구조물상에 선회 장착되고, 고정 관부(20) 및 이동 관부(23)의 외부단부와 내부단부에는 이동 관부(23)의 이송위치에서 서로 연결되나 휴지위치에서는 이격되어 있는 커넥터(21,26)가 제공되며, 고정 관부(20)의 커넥터(21)는 이동 관부(23)의 내부 커넥터(26)의 선회운동의 원호에 위치해 있어 2개 커넥터(21,26)의 외부를 향한 개방 오리피스의 축들이 이동 관부(23)의 이송위치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를 선박에 이송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 관부(23)는 지지물(40) 상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축 주위로 선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를 선박에 이송하기 위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이동 관부(23)는 일단은 연결팁(26)을 지지하고 타단은 유체이송도관(6)에 연결팁(28)을 지지하는 튜브 세그먼트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를 선박에 이송하기 위한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이동 관부(23)의 지지물은 수직축 주위로 그리고 선박에 선회 장착되는 터렛(40)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를 선박에 이송하기 위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터렛(40)은 선박상에 고정 장착된 회전 상부(41)와 베이스부(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를 선박에 이송하기 위한 장치.
  6. 저장선과 같은 제 1 선박 및 나란히 배치된 셔틀과 같은 제 2 선박에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유체이송 시스템으로서,
    각 셔틀에 위치된 이송장치와 두 선박 간에 유체의 이송동안 두 이송장치들을 상호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이송도관을 구비하는 타입이며,
    제 2 선박(2)은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가요성 이송도관(6)은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나란한 면으로 두 선박들 사이에 뻗어있는 면에서 제 1 선박(1) 및 제 2 선박(2)의 이송장치(4,5)의 연결팁(14,28)에 연결된 단부들 간에 체인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선박(1)에 제공된 이송장치(4)는 타워 구조물의 정점에서 도관(6)이 고정 파이프라인(9)에 연결된 타워 구조물(8) 및 도관(6)의 자유팁(14)을 제 2 선박(2)의 이송장치(5)의 연결팁(28)으로 이동하는 크레인(17)을 포함하고, 가요성 도관은 정지시 타워 구조물(8)의 정점과 선박의 데크(13) 사이로 뻗어 있고 가장자리를 따라 선박의 데크상에 연결팁(14)과 함께 끝나는 나머지 부분들에 의해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 시스템.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도관(6)은 극저온 호스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 시스템.
KR20117028468A 2009-04-30 2010-04-29 선박에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및 본 발명의 수단이 제공되는 한 선박과 다른 선박 간에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 KR201200246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2925A FR2945024A1 (fr) 2009-04-30 2009-04-30 Agencement de transfert d'un fluide a un navire et systeme de transfert d'un fluide entre deux navires dont un est equipe d'un agencement selon l'invention
FR0952925 2009-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672A true KR20120024672A (ko) 2012-03-14

Family

ID=4160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7028468A KR20120024672A (ko) 2009-04-30 2010-04-29 선박에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및 본 발명의 수단이 제공되는 한 선박과 다른 선박 간에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132307A1 (ko)
EP (1) EP2424777A2 (ko)
KR (1) KR20120024672A (ko)
CN (1) CN102458977A (ko)
AU (1) AU2010243444A1 (ko)
FR (1) FR2945024A1 (ko)
WO (1) WO201012531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40699B1 (no) * 2013-02-05 2017-06-06 Macgregor Norway As Fluidoverføringssystem, samt fremgangsmåte, for overføring av kryogenisk hydrokarbonbasert fluid fra en forsyningsstruktur til en mottaksstruktur
CN104613315A (zh) * 2015-02-03 2015-05-13 重庆燃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高水位差趸船供应天然气的方法
CN104554689B (zh) * 2015-02-03 2016-09-28 重庆燃气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向趸船供应天然气的方法
CN105736952B (zh) * 2016-01-31 2018-05-25 江苏韩通船舶重工有限公司 一种智能压缩天然气船主机氮气吹扫系统及其工作方法
EP3470323A1 (en) * 2017-10-13 2019-04-17 Shell International Research Maatschappij B.V. System for loading and off-loading a lng carrier vessel
JP2020037360A (ja) * 2018-09-05 2020-03-12 三井E&S造船株式会社 バンカー船および燃料移送方法
CN110861753B (zh) * 2019-11-28 2022-01-11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深远海三文鱼养殖工船的养殖用水提取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1684A (en) * 1973-12-19 1975-11-25 Lawrence P Allen Apparatus for coupling oil loading hose and other conduit with a storage tank fill pipe
IT1251567B (it) * 1991-09-10 1995-05-17 Riva Calzoni Spa Apparecchiatura per la presa, il bloccaggio e la movimentazione di veicoli subacquei e simili.
NL193950C (nl) * 1994-05-11 2001-03-02 Krupp Vosta B V Koppelinstallatie voor het koppelen van een leiding met een schip.
NO310064B1 (no) * 1994-11-04 2001-05-14 Norske Stats Oljeselskap Laste/losseterminal, særlig for anvendelse ved lasting eller lossing av petroleumsprodukter
NO312715B2 (no) * 1999-10-27 2002-06-24 Statoil Asa System for offshore overforing av flytendegjort naturgass
FR2902411B1 (fr) * 2006-06-19 2011-02-25 Technip France Dispositif de transfert d'un fluide sur un navire, ensemble et procede de transfert associes
FR2903653B1 (fr) * 2006-07-13 2009-04-10 Eurodim Sa Systeme de transfert d'un fluide tel que du gaz naturel liquefie entre un navire tel qu'un methanier navette et une unite flottante ou fixe.
FR2914903B1 (fr) * 2007-04-12 2010-05-28 Technip France Dispositif de transfert d'un fluide sur un navire, navire, ensemble de transfert et procede assoc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58977A (zh) 2012-05-16
WO2010125319A3 (fr) 2010-12-23
WO2010125319A2 (fr) 2010-11-04
EP2424777A2 (fr) 2012-03-07
FR2945024A1 (fr) 2010-11-05
AU2010243444A1 (en) 2011-11-24
US20120132307A1 (en)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4672A (ko) 선박에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및 본 발명의 수단이 제공되는 한 선박과 다른 선박 간에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
KR20090028767A (ko) 선박의 마니폴드와 같은 고정 배관과 액체수송용 연성관(flexible pipe) 단부의 연결 장치
KR100895345B1 (ko) 이동선박 및 해안설치물 사이의 유체 생산품 운송 시스템
KR102002182B1 (ko) 연안 유체 이송 시스템 및 방법
US9334994B2 (en) Coupling device
RU2548306C2 (ru)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жидкостей между первым и вторым судном, и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указанного способа
JP5303460B2 (ja) タンカーのような船舶と浮遊または固定施設との間での液化天然ガスのような流体の移送システム
US8956078B2 (en) Reel lay system
EP2276957B1 (en) Marine pipelaying system and method
CN1325366C (zh) 传送液体产品的系统
EP2678216A2 (fr) Systeme de transfert d'un fluide, notamment du gaz de petrole liquefie entre une premiere installation de surface et une deuxieme installation de surface
KR20110119764A (ko) 유체 제품을 운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5505018A5 (ja) 船舶と貯蔵タンク間の流体移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S5828200B2 (ja) 流体移送用荷役腕
CN111372847B (zh) 在并排布置的两艘船之间输送低温制品的系统
WO2019190311A1 (en) Marine pipelaying vessel and method for pipelaying by way of the j-lay method
EP2239190A1 (fr) Système de transfert de fluides entre deux navires placés côte à côte
NO780443L (no) Slangelagrings- og forsyningsinnretning
US20050039802A1 (en) Fluid transfer interface
WO2008148464A1 (en) Pipelaying and crane vessel
BE623180A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