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276A -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 - Google Patents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276A
KR20120022276A KR1020100085698A KR20100085698A KR20120022276A KR 20120022276 A KR20120022276 A KR 20120022276A KR 1020100085698 A KR1020100085698 A KR 1020100085698A KR 20100085698 A KR20100085698 A KR 20100085698A KR 20120022276 A KR20120022276 A KR 20120022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elt
algae
seaweed
compress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중
노주완
김경수
김인식
신명교
Original Assignee
바이올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올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올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5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2276A/ko
Publication of KR20120022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2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rotary pressing members, other than worms or screws, e.g. rollers, rings, dis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원은 컨베이어 벨트, 상기 벨트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와 해조류를 탈수시키는 상부압축롤러, 하부압축롤러 및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AUTOMATIC DEVICE FOR DEHYDRATING SEAWEED}
본원은 바이오 연료의 재료로 각광받고 있는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 벨트와 롤러를 사용한 해조류의 연속식(Continuous) 자동화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 매스(Biomass)는 에너지 전용의 식물과 산림수목, 농산물과 사료작물, 농산 폐기물과 찌꺼기, 임산 폐기물과 부스러기, 수초, 동물의 배설물, 도시 쓰레기 등 산업폐기물, 기타 상기 폐기물 등에서 추출된 재생 가능한 유기물로서, 현재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기성 물질을 총칭한다. 이러한, 바이오 매스는 태양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는 거대한 에너지 창고이며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만 있다면 현재 화석연료의 과다한 사용이 가져 오는 에너지난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바이오 매스는 필요한 에너지량만큼을 배양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의 과다한 축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오늘날 극히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바이오 매스를 이용한 대체 에너지원 중 하나인 바이오 에탄올은 사탕수수, 옥수수 등 식물에서 추출한 연료로, 휘발유와 혼합하거나 단독으로 자동차 연료로 투입될 수 있어 바이오 디젤과 더불어 대표적인 재생 자원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으나, 바이오 에탄올이 대체 에너지로 부상하면서 원료가 되는 옥수수, 사탕수수, 밀 등에 대한 수요가 급증해 곡물가격 급등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곡물로부터 바이오 에탄올을 얻는 방법은 상기 언급한 곡물가격 급등의 문제뿐만 아니라, 곡물자원은 기아인구를 위한 식량으로 쓰여야 한다는 비난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단점이 있는 바, 세계 바이오 에탄올 시장은 현재 곡물계에서 목질계로 방향을 돌리고 있지만, 목질계는 리그닌 제거 등 까다로운 공정 문제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바이오 에탄올의 제조원료로서 해조류가 각광받고 있다. 해조류(algae)는 생장속도가 빨라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별도의 비료나 농업 용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당 성분과 알긴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에너지로 전환하기에 적합하며, 탄수화물의 함량이 목질계 원료에 비해 1.5 내지 2 배 정도 높은 데다 목질계 원료에서 반드시 제거해야 하는 리그닌 성분이 없어 제조공정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다만,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해조류를 원료로 하여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하기 해조류의 당화, 발효, 증류 공정 이전에 해조류를 탈수하는 전처리 과정이 필수적이나, 이에 관련된 장치 및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바이오 에탄올 생산을 위해 이용되는 해조류 원료는 처리과정 중에 흡수된 수분량이 자체질량에 비해 10 배 이상 함유돼 있어 공정 상 불리한 면이 있어, 이를 효과적으로 단시간 내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종래의 해조류의 탈수장치는 일반적으로 배치식(batch) 탈수장치로서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배치식 반응기 내에 해조류를 넣은 후, 압착기 등의 압축수단이 상기 반응기 하부까지 상기 해조류를 압착하여 탈수 한 후 상기 개폐 장치를 개방하여 탈수된 해조류를 배출하고 다시 탈수시킬 해조류를 반응기에 넣는 공정을 반복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 탈수 공정은 해조류를 반응기 내에 넣고 배출하는 과정이 사람에 의해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작업 시간이 지연되고 많은 작업인원으로 인한 인건비 지출 및 능률적으로 작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원은, 해조류의 표면 및 조직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해조류의 탈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조류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기술한 과제로 제한 되지 않으며, 기술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일 측면은, 일방향으로 진행되며 순환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벨트의 일단을 지지하고 상기 벨트를 회전시키는 제 1 롤러; 상기 제 1 롤러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 2 롤러;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의 사이에서 상기 벨트의 일면을 지지하는 하부압축롤러 및 상기 벨트를 경계로 상기 하부압축롤러와 마주보며 상기 벨트의 타면 상에 위치한 상부압축롤러를 포함하는 탈수부; 상기 제 1 롤러 또는 상기 제 2 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롤러 또는 상기 제 2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를 제공한다.
본원은 컨베이어 벨트 및 롤러를 사용하여 해조류의 연속식(Continuous) 탈수 공정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탈수 공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은 탈수부의 수, 상부압축롤러의 높이,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속도, 경사를 조절하여 필요에 따라 해조류의 탈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벨트에 경사로 인해 탈수부에 상기 해조류에서 제거된 수분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해조류가 탈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해조류가 탈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경사진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층 또는 부재가 다른 층 또는 부재와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층 또는 부재가 다른 층 또는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층 또는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층 또는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용어 "~하는 단계" 및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의 "해조류"는 대형조류 또는 미세조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대형조류는 홍조류, 갈조류 및 녹조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류는 클로렐라 또는 스피루리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홍조류는, 예를 들어, 우뭇가사리, 코토니, 개도박, 김, 둥근돌김, 개우무, 새발, 참풀가사리, 꼬시래기, 진두발, 참도박, 가시우무, 비단풀, 단박, 돌가사리, 석목 및 지누아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갈조류는, 예를 들어, 미역, 다시마, 헛가지말, 민가지말, 패, 고리매, 미역쇠, 감태, 곰피, 대황, 쇠미역사촌, 모자반, 괭생이 모자반, 지충이 및 톳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녹조류는, 예를 들어, 청태, 해캄, 파래, 청각, 구슬청각, 옥덩굴 및 염주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측면에 있어서,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는 일방향으로 진행되며 순환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벨트의 일단을 지지하고 상기 벨트를 회전시키는 제 1 롤러; 상기 제 1 롤러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 2 롤러;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의 사이에서 상기 벨트의 일면을 지지하는 하부압축롤러 및 상기 벨트를 경계로 상기 하부압축롤러와 마주보며 상기 벨트의 타면 상에 위치한 상부압축롤러를 포함하는 탈수부; 상기 제 1 롤러 또는 상기 제 2 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롤러 또는 상기 제 2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압축롤러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압축롤러는 두 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부압축롤러가 두 개일 경우, 상기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벨트의 일단을 지지하고 상기 벨트를 회전시키는 제 1 롤러; 상기 제 1 롤러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 2 롤러; 상기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의 사이에서 상기 벨트의 일면을 지지하며 각각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하부압축롤러와 상기 두 개의 하부압축롤러 사이의 상기 벨트 타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압축롤러를 포함하는 탈수부; 상기 제 1 롤러 또는 제 2 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롤러 또는 상기 제 2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롤러, 예를 들어, 제 1 롤러, 제 2 롤러, 하부압축롤러, 상부압축롤러의 재질, 종류, 크기는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각각의 롤러는 크기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압축롤러는 지름이 약 100 mm 내지 약 1000 mm 인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하부압축롤러는 지름이 약 100 mm 내지 약 500 mm 인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 1 롤러 및 상기 제 2 롤러는 약 100 mm 내지 약 500 mm 인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0)는 상기 제 1 롤러(20), 제 2 롤러(30) 및 하부 압축롤러(40)를 둘러 감싸며 폐루프를 형성하고 구동수단(70)의 구동력이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있는 제 1 롤러 또는 상기 제 2 롤러에 전달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폐루프를 반복하여 회전 할 수 있으며, 상기 벨트의 회전에 의해 해조류가 탈수부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70)은 상기 제 1 롤러 및 상기 제 2 롤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수단은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하나의 롤러, 예를 들어, 상기 제 1 롤러 또는 상기 제 2 롤러에만 연결된 경우,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지 않은 롤러, 예를 들어, 상기 제 2 롤러 내지 상기 제 1 롤러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지 않은 롤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진행하는 일 방향, 혹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1 롤러 또는 상기 제 2 롤러의 일 측면으로부터 컨베이어 벨트 상에 해조류(100)가 공급된다. 상기 해조류는 수동으로 상기 벨트 상에 놓여지거나 다른 컨베이어 시스템 등에 의해 상기 켄베이어 벨트 상으로 공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급된 해조류는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벨트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다가 하부압축롤러 및 상부압축롤러를 포함하는 탈수부로 도입된다. 상기 탈수부에서는 상기 상부압축롤러와 상기 하부압축롤러의 압착으로 인해, 상기 해조류가 상기 압착된 롤러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해조류의 표면 및 내부 조직 상에 포함하고 있는 수분은 외부로 배출되면서 탈수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은, 예를 들어, 약 400 mm 내지 약 100 mm 인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일면의 길이는 약 2000 mm 내지 4000 mm 인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압축롤러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인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부압축롤러는, 예를 들어, 한 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부압축롤러가 두 개인 경우, 상기 하부압축롤러 간의 간격은, 상기 각각의 하부압축롤러의 중심간의 간격은 약 0 mm 내지 약 800 mm 인 것을 포함할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하부압축롤러의 수를 달리하여 해조류가 탈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압축롤러가 한 개인 경우, 상기 상부압축롤러는 상기 하부압축롤러와 마주보며 상기 벨트 상에 위치하여 상기 롤러간에 압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압축롤러가 두 개인 경우, 상기 하부압축롤러는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압축롤러는 상기 하부압축롤러 사이의 상기 벨트 상부 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압축롤러가 두 개인 경우, 해조류가 한 번 탈수부를 거치면서 제1하부압축롤러와 상부압축롤러에 의해 한 번 탈수되고, 상기 탈수 후에 다시 제2하부압축롤러와 상부압축롤러에 의해 탈수되는 과정을 거쳐, 보다 용이하게 해조류를 탈수할 수 있다. 상기 하부압축롤러의 이격 거리는 상기 상부압축롤러의 지름 길이보다 작은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격 거리가 상기 상부압축롤러의 지름보다 큰 경우, 상기 롤러 간에 압착이 되지 않는다.
상기 공정에 의해 탈수된 해조류는 상기 벨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진행되다가 상기 벨트를 벗어나는 지점에서 상기 벨트로부터 탈락되어 수집부(미도시)에 의해 수거될 수 있다.
본원은 상기 탈수부를 구성하는 상부압축롤러 및 하부압축롤러의 수, 상기 상부압축롤러의 높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해조류의 탈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는 상기 탈수부를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원은 상기 해조류의 종류 또는 원하는 탈수 정도에 따라, 상기 탈수부를 복수 개 포함하여, 상기와 같은 기계적 공정에 의하여 상기 해조류로부터 가능한 많은 물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자동화 탈수 장치는 상기 상부압축롤러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추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압축롤러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서, 상기 상부압축롤러와 상기 하부압축롤러의 압착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탈수부를 통과하는 해조류로부터 수분 제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상기 컨베이어의 양측 프레임(미도시)에 설치하여 상기 상부압축롤러와 연결하여 상기 상부압축롤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상부압축롤러의 상측에 위치한 기재(미도시) 로부터 상기 상부압축롤러와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수단의 회전력을 조절하여 상기 벨트의 회전 속도를 느리게 할수록 상기 탈수부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보다 더 많은 양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반대로 회전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상기 탈수부에 머무는 시간이 줄어들어 보다 적은 양의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의 해조류의 탈수 장치는 탈수부의 수, 상부압축롤러의 높이에 따른 압축롤러 간의 압착 정도,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해조류의 표면뿐만 아니라 상기 해조류 조직의 압착으로 인한 물리적 형태를 동시에 변성시킴으로써 상기 해조류를 용이하게 탈수시킬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경사를 이루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도 3에서와 같이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경사진 컨베이어 벨트를 형성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 또는 상기 제 2 롤러를 지지하는 지지대(80)는 경사 조절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진 벨트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해조류가 압착되는 상기 상부압축롤러와 상기 하부압축롤러가 접한 부분 상에 상기 해조류로부터 제거된 수분이 컨베이어벨트 상에 고이지 않고 상기 벨트의 경사를 따라 상기 벨트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 또는 상기 벨트의 회전 방향으로 흘러 내려가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구현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컨베이어 벨트
20: 제 1 롤러
30: 제 2 롤러
40: 하부압축롤러
41: 제 1 하부압축롤러
42: 제 2 하부압축롤러
50: 상부압축롤러
60: 높이조절수단
70: 구동수단
80: 지지대
100: 해조류

Claims (7)

  1. 일 방향으로 진행되며 순환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벨트의 일단을 지지하고 상기 벨트를 회전시키는 제 1 롤러;
    상기 제 1 롤러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 2 롤러;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의 사이에서 상기 벨트의 일면을 지지하는 하부압축롤러 및 상기 벨트를 경계로 상기 하부압축롤러와 마주보며 상기 벨트의 타면 상에 위치한 상부압축롤러를 포함하는 탈수부;
    상기 제 1 롤러 또는 상기 제 2 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롤러 또는 상기 제 2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압축롤러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인 것인,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한개 또는 복수개인 것인,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압축롤러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추가 연결되어 해조류의 탈수 정도를 조절하는 것인,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경사를 이루는 것인,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인,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를 통과한 상기 해조류를 수거하는 수집부를 추가 포함하는,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
KR1020100085698A 2010-09-01 2010-09-01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 KR20120022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698A KR20120022276A (ko) 2010-09-01 2010-09-01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698A KR20120022276A (ko) 2010-09-01 2010-09-01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276A true KR20120022276A (ko) 2012-03-12

Family

ID=4613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698A KR20120022276A (ko) 2010-09-01 2010-09-01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22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746B1 (ko) * 2015-10-30 2017-03-06 한성수산식품 (주) 새우젓의 이물질을 수선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펼침장치.
KR20200021128A (ko) 2018-08-20 2020-02-28 안흥수 해조류 탈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746B1 (ko) * 2015-10-30 2017-03-06 한성수산식품 (주) 새우젓의 이물질을 수선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펼침장치.
KR20200021128A (ko) 2018-08-20 2020-02-28 안흥수 해조류 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34470Y (zh) 一种碾压分离玉米秸秆皮与穰、叶的装置
CN108020063A (zh) 一种粪便干燥设备
CN102748929B (zh) 一种多层自动摊晾机
CN103704020A (zh) 一种蘑菇栽培装料覆土机
CN112715493A (zh) 黑水虻全自动立体养殖系统
CN108849770B (zh) 基于黑水虻饲养的禽畜粪便自动化处理设备
CN112830824A (zh) 一种黑水虻虫肥结合多级有机废弃物资源化利用方法
CN106577306A (zh) 一种羊养殖系统
CN113317283B (zh) 一种立体黑水虻养殖机构、养殖系统和养殖方法
CN107876138A (zh) 一种生物质压缩饲料生产装置
CN108464280A (zh) 一种蚯蚓的自动化养殖系统
KR20120022276A (ko) 해조류의 자동화 탈수 장치
CN203661676U (zh) 一种蘑菇栽培装料覆土机
KR101024217B1 (ko) 해조류의 자동화 양식 장치, 자동 수확 장치 및 자동 수확-종묘 장치
CN204669842U (zh) 一种穴盘育苗覆土装置
CN112794753B (zh) 一种圈养牛粪便加工农家肥的生产线的操作方法
CN204180554U (zh) 一种多功能谷物收割造粒一体机
CN102726813A (zh) 大型甘蔗剥叶站
CN216255256U (zh) 一种裙带菜加工打散装置
CN104833184A (zh) 一种日光温室秸秆烘干设备
CN206506900U (zh) 一种可自动下料的菌菇培养架
CN113698238A (zh) 一种有机肥生产线
CN103879009A (zh) 一种绿质资源固液分离设备及饲料生产方法
CN206751633U (zh) 一种利用养殖舍废气风干粪便的设备
CN206626937U (zh) 一种高效的粪便干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