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4145A -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 Google Patents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4145A
KR20120024145A KR1020100086867A KR20100086867A KR20120024145A KR 20120024145 A KR20120024145 A KR 20120024145A KR 1020100086867 A KR1020100086867 A KR 1020100086867A KR 20100086867 A KR20100086867 A KR 20100086867A KR 20120024145 A KR20120024145 A KR 20120024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eat treatment
agent
pair
me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9933B1 (ko
Inventor
이대범
Original Assignee
이대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086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933B1/ko
Application filed by 이대범 filed Critical 이대범
Priority to BR112013005455A priority patent/BR112013005455A2/pt
Priority to MX2013002561A priority patent/MX2013002561A/es
Priority to RU2013115306/12A priority patent/RU2537153C2/ru
Priority to CN2010800552204A priority patent/CN102770044A/zh
Priority to CA2801877A priority patent/CA2801877A1/en
Priority to US13/511,653 priority patent/US20130152958A1/en
Priority to PCT/KR2010/007164 priority patent/WO2012033251A1/ko
Priority to AU2010360310A priority patent/AU2010360310A1/en
Priority to EP10857038.3A priority patent/EP2614747A4/en
Publication of KR20120024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01Hair straightening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7/00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 A45D7/06Processes of waving, straightening or curling hair combined chemical and therm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66Coloring or bleac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머나 모발 염색 등을 시술할 때 염색약과 같은 시술약품이 모발에 도포 된 상태에서 열에너지를 부여하는 모발열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시술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시술약품이 도포 된 모발(H)에 열에너지를 전달시켜 열처리되게 하는 것으로서, 전기히터(11)의 열에너지가 150kcal/㎡ H ℃ 이상의 열전달계수를 갖는 금속부재(12)에 1차적으로 전달되고, 상기 금속부재(12)의 열에너지는 0.20kcal/㎡ H ℃ 이하의 열전달계수를 갖는 비금속부재(13)에 2차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비금속부재와 모발(H)의 접촉에 의해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을 제공하는 한편 모발(H)에 고온의 열에너지를 부여하게 되면 모발(H)의 주성분인 케라틴이 열에 반응하여 이완되는 동시에 모발(H)이 팽윤되어 시술약품의 침투 및 이탈 작용이 원활하게 되는 여러 가지의 모발시술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발시술방법{Heat treated-method of hair, enveloped by chemical and heat treated-method applying to this method}
본 발명은 퍼머나 모발 염색 등을 시술할 때 염색약과 같은 시술약품이 모발에 도포 된 상태에서 열에너지를 부여하는 모발열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시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실과 같은 업소에서는 모발 퍼머시술 및 모발 염색시술, 모발 탈색시술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와 같이 모발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모든 시술을 모발 시술, 또는 모발 시술방법이라고 명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모발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시술되는 모발에 필요로 되는 여러 가지 시술약품이 도포 된다. 예를 들면 퍼머약이나 탈색제 또는 염색제나 영양제 등이 그러한 시술약품에 해당된다.
상기 시술약품들은 직경이 매우 작은 모발 표면에 골고루 도포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젤 상태나 액체 상태로 제조되어 모발에 도포 되도록 하고 있고 주로 수분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젤 상태나 액체상태의 시술약품은 열에너지를 받으면 유동성이 좋아져서 모발 조직 내부로 보다 잘 침투하게 된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모발에 열에너지를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한 손으로 잡고 열풍을 모발 쪽으로 송풍 되게 하는 수동 전기 헤어드라이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31822호, 동 등록실용신안 제167285호 및 동 등록실용신안 제319890호와 같이 히터부가 머리 위에서 회전되어 모발에 열에너지를 방사시키는 모발건조기 및 모발과 직접 접촉되어 열에너지를 전달시키는 전기 헤어아이론을 이용하여 모발에 열에너지를 부여하는 것들이다.
상기 수동 헤어드라이기 및 모발건조기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모발에 열에너지를 부여하는 것은 간접열처리방법이라고 할 수 있고, 전기 헤어아이론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는 방법은 직접열처리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간접열처리방법에 있어서 수동 헤어드라이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열풍에 의해서 모발이 날리기 때문에 시술약품이 도포 된 모발을 열처리하는 방법으로는 매우 부적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고 열풍 바람에 의한 것이므로 모든 모발에 균일한 온도로 열처리 되게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므로 양호한 모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모발 시술에서는 전혀 시도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기존의 전기 헤어아이론에 의해서 모발을 가열하는 직접열처리방법을 시도할 경우 전기헤어아이론의 전기히터로부터 열에너지를 전달받는 금속판에 모발에 도포 된 시술약품이 접촉되는 경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간적으로 수증기가 폭발적으로 발생 되는 수분폭발현상이 초래되기 때문에 모발 시술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즉, 상기 금속판은 전기히터로부터 열전달을 받게 되는데 이때 금속은 자유전자에 의한 열전도가 이루어지므로 열전도계수가 큰 값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열전도계수가 큰 값을 가지게 될수록 전기히터의 열에너지가 모발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금속판 표면으로 급속히 전달된다.
그러므로 모발에 도포 된 시술약품은 미량인 반면에 전기히터의 고열의 열에너지가 계속적으로 급속히 금속판 표면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미량의 시술약품이 순간적으로 가열되어 수분폭발현상이 발생 되므로 모발이 젖어 있는 상태이거나 시술약품이 도포 된 상태에서는 전혀 사용할 수 없고, 단지 모발이 건조된 상태에서만 모발에 열에너지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시술약품이 도포 된 상태에서는 이미 선행기술로 언급된 모발건조기나 전기램프 또는 스팀기 등에 의해 열에너지를 모발에 방사시키는 간접열처리방법에만 의존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한 곳으로만 계속 열에너지를 방사되게 할 경우 시술약품이 타 버리거나 또는 증발되기 때문에 열에너지가 방사되는 히터부를 램프를 계속 회전시켜 가면서 방사되게 하는 방식으로 모발 열처리를 하고 있다.
그러므로 열에너지를 모발 전체에 균등하게 전달하지 못하므로 불균일한 모발열처리가 되고 그로 인해 양호한 퍼머 시술이 어렵고 염색 후 얼룩이 지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오랜 시간 동안 열에너지를 모발에 방사되게 하여야 하므로 모발 시술 시간이 오래 소요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예전의 간접열처리방법에서는 시술약품이 도포 된 상태에서는 고온의 열에너지를 방사시켜 가온시킬 경우 시술약품이 증발되거나 타버리게 될 수도 있었기 때문에 40-50℃의 비교적 중온의 가온 온도로서 모발을 열처리할 수 밖에 없었고 그로 인해 모발시술시에 모발을 펴주거나 퍼머 등을 할 경우에 완전히 모발을 건조시킨 후 전기헤어아이론과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고온의 가열온도에 의해서 시술을 재차 해야 하였다.
그러므로 모발 시술 시간이 오래 소요되었을 뿐만 아니라 건조된 모발에 고온의 열에너지를 부여하는 시술을 할 경우 모발 조직내에 포함하고 있는 수분이 증발되어 손상모를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므로 종래의 모발 시술 방법들은 시술 경험이 많은 고숙련자 만이 양호한 모발 시술을 할 수 있고 저숙련자의 경우 매우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모발 손상을 가져오는 시술이 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KR 20-0131822 Y1 1998.12.01 KR 20-0167285 Y1 2000.02.15 KR 20-0319890 Y1 2003.07.16
본 발명은 시술약품이 모발에 도포 된 상태에서 직열이 전달되게 하는 모발 열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발시술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속하게 모발 시술을 할 수 있고 시술시에 모발 손상이 없도록 하여 저숙련자도 양호한 시술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시술약품이 도포 된 모발에 열에너지를 전달시켜 열처리되게 하는 것으로서; 전기히터의 열에너지가 150kcal/㎡ H ℃ 이상의 열전달계수를 갖는 금속부재에 1차적으로 전달되고, 상기 금속부재의 열에너지는 0.20kcal/㎡ H ℃ 이하의 열전달계수를 갖는 비금속부재에 2차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비금속부재와 모발(H)의 접촉에 의해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히터가 밀착된 금속부재 표면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비금속부재를 갖는 한쌍의 가압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호 대응되게 하여 각각의 가압부에 있는 한쌍의 비금속부재 사이에서 모발이 가압 되면서 열전달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부재는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이고, 비금속부재는 내열성 고무나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손상된 모발을 복원시키는 시술로서; 모발 샴푸 후 다수의 모발 표면에 단백질영양제를 도포하는 약품도포과정과; 상기 다수의 모발을 1-3㎝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00-12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1차 모발직열처리과정과; 상기 모발을 물로 세척하고 타올에 의해 모발의 물기를 제거하는 세척드라이과정과; 상기 모발에 단백질코팅제를 도포하고 3-4분 경과후 상기 1차 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재차 시술하는 2차 모발직열처리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발시술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곱슬모발을 펴주는 시술을 하는 것으로서; 곱슬 모발 샴푸 후 다수의 곱슬모발 표면에 퍼머약을 도포하는 1제약품도포과정과; 상기 다수의 모발을 1-3㎝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모발직열처리과정과; 상기 모발에 단백질밸런스제를 도포 후 중화제를 도포하고 10-15분 방치되게 하는 2제약품도포과정과; 상기 중화제를 트리트먼트제와 물로 세척하는 세척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발시술방법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제약품도포과정과 모발직열처리과정 사이에 상기 퍼머약이 도포된 다수의 모발을 1-3㎝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80-10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모발연화처리과정을 더 갖도록 시술되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발직열처리과정에서 모발에 전달되는 온도가 극손상모의 경우 80-100℃이고, 손상모의 경우는 110-130℃이며, 건강모의 경우에는 140-200℃인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발 표면에 칼라코팅층이 코팅되게 시술하는 것으로서; 모발을 삼푸 후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도포하는 1차약품도포과정과; 상기 다수의 모발을 1-3㎝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00-12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1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상기 모발을 물로 세척하고 타올에 의해 모발의 물기를 제거한 후 모발 표면에 칼라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칼라코팅제를 도포하고 9-11분간 방치하는 2차약품도포과정과; 상기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20-16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고 9-11분간 방치하는 2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상기 모발을 세척하고 단백질코팅제를 도포 한 후 상기 2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한 시술을 재차 반복하는 3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상기 모발을 세척하는 모발세척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발시술방법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발을 염색 시술하는 것으로서; 모발을 샴푸 후 1제인 염색약과 2제인 산화제를 혼합한 혼합제 90중량%와 트리트먼트제 10중량%를 혼합하여 모발에 도포하는 1차약품도포과정과; 상기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20-16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고 9-11분간 방치하는 1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상기 모발에 단백질밸런스제를 도포하고 3분 방치 후 샴푸 세척하는 밸런스처리과정과; 상기 모발에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도포 후 상기 1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하게 재차 시술되게 하고 3분 방치하는 2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상기 모발을 세척하는 모발세척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발시술방법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발이 탈염 되게 시술하는 것으로서; 모발을 샴푸 후 1제 탈염제와 2제 탈염제를 1:1 비율로 혼합하여 탈염 할 모발에 도포하고 10-30분간 방치하는 1차약품도포과정과; 상기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30-16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1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상기 모발에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도포한 후 알카리성분의 샴푸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모발에 도포하는 2차약품도포과정과; 상기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00-12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2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상기 모발에 단백질코팅제를 도포하고 상기 2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한 시술을 재차 반복하는 3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상기 모발을 세척하는 세척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발시술방법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발 표면에 코팅된 칼라코팅층을 제거되게 시술하는 것으로서; 모발을 샴푸 후 코팅제거제와 트리트먼트제를 50:50 비율로 혼합하여 모발에 도포하고 10-30분간 방치하는 1차약품도포과정과; 상기 다수의 모발을 2-5㎝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00-13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약하게 가압 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1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상기 모발을 알카리성분의 샴푸로 세척한 후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도포하고 상기 1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한 시술을 재차 반복하는 2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상기 모발을 세척하는 세척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발시술방법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발을 탈색 시술하는 것으로서; 모발을 삼푸 후 건조시키고 두피보호제를 도포하는 두피보호처리과정과; 탈색제와 산화제 및 트리트먼트제를 혼합하여 모발에 도포하는 1차약품도포과정과; 상기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00-12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 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1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상기 모발에 단백질밸런스제를 도포하고 2분간 방치한 후 샴푸 세척하는 밸런스처리과정과; 상기 모발에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도포한 후 상기 1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한 시술을 재차 반복 시술하는 2차모발열처리과정과; 상기 모발을 세척하는 세척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발시술방법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발을 연화 촉진되게 하여 퍼머롯드에 의해 퍼머시술하는 것으로서; 모발을 샴푸 후 타올로 물기를 제거한 후 1제인 퍼머약을 모발에 도포하는 1차약품도포과정과; 상기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00-13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 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모발직열처리과정과; 상기 모발을 2제인 중화제를 도포하고 퍼머롯드에 감아서 10-15분간 방치한 후 산성린스 해준 다음 퍼머롯드를 제거하고 샴푸로 세척하는 2차약품처리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모발시술방법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발의 단백질성분 변성에 의해 곱슬모발을 펴주는 시술을 하는 것으로서; 모발을 샴푸 후 건조시킨 후 단백질영양제를 모발에 도포하는 1차약품도포과정과; 상기 다수과 모발을 2-5㎝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00-13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 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1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상기 모발을 열풍으로 건조시킨 후 모발에 단백질코팅제를 도포하는 2차약품도포과정과; 상기 모발을 1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한 시술을 재차 반복하는 2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공지된 전기헤어아이론의 한쌍의 열판 사이로 모발이 슬라이딩되게 처리하여 고온으로 모발의 단백질성분이 경화되게 변성시킨 후에 모발을 72시간 방치 후 샴푸 세척하는 스트레이트퍼머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발시술방법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술약품이 모발에 도포 된 상태에서도 직열이 전달될 수 있게 하는 모발 열처리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여러가지의 모발 시술을 저숙련자도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새로운 모발시술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발시술방법에 의해 신속하게 모발 시술을 할 수 있고 시술시에 모발 손상이 없이 양호한 시술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발열처리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발열처리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발열처리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상모발 복원 시술 방법을 설명하는 모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손상된 모발 및 복원된 모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곱슬 모발 펴기 시술방법을 설명하는 모발 개략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예전 곱슬 모발 펴기 시술에 의한 모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곱슬 모발 펴기 시술방법에 따른 작용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곱슬 모발 펴기 시술방법에 의한 모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칼라코팅층 시술방법을 설명하는 모발 개념작용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변성으로 곱슬 모발 펴기 시술방법에 의해 시술된 상태를 보인 비교도,
도 12는 기존의 전기헤어아이론에 의해서 수분이 있는 모발에 열처리 시술하는 경우를 실험한 수분폭발현상을 보인 실험상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모발(H)에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전기히터(11)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가 150kcal/㎡ H ℃ 이상의 열전달계수를 갖는 금속부재(12)에 1차적으로 전달되고, 상기 금속부재(12)의 열에너지는 0.20kcal/㎡ H ℃ 이하의 열전달계수를 갖는 비금속부재(13)에 2차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비금속부재(13)와 모발(H)의 접촉에 의해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발 열처리방법이 실시된다.
본 발명의 모발 열처리방법이 실시되기 위해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히터(11)가 밀착된 금속부재(12) 표면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비금속부재(13)를 갖는 한쌍의 가압부(14,14')를 각각 구비하고 상호 대응되게 하여 각각의 가압부(14,14')에 있는 한쌍의 비금속부재(13) 사이에서 모발(H)이 가압 되면서 열전달이 되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그 형태는 도 2의 예시와 같이 길다란 가압부(14,14')을 형성하여 탄력부재(15)에 의해서 벌어지도록 하고 상기 가압부(14,14')을 한 손으로 잡아서 어느 일측의 가압부(14)가 오무려 들어서 한쌍의 비금속부재(13)가 모발(H)를 가압하여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예시와 같이 넙적한 형태의 가압부(14,14')에 전기히터(11)가 밀착된 금속부재(12) 표면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비금속부재(13)를 각각 구비하여 어느 일측의 가압부(14,14')가 가압 되게 하거나 또는 양측의 가압부(14,14')가 상호 오무려 들게 가압 되어 한쌍의 비금속부재(13)가 모발(H)을 가압하여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부호 15'는 탄력부재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은 모발(H)이 전기히터(11)에서 발생 되는 열에너지가 금속부재(12)와 비금속부재(13)를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비금속부재(13)가 모발(H)과 직접 접촉되어 열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므로 가압부(14,14')의 형태에는 구애를 받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금속부재(13)가 모발(H)과 접촉되게 하여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므로 비금속부재(13)가 금속부재(12)의 외표면에 부착되게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비금속부재(13)가 금속부재(12)와 전기히터(11) 전체를 감싸도록 하여 모발(H)에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는 것이며, 또는 비금속부재(13)가 금속부재(12) 외표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게 하면서 가압부(14,14') 전체를 감싸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기히터(11)는 이미 알려져 있는 부품이므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생략하기로 하고 스위치와 전기선 및 온도조절부도 생략하기로 한다.
금속부재(12)는 상대적으로 높은 열전달계수를 가진 것이 채용된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열전달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은 열전달계수가 229kcal/㎡ H ℃이고, 구리는 386kcal/㎡ H ℃이므로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금속이라고 할 수 있고, 금속부재(12)로서 열전달계수가 150kcal/㎡ H ℃ 이상이 되는 것은 통상적으로 열전도도가 좋은 금속에 해당된다.
열전달계수가 비교적 높은 금속부재(12)는 전기히터(11)로부터 열에너지를 받게 되면 금속 물질특성상 자유전자에 의한 열전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금속부재(12)의 외표면으로 급속히 열전달이 되므로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다.
또한, 비금속부재(13)는 재질특성상 강도가 약하므로 금속부재(12)가 비금속부재(13)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하는 받침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금속부재(13)는 알루미늄이나 스텐인레스 재질의 금속이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금속부재(13)는 상대적으로 열전달계수가 매우 낮은 것이 채용된다. 비금속부재(13)로서 고무는 0.15kcal/㎡ H ℃, 아크릴은 0.51-0.37kcal/㎡ H ℃, 나무는 0.21-0.4kcal/㎡ H ℃, 종이는 0.02-0.15kcal/㎡ H ℃의 매우 낮은 열전달계수를 갖는다.
그러므로 비금속부재(13)는 금속부재(12)로부터 열전달을 받게 되면 열에너지를 전달받게 되는 내면부터 외표면까지 급속히 열전달 되지 않고 서서히 전달되는 상태가 되므로 잠열을 가지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그 잠열이 모발(H)에 전달되어 모발(H)이 열에너지를 전달받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잠열을 가진 비금속부재(13)에 액체가 접촉되면 액체가 잠열에너지를 전달받게 되기 때문에 물성특성상 액체가 순간적으로 증발되지 않는다. 또한, 액체가 잠열에너지를 전달받으면 액체가 접촉된 비금속부재(13) 외표면의 잠열이 액체쪽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금속부재(12)와 접촉된 비금속부재(13)의 내표면의 온도보다 다소 낮아지게 된다.
이때, 비금속부재(13)는 열전도도가 낮으므로 내표면의 열에너지가 외표묜쪽으로 급속하게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액체는 급속히 고온의 열에너지를 받지 않게 되고 잠열이 되어 전달되는 잠열에너지를 전달받게 됨으로써 액체가 순간적으로 급속히 가열되지 않게 되므로 수분이 폭발적으로 증발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발(H) 표면에 시술약품이 도포 된 상태에서 비금속부재(13)가 모발(H)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데 있어서 모발(H)의 한지점에 계속 머물면서 열전달이 되게 하는 것이 아니고 모발(H) 윗부분 부터 모발(H) 끝단부분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열전달이 되게 하는 것이므로 시술약품이 타거나 순간적으로 증발되지 않게 되면서 열에너지가 전달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해서 모발(H) 자체 및 모발(H)에 도포 된 시술약품에게 직접적으로 열에너지를 부여할 수 있게 시술이 가능하고 모발열처리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금속부재(13)는 0.20kcal/㎡ H ℃ 이하의 열전달계수를 갖는 비금속부재(13)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시술약품과 직접 접촉하는 것이므로 내열성, 내약품성, 내후성, 노화성, 내유성, 고탄성을 갖는 고무나 플라스틱 재질의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종류의 비금속이 채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시술약품이 도포 된 모발 열처리방법을 이용한 모발시술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의 모발시술방법에 있어 이용되는 시술약품들은 이미 알려진 시술약품들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성분 및 혼합비율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먼저 손상된 모발을 복원시키는 시술을 설명한다.
모발은 모표질 및 모수질과 모피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발의 주성분은 케라틴이라고 하는 유황성분을 함유한 상태의 80-90부피%가 단백질성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나머지는 멜라민색소, 지질, 수분, 미량원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모발은 잦은 퍼머, 염색 및 수시로 드라이를 하고 빗질을 하는 등의 요인에 의해서 손상을 받게 되어 다공성 모발이 되며, 이와 같이 손상 받은 모발을 복원하는 시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발을 샴푸 한 후 다수의 모발 표면에 단백질영양제를 도포하는 약품도포과정이 제1과정으로 실시된다.
따라서, 도 4의 (a)와 같이 모발(H)에서 손상된 부분에 단백질영양제(p)가 도포되는 상태가 된다.
다음, 제2과정으로 상기 다수의 모발(H)을 1-3㎝ 섹션 간격으로 분할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0-12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12)에 밀착되게 고정된 비금속부재(13)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14,14')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13)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H)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H)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1차 모발직열처리과정이 실시된다.
따라서, 모발(H)은 도 4의 (b)와 같이 100-120℃의 고온의 열에너지를 받게 되므로 모발(H)이 팽윤 및 이완되는 동시에 단백질영양제가 유동성이 좋아져서 활성화되게 됨에 따라 케라틴 성분의 단백질 영양제(p)가 모발(H) 깊숙이 침투하게 된다.
다음, 제3과정으로 상기 모발을 물로 세척하고 타올에 의해 모발의 물기를 제거하는 세척드라이과정이 실시되고, 제4과정으로 상기 모발에 단백질코팅제(c)를 도포하고 3-4분 경과후 상기 1차 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재차 시술하는 2차 모발직열처리과정이 실시된다.
따라서, 손상된 모발(H)은 도 4의 (c)와 같이 외표면에 단백질코팅제(c)가 표피층을 이루게 됨으로써 모발(H)이 두꺼워지고 질감이 좋아지게 되며 손상된 부위가 단백질영양제(p)에 의해서 채워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손상된 모발(H)이 양호한 모발(H)로 복원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전에도 단백질영양제 및 코팅제를 이용하여 손상된 모발을 복원하는 시술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예전에는 모발을 간접가열방법에 의해서 열에너지를 부여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약 45-60℃ 정도의 열에너지만을 모발에 방사할 수 밖에 없으므로 모피층을 팽윤 시키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을 뿐만 아니라 단백질 트리트먼트제 모발 속의 큐티클층까지 깊숙이 침투하지 못하고 단백질 변성이 되지 않아서 단백질이 모발에 염결합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오랫동안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2과정의 1차 모발직열처리과정에서 모발(H)에 직열이 전달되게 할 수 있으므로 모발(H)에 100-120℃의 열에너지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모발(H)에 100-120℃의 열에너지를 부여하게 되면 모발(H)의 주성분인 케라틴이 열에 반응하여 이완되는 동시에 모발(H)이 팽윤하게 한다.
또한, 트리트먼트제인 단백질영양제(p)의 주성분인 케라틴도 활성화가 되어 이완되고 팽윤된 모발(H) 조직 내부 깊숙이 침투될 뿐만 아니라 모발(H)이 팽윤되면 모발(H)에 미세하게 뚫린 다공성 구멍들이 넓어짐에 따라 빨아들이는 작용을 하게 됨으로써 단백질영양제(p)가 손상된 구멍으로 흡착하는 작용이 증대하게 된다.
그러므로 모발(H)이 손상되어 다공성 구멍 깊숙이 단백질영양제(p)가 침투하여 모발 조직과 상호 교착하여 보다 튼튼한 펩타이드 결합을 형성하여 단백질영양제(c)가 모발(H)에 달라 붙어 있게 되는 유지력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손상된 모발의 표피층 복구를 위해 단백질코팅제(c) 성분이 모발(H)에 보호막을 형성한 다음 제3과정의 2차 모발직열처리과정에 의해서 100-120℃의 직열을 모발(H)에 부여함으로써 모발(H) 표면에 잘 달라붙고 오래 지속 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백질코팅제(c)의 단백질 성분은 고온의 열에너지를 받게 되면 단단해 지면서 잘 달라붙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고온의 열에너지를 부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5에서 (a),(b)는 푸석거리게 손상된 모발을 나타내고, (c)는 큐티클이 박리된 손상 모발을 나타낸 것이며, (d)는 상기와 같이 손상된 모발을 본 발명의 시술방법에 의해서 시술되어 건강해진 모발을 보여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상된 모발 복원시에 더욱 트리트먼트제의 침투력 및 흡착력을 높여주게 되고 단백질이 모발에 염결합이 제대로 되게 하여 단백질영양제(p)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유지력을 크게 향상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발시술방법에 있어서 한쌍의 가압부(14,14')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13)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H)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H)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할 때 20㎝의 모발기장(길이)를 기준으로 했을 때 모발 상단부에서 하단 끝단부까지 미끄럼되게 잡아당기는 속도를 약 10초 정도 소요되도록 가압부(14,14')를 서서히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한쌍의 가압부(14,14') 사이의 비금속부재(13)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H)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H)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시에 가압부(14,14')를 잡아당기는 속도에 관련해서는 이하의 다른 모발시술방법에서도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시술방법으로서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곱슬 모발을 펴주는 시술을 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6을 참조하여 예전의 시술방법을 먼저 간략히 설명한다. 즉 예전에는 도 6의 (a)와 같이 곱슬 모발(H)을 샴푸 후에 1제 퍼머약을 도포하고 40-50℃의 열을 간접열처리방법으로 열처리를 하여 모발이 팽윤하고 환원제가 도 6의 (b)와 같이 SS결합을 절단시키도록 한 후에 퍼머약을 세척시킨 후 드라이기로 모발(H)이 완전히 건조되게 시술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전기헤어아이론에 의해서 건조된 모발(H)에 180-200℃의 열에너지를 부여하여 도 6의 (c)와 같이 모발(H)이 곧은 상태로 편 다음 2제인 중화제를 도포하여 SS결합이 재결합되도록 하였으나, 이 경우 전기헤어아이론에 의해서 건조된 모발(H)에 180-200℃의 열에너지를 부여함에 따라 모발(H) 내에 있는 수분이 거의 증발되고 모발(H)의 주성분인 단백질 성분이 변성이 되어 모발(H)의 큐티클이 도 7의 (a)와 같이 납작해지게 됨으로써 도 7의 (b)와 같이 모발이 착 달라 붙어 있는 상태와 같이 시술되었을 뿐만 아니라 모발 조직내의 수분이 거의 증발되어 모발 손상이 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예전과 같은 모발 손상이 없게 시술할 수 있고, 모발이 납작해지지 않게 곱슬 모발을 펴 줄 수 있게 하는 시술방법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곱슬 모발을 펴주는 시술을 하는 방법으로서, 먼저 곱슬 모발 샴푸 후 다수의 곱슬 모발 표면에 퍼머약을 도포하는 1제약품도포과정이 제1과정으로 실시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발 상태에 따라 제2과정인 모발연화처리과정이 실시될 수도 있고 아니면 생략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모발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되는 과정이다.
즉, 모발은 극손상모, 손상모, 건강모, 강모 등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강모일 경우에는 제1과정에 의해서 도포된 퍼머약을 세척해 낸 다음 연화가 된 상태에서 다시 제1과정과 같이 퍼머약을 도포하고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 제2과정인 모발연화처리과정을 실시한다.
상기 모발연화처리과정은, 상기 퍼머약이 도포된 다수의 모발을 1-3㎝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80-100℃의 전기히터(11)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12)에 밀착된 비금속부재(13)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14,14')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13)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모발연화처리과정이다.
상기 모발연화처리과정이 실시되면 모발이 고온의 열에너지를 받게 되어 팽윤작용이 증대되고 퍼머약의 유동성이 활성화되어 강모에는 잘 침투되지 않게 되는 퍼머약의 침투력이 보다 신속하고 증대됨에 따라 보다 양호한 시술이 도모된다.
다음, 제3과정인 모발직열처리과정이 실시된다. 이 과정은 제1과정이 실시된 후 실시되는 것이므로 퍼머약이 도포 된 상태에서 실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모발을 1-3㎝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도 2와 같이 전기히터(11)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12)에 밀착된 비금속부재(13)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14,14')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13)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것이다.
상기 모발직열처리과정이 실시되면 도 8과 같이 비금속부재(13)의 열에너지가 모발(H)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고 한쌍의 비금속부재(13)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가기 때문에 모발(H)이 곧게 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퍼머약(g)에 적정한 비율로 트리트먼트제(k)를 혼합하여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모발직열처리과정이 실시되면 상기 트리트먼트제(k)도 모발(H) 조직 내부로 깊숙이 침투하게 됨으로써 곱슬 모발(H)을 곧게 펴지게 하면서도 영양분을 보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퍼머약(g)이 모발(H)에 도포 된 상태에서 열에너지가 부여되면서 모발(H)이 곧게 펴지게 하는 시술이 됨에 따라 시술과정에 모발(H) 조직내에 있는 수분이 증발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모발이 손상되지 않게 되고, 도리어 트리트먼트제(k)의 영양성분이 모발(H) 내부 깊숙이 원활히 스며들게 되어 더욱 건강한 모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열을 가해서 모발을 펴주는 시술을 하더라도 모발(H)은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 모발(H)을 곧게 펴주는 상태이기 때문에 모발의 케라틴 단백질 및 원래 모발 내부에 있던 수분이 원래 상태로 그대로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모발(H) 단면이 예전처럼 납작해지지 않고 원형 상태 그대로 유지하게 됨으로써 도 9의 (a)에 보인 바와 같이 모발 큐티클이 손상됨이 없이 원형 그대로 펴지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모발이 탱글탱글하게 한올 한올 살아있는 상태와 같이 되기 때문에 도 9의 (b)와 같이 모발이 예전과 같이 착 달라붙지 않고 자연스로운 헤어 스타일이 연출될 수 있게 시술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모발에 단백질밸런스제를 도포 후 중화제를 도포하고 10-15분 방치되게 하는 제4과정의 2제약품도포과정 및 상기 중화제를 트리트먼트제와 물로 세척하는 제5과정의 세척과정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4과정 및 제5과정은 이미 알려진 과정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모발직열처리과정에서 모발에 전달되는 온도가 극손상모의 경우 80-100℃이고, 손상모의 경우는 110-130℃이며, 건강모의 경우에는 140-200℃에서 실시되게 함으로써 모발(H) 상태에 따라 모발(H)을 펴주게 하는 온도를 다르게 설정하여 실시되게 함에 따라 모발(H) 손상이 없게 하면서도 바람직하고 양호하게 모발(H)을 펴 줄 수 있도록 실시된다.
한편, 모발 표면에 칼라코팅층이 코팅되게 하는 시술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모발 표면에 칼라코팅층이 코팅되게 하는 시술방법은 일명 칼라 코팅 시술방법이라고도 불리우고 있다.
이러한 시술은 모발 표면에 색상을 가진 칼라코팅층이 코팅되게 하는 것으로서, 모발 조직내로 염료가 침투되게 하는 염색방법과 다른 것이다.
상기 시술은 모발에 칼라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칼라코팅제를 도포하고 열에너지를 부여하는 시술이 시도되고 있으며, 예전에는 간접열처리방법에 의존함에 따라 약 45-60℃ 정도로 가온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음으로써 코팅 지속력이 떨어져서 칼라코팅층이 빨리 벗겨지는 탈리현상이 초래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는 시술방법이 제공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발 표면에 칼라코팅층이 코팅되게 하는 시술방법으로서 제1과정으로 모발을 삼푸 후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도포하는 1차약품도포과정이 실시된다.
다음, 제2과정으로 상기 다수의 모발을 1-3㎝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도 2에서 나타낸 100-120℃의 전기히터(11)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12)에 밀착된 비금속부재(13)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14,14')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13)가 모발(H)을 가압 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1차모발직열처리과정이 실시된다.
따라서, 단백질 트리트먼트제 및 모발이 100-120℃의 고열을 받게 되면서 모발이 팽윤작용을 함과 동시에 단백질 트리트먼트제의 유동성이 활성화되어 모발 내부 깊숙이 침투하고 이미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염 결합을 통한 발색력 강화를 위해 모발의 모피질이나 모표피층이 유실되어 있는 부분에 단백질을 보충해 주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1차모발직열처리과정은 앞서 설명된 여러 시술방법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게 모발 팽윤작용 및 시술약품의 양호한 침투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모발을 물로 세척하고 타올에 의해 모발의 물기를 제거한 후 모발 표면에 칼라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칼라코팅제를 도포하고 9-11분간 방치하는 제3과정의 2차약품도포과정이 실시된다.
다음, 제4과정으로 상기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160℃의 전기히터(11)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12)에 밀착된 비금속부재(13)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14,14')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13)가 모발(H)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고 9-11분간 방치하는 2차모발직열처리과정이 실시된다.
이때, 도 10에 나타낸 칼라코팅제(k)는 산성염료로서 마이너스(-) 전하를 가지고 있으므로 플러스(+) 전하를 가진 모발(H)에 전기적으로 달라 붙어서 코팅되게 되는데 이때 모발(H)이 고온의 120-160℃ 온도로 가온됨에 따라 팽윤 작용이 증대되면서 모피질과 큐티클층 사이로 유동성이 좋아진 칼라코팅제(k)의 침투가 활성화됨으로써 염 결합하여 코팅이 잘 되게 작용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시술 완료 후에도 모발 표면에 코팅된 칼라코팅층이 잘 떨어지지 않게 시술되는 것이다.
다음, 제5과정으로 모발을 세척하고 단백질코팅제를 도포 한 후 상기 2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한 시술을 재차 반복하는 3차모발직열처리과정이 실시된다.
이때는 칼라코팅층 위에 단백질코팅제가 도포 되어 다시 모발직열처리과정을 재차적으로 시술함에 따라 고온의 120-160℃ 온도로 단백질코팅제의 단백질 성분이 가열되어 굳혀지게 되므로 칼라코팅층 위에 단단한 단백질 코팅막이 형성되므로 칼라코팅층의 유실을 방지해주고 칼라코팅층이 벗겨지는 것을 지연시켜 모발 표면에 칼라코팅층이 그대로 유지되게 하는 유지력을 높이게 된다.
다음, 제6과정으로 상기 모발을 세척하는 모발세척과정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 본 발명은 칼라코팅층의 잘 벗겨지지 않게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 모발을 염색 시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시술방법은 제1과정으로 모발을 샴푸 후 1제인 염색약과 2제인 산화제를 혼합한 혼합제 90중량%와 트리트먼트제 10중량%를 혼합하여 모발에 도포하는 1차약품도포과정이 실시된다.
본 발명은 염색 시술시에 고온의 열에너지를 모발에 직접 전달할 수 있게 시술 가능한 것이므로 1제인 염색약과 2제인 산화제를 혼합한 혼합제에 트리트먼트제를 더 혼합시켜서 도포하고 다음에 설명되는 제2과정을 실시하면 모발에 영양제를 침투시켜 모발 손상을 최대한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2과정으로 1차모발직열처리과정이 실시된다.
상기 1차모발직열처리과정은,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0-160℃의 전기히터(11)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12)에 밀착된 비금속부재(13)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14,14')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13)가 모발(H)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고 9-11분간 방치하는 과정이다.
상기 과정에 의해 본 발명은 1제인 염색약과 2제인 산화제를 혼합한 혼합제는 산화 염모제이고, 이러한 산화 염모제는 알카리성이 되므로 과산화수소가 분해되어 활성산소를 방출하고, 방출된 활성산소는 모발 중의 멜라닌 색소를 분해하며 동시에 산화염료를 산화하여 발색 되는 염색작용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염색작용은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염료와 산화제 그리고 손상을 방지해주는 단백질 트리트먼트제가 모피질 내로 원활하게 침투하게 되고, 그것은 이미 앞서 설명된 다른 시술방법에서와 마찬가지로 고온의 열에너지가 시술약품의 유동성을 향상시키고 모발을 팽윤시켜 시술약품의 침투력을 좋게 하고 모발이 흡착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고온의 열에너지가 모발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면 큐티클층이 팽윤되어 색소가 침투가 잘되고 열을 가해줌으로써 과산화수소의 분해가 활성화 되어 활성산소가 휠씬 많이 방출되기 때문에 활성산소가 모발 중의 멜라닌 색소를 분해하고 동시에 산화염료를 산화작용을 가일층 증대시키게 되므로 발색이 더욱 잘되게 하는 것이다.
다음, 제3과정으로 모발에 단백질밸런스제를 도포하고 3분 방치 후 샴푸 세척하는 밸런스처리과정이 실시된 다음, 상기 모발에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도포 후 상기 1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하게 재차 시술되게 하고 3분 방치하는 제4과정의 2차모발직열처리과정이 실시된다.
따라서, 상기 제4과정의 2차모발직열처리과정에 의해서 염색된 모발 표면에 단백질 트리트먼트제가 도포 되어 다시 모발직열처리과정을 재차적으로 시술함에 따라 고온의 120-160℃ 온도로 단백질 성분이 가열되어 굳혀지게 되므로 염색이 오래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되는 것으로서, 최종으로는 모발을 세척하는 제5과정의 모발세척과정이 실시됨으로써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은 모발이 탈염 되게 시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시술방법은 제1과정으로서, 모발을 샴푸 후 1제 탈염제와 2제 탈염제를 1:1 비율로 혼합하여 탈염 할 모발에 도포하고 10-30분간 방치하는 1차약품도포과정이 실시된다.
다음, 제2과정으로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30-160℃의 전기히터(11)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12)에 밀착된 비금속부재(13)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14,14')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13)가 모발(H)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1차모발직열처리과정이 실시된다.
이때, 130-160℃의 고온의 열에너지가 모발(H)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면 수분과 탈염제가 활성화되어 모발 안에서 화화적인 환원작용으로 인공 염료를 분해하여 모발 밖으로 방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탈염제가 활성화되어 모발 안에서 화화적인 환원작용으로 인공 염료를 분해하여 모발 밖으로 방출하게 되는 것은 이미 알려진 화학작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때 한쌍의 비금속부재(13)가 모발(H)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함에 따라 모발을 압축하는 작용이 되므로 염료를 짜내는 것과 같으므로 인공 염료는 화확적인 환원작용에 의해서 스스로 방출되면서 동시적으로 염료를 짜내는 것이 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게 탈염 시술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제3과정으로 모발에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도포한 후 알카리성분의 샴푸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모발에 도포하는 2차약품도포과정이 실시된다.
다음, 상기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0-120℃의 전기히터(11)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12)에 밀착된 비금속부재(13)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14,14')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13)가 모발(H)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제4과정의 2차모발직열처리과정이 실시된다.
또한, 모발에 단백질코팅제를 도포하고 상기 2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한 시술을 재차 반복하는 제5과정의 3차모발직열처리과정이 실시된다.
상기 제4과정 및 제5과정은 각각 모발에 시술약품을 도포하고 100-120℃의 직열을 가하여 단백질 트리트먼트제인 경우는 침투가 잘되게 하고, 단백질코팅제의 경우는 보다 견고하게 코팅되어 잘 부착되게 하는 것으로서, 이미 앞서 설명된 다른 시술방법에서 수차례 설명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모발을 세척하는 세척과정이 제6과정으로 실시됨으로써 탈염 시술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은 모발 표면에 코팅된 칼라코팅층을 제거되게 하는 시술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칼라코팅층 제거 시술방법은 제1과정으로 모발을 샴푸 후 코팅제거제와 트리트먼트제를 50:50 비율로 혼합하여 모발에 도포하고 10-30분간 방치하는 1차약품도포과정이 실시된다.
다음, 제2과정으로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0-130℃의 전기히터(11)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12)에 밀착된 비금속부재(13)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14,14')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13)가 모발(H)을 약하게 가압 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1차모발직열처리과정이 실시된다.
이때, 코팅제거제와 모발에 100-130℃의 고온의 열이 가해지면 모발이 팽윤작용이 되면서 모발 조직이 확장되어 유동성이 활성화 된 코팅제거제가 모피질과 모피층에 잘 침투되므로 코팅제거제의 화학적 작용에 의해 원활하게 색소가 빠져 나와 제거된다.
한편, 상기 제2과정의 시술을 하여도 만족스럽게 색소가 제거되지 않을 경우 제2과정의 시술을 다시 한번 반복하여 시술한다.
다음, 제3과정으로 모발을 알카리성분의 샴푸로 세척한 후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도포하고 상기 1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한 시술을 재차 반복하는 2차모발직열처리과정을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모발을 세척하는 세척과정을 제4과정으로 실시함으로써 시술이 완료된다.
상기 제3과정에서 모발에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도포하고 100-130℃의 직열을 가하여 모발에 영양 보충과 손상 부위가 보수되게 하는 것으로서, 이미 앞서 설명된 다른 시술방법에서 수차례 설명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해 모발을 탈색 시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시술은 제1과정으로 모발을 삼푸 후 건조시키고 두피보호제를 도포하는 두피보호처리과정이 실시된다.
그리고 제2과정으로 탈색제와 산화제 및 트리트먼트제를 혼합하여 모발에 도포하는 1차약품도포과정이 실시된 후, 제3과정으로 1차모발직열처리과정이 실시된다.
상기 1차모발직열처리과정은,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0-120℃의 전기히터(11)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12)에 밀착된 비금속부재(13)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14,14')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13)가 모발(H)을 가압 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과정이다.
다음, 제4과정으로 상기 모발에 단백질밸런스제를 도포하고 2분간 방치한 후 샴푸 세척하는 밸런스처리과정이 실시되고, 제5과정으로 모발에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도포한 후 상기 1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한 시술을 재차 반복 시술하는 2차모발열처리과정이 실시된 다음에 제6과정으로 모발을 세척하는 세척과정이 실시되어 완료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3과정에서 탈색제와 산화제 및 트리트먼트제와 같은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 고온으로 가열하게 되면 과산화수소 작용이 활성화되어 활성산소가 빠른 시간 내에 멜라닌 색소를 분해하여 탈색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얼룩이 지지 않고 모발 손상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작용과 같이 되는 것은 이미 설명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5과정에서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도포한 후 본 발명과 같이 모발열처리를 하면 모발에 영양 보충과 손상 부위가 보수되게 하는 것으로서, 이미 앞서 설명된 다른 시술방법에서 수차례 설명된 바 있으므로 여기서도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또다른 실시로서 모발을 연화 촉진되게 하여 퍼머롯드에 의해 퍼머시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시술방법은 먼저 모발을 샴푸 후 타올로 물기를 제거한 후 1제인 퍼머약을 모발에 도포하는 1차약품도포과정이 제1과정으로 실시된다.
이때, 모발 상태가 손상모일 경우 퍼머약에 트리트먼트제를 혼합하여 도포되게 할 수도 있다.
다음, 제2과정으로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0-120℃의 전기히터(11)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12)에 밀착된 비금속부재(13)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14,14')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13)가 모발(H)을 가압 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모발직열처리과정이 실시된다.
따라서, 제2과정에서는 100-120℃의 열이 모발에 가해지면 모발이 팽윤작용을 하고 퍼머약의 유동성이 좋아져서 퍼머약 성분의 알칼리제와 환원제가 활성화하여 팽윤된 모피층의 연화됨에 따라 환원제가 모발 내로 확실하게 침투하여 시스틴 결합을 절단하게 된다. 상기 퍼머약의 화학적 작용으로 모발의 시스틴 결합을 절단하는 작용은 이미 알려진 작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모발을 2제인 중화제를 도포하고 퍼머롯드에 감아서 10-15분간 방치한 후 산성린스 해준 다음 퍼머롯드를 제거하고 샴푸로 세척하는 2차약품처리과정이 실시된다. 상기 2차약품처리과정은 예전에도 이용되던 처리과정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실시되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전에는 제1과정인 차약품도포과정과, 제3과정인 2차약품처리과정에 의해서만 실시됨으로써 퍼머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컬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등 양호한 퍼머가 이루어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2과정인 모발직열처리과정이 더 실시됨으로써 모발이 연화 처리된 상태에서 제3과정이 실시되므로 확실하게 컬이 형성되게 퍼머가 될 뿐만 아니라 시술약품 도포 후 방치하는 시간이 절약되므로 퍼머시술시간 단축이 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한 퍼머시술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모발의 단백질성분 변성에 의해 곱슬 모발을 펴주는 시술방법도 제공한다.
상기 시술방법은 먼저 모발을 샴푸 후 건조시킨 후 단백질영양제를 모발에 도포하는 1차약품도포과정이 제1과정으로 실시된다.
또한, 제2과정으로 다수의 모발을 2-5㎝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0-130℃의 전기히터(11)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12)에 밀착된 비금속부재(13)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14,14')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13)가 모발(H)을 가압 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1차모발직열처리과정이 실시된다.
이 과정에서 모발은 단백질영양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100-120℃의 고온의 열에너지를 받게 되므로 모발이 팽윤 및 이완되는 동시에 단백질영양제가 유동성이 좋아져서 활성화되게 됨에 따라 케라틴 성분의 단백질 영양제가 모발 깊숙이 침투하게 된다.
다음, 제3과정으로 모발을 열풍으로 건조시킨 후 모발에 단백질코팅제를 도포하는 2차약품도포과정이 실시된 다음, 제4과정으로 상기 모발을 1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한 시술을 재차 반복하는 2차모발직열처리과정을 실시한다.
따라서, 이미 언급된바 있는 다른 시술방법에서와 마찬가지로 모발에 도포된 단백질코팅제가 고온을 받아 굳어지게 되어 모발표면에 견고하게 코팅된 상태가 된다.
다음, 제5과정으로 통상의 전기헤어아이론의 한쌍의 열판 사이로 모발이 슬라이딩되게 처리하여 고온으로 모발의 단백질성분이 경화되게 변성시킨 후에 모발을 72시간 방치 후 샴푸 세척하는 스트레이트퍼머과정이 실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발의 큐티클이 박리되어 도 11의 (a)와 같이 푸석거리고 부스스한 모발이나 곱슬 모발에 단백질영양제를 보충시킨 후 단백질코팅제가 코팅되게 하면서 고온도로 단백질 성분을 단단하게 되는 상태로 변성되게 경화시켜 줌으로써 도 11의 (b)와 같이 모발이 펴진 상태로의 지속력이 장기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시술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설명된 것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하고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1:전기히터 12:금속부재
13:비금속부재 14,14':가압부
15,15':탄력부재 H:모발
p:단백질영양제 c:코팅제
g:퍼머약 t:트리트먼트제
k:칼라코팅제

Claims (14)

  1. 시술약품이 도포 된 모발에 열에너지를 전달시켜 열처리되게 하는 것으로서;
    전기히터(11)의 열에너지가 150kcal/㎡ H ℃ 이상의 열전달계수를 갖는 금속부재에 1차적으로 전달되고, 상기 금속부재의 열에너지는 0.20kcal/㎡ H ℃ 이하의 열전달계수를 갖는 비금속부재에 2차적으로 전달되어 상기 비금속부재와 모발(H)의 접촉에 의해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히터가 밀착된 금속부재 표면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비금속부재를 갖는 한쌍의 가압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호 대응되게 하여 각각의 가압부에 있는 한쌍의 비금속부재 사이에서 모발이 가압 되면서 열전달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는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이고, 비금속부재는 내열성 고무나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
  4. 손상된 모발을 복원시키는 시술로서;
    모발 샴푸 후 다수의 모발 표면에 단백질영양제를 도포하는 약품도포과정;
    상기 다수의 모발을 1-3㎝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00-12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1차 모발직열처리과정;
    상기 모발을 물로 세척하고 타올에 의해 모발의 물기를 제거하는 세척드라이과정;
    상기 모발에 단백질코팅제를 도포하고 3-4분 경과후 상기 1차 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재차 시술하는 2차 모발직열처리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을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5. 곱슬 모발을 펴주는 시술을 하는 것으로서;
    곱슬모발 샴푸 후 다수의 곱슬모발 표면에 퍼머약을 도포하는 1제약품도포과정;
    상기 다수의 모발을 1-3㎝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모발직열처리과정;
    상기 모발에 단백질밸런스제를 도포 후 중화제를 도포하고 10-15분 방치되게 하는 2제약품도포과정;
    상기 중화제를 트리트먼트제와 물로 세척하는 세척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을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1제약품도포과정과 모발직열처리과정 사이에 상기 퍼머약이 도포된 다수의 모발을 1-3㎝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80-10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모발연화처리과정을 더 갖도록 시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을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직열처리과정에서 모발에 전달되는 온도가 극손상모의 경우 80-100℃이고, 손상모의 경우는 110-130℃이며, 건강모의 경우에는 140-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을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8. 모발 표면에 칼라코팅층이 코팅되게 시술하는 것으로서;
    모발을 삼푸 후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도포하는 1차약품도포과정;
    상기 다수의 모발을 1-3㎝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00-12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1차모발직열처리과정;
    상기 모발을 물로 세척하고 타올에 의해 모발의 물기를 제거한 후 모발 표면에 칼라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칼라코팅제를 도포하고 9-11분간 방치하는 2차약품도포과정;
    상기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20-16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고 9-11분간 방치하는 2차모발직열처리과정;
    상기 모발을 세척하고 단백질코팅제를 도포 한 후 상기 2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한 시술을 재차 반복하는 3차모발직열처리과정;
    상기 모발을 세척하는 모발세척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을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9. 모발을 염색 시술하는 것으로서;
    모발을 샴푸 후 1제인 염색약과 2제인 산화제를 혼합한 혼합제 90중량%와 트리트먼트제 10중량%를 혼합하여 모발에 도포하는 1차약품도포과정;
    상기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20-16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고 9-11분간 방치하는 1차모발직열처리과정;
    상기 모발에 단백질밸런스제를 도포하고 3분 방치 후 샴푸 세척하는 밸런스처리과정;
    상기 모발에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도포 후 상기 1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하게 재차 시술되게 하고 3분 방치하는 2차모발직열처리과정;
    상기 모발을 세척하는 모발세척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을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10. 모발이 탈염 되게 시술하는 것으로서;
    모발을 샴푸 후 1제 탈염제와 2제 탈염제를 1:1 비율로 혼합하여 탈염 할 모발에 도포하고 10-30분간 방치하는 1차약품도포과정;
    상기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30-16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1차모발직열처리과정;
    상기 모발에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도포한 후 알카리성분의 샴푸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모발에 도포하는 2차약품도포과정;
    상기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00-12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2차모발직열처리과정;
    상기 모발에 단백질코팅제를 도포하고 상기 2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한 시술을 재차 반복하는 3차모발직열처리과정;
    상기 모발을 세척하는 세척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을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11. 모발 표면에 코팅된 칼라코팅층을 제거되게 시술하는 것으로서;
    모발을 샴푸 후 코팅제거제와 트리트먼트제를 50:50 비율로 혼합하여 모발에 도포하고 10-30분간 방치하는 1차약품도포과정;
    상기 다수의 모발을 2-5㎝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00-13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약하게 가압 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1차모발직열처리과정;
    상기 모발을 알카리성분의 샴푸로 세척한 후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도포하고 상기 1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한 시술을 재차 반복하는 2차모발직열처리과정;
    상기 모발을 세척하는 세척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을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12. 모발을 탈색되게 시술하는 것으로서;
    모발을 삼푸 후 건조시키고 두피보호제를 도포하는 두피보호처리과정;
    탈색제와 산화제 및 트리트먼트제를 혼합하여 모발에 도포하는 1차약품도포과정;
    상기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00-12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 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1차모발직열처리과정;
    상기 모발에 단백질밸런스제를 도포하고 2분간 방치한 후 샴푸 세척하는 밸런스처리과정;
    상기 모발에 단백질 트리트먼트제를 도포한 후 상기 1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한 시술을 재차 반복 시술하는 2차모발열처리과정;
    상기 모발을 세척하는 세척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을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13. 모발을 연화 촉진되게 하여 퍼머롯드에 의해 퍼머시술하는 것으로서;
    모발을 샴푸 후 타올로 물기를 제거한 후 1제인 퍼머약을 모발에 도포하는 1차약품도포과정;
    상기 다수의 모발을 2-6㎝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00-13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 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모발직열처리과정;
    상기 모발을 2제인 중화제를 도포하고 퍼머롯드에 감아서 10-15분간 방치한 후 산성린스 해준 다음 퍼머롯드를 제거하고 샴푸로 세척하는 2차약품처리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을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14. 모발의 단백질성분 변성에 의해 곱슬모발을 펴주는 시술을 하는 것으로서;
    모발을 샴푸 후 건조시킨 후 단백질영양제를 모발에 도포하는 1차약품도포과정;
    상기 다수의 모발을 2-5㎝ 섹션간격으로 분할하여 100-130℃의 전기히터 열에너지를 받는 금속부재에 밀착된 비금속부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가압부 사이에 게재시켜 한쌍의 비금속부재가 모발을 가압 되게 하면서 모발 끝단방향으로 미끄럼되게 서행 이동시켜 모발에 열에너지가 전달되게 하는 시술을 2-3회 반복하는 1차모발직열처리과정;
    상기 모발을 열풍으로 건조시킨 후 모발에 단백질코팅제를 도포하는 2차약품도포과정;
    상기 모발을 1차모발직열처리과정과 동일한 시술을 재차 반복하는 2차모발직열처리과정;
    공지된 전기헤어아이론의 한쌍의 열판 사이로 모발이 슬라이딩되게 처리하여 고온으로 모발의 단백질성분이 경화되게 변성시킨 후에 모발을 72시간 방치 후 샴푸 세척하는 스트레이트퍼머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을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KR1020100086867A 2010-09-06 2010-09-06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KR101439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867A KR101439933B1 (ko) 2010-09-06 2010-09-06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MX2013002561A MX2013002561A (es) 2010-09-06 2010-10-19 Aparato de tratamiento termico del cabello para cabello al que se ha aplicado una sustancia quimica y procedimiento de tratamiento termico que usa el mismo.
RU2013115306/12A RU2537153C2 (ru) 2010-09-06 2010-10-19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химически обработанных волос и использующий его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волос
CN2010800552204A CN102770044A (zh) 2010-09-06 2010-10-19 涂抹上处理药剂的毛发热处理法及利用此的毛发处理法
BR112013005455A BR112013005455A2 (pt) 2010-09-06 2010-10-19 "aparelho de tratamento térmico de cabelo para cabelo aplicado com produto químico, e procedimento de tratamento de cabelo usando o mesmo."
CA2801877A CA2801877A1 (en) 2010-09-06 2010-10-19 Hair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chemical applied hair and hair treatment procedure using the same
US13/511,653 US20130152958A1 (en) 2010-09-06 2010-10-19 Hair Heat Treatment Apparatus for Chemical Applied Hair and Hair Treatment Procedures Using the Same
PCT/KR2010/007164 WO2012033251A1 (ko) 2010-09-06 2010-10-19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AU2010360310A AU2010360310A1 (en) 2010-09-06 2010-10-19 Heat treatment method for hair upon which cosmetic chemicals are applied and hair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EP10857038.3A EP2614747A4 (en) 2010-09-06 2010-10-19 Heat treatment method for hair upon which cosmetic chemicals are applied and hair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867A KR101439933B1 (ko) 2010-09-06 2010-09-06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145A true KR20120024145A (ko) 2012-03-14
KR101439933B1 KR101439933B1 (ko) 2014-09-15

Family

ID=45810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867A KR101439933B1 (ko) 2010-09-06 2010-09-06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30152958A1 (ko)
EP (1) EP2614747A4 (ko)
KR (1) KR101439933B1 (ko)
CN (1) CN102770044A (ko)
AU (1) AU2010360310A1 (ko)
BR (1) BR112013005455A2 (ko)
CA (1) CA2801877A1 (ko)
MX (1) MX2013002561A (ko)
RU (1) RU2537153C2 (ko)
WO (1) WO20120332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2363B1 (en) 2014-09-05 2021-02-09 Bruce S. Kanter Hair treatment device for coloring hair
WO2017080957A1 (en) * 2015-11-10 2017-05-18 Koninklijke Philips N.V. Hair care device
RU2674457C1 (ru) * 2015-11-25 2018-12-1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кладки волос
BR112019015147A2 (pt) * 2017-01-26 2020-03-24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Aparelho modelador de cabelo, uso do aparelho modelador de cabelo, método para auxiliar um usuário a modelar um segmento de cabelo, e, kit
JP2019150232A (ja) * 2018-03-01 2019-09-12 ロレアル 可撓性加熱装置
KR102106852B1 (ko) * 2018-08-27 2020-05-07 알비에치 주식회사 모발 손상을 최소화하는 펌 시술방법
RU2730486C1 (ru) * 2019-10-09 2020-08-2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ЮНИКОСМЕТИК" Косметические процедуры, связанные с нагревом кератиновых волокон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3008B2 (ja) 1992-08-11 2001-04-03 日本電気株式会社 ペイントメニュー制御方式
JPH0751119A (ja) * 1993-08-20 1995-02-28 Kazumi Segami パーマネントトリートメントの施術方法、アイロン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の施術方法及びトリートメント剤
US6173718B1 (en) 1998-06-29 2001-01-16 Milbon Co., Ltd. Hair styling iron
US6125856A (en) * 1999-04-21 2000-10-03 Phild Co., Ltd. Hair repair, styling, and straightening process
KR100905499B1 (ko) 2004-01-19 2009-07-01 이대범 스트레이트퍼머용 헤어아이론
FR2879170B1 (fr) * 2004-12-10 2011-07-15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de coloration capillaire
US20060201527A1 (en) * 2005-01-18 2006-09-14 Sage Communications, Inc. Multifunction hair appliance
KR200397144Y1 (ko) 2005-07-14 2005-09-28 이대범 스트레이트퍼머용 헤어아이론
KR100537898B1 (ko) * 2005-10-20 2005-12-20 이순화 퍼머넌트 웨이브 형성방법
KR100780543B1 (ko) * 2007-01-18 2007-11-30 김송정 퓨전열펌 볼륨매직 퍼머방법
US20080283081A1 (en) * 2007-05-15 2008-11-20 Masood Habibi Hair styling device
US20080283080A1 (en) * 2007-05-15 2008-11-20 Masood Habibi Hair styling device
WO2009046320A1 (en) * 2007-10-04 2009-04-09 Conair Corporation Hair styling iron with retractable fins
US8124914B2 (en) 2007-12-19 2012-02-28 Kent Yu Hair iron with dimpled face plates and method of use in styling hair
CN201146955Y (zh) * 2008-01-29 2008-11-12 王佰忠 电热烫发器
CN201153656Y (zh) * 2008-02-03 2008-11-26 匡柳 带复合发热面板的直发器
KR101046414B1 (ko) * 2008-08-27 2011-07-05 심국현 기능성 퍼머액을 통한 퍼머 시술방법
KR101092407B1 (ko) * 2009-04-16 2011-12-09 박태환 무선 헤어 고데기용 방열판 및 무선 헤어 고데기
US8875717B2 (en) * 2010-04-05 2014-11-04 Spectrum Brands, Inc. Static dissipative personal care apparatus for grooming 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933B1 (ko) 2014-09-15
MX2013002561A (es) 2013-10-03
EP2614747A1 (en) 2013-07-17
EP2614747A4 (en) 2017-06-21
WO2012033251A1 (ko) 2012-03-15
AU2010360310A1 (en) 2013-07-18
CA2801877A1 (en) 2012-03-15
CN102770044A (zh) 2012-11-07
RU2537153C2 (ru) 2014-12-27
RU2013115306A (ru) 2014-10-20
US20130152958A1 (en) 2013-06-20
BR112013005455A2 (pt) 201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4145A (ko) 시술약품이 도포된 모발 열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발시술방법
KR20110006571A (ko) 젖은모발퍼머시술이 가능한 헤어아이론
US20100307526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hair straightening and curling
JPH07303513A (ja) ウエーブパーマ等のヘア処理方法とその処理装置
KR101511156B1 (ko) 손상모를 회복시켜 주는 펌 시술방법
JP3330581B2 (ja) 加温二浴式パーマ用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毛髪のパーマ処理方法
KR101516954B1 (ko) 모발의 단백질 손상을 최소화하는 펌 시술방법
KR101051984B1 (ko) 습식열퍼머를 가능하게 하는 증기퍼머씨트팩 및 이를 이용한 습식열퍼머시술방법
KR101419718B1 (ko) 모발 손상 없이 건식 및 습식 퍼머시술이 가능하게 하는 헤어아이론
JP2012020943A (ja) 縮毛矯正施術・カール施術システム
JP2006212214A (ja) パーマネント処理方法
KR101090779B1 (ko) 스트레이트 퍼머시술방법
TW201350051A (zh) 塗抹上處理藥劑之毛髮熱處理及利用該處理劑(處理藥劑)之毛髮處理法
RU2633248C1 (ru) Способ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оздействия пламени
KR20020035551A (ko) 광물질에 의한 모발 미용 클리닉 용제 및 이를 이용한모발 미용 클리닉 방법
JP4475604B2 (ja) 毛髪のカール処理方法
Nagy Beauty and physics—physics projects based on modern aesthetic and medical treatments
JP2009120543A (ja) 縮毛矯正施術方法
KR100437251B1 (ko) 인성작용 형상 기억 가발의 제조방법
KR20220035578A (ko) 헤어 아이론 및 이를 이용한 펌 시술 방법
KR20130080026A (ko) 퍼머 시술 방법
JP2003055166A (ja) ヘアトリートメント剤組成物
RU2404791C2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волосяного покрова головы
JP4648492B1 (ja) パーマネントの処理方法
JP2020200273A (ja) 美髪剤及び美髪方法並びに美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