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088A - 제어 기기 - Google Patents

제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088A
KR20120023088A KR1020117029813A KR20117029813A KR20120023088A KR 20120023088 A KR20120023088 A KR 20120023088A KR 1020117029813 A KR1020117029813 A KR 1020117029813A KR 20117029813 A KR20117029813 A KR 20117029813A KR 20120023088 A KR20120023088 A KR 20120023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ght source
body case
surface panel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4141B1 (ko
Inventor
노리야 우치우미
히데후미 하라다
히로시 고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마다케
Publication of KR20120023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7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from electrostatic dis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15Thermal insu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43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for decorative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체 케이스(2) 내에 배치되고, 광원(3a)이 실장된 기판(3)과, 광원에 대향하는 위치에 광원 표시창(6a)이 형성된 표면 패널(5)을 구비한 제어 기기(1)에서, 표면 패널의 본체 케이스에 대향하는 면의 외주 가장자리부가 절연부(5a)를 통해 본체 케이스의 전면 가장자리부(2b)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제어 기기{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예컨대 내부에 배치된 기판에 실장된 광원이 발광?소광하는 것에 의해, 기기 본체의 동작 상황이 표면 패널에 표시되는 제어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어 기기(10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01)의 내부에, 제어 기기(100)의 정해진 동작에 대응하여 발광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광원(102a)이 실장된 기판(10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101)의 전면측에는, 광원(102a)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어 기기(100)의 동작 상황 등을 표시하는 광원 표시창(103a)이 형성된 표면 패널(103)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어 기기(100)는, 동작 상황에 따라서, 대응하는 광원(102a)이 발광?소광하는 것에 의해, 관리자는 제어 기기(100)의 현재의 동작 상황을 광원 표시창(103a)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종래의 제어 기기(100)는,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01)의 내벽에 2단의 단차 프레임부(101a, 101b)가 형성되어, 본체 케이스(101)의 안쪽의 단차 프레임부(101a)에는 기판(102)이 배치되고, 본체 케이스(101)의 전면측의 단차 프레임부(101b)에는 표면 패널(103)이 끼워 넣어져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 기기(100)의 배색을 흑색으로 통일하는 경우, 표면 패널(103)은, 투명 수지의 이면에 흑색 잉크가 실크 인쇄되는 것에 의해 흑색으로 배색된다. 그러나, 통상, 흑색 잉크에는 카본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본체 케이스(101)와 표면 패널(103)의 접착 부분에 손으로 접촉했을 때에, 표면 패널(103)에 인쇄된 흑색 잉크를 통해, 본체 케이스(10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기판(102)에 정전기가 흘러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종래의 제어 기기(100)의 정전기 대책으로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키(104)를 갖는 표면 패널(103)의 배면측에, 표면에 카본 잉크를 인쇄하는 것에 의해 도전층(105)이 형성된 기판(102)을 배치하고, 이 도전층(105)을, 지지판(106)을 통해, 제어 기기(100)의 내부에 배치된 브래킷(접지 부재)(107)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관리자가 조작키(104)를 조작했을 때에, 관리자에게 대전한 정전기를 도전층(105)으로부터 접지 부재(107)로 흘려, 제어 기기(100) 내에 설치된 제어 회로 등의 전기 회로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5857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제어 기기(100)에서는, 접지 부재(107)를 배치해야 하고, 소형의 제어 기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접지 부재(107)를 배치할 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으며, 또한 접지 부재(107)를 이용하는 경우에 구성이 복잡해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제어 기기(100)에서는, 본체 케이스(101)의 내벽에 2단의 단차 프레임부(101a, 101b)를 설치하여, 기판(102) 및 표면 패널(103)을 고정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기판(102)의 사이즈를 작게 해야 하고, 이 기판(102)에 실장된 광원(102a)의 위치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광원 표시창(103a)의 배치 공간이 표면 패널(103) 내측에 제한되기 때문에, 디자인에 제약이 생긴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제어 기기 내의 기판을 정전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또한 표면 패널 위의 광원 표시창의 배치 공간을 넓게 취함으로써 자유로운 디자인이 가능한 제어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기기는, 본체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광원이 실장된 기판과, 광원에 대향하는 위치에 광원 표시창이 형성된 표면 패널을 구비한 제어 기기에 있어서, 표면 패널의 본체 케이스에 대향하는 면의 외주 가장자리부가 절연부를 통해 본체 케이스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제어 기기 내부의 기판을 정전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또한 표면 패널 위의 광원 표시창의 배치 공간을 넓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자유로운 디자인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표면 패널의 이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제어 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제어 기기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기기(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의 (a)는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의 표면 패널(5)의 이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기기(1)는, 본체 케이스(2), 기판(3), 도광 부품(4) 및 표면 패널(5)로 구성된다. 또한 이 제어 기기(1)의 배색은 흑색으로 통일되는 것으로 한다.
본체 케이스(2)는, 그 내부에 기판(3), 도광 부품(4) 및 도시하지 않는 제어 회로 등을 수납하는 케이스이고, 전면에 개구를 갖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흑색의 수지에 의해 구성된다. 이 본체 케이스(2)의 전면측의 내벽에는, 기판(3)을 배치하기 위한 단차 프레임부(2a)가 1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 케이스(2)의 전면에는 표면 패널(5)을 고정하기 위한 전면 가장자리부(2b)가 형성된다.
기판(3)은 제어 기기(1)의 동작 상태에 따라 대응하는 LED(광원)(3a)를 발광시키는 것이고, 복수의 LED(3a)가 실장되는 것이다. 이 기판(3)은, 본체 케이스(2)에 형성된 단차 프레임부(2a)에 배치된다.
도광 부품(4)은 기판(3)에 실장된 LED(3a)에 의한 광을 표면 패널(5)에 도광하기 위한 것이다. 이 도광 부품(4)에는, 기판(3)에 실장된 LED(3a)에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부(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표면 패널(5)의 표시부(6)에 형성된 문자부(6b)에 도광 부품(4)의 바탕이 비쳐 보이기 때문에, 도광 부품(4)은 문자부(6b)에 원하는 색의 수지에 의해 구성된다. 이 도광 부품(4)은 기판(3)의 전면측에 배치된다.
표면 패널(5)은, 투명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에 대향하는 면(이면)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절연성 잉크인 논카본블랙 잉크(IR 블랙)가 실크 인쇄되는 것에 의해 절연부(5a)가 형성되고, 그 내측에 흑색 잉크가 실크 인쇄되는 것에 의해 전체가 흑색으로 배색된다. 이 표면 패널(5)은, 본체 케이스(2)의 전면 가장자리부(2b)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표면 패널(5)은, 제어 기기(1)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6)를 갖고 있다. 이 표시부(6)에는, 배면측에 배치된 기판(3)에 실장된 LED(3a)에 대향하는 위치에 인쇄된 잉크가, 레이저 마커에 의해 박리되어 투명하게 됨으로써, LED(3a)의 발광?소광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LED 표시창(광원 표시창)(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6)에는, 레이저 마커에 의해 잉크가 정해진 문자 형상으로 박리되어 투명하게 됨으로써, 배면측에 배치된 도광 부품(4)의 바탕이 비쳐 보인 문자부(6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LED 표시창(6a)을 형성할 때에, 레이저 마커에 의해 잉크가 박리하는 범위 또는 강도를 조절하여 도트 패턴으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레이저 마커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LED 표시창(6a)에 확산 효과, 스모크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종래 LED 표시창(6a)에 확산 효과, 스모크 효과를 부가할 때에 이용했던 스모크판은 불필요해지고, 또한 이 스모크판을 칠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부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 케이스(2)에 대향하는 표면 패널(5) 면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절연성 잉크를 인쇄하여 절연부(5a)를 형성함으로써, 관리자가 제어 기기(1)와 표면 패널(5)의 접착 부분을 손으로 접촉했을 때에, 본체 케이스(2)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3)에 정전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2)의 내벽에 형성되는 단차 프레임부(2a)를 1단으로 하여, 이 단차 프레임부(2a)에 기판(3)을 배치하고, 표면 패널(5)을 본체 케이스(2)의 전면 가장자리부(2b)에 고정함으로써, 기판(3)의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있고, 이 기판(3)에 실장된 LED(3a)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LED 표시창(6a)의 표면 패널(5) 위의 배치 공간을 넓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의 제약이 적어져, 자유로운 디자인이 가능해진다.
또한, 표면 패널(5)이 갖는 표시부(6)에서, 레이저 마커에 의해 정해진 부분의 잉크가 박리되는 것에 의해, LED(3a)에 의한 발광?소광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LED 표시창(6a) 및 도광 부품(4)의 바탕이 비쳐 보인 문자부(6b)를 형성했기 때문에, 형번(型番)에 의해 표시부(6)의 LED 표시창(6a)의 위치나 수, 문자부(6b)의 문자가 상이한 경우에, 종래 이용하고 있던 형번마다 상이한 인쇄판은 불필요해지고, 다종 다양한 표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형번마다 발주를 통합하는 것에 의해 발주 로트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문자부(6b)는, 도광 부품(4)의 바탕이 비쳐 보이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이 문자부(6b)의 문자의 색은, 도광 부품(4)의 색을 변경함으로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체 케이스(2)에 대향하는 표면 패널(5) 면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절연부(5a)를 형성하고, 이 표면 패널(5)을 본체 케이스(2)의 전면 가장자리부(2b)에 고정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관리자가 본체 케이스(2)와 표면 패널(5)의 접착 부분에 손으로 접촉했을 때에, 본체 케이스(2)의 내부에 수납되는 기판(3)에 정전기가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본체 케이스(2) 내에 배치되는 LED(3a)가 실장된 기판(3)의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있으며, LED(3a)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LED 표시창(6a)의 표면 패널(5) 위의 배치 공간을 넓게 취할 수 있어, 자유로운 디자인이 가능해진다.
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기기(1)에서는, 본체 케이스(2)에 대향하는 표면 패널(5)의 면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절연부(5a)를 형성하여 설명했지만, 본체 케이스(2)의 전면 가장자리부(2b)에 절연부(5a)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은 그 발명의 정신 범위 내에서, 각 실시형태의 자유로운 조합, 또는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화상 표시 장치는, 제어 기기 내부의 기판을 정전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또한 표면 패널 위의 광원 표시창의 배치 공간을 넓게 취할 수 있어, 자유로운 디자인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내부에 배치된 기판에 실장된 광원이 발광?소광하는 것에 의해, 기기 본체의 동작 상황이 표면 패널에 표시되는 제어 기기 등에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Claims (6)

  1. 본체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광원이 실장된 기판과, 상기 광원에 대향하는 위치에 광원 표시창이 형성된 표면 패널을 구비한 제어 기기에 있어서,
    상기 표면 패널의 상기 본체 케이스에 대향하는 면의 외주 가장자리부는 절연부를 개재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표면 패널의 상기 본체 케이스에 대향하는 면의 외주 가장자리부 또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 가장자리부 중 어느 한 쪽에 절연성 잉크가 인쇄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표면 패널의 상기 본체 케이스에 대향하는 면의 외주 가장자리부 또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면 가장자리부 중 어느 한 쪽에 IR 블랙이 인쇄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표면 패널 사이에, 상기 기판에 실장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표면 패널에 형성된 광원 표시창에 도광하는 도광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 패널은, 상기 광원에 대향하는 면에 인쇄된 잉크가 레이저 마커에 의해 정해진 형상으로 박리되어, 상기 도광 부품의 바탕이 비쳐 보이는 문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표시창은, 상기 광원에 대향하는 위치에 인쇄된 잉크가 레이저 마커에 의해 박리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표시창은 도트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기기.
KR1020117029813A 2009-09-11 2010-08-25 제어 기기 KR101344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10637 2009-09-11
JP2009210637A JP5289253B2 (ja) 2009-09-11 2009-09-11 制御機器
PCT/JP2010/005222 WO2011030511A1 (ja) 2009-09-11 2010-08-25 制御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088A true KR20120023088A (ko) 2012-03-12
KR101344141B1 KR101344141B1 (ko) 2013-12-20

Family

ID=4373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813A KR101344141B1 (ko) 2009-09-11 2010-08-25 제어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39631B2 (ko)
JP (1) JP5289253B2 (ko)
KR (1) KR101344141B1 (ko)
CN (1) CN102640580B (ko)
WO (1) WO20110305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69219A (zh) * 2012-09-25 2013-01-09 昆山荣科钣金科技有限公司 一种防静电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039Y2 (ko) * 1987-10-19 1993-11-16
JPH06286307A (ja) * 1993-03-30 1994-10-11 Toppan Printing Co Ltd 情報記録媒体
KR100304256B1 (ko) 1998-08-26 2002-07-18 윤종용 액정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 조립방법
US6404622B1 (en) 2000-03-30 2002-06-11 Jack Chen Portable computer housing
JP2005158579A (ja) 2003-11-27 2005-06-16 Alpine Electronics Inc 電子機器
TW200523716A (en) 2004-01-06 2005-07-16 Acer Inc Light guide structure for LED on server bezel
CN201097040Y (zh) * 2007-09-28 2008-08-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超薄触摸屏液晶显示器
KR100908127B1 (ko) * 2007-10-05 2009-07-16 주식회사 유뎀 발광장치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부재
KR101433151B1 (ko) 2007-12-20 2014-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창을 구비한 케이스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TW201038168A (en) 2009-04-03 2010-10-16 Fih Hong Kong Ltd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40580A (zh) 2012-08-15
CN102640580B (zh) 2015-11-25
JP2011061076A (ja) 2011-03-24
JP5289253B2 (ja) 2013-09-11
WO2011030511A1 (ja) 2011-03-17
US8939631B2 (en) 2015-01-27
KR101344141B1 (ko) 2013-12-20
US20120155117A1 (en)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22836A1 (en) Light-emitting assembly for keyboard
JP5311051B2 (ja) キーボー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EP3288055B1 (en) Keyswitch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10168532A1 (en) Press-key with low light diffusing design and keyboard using the same
TWM527987U (zh) 鍵盤
CN110177158A (zh) 一种按键以及电子设备
KR101344141B1 (ko) 제어 기기
JP6828352B2 (ja) 産業用電子機器
TW201405612A (zh) 按鍵結構及其電子裝置
KR10115242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TWI422305B (zh) 電子裝置
TWI427475B (zh) Control the machine
JP6493750B2 (ja) 計器装置
JP5115168B2 (ja) 導光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並びに導光方法
TWI814269B (zh) 具有顯示功能的充電裝置
JP5753973B2 (ja) 加熱調理器
JP2011154560A (ja) キーボー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TW201037560A (en) An electrical device with PLED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23055281A (ja) タッチスイッチ装置
CN116782500A (zh) 具有显示功能的充电装置
JP2012148599A (ja) 表示装置
US20090196032A1 (en) Illuminated sign display assembly
JP5392838B2 (ja) 入力操作装置
CN114974972A (zh) 按键
JP2002257603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