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881A - 멀티플렌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플렌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881A
KR20120022881A KR1020117026452A KR20117026452A KR20120022881A KR 20120022881 A KR20120022881 A KR 20120022881A KR 1020117026452 A KR1020117026452 A KR 1020117026452A KR 20117026452 A KR20117026452 A KR 20117026452A KR 20120022881 A KR20120022881 A KR 20120022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ream
access terminal
antennas
reverse link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빙 왕
타머르 카도우스
라쉬드 아흐메드 아크바르 아타르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582,514 external-priority patent/US8654715B2/en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22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4Antenna weights or vector/matrix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서 랭크 적응 및 다수의-스트림 역방향 링크 통신들을 위한 기법들이 개시된다. 원격 유닛은 기지국에 별개의 식별자들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한다.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다수의-안테나 송신 가정들을 테스트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사용하여 채널 조건들을 추정할 수 있고, 그리고 통신 채널의 공간 랭크를 결정할 수 있다. 원격 유닛은 기지국과 협력하여 각각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하여 별개의 에러 제어 및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플렌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N REVERSE LINK DATA STREAMS}
관련된 출원에 대한 교차-참조
2009년 4월 6일에 출원된 "RL MIMO for EV-DO"로 명명된 미국 가 출원 제 61/167,118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2009년 6월 11일에 출원된 "Mobile Transmit Diversity for EVDO"로 명명된 미국 가 출원 제 61/186,124호 및 2008년 10월 24일에 출원된 "Mobile Transmit Diversity for EVDO"로 명명된 미국 가 출원 제 61/108,352호의 우선권을 주장한 2009년 10월 20일에 출원된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Mobile Transmit Diversity"로 명명된 제 12/582,514호 출원의, 일부 계속 출원(continuation-in-part)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러한 모든 출원은 본 명세서의 양수인에게 양수되고, 여기에서 참조로서 명백히 통합된다.
배경기술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기는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기들은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상이한 용량들을 가질 수 있다. 수신기들과 통신하기 위한 조건들은 통신의 한 가지 유형이 또 다른 주어진 시간 및 장소에서보다 더욱 적합하도록 변화할 수 있다. 조건들 및 용량들에서의 차이점들에도 불구하고, 송신기는 그들의 특정 상황들에 따라 상이한 수신기들과 통신할 수 있어야 한다.
간략한 요약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랭크 조정 및 다수의-스트림 역방향 링크 통신들을 위한 기술들이 개시된다. 원격 유닛은 별개의 식별자들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기지국에 송신한다.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결정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다수의-안테나 송신 가정들을 테스트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사용하여 채널 조건들을 측정할 수 있고, 통신 채널의 공간 랭크를 결정할 수 있다. 원격 유닛은 별개의 에러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기지국과 협력하여 각각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전력 제어 프로세스들을 수행할 수 있다.
에볼루션 데이터 최적화된(EV-DO)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단말에 의하여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송신하기 위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안테나들의 선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송하기 위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할 수 있거나, 기지국으로부터 특정 가이던스(guidance) 없이 상이한 다수의-안테나 가정들을 테스트하는 단계를 수반할 수 있다. 또한 방법은 안테나들의 선택을 사용하여 제 1 매체 액세스 제어(MAC)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는 단계 및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가 적어도 2일 때, 제 2 MAC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EV-DO 인에이블된 액세스 단말이 또한 개시된다. 액세스 단말은 송신하기 위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안테나들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단말은 안테나들의 선택을 사용하여 제 1 매체 액세스 제어(MAC)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고 그리고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가 적어도 2개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 2 MAC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복수의 안테나들 및 복수의 송수신기들을 포함하는 EV-DO 인에이블된 액세스 단말이 개시된다. 각각의 송수신기는 복수의 안테나들에서 대응하는 안테나에 연결된다. 액세스 단말은 또한 송수신기들에 연결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송신하기 위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 및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안테나들의 선택을 결정한다. 송신하기 위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피드백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특정 가이던스(guidance) 없이 하나 이상의 다수의-안테나 가정들을 테스트한 결과에 기초하여, 송신하기 위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기는 제 1 매체 액세스 제어(MAC)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스트림이 안테나들의 선택을 사용하여 전송되고,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가 적어도 2개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 2 MAC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 2 데이터 스트림이 이와 함께 동시에 전송되도록 야기한다.
EV-DO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단말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세서-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한 프로세서-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개시된다. 명령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송신하기 위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하고,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안테나들의 선택을 결정하게 야기하도록 구성된다. 명령들은 또한 액세스 단말로 하여금 제 1 매체 액세스 제어(MAC)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가 적어도 2일 때, 제 2 MAC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하게 야기하도록 구성된다.
EV-DO 네트워크 내에서 기지국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액세스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채널 조건들을 추정하는 단계 및 추정된 채널 조건들에 기초하여 액세스 단말의 공간 랭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액세스 단말의 공간 랭크는, 액세스 단말이 EV-DO 네트워크의 역방향 링크 상에서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에 대응한다. 방법은 또한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의 각각에 대한 액세스 단말에 별개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인덱스를 할당하는 단계 및 액세스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스트림들에 응답하여 각각의 할당된 MAC 인덱스를 사용하여 전력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EV-DO 기지국이 개시된다. 기지국은 복수의 안테나 수단, 액세스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채널 조건들을 추정하기 위한 수단 및 추정된 채널 조건들에 기초하여 액세스 단말의 공간 랭크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또한, EV-DO 네트워크의 역방향 링크 상에서 송신할 때, 액세스 단말에 의한 사용을 위하여 복수의 스티어링 벡터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각각의 스티어링 벡터는 추정된 채널 조건들에 적응된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액세스 단말에 의한 사용을 위하여 할당된 하나 이상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인덱스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스티어링 벡터들 및 공간 랭크에 관한 정보를 액세스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복수의 안테나들을 갖는 EV-DO 기지국이 개시된다. 기지국은 액세스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채널 조건들을 추정하고, 그리고 추정된 채널 조건들에 기초한 액세스 단말의 공간 랭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채널 모듈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또한, EV-DO 네트워크의 역방향 링크 상에서 송신할 때, 액세스 단말에 의한 사용을 위하여 복수의 스티어링 벡터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빔포밍 모듈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또한, 액세스 단말에 의한 사용을 위해 할당된 하나 이상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인덱스들을 이용하여 공간 랭크 및 복수의 스티어링 벡터들에 관한 정보를 액세스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피드백 모듈을 포함한다.
EV-DO 네트워크 내에서 기지국과의 사용을 위한 프로세서-판독가능 명령들을 저장한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개시된다. 명령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액세스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채널 조건들을 추정하고, 그리고 추정된 채널 조건들에 기초한 액세스 단말의 공간 랭크를 결정하게 야기하도록 구성된다. 액세스 단말의 공간 랭크는 액세스 단말이 EV-DO 네트워크의 역방향 링크 상에서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에 대응한다. 명령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의 각각에 대한 액세스 단말에 별개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인덱스를 할당하고, 그리고 액세스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스트림들에 응답하여 각각의 할당된 MAC 인덱스를 사용하여 전력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게 야기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기지국 및 액세스 단말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역방향 링크 MIMO 데이터 송신에 대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4a는 예시적인 에러 제어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4b는 예시적인 전력 제어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5는 기지국 및 액세스 단말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역방향 링크 데이터 송신이 사용된 랭크 적응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7은 폐쇄-루프 MIMO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 송신에 대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8은 빔포밍 및 안테나 선택의 양상들을 도시한다.
도면들에서, 유사한 컴포넌트들 및/또는 특징들은 동일한 참조 라벨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한 컴포넌트들은 점선에 의해 이어진 제 1 참조 라벨 및 유사한 컴포넌트들 중 구분되는 제 2 참조 라벨을 사용하여 식별될 수 있다. 오직 제 1 참조 라벨이 사용되는 경우, 설명은 제 1 참조 라벨에 의해 지정된 유사한 컴포넌트의 임의의 것에 대해 적용가능할 것이다.
도 1은 3개의 원격 유닛들 (또한 "액세스 단말들")(120, 130, 및 140) 및 2개의 기지국들(150, 160)을 포함한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기지국들(150, 160)은 액세스 네트워크(AN)의 일부이고, 원격 유닛들(120, 130, 140)은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들을 수신할 수 있다. 논의의 목적으로, 오직 소수의 디바이스들이 도시된다. 그러나, 무선 통신 시스템들(100)은 더욱 많은 원격 유닛들 및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유닛들(120, 130, 및 140)은 각각, 반도체 프로세서 디바이스들(125A, 125B, 및 125C)을 포함하며,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안테나 선택, 빔포밍, 전력 제어, 에러 정정 등을 포함한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 데이터 송신을 위한 기능성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은 프로세서 디바이스들(125A, 125B, 및125C)에 통합되거나 또는 그들과 별개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실행가능 코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코드는, 프로세서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명령들을 실행할 때, 프로세서(125)로 하여금 설명된 것처럼 기능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유닛들은, 휴대 전화들, 휴대 PCS 디바이스들, 및/또는 PDA들, 노트북들, 넷북들 등과 같은 이동형 데이터 유닛들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유닛들은 또한 고정형 장소 데이터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유닛(120)은 모바일 전화이고, 원격 유닛(130)은 이동형 컴퓨터이고, 그리고 원격 유닛(140)은 무선 로컬 루프 시스템 내의 컴퓨터이다. 비록 도 1이 개시물의 교시들에 따른 원격 유닛들을 도시하더라도, 개시물은 이러한 예시적인 도시된 유닛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개시물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또한 기지국들(150, 160)로부터 원격 유닛들(120, 130, 및 140)로의 순방향 링크(FL) 신호들(180) 및 원격 유닛들(120, 130, 및 140)로부터 기지국들(150, 160)로의 역방향 링크(RL) 신호들(190)을 도시한다. 일 예시에서, 시스템(100)은 EV-DO 네트워크이고, 여기서 순방향 링크는 시간 다중화이고, 그리고 역방향 링크는 코드 분할 다중화일 수 있다. 역방향 링크 상에서의 몇몇 송신들은 디코딩을 돕기 위한 파일럿 신호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몇몇의 순방향 링크 송신들은 본원에서 설명되듯이 통신을 향상시키기 위한 원격 유닛들에 의해 사용되는 피드백을 포함한다.
비록 아래의 예시들이 EV-DO 네트워크 내에서 기지국들 및 원격 유닛들을 구체적으로 지칭할지라도, 실시예들의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설명된 많은 특징들은 EV-DO 시스템들보다, 고속 패킷 액세스(HSPA), 유니버설 모바일 통신 시스템들(UMTS), GSM 에볼루션에 대해 개선된 데이터 레이트(EDGE), 롱 텀 에볼루션(LTE) 등과 같은, 다른 시스템들에서의 사용을 위해 적용가능하다.
도 2는 액세스 단말(250) 및 기지국(210)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기지국(210)은 다수(T개)의 안테나들(2341 내지 234t)을 장착하고, 안테나들의 각각은 순방향 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송신 및 역방향 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수신을 위한 대응하는 송수신기(232)에 연결된다. 또한 액세스 단말(250)은 순방향 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수신 및 역방향 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송수신기들(254)에 연결된 다수(R개)의 안테나들(2521 내지 252r)을 장착한다. 각각의 안테나(234, 252)는 물리적 안테나 또는 안테나 배열일 수 있다.
순방향 링크 상에서, 기지국(210)에서,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소스(212)로부터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고, 패킷 포맷에 따라 트래픽 데이터를 프로세싱(예, 포맷팅, 인코딩, 인터리빙 및 심볼 매핑)하고, 그리고 데이터 심볼들을 생성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듯이, 심볼들은 전형적으로 복소수 값들을 갖는다. 데이터 심볼은 데이터에 대한 심볼이고, 그리고 파일럿 심볼은 파일럿에 대한 심볼이다. 파일럿들은 송신기 및 수신기 모두에 의해 선험적으로 알려진 데이터를 포함한다. 패킷 포맷은 데이터 페이트, 코딩 방식 또는 코드 레이트, 변조 방식, 패킷 크기 및/또는 다른 파라미터들을 표시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심볼들을 M개(제어기/프로세서(240)에 의하여 결정되듯이, 1≤M≤T임)의 스트림들로 디멀티플렉싱한다. 또한 M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은 데이터 스트림들, 공간 스트림들, 출력 스트림들 또는 다른 용어로서 지칭될 수 있다.
TX 공간 프로세서(230)는 파일럿 심볼들을 데이터 심볼들과 멀티플렉싱하고, 멀티플렉싱된 데이터 및 파일럿 심볼들 상에서 빔포밍을 수행하고, 그리고 T개의 출력 심볼 스트림들을 T개의 송신기들(TMTR)(232)에 제공한다. 각각의 송신기(232)는 TX 공간 프로세서의 출력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예, 복조, 아날로그로의 변환, 필터링, 증폭, 및 상향변환)하고, 그리고 순방향 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송신기들(2321 내지 232t)로부터의 T개의 순방향 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2341 내지 234t)로부터 각각 송신된다.
액세스 단말(250)에서, R개의 안테나들(2521 내지 252r)은 T개의 순방향 링크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각각의 안테나(252)는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수신기(RCVR)(254)에 제공한다. 각각의 수신기(254)는 그것의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예,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디지털화, 및 복조)하고, 수신된 데이터 심볼들을 수신(RX) 공간 프로세서(260)에 제공하고, 그리고 수신된 파일럿 심볼들을 채널 프로세서(294)에 제공한다. 채널 프로세서(294)는 수신된 파일럿 심볼들에 기초하여 순방향 링크 채널 응답을 추정하고, RX 공간 프로세서(260)에 채널 추정들을 제공한다. RX 공간 프로세서(260)는 채널 추정들을 사용하여 수신된 데이터 심볼들 상에서 MIMO 검출을 수행할 수 있고, 데이터 심볼 추정들을 제공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70)는 데이터 심볼 추정들을 추가로 프로세싱(예,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고, 그리고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272)에 제공한다.
채널 조건들에 의해 결정되듯이, 액세스 단말(250)은 역방향 링크 상에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RL-MIMO 동작 모드에서, 액세스 단말(250)에는 기지국(210)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식별기들이 할당될 수 있다. 식별기들은 별개의 RL 데이터 스트림들을 액세스 단말(250)과 연관시키기 위하여 AN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V-DO 네트워크들에서, 식별기들은 순방향 링크 신호들에 대응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 (MAC) 인덱스들일 수 있다. 또한 액세스 단말(250)은 단일-스트림 송신 다이버시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일한 데이터 스트림은 예컨대, 한 쌍의 안테나들(252)을 사용하여, 역방향 링크 상에서 송신된다. 액세스 단말(250)의 동작 모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듯이 채널 조건들에 기초하여 변화할 수 있다.
개방-루프 또는 폐쇄-루프 제어 메커니즘들은 RL-MIMO 및 단일-스트림 송신 다이버시티 모드들과 사용될 수 있다. 개방-루프 제어를 이용하여, 액세스 단말(250)은 기지국(210)으로부터 명백한 가이던스 없이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송신하는데 사용을 위해서 안테나 선택 또는 빔포밍 파라미터들뿐 아니라, 송신하기 위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250)은 역방향 링크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다수의 안테나 사용에 관한 다양한 가정들을 테스트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기준들을 충족하는 가정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리 결정된 기준들은 역방향 링크 상에서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 또는 에러 레이트들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폐쇄-루프 제어를 이용하여, 액세스 단말(250) 및 기지국(210)은 안테나 선택 또는 채널 조건들에 기초한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협력한다. 액세스 단말(250)은 동일한 전력 레벨에서 둘 이상의 파일럿들을 송신할 수 있고, 그리고 기지국(210)은 파일럿들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조건들을 추정할 수 있다. 기기국(210)은 역방향 링크 송신들을 위한 빔포밍 및/또는 안테나 선택을 지원하기 위하여 액세스 단말(250)에 스티어링 벡터들 또는 코드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스티어링 벡터들 및/또는 코드북은 제어기/프로세서(290)에 의해 실행될 때, 본원에서 설명된 명령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명령들을 가진 메모리(292)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의 제어기/프로세서(290)는 TX 데이터 프로세서(282)로 하여금 데이터 소스들(280)로부터 하나 이상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하도록 지시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82)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심볼들을 프로세싱하고, 데이터 심볼들을 파일럿 심볼들과 멀티플렉싱한다. TX 공간 프로세서(284)는 하나 이상의 역방향 링크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멀티플렉싱된 스트림들을 추가로 프로세싱한다. TX 공간 프로세서(284)는 빔포밍 파라미터들에 의하여 결정된 가중치 및 위상들과 함께 송신되는 안테나들(252)의 선택과 연관된 송신기들(254)에 RL 신호들을 전달한다. 메모리(292)는 제어기/프로세서(290)에 연결되고, 그리고 제어기/프로세서(290)에 의해 실행될 때, 액세스 단말(250)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명령들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기지국(210)에서, RL 신호들을 안테나들(23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RCVR)들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RX 공간 프로세서(236)에 의해 공간적으로 프로세싱되며, 그리고 액세스 단말(250)에 의해 전송된 피드백 정보 및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하여 RX 데이터 프로세서(238)에 의해서 추가로 프로세싱된다. 예를 들어, EV-DO 네트워크들을 이용하여, 피드백 정보는 H-ARQ(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처리들로부터의 확인응답들 및 DRC(데이터 레이트 제어) 정보뿐 아니라,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에 대응하는 것의 데이터 레이트를 구체화하는 역방향 레이트 표시자(RRI)를 포함한다. RL 신호들로부터 복원된 트래픽 데이터는 데이터 싱크(239)에 전달된다. 액세스 단말(250)로부터 별개의 데이터 스트림들이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결합될 수 있는 AN에 데이터 싱크(239)가 연결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240)는 액세스 단말(250)로의 데이터 송신을 제어한다. 폐쇄-루프 모드에서, 제어기/프로세서(240)는 채널의 공간 랭크 및 우세한 조건들에 기초하여 액세스 단말(250)과 통신하기 위한 적절한 안테나 선택 또는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공간 랭크 S는 액세스 단말(250)이 역방향 링크에서 동시에 송신할 수 있고 S≤min(T,R)로서 주어질 수 있는 RL 데이터 스트림들의 수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만약 기지국(210)이 16개의 안테나들을 갖고(T=16), 액세스 단말(250)이 2개의 안테나를 갖는다면(R=2), 액세스 단말(250)이 동시에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최대 수는 2이다.
채널 프로세서(244)는 액세스 단말(250)로부터의 RL 송신들에 기초한 채널 조건들을 추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액세스 단말(250)로부터의 RL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직교 제 1 파일럿 및 제 2 파일럿을 포함한다. 채널 프로세서(244)는 예를 들어, 파일럿들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조건들을 추정할 수 있고, 채널 응답 매트릭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240)는 채널 프로세서(244)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단말(250)의 공간 랭크를 결정한다. 폐쇄-루프 모드에서, 제어기/프로세서(240)는 또한 액세스 단말에 의한 사용을 위해서 스티어링 벡터를 계산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스티어링 벡터들에 대응하는 코드북으로부터 엔트리들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240)는 하나 이상의 순방향 링크 신호들에서 액세스 단말(250)에 공간 랭크 및/또는 스티어링 벡터들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EV-DO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별되는 MAC 인덱스들은 RL-MIMO 모드에서 액세스 단말(250)에 의한 사용을 위하여 할당될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의 MAC 인덱스는 별개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대응하는 MAC 인덱스들을 사용하여, 기지국(210)은 빔포밍 및 안테나 선택 정보를 RL 송신들에 대한 액세스 단말(250)에 전송할 수 있고, 각각의 RL 데이터 스트림의 송신 전력 레벨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42)는 제어기/프로세서(240)에 연결되고, 제어기/프로세서(240)에 의하여 실행될 때, 기지국(210)으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야기하는 프로그램 명령들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개방-루프 시스템에서 안테나 선택 및 빔포밍에 대한 예시적인 프로세스(300)를 도시한다. 프로세스(300)는,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250)(도 2)과 같은, 액세스 단말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블록 310에서, 액세스 단말은 액세스 네트워크와 용량 교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는,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AT)은 전력이 온(on)이거나 또는 액세스 단말이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진입할 때, 발생할 수 있다. AT는 RL-MIMO 및/또는 단일-스트림 다이버시티 송신 모드들을 지원할지 여부를 포함하여, 기지국에 AT의 디바이스 용량들을 전달할 수 있다. 디바이스 용량들에 기초하여, AN은 RL 데이터 스트림들을 전송하고 수신할 때, 액세스 단말에 의한 사용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식별자들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V-DO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2개의 MAC 인덱스들은 RL-MIMO 또는 단일-스트림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는 AT에 의한 사용을 위하여 자동으로 할당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일한 MAC 인덱스는 공간 랭크 결정이 있을 때까지 할당될 수 있다.
블록 320-블록 330에서, 액세스 단말은 송신하기 위한 RL 스트림들의 개수 및 대응하는 빔포밍 또는 안테나 선택 파라미터들을 결정한다. 개방-루프 모드에서 동작할 때, AT는 송신하기 위한 RL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이한 송신 가정들을 테스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T는 채널 조건들이 RL-MIMO를 지원한다고 가정할 수 있고, 2개 (또는 이상의) RL 데이터 스트림들을 전송하기 위한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AT는 그것의 RL-MIMO 가정들로 사용된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조정할 수 있거나 또는 AT가 RL 스트림들의 개수가 1이라고 결정할 때, RL-MIMO로부터 단일-스트림 다이버시티 모드에 송신할 수 있다. 빔포밍 파라미터들 및 송신하기 위한 RL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의 조정은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의 간접적인 피드백에 기초할 수 있다. 이러한 간접적인 피드백의 예들은 테스트 하에서의 가정에 대한 송신 전력 레벨 및/또는 재-송신들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로서, EV-DO 네트워크들 내에서, 기지국은 개방 접속을 가진 각각의 AT에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는 RL 송신 전력에 대한 전력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기지국은 또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송신들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거나 재송신될 필요가 있을 때, AT에 확인응답한다. 오픈-루프 제어를 이용하여, AT는 전력 제어의 개수 및/또는 재송신 메시지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그리고 미리 결정된 임계치, 관측된 평균 또는 몇몇 다른 측정과 관련하여 AT의 안테나 선택 또는 빔포밍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IMO 모드에서, 2개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성공적으로 송신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전력이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AT는 그것의 안테나 선택 파라미터들 또는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황이 계속되는 경우, AT는 RL 데이터 스트림들 중 하나를 송신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고, 그리고 단일-스트림 다이버시티 모드로 돌아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폐쇄-루프 모드에서, AT는 채널의 공간 랭크에 관한 AN으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송신하기 위한 RL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AN으로부터의 피드백이 공간 랭크가 2라고 표시하는 경우, 액세스 단말은 2개의 역방향 데이터 스트림들을 동시에 송신하는 RL-MIMO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AN으로부터의 피드백이 더 낮은 공간 랭크를 표시하는 경우, 액세스 단말은 단일-스트림 다이버시티 모드에서 단지 하나의 RL 데이터 스트림 또는 단일-안테나 모드에서 하나의 RL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할 수 있다.
블록 340에서, 제 1 MAC 인덱스를 사용하여, AT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제 1 RL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한다. 제 1 데이터 스트림은 제 1 파일럿 및 앞서 논의된 것처럼, 트래픽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된 제 2 파일럿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파일럿 및 제 2 파일럿은 직교할 수 있고, 요구되듯이, 채널 조건들을 추정하고 그리고 공간 랭크 피드백을 제공하는데에 기지국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파일럿들은 상이한 긴 코드 마스크들, 상이한 왈시(Walsh) 코드들 또는 상이한 직교 확산과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블록 350에서, MIMO 내에서, AT는 제 2 MAC 인덱스를 사용하여 역방향 링크 상에서 제 2 RL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한다. 제 2 RL 데이터 스트림 (및 가능한 추가적인 RL 데이터 스트림들)은 제 1 RL 데이터 스트림과 함께 동시에 송신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에 의해 송신된 RL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는 공간 랭크 및 상이한 송신 가정들을 테스트한 결과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고, 각각의 RL 데이터 스트림들은 별개로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각각은 그것의 전력 레벨, 데이터 레이트, 에러 제어 프로세스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4a는 역방향 링크 MIMO 데이터 송신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예시적인 에러 제어 프로세스(400A)를 도시한다. 프로세스(400A)는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250)(도 2)과 같은, 액세스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MIMO 모드에서, 예를 들어, 2개의 MAC 인덱스들(M1, M2)은 AT에 의한 사용을 위해서 할당될 수 있다. MAC 인덱스들은 데이터 스트림들이 AT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기 위하여 서빙될 수 있고, 통신 채널의 공간 랭크에 따라 AT에 의한 사용을 위하여 할당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MAC 인덱스 값들은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서의 다른 AT들에 의해 재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N은 동일한 MAC 인덱스가 상이한 타임슬롯들 내에서 상이한 AT들과 함께 재사용될 수 있도록 FL 신호의 특정한 타임슬롯들에서 그들의 개별적인 RL 송신들에 관한 피드백을 예측하기 위하여 액세스 단말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RL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에러 제어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블록 410에서 AT는 제 1 데이터 스트림(RL1)에 관한 제 1 에러 제어 피드백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에러 제어 피드백은 RL1 상에서 송신된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음을 표시하는 ACK 메시지, RL1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았음을 표시하는 NACK 메시지, 또는 RL1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몇몇 다른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420에서 AT는 그것의 제 2 RL 데이터 스트림(RL2)에 관한 제 2 에러 제어 피드백을 수신한다.
제 1 에러 제어 메시지 및 제 2 에러 제어 메시지는 대응하는 MAC 인덱스 값들을 사용하여 순방향 링크 상에서 AT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L1 송신들에 관한 피드백은 MAC 인덱스 M1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고, RL2 송신들에 관한 피드백은 MAC 인덱스 M2 등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블록 430에서, AT는 제 1 에러 제어 피드백에 기초하여 제 1 H-ARQ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수신된 피드백에 따라, AT는 그것의 데이터 송신을 계속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데이터 블록들을 재송신할 수 있다. 블록 440에서, AT는 제 2 에러 제어 피드백에 기초하여 제 2 H-ARQ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AT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에러 제어 메시지들에 응답하여 AT의 RL 데이터 스트림들의 각각에 대하여 별개의 에러 제어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음에 주목하자.
도 4b는 역방향 링크 MIMO 데이터 송신과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예시적인 전력 제어 프로세스(400B)를 도시한다. 프로세스(400B)는 에러 제어 프로세스(400A)와 함께, 또는 에러 제어 프로세스(400A)와는 개별적으로, 액세스 단말(250)과 같은, 액세스 단말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가 기지국 및 액세스 단말 사이에서 교환될 때, 역방향 링크 송신 전력은 우세한 조건들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MIMO 모드에서, 액세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피드백에 개별적으로 기초하여 그것의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각각에 대한 송신 전력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블록 465에서, AT는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역방향 전력 제어 명령(RPC1)을 수신한다. RPC1 메시지는 제 1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RL1)의 송신 전력 레벨에 관한 것일 수 있고, 그리고, 예를 들어, RL1 송신 전력이 증가하거나, 감소하거나, 또는 그것의 현재 레벨에서 유지되어야 한다고 표시할 수 있다. 블록 470에서, AT는 그것의 제 2 RL 데이터 스트림(RL2) 등의 송신 전력에 관한 제 2 역방향 전력 제어 명령(RPC2)을 수신한다. H-ARQ 프로세스들에서의 에러 제어와 마찬가지로, RPC 메시지들은 그것의 RL 데이터 스트림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MAC 인덱스 값들을 사용하여 AT에 보내질 수 있다.
EL 송신들의 데이터 레이트는 송신 전력, 채널 조건들, 액세스 단말의 이동성, 셀-섹터 내에서 AT의 위치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요소들에 의하여 영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T가 셀-경계에 위치될 때보다 AT가 기지국의 근처에 있을 때, 특정한 데이터 레이트를 유지하기 위하여 더 많은 송신 전력이 요구될 수 있다. 그 결과, AT는 그것의 RL 데이터 스트림들의 각각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할 수 있다. 블록 475에서, AT는 RL1에 대한 제 1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한다. 블록 480에서, AT는 RL2에 대한 제 2 데이터 레이트를 결정한다. 각각의 데이터 레이트는 AT가 RL 데이터 스트림에 추가한, 대응하는 역방향 레이트 표시자(RRI)에 의해 AN에 대해 표시될 수 있다. 블록 475에서 도시되듯이, RPC1에 따라 송신 전력을 조정한 후, AT은 RL1이 데이터 레이트 RRI1과 함께 송신된다고 AN에 시그널링한다. 유사하게, 블록 480에서, AT는 RL2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고, RL2가 데이터 레이트 RRI-2와 함께 송신된다고 AN에 시그널링한다.
도 5는 역방향 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하여 협력하는 액세스 단말(550) 및 기지국(510)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시스템(500)을 도시한다. 기지국(510) 및 액세스 단말(550)은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되듯이, 기지국(210) 및 액세스 단말(250)과 유사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550)은 제 1 스트림(565) 및 제 2 스트림(570)을 포함하는, 2개의 RL 데이터 스트림들과 함께 도시된다. 스트림들(565, 570)은 제 1 파일럿, 데이터, 및 각각 x(n) 및 y(n)으로서 빔포밍 모듈(560)에 전달되는 오버헤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들의 멀티플렉스를 포함한다. 현재의 예시에서, AT 빔포밍 모듈(560)은, 채널을 추정함에 있어 기지국(510)을 지원하기 위하여 제 1 파일럿과 직교하는 제 1 스트림(565)에 제 2 파일럿을 추가한다. 제 1 스트림 및 제 2 스트림은 상이한 긴 코드 마스크들, 상이한 왈시 코드들, 및 상이한 직교 확산을 가질 수 있다.
기지국(510)은 채널 모듈(520), BTS 빔포밍 모듈(525), 피드백 모듈(530), 간섭 제거 모듈(535), 및 데이터 싱크(54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기지국(510)의 폐쇄-루프 MIMO 동작은 이제 도 6의 프로세스(600)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블록 610에서, 채널 모듈(520)은 액세스 단말(550)로부터 적어도 제 1 RL 데이터 스트림(565)을 수신한다. 블록 620에서, 채널 모듈(520)은 제 1 파일럿 및 제 2 파일럿으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사용하여 MIMO 채널의 랭크를 추정한다. 현재의 예시에서, 파일럿들 모두는 그들이 동일한 전력 레벨에서 송신됨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동일한 RL 스트림과 포함된다. 이러한 접근은, 도 4b와 관련하여 설명되듯이, RL 데이터 스트림들(565, 570)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전력-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채널 추정을 용이하게 한다.
블록 630에서, 채널 모듈(520)은 상이한 채널 랭킹들의 성능을 추정하고, 그리고 액세스 단말(550)과 통신하기 위한 공간 랭크를 결정한다. 공간 랭크는 성능-기반의 기준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능은 채널 용량, 처리량, 신호 품질 등과 같은 측정에 의해 수량화될 수 있다. 채널 모듈(520)은 다른 가능성들과 관련하여 성능 매트릭스들을 증가시키는 공간 랭크를 선택할 수 있고, 몇몇 실시예들에서, 신호-대-잡음 비(SNR), 신호-대-잡음-및-간섭 비율(SINR), 에너지-마다-심볼-대-잡음 비율(Es/No) 등과 같은, 신호 품질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BTS 빔포밍 모듈(525)은 추정된 채널 랭크에 대응하는 빔포밍("스티어링") 벡터들을 결정한다. 빔포밍 벡터들은 채널 모듈(520)로부터의 채널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빔포밍 벡터들은 기지국 및 액세스 단말에 의해 공유되는 코드북으로부터 검색(retrieve)될 수 있다. 코드북은 미리 정의된 빔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엔트리들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스티어링 벡터들 또는 코드북 엔트리는 다수의-안테나 데이터 송신에 대한 가중치(전력) 및 위상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벡터 [1,1]은 제 2 안테나가 빔포밍에서 제 1 안테나와 동일한 위상을 사용한다고 명시한다. [1,-1] 벡터는 제 2 안테나의 위상이 제 1 안테나로부터 180도 시프트됨을 의미한다. 벡터들은, 90도의 상대적인 위상 시프트를 표시하는 허수 j, 및 270도의 상대적인 위상 시프트를 표시하는 음수 j에 대한 복소 값들일 수 있다. 안테나 선택 벡터들([0,1],[1,0])은 특정 안테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또는 불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빔포밍 벡터들에 대안적으로 또는 이에 부가하여 포함될 수 있다.
블록 640에서, 피드백 모듈(530)은 액세스 단말(550)에 공간 랭크 및 빔포밍 정보를 송신한다. 기지국(510)은 다수의-안테나 송신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각각의 안테나에 대한 빔포밍 벡터들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지국(510)은 단지 제 1 안테나에 대하여 빔포밍 벡터들을 제공할 수 있고, 액세스 단말(550)은 부가적인 빔포밍 벡터들을 계산하거나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빔포밍 모듈(525)은 제 1 안테나에 대한 빔포밍 벡터들을 계산할 수 있고, 그리고 액세스 단말(550)은 제 2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하나 이상의 직교 빔포밍 벡터들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빔포밍 모듈(525)은 하나 이상의 코드북 엔트리들을 선택할 수 있고, 그리고 기지국(510)은 액세스 단말(550)에 선택된 엔트리들에 대한 인덱스들을 전송할 수 있다.
피드백 모듈(530)은 그것의 할당된 MAC 인덱스 값들을 사용하여 액세스 단말(550)에 대하여 예정된(destined) 패킷들에 공간 랭크 및 빔포밍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피드백 모듈은 순방향 링크 상에서 빔포밍 및 공간 랭크 정보를 빔포밍 피드백 채널(BFFC)에 삽입한다. BFFC는 액세스 단말(550)에 의한 사용을 위해서 할당된 4개의 슬롯들마다 1개 또는 2개의 슬롯들에서 송신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현존하는 FL 채널들은 BFFC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V-DO 네트워크들을 이용하여, 역방향 전력 제어(RPC) 채널, DRC LOCK 채널(제어 채널), 및/또는 (ACK/NACK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ARQ 채널은 액세스 단말(550)에 전송될 채널 상태/스티어링 벡터 인덱스들과 펑쳐링될 수 있다. BFFC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의 양(예, 비트들의 수) 및 업데이트들이 제공되는 레이트는 액세스 단말에서의 조건들 또는 채널 조건들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들이 제공되는 주파수는 액세스 단말의 이동성을 증가시키는 것 및/또는 채널 조건을 감쇠시키는 것과 함께 증가할 수 있다.
블록 650에서, 이러한 동작들이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설명되듯이, 기지국(510)은 액세스 단말(550)로부터 각각의 RL 데이터 스트림에 응답하여 전력 제어 및/또는 에러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액세스 단말(550)의 폐쇄-루프 MIMO 동작은 이제, 도 7의 프로세스(700)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프로세스(700)는 도 5에서 도시되듯이 시스템(500)에서 액세스 단말(55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블록 710에서, 액세스 단말(550)은 기지국(510)으로부터 빔포밍 정보 및 공간 랭크를 수신한다. 공간 랭크는 얼마나 많은 데이터 스트림들(565, 570)이 역방향 링크 상에서 동시에 송신될 수 있는지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예시에서, MIMO 동작은 2개의 공간 랭크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고, 그리고 단일-스트림 송신 다이버시티 모드는 1개의 공간 랭크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다. 빔포밍 정보는 가중치, 위상 및 대응하는 RL 데이터 스트림들을 위하여 사용될 안테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북 엔트리들 또는 스티어링 벡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720에서 빔포밍 모듈(560)은 제 1 선택된 안테나 및 제 2 선택된 안테나의 선택과 함께 제 1 데이터 스트림(565)을 송신하기 위한 스티어링 가능한 빔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빔포밍 정보를 사용한다. 블록 730에서, 공간 랭크가 2 이상인 경우, 빔포밍 모듈(560)은 제 2 데이터 스트림(570)을 송신하기 위한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결정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 2 데이터 스트림(570)에 대한 빔포밍 파라미터들은 계산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제 1 데이터 스트림(565)에 대한 기지국(510)으로부터 수신된 빔포밍 정보로부터 산출된다. 예를 들어, 블록 740에서, 액세스 단말(550)은 제 1 데이터 스트림(565)에 대한 기지국(510)에 의하여 특정된 빔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데이터 스트림(570)에 대한 빔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블록 750에서 액세스 단말(550)은 역방향 링크 상에서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동시에 송신한다. 스트림들의 수는 공간 랭크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고, 각각의 스트림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피드백에 의해 결정되듯이, 에러 제어와 함께 그리고 전력 레벨에서 송신될 수 있다.
도 8은 AT 빔포밍 모듈(560)의 예시적인 동작에 관한 빔포밍(800)의 양상들을 제공한다. 도시되듯이, 빔포밍 모듈(560)은 제 1 스트림(565) 및 제 2 스트림(570)에 각각 대응하는 신호들 x(n) 및 y(n)을 수신한다. 빔포밍 파라미터들(w0,w1)은 신호 x(n)에 적용되고, 빔포밍 파라미터들 정보(s0,s1)는 신호 y(n)에 적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되듯이, 빔포밍 파라미터들은 안테나들의 선택과 각각의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가중치/위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 랭크가 2인 경우, 빔포밍 모듈(560)은 선택된 송신 안테나들(A1, A2)의 각각에서 RL 스트림들(565, 570)을 결합한다. 다른 한편으로, 공간 랭크가 1인 경우, 오직 제 1 스트림(565)만이 선택된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예를 들어, s0=s1=0으로 세팅함으로써 제 2 스트림(570)의 송신이 단일-스트림 송신 다이버시티 모드에서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w1=0로 세팅함으로써, AT 빔포밍 모듈(560)은 x(n)의 단일-안테나 송신에 스위칭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로부터 다수의 RL 데이터 스트림들을 수신할 때, 기지국(510)은 간섭 제거 기법들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되듯이, 기지국(510)은 데이터 싱크(540)에 연결된 간섭 제거 모듈(535)을 포함한다. 간섭 제거 모듈(535)은 제 2 송신 스트림이 디코딩되기 전에, 제 1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간섭을 제거 또는 널(null)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간섭 제거 모듈(535)은 제 1 송신 스트림(565)을 디코딩하고, 채널 모듈(520)로부터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해 그것의 기여가 결정되며, 그리고 제 2 데이터 스트림(570)이 디코딩되기 전에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 1 데이터 스트림(565)의 기여를 뺀다. 다른 스트림들의 기여를 성공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신호-대-잡음 비는 증가될 수 있고, 그리고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원에서의 개시물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기적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성을 명확히 도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그리고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어 진다. 이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것인지의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여된 설계 제약조건들 및 특정 활용에 달려 있다. 설명된 기능성은 각각의 특정 활용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명세서의 범위로부터의 이탈을 야기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원에서 명세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반도체(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논리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그러나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예,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관련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서 명세서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은 하드웨어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이 둘의 조합에서 직접 내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제거가능한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저장 매체의 임의의 다른 형태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그리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 내의 이상 컴포넌트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설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서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한 위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에 의해서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사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써,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의도된 프로그램 코드 수단들을 전달하거나 또는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또는 범용 또는 특수-목적 컴퓨터, 또는 범용 또는 특수-목적 프로세서에 의해서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임의의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일컬어진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동축 케이블, 광섬유 광학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한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광학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Disk" 및 "disc"는 본원에서 사용되듯이, 콤팩트 disc(CD), 레이저 disc, 광학 disc, 디지털 다기능 disc(DVD), 플로피 disk 및 블루-레이 disc를 포함하는데, 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산하는 반면, 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재생산한다. 또한, 이상의 조합들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의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명세서를 사용하거나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에게 이미 명백할 것이고, 그리고 본원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명세서의 본질 또는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다른 변화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는 본원에서 설명된 설계들 및 예시들에 제한되고자 함이 아니지만, 본원에서 개시된 신규한 특징들 및 원리들에 따라서 가장 넓은 범위에 부합되고자 함이다.

Claims (53)

  1. 복수의 안테나들을 갖는 액세스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에볼루션 데이터 최적화(Evolution Data Optimized;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으로,
    송신하기 위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안테나들의 선택(selection)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안테나들의 선택을 사용하여 제 1 매체 액세스 제어(MAC)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고, 상기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가 적어도 2개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 2 MAC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단말의 하나 이상의 다수의-안테나 가정들을 테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은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의 빔 방향에 직교하는 빔 방향으로 송신되는,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는 1개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내에서 한 쌍의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상기 EV-DO 네트워크에 단일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EV-DO 네트워크로부터 빔포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상기 안테나들의 선택은 상기 EV-DO 네트워크로부터의 상기 빔포밍 정보에 기초하는,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안테나를 사용하는 제 1 위상(phase) 및 제 2 안테나를 사용하는 제 2 위상을 가진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V-DO 네트워크로부터 빔포밍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단말의 메모리로부터 상기 빔포밍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검색(retrieve)하는 단계;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들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내의 제 1 및 제 2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상기 EV-DO 네트워크에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의 빔 방향에 직교하는 빔 방향을 사용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전력 제어 메시지를 상기 EV-DO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 2 전력 제어 메시지를 상기 EV-DO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력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제 1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전력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제 2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제 1 에러 제어 메시지를 상기 EV-DO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제 2 에러 제어 메시지를 상기 EV-DO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에러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제 1 에러 제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에러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제 2 에러 제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은 제 1 파일럿 신호 및 상기 제 1 파일럿 신호에 직교하는 제 2 파일럿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은 상기 제 2 파일럿 신호 부재인 상태로 전송되는,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데이터 레이트에서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는 단계; 및
    제 2 데이터 레이트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은 상기 제 1 데이터 레이트의 제 1 표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은 상기 제 2 데이터 레이트의 제 2 표시자를 포함하는,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
  14.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액세스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채널 조건들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단말이 상기 EV-DO 네트워크의 역방향 링크 상에서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공간 랭크를 상기 추정된 채널 조건들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의 각각에 대해 상기 액세스 단말에 별개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인덱스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스트림들에 응답하여 각각의 할당된 MAC 인덱스를 사용하여 전력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 1 파일럿 및 제 2 파일럿을 포함하는 상기 액세스 단말로부터의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채널 조건들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파일럿 및 상기 제 2 파일럿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는,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채널 조건들에 대응하는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스티어링(steering) 벡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스티어링 벡터들을 상기 액세스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들은 상기 액세스 단말의 적어도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를 사용하여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위상 정보를 포함하는,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에 의한 사용을 위하여 할당된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MAC 인덱스들을 갖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전에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간섭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EV-DO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
  19. 에볼루션 데이터 최적화(EV-DO)-인에이블링된 액세스 단말로서,
    복수의 안테나들;
    복수의 송수신기들 ? 각각의 송수신기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에서 대응하는 안테나에 연결됨 ?; 및
    상기 송수신기에 연결되고, 송신하기 위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안테나들의 선택을 결정하고, 상기 안테나들의 선택을 사용하여 제 1 매체 액세스 제어(MAC)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스트림으로 하여금 송신되게 하고, 상기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는 적어도 2개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 2 MAC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이와 함께 동시에 송신되게 야기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액세스 단말의 하나 이상의 다수의-안테나 가정들의 테스트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은 제 1 파일럿 및 상기 제 1 파일럿에 직교하는 제 2 파일럿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EV-DO 네트워크로부터 빔포밍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빔포밍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이 송신되도록 야기하는, 액세스 단말.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EV-DO 네트워크로부터의 송신들에서 제 1 전력 제어 메시지 및 제 2 전력 제어 메시지를 탐지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전력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전력 레벨 및 상기 제 2 전력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전력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제 1 에러 제어 메시지 및 상기 제 2 스트림에 관한 제 2 에러 제어 메시지를 순방향 링크 신호 내에서 탐지하고, 상기 제 1 에러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제 1 에러 제어 프로세스 및 상기 제 2 에러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제 2 에러 제어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단말.
  26. EV-DO 기지국으로서,
    복수의 안테나들;
    액세스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채널 조건들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채널 조건들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단말의 공간 랭크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채널 모듈;
    상기 EV-DO 네트워크의 역방향 링크 상에서 송신할 때, 상기 액세스 단말에 의한 사용을 위해서 복수의 스티어링 벡터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빔포밍 모듈 ? 상기 복수의 스티어링 벡터들은 상기 추정된 채널 조건들에 적응된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포함함 ? ; 및
    상기 액세스 단말에 의한 사용을 위하여 할당된 하나 이상의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인덱스들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스티어링 벡터들 및 상기 공간 랭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액세스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피드백 모듈을 포함하는,
    EV-DO 기지국.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모듈은 제 1 파일럿 및 제 2 파일럿을 포함하는 상기 액세스 단말로부터 송신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파일럿 및 상기 제 2 파일럿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채널 조건들을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EV-DO 기지국.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들은 적어도 상기 액세스 단말의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를 사용하여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위상 정보를 포함하는, EV-DO 기지국.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에 의한 사용을 위하여 할당된 각각 제 1 및 제 2 MAC 인덱스들을 갖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전에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간섭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간섭 제거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EV-DO 기지국.
  30. 에볼루션 데이터 최적화(EV-DO)-인에이블링된 액세스 단말로서,
    송신하기 위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안테나들의 선택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안테나들의 선택을 사용하여 제 1 매체 액세스 제어(MAC)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고, 상기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는 적어도 2개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 2 MAC 인덱스를 포함한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기 위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기지국으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기 위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액세스 단말의 하나 이상의 다수의-안테나 가정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가 1개임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된 한 쌍의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상기 EV-DO 네트워크에 단일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은, 상기 EV-DO 네트워크로부터 빔포밍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안테나들의 선택은 상기 EV-DO 네트워크로부터의 상기 빔포밍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액세스 단말.
  35.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EV-DO 네트워크로부터 빔포밍 식별자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액세스 단말의 메모리로부터 상기 빔포밍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검색하기 위한 수단;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들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내의 제 1 및 제 2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상기 EV-DO 네트워크에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의 빔 방향에 직교하는 빔 방향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36. 제 30 항에 있어서,
    제 1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제 2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전력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전력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전력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전력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37.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제 1 에러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제 2 에러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에러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제 1 에러 제어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에러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제 2 에러 제어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38. 제 30 항에 있어서,
    제 1 데이터 레이트에서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데이터 레이트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39. 에볼루션 데이터 최적화(EV-DO) 기지국으로서,
    복수의 안테나 수단;
    액세스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채널 조건들을 추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추정된 채널 조건들에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단말에 대한 공간 랭크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EV-DO 네트워크의 역방향 링크 상에서 송신할 때, 상기 액세스 단말에 의한 사용을 위해서 복수의 스티어링 벡터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복수의 스티어링 벡터들은 상기 추정된 채널 조건들에 적응된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포함함 ? ; 및
    상기 액세스 단말에 의한 사용을 위하여 할당된 하나 이상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인덱스들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스티어링 벡터들 및 상기 공간 랭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액세스 단말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EV-DO 기지국.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제 1 파일럿 및 제 2 파일럿을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로부터의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채널 조건은 상기 제 1 파일럿 및 상기 제 2 파일럿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EV-DO 기지국.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들은, 적어도 상기 액세스 단말의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를 사용하여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위상 정보를 포함하는, EV-DO 기지국.
  42.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에 의한 사용을 위하여 할당된 각각 제 1 및 제 2 MAC 인덱스들을 갖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전에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간섭 제거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EV-DO 기지국.
  43.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EV-DO 네트워크 내에서 액세스 단말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세서-판독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는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송신하기 위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안테나들의 선택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안테나들의 선택을 사용하여 제 1 매체 액세스 제어(MAC)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고, 상기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는 적어도 2개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 2 MAC 인덱스를 포함하는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송신하게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하기 위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액세스 단말의 하나 이상의 다수의-안테나 가정들을 테스트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하기 위한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6.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가 1임에 응답하여,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된 한 쌍의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상기 EV-DO 네트워크에 단일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게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7.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EV-DO 네트워크로부터 빔포밍 정보를 수신하게 야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상기 안테나들의 선택은 상기 빔포밍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8.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빔포밍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액세스 단말의 메모리로부터 상기 빔포밍 식별자에 대응하는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검색하고;
    상기 빔포밍 파라미터들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내의 제 1 및 제 2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상기 EV-DO 네트워크에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의 빔 방향에 직교하는 빔 방향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게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49.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1 전력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제 2 전력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전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제 1 전력 레벨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전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제 2 전력 레벨을 결정하게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50.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EV-DO 네트워크 내에서 기지국과 사용되는 프로세서-판독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는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기지국에서 액세스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채널 조건들을 추정하고;
    상기 액세스 단말이 상기 EV-DO 네트워크의 역방향 링크 상에서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상기 액세스 단말의 공간 랭크를 상기 추정된 채널 조건들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의 개수의 각각에 대해 상기 액세스 단말에 별개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인덱스를 할당하고; 그리고
    상기 액세스 단말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응답하여 각각의 할당된 MAC 인덱스를 사용하여 전력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게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1 파일럿 및 제 2 파일럿을 포함하는 상기 액세스 단말로부터 송신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파일럿 및 상기 제 2 파일럿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조건들을 추정하게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추정된 채널 조건들에 대응하는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스티어링 벡터들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스티어링 벡터들을 상기 액세스 단말에 송신하게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53.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액세스 단말에 의한 사용을 위하여 할당된 제 1 및 제 2 MAC 인덱스들을 가진 제 1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 2 데이터 스트림을 디코딩하기 전에 상기 제 1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간섭을 제거하게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KR1020117026452A 2009-04-06 2010-04-06 멀티플렌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228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11809P 2009-04-06 2009-04-06
US61/167,118 2009-04-06
US18612409P 2009-06-11 2009-06-11
US61/186,124 2009-06-11
US12/582,514 2009-10-20
US12/582,514 US8654715B2 (en) 2008-10-24 2009-10-20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mobile transmit diversity
US12/754,018 2010-04-05
US12/754,018 US8654705B2 (en) 2008-10-24 2010-04-05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 reverse link data streams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947A Division KR20130084331A (ko) 2009-04-06 2010-04-06 멀티플렌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7017945A Division KR20130084705A (ko) 2009-04-06 2010-04-06 멀티플렌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881A true KR20120022881A (ko) 2012-03-12

Family

ID=4293684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452A KR20120022881A (ko) 2009-04-06 2010-04-06 멀티플렌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7017947A KR20130084331A (ko) 2009-04-06 2010-04-06 멀티플렌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7017945A KR20130084705A (ko) 2009-04-06 2010-04-06 멀티플렌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947A KR20130084331A (ko) 2009-04-06 2010-04-06 멀티플렌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137017945A KR20130084705A (ko) 2009-04-06 2010-04-06 멀티플렌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654705B2 (ko)
EP (1) EP2417708A2 (ko)
JP (1) JP2012523206A (ko)
KR (3) KR20120022881A (ko)
CN (1) CN102369675A (ko)
BR (1) BRPI1014893A2 (ko)
TW (2) TWI516045B (ko)
WO (1) WO201011798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4715B2 (en) * 2008-10-24 2014-02-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mobile transmit diversity
US10110288B2 (en) * 2009-11-04 2018-10-23 Atc Technologies, Llc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return link transmit diversity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ing forward link side information
CN105827292A (zh) 2010-04-09 2016-08-03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为使用多个天线的ul传输配置传输参数的方法及wtru
US8873531B2 (en) 2010-05-03 2014-10-28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indicating station-specific informat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US9380490B2 (en) 2010-11-08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9516609B2 (en) 2010-11-08 2016-12-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9055604B2 (en) 2012-02-08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TFC selection for uplink MIMO communication
US9007888B2 (en) 2010-11-08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9084207B2 (en) 2010-11-08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KR102131075B1 (ko) 2013-11-12 2020-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6894594B2 (ja) * 2015-03-31 2021-06-30 株式会社NejiLaw 部材、情報取得システム
JP6659413B2 (ja) * 2016-03-11 2020-03-04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
US10341959B2 (en) * 2016-04-28 2019-07-02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transmit power control after beam change
US10448411B1 (en) * 2016-06-30 2019-10-15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for determining optimal antennae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0123322B1 (en) 2017-09-18 2018-11-06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beam switch commands through control channel signaling
WO2019231823A1 (en) 2018-05-29 2019-12-05 Skyworks Solutions, Inc. Beamforming communication systems with power control based on antenna pattern configuration
US10432272B1 (en) 2018-11-05 2019-10-01 XCOM Labs, Inc. Variabl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user equipment
US10756860B2 (en) 2018-11-05 2020-08-25 XCOM Labs, Inc.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US10812216B2 (en) 2018-11-05 2020-10-20 XCOM Labs, Inc.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scheduling
US10659112B1 (en) 2018-11-05 2020-05-19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assis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EP3888256A4 (en) 2018-11-27 2022-08-31 Xcom Labs, Inc. MULTIPLE INPUT AND INCOHERENT COOPERATIVE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S
US10756795B2 (en) 2018-12-18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with cellular link and peer-to-peer link
US11063645B2 (en) 2018-12-18 2021-07-13 XCOM Labs, Inc. Methods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group of devices
US11330649B2 (en) 2019-01-25 2022-05-10 XCOM Labs, Inc. Methods and systems of multi-link peer-to-peer communications
US10756767B1 (en) 2019-02-05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cellular signal with another user equipment
US11032841B2 (en) 2019-04-26 2021-06-08 XCOM Labs, Inc. Downlink active set management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US10756782B1 (en) 2019-04-26 2020-08-25 XCOM Labs, Inc. Uplink active set management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US10735057B1 (en) 2019-04-29 2020-08-04 XCOM Labs, Inc. Uplink user equipment selection
US10686502B1 (en) 2019-04-29 2020-06-16 XCOM Labs, Inc. Downlink user equipment selection
US11411778B2 (en) 2019-07-12 2022-08-09 XCOM Labs, Inc. Time-division duplex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alibration
US11411779B2 (en) 2020-03-31 2022-08-09 XCOM Labs, Inc. Reference signal channel estimation
KR20230015932A (ko) 2020-05-26 2023-01-31 엑스콤 랩스 인코퍼레이티드 간섭-인식 빔포밍
CA3195885A1 (en) 2020-10-19 2022-04-28 XCOM Labs, Inc. Reference sig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22093988A1 (en) 2020-10-30 2022-05-05 XCOM Labs, Inc. Clustering and/or rate selection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systems
US11901983B1 (en) * 2021-03-17 2024-02-13 T-Mobile Innovations Llc Selectively assigning uplink transmission layers
CN113922856B (zh) * 2021-12-14 2022-03-18 成都航天通信设备有限责任公司 多波束卫星移动通信的返向频点切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2915B1 (en) 1998-06-12 2011-12-06 Ericsson Ab Common power control channel in a CDMA system and a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uch a channel
US6771989B1 (en) * 1999-05-01 2004-08-03 Nokia Networks Oy Method of directional radio communication
DE10051133A1 (de) * 2000-10-16 2002-05-02 Siemens Ag Strahlformungsverfahren
US6813284B2 (en) * 2001-01-17 2004-11-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data streams given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constraints
GB0125178D0 (en) 2001-10-19 2001-12-1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798325B2 (ja) 2002-03-05 2006-07-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送信装置
US9270410B2 (en) * 2002-04-22 2016-02-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IMO PGRC system and method
US8194703B2 (en) * 2002-08-07 2012-06-05 Kyocera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110519B2 (ja) 2002-09-05 2008-07-02 ソニー株式会社 空間分割多重アクセス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移動局
WO2004023674A1 (en) 2002-09-06 2004-03-18 Nokia Corporation Antenna selection method
US7062232B2 (en) * 2002-12-11 2006-06-13 Qualcomm Incorporated Switched antenna transmit diversity
US20040185782A1 (en) * 2003-03-17 2004-09-23 Halford Steven Dennis Technique for selecting a signal path in an antenna system
SE0400370D0 (sv) * 2004-02-13 2004-02-13 Ericsson Telefon Ab L M Adaptive MIMO architecture
US9136974B2 (en) * 2005-08-30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Precoding and SDMA support
US7729714B2 (en) * 2005-12-20 2010-06-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verse link transmit beam-forming
BRPI0708106A2 (pt) * 2006-02-21 2011-05-17 Qualcomm Inc projeto de canal de realimentação para sistemas de comunicação de múltiplas entradas e múltiplas saìdas
US8428156B2 (en) * 2006-03-20 2013-04-23 Qualcomm Incorporated Rate control for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s
US8914015B2 (en) * 2006-03-20 2014-12-16 Qualcomm Incorporated Grouping of users for MIMO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43070B2 (en) * 2006-04-24 2013-09-24 Qualcomm Incorporated Reduced complexity beam-steered MIMO OFDM system
US20080020772A1 (en) 2006-07-21 2008-01-24 Adapti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ed overhead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having SDMA modulation
US8160629B2 (en) * 2006-09-07 2012-04-17 Airvana, Corp. Controlling reverse link interference in private access points for wireless networking
JP4606405B2 (ja) 2006-12-18 2011-01-0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基地局の制御方法、無線通信端末の制御方法
KR20080074004A (ko) * 2007-02-07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드백 정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가상 다중 안테나 전송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
US20080227414A1 (en) * 2007-03-01 2008-09-18 Yair Karmi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diversity control based on variations in propagation path
US7978635B2 (en) * 2007-03-21 2011-07-12 Qualcomm Incorporated H-ARQ acknowledgment detection validation by re-decoding
WO2008118474A2 (en) * 2007-03-26 2008-10-02 Sibeam, Inc. Extensions to adaptive beam-steering method
EP2485409B1 (en) * 2007-04-20 2016-08-03 Marvell World Trade Ltd. Antenna selection and training using a spatial spreading matrix for use in a wireless mimo communication system
US8054837B2 (en) * 2007-04-30 2011-11-08 Yim Tu Investments Ltd., Llc Multiuser scheduling for MIMO broadcast channels with finite rate feedback
KR20090025129A (ko) 2007-09-05 2009-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부호어를 송수신하는방법
US8614979B2 (en) * 2008-09-30 2013-12-24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high mobility communications
US8654715B2 (en) * 2008-10-24 2014-02-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mobile transmit divers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79155A1 (en) 2014-03-20
JP2012523206A (ja) 2012-09-27
CN102369675A (zh) 2012-03-07
US8654705B2 (en) 2014-02-18
TW201128995A (en) 2011-08-16
WO2010117981A2 (en) 2010-10-14
BRPI1014893A2 (pt) 2016-05-03
TWI516045B (zh) 2016-01-01
EP2417708A2 (en) 2012-02-15
TW201347450A (zh) 2013-11-16
KR20130084705A (ko) 2013-07-25
US20100291917A1 (en) 2010-11-18
KR20130084331A (ko) 2013-07-24
WO2010117981A3 (en)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2881A (ko) 멀티플렌 역방향 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1876727B1 (en)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s for transmission of the control channel
EP3909159A1 (en) Low overhead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feedback for multi-transmission point (trp) transmission
EP2548314B1 (en) Switching between open and closed loop multi-stream transmission
US106014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ly restricting CSI reporting in multi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tilizing unused bit resources
WO2016076785A1 (en) Feedback channel transmission and detection in multi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742641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me for transmitting common and demodulation pilot signals in multi-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s
US1031385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distributed antenna i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WO2009074880A2 (en) Rank adaptation for an open loop multi-antenna mode of wireless communication
US1075056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y using virtual terminal in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201802054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hannel information in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JP6115974B2 (ja) 測定電力オフセットを決定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7849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CN103095350B (zh) 一种lte系统中自适应切换传输模式的方法
US10374684B2 (en) Transport block retransmission method and base station
US10439857B2 (en) UE, network nod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tting manner of downlink signal of cell
WO2022228663A1 (en) Determination of uplink mimo transmission state for a ue
EP3577837A1 (en) User equipment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